KR20180021077A -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077A
KR20180021077A KR1020187001343A KR20187001343A KR20180021077A KR 20180021077 A KR20180021077 A KR 20180021077A KR 1020187001343 A KR1020187001343 A KR 1020187001343A KR 20187001343 A KR20187001343 A KR 20187001343A KR 20180021077 A KR20180021077 A KR 2018002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amount
less
present
sw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레나 톤지아니
로렐라 라니
다니엘라 도넬리
Original Assignee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2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의 양은 다른 2개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Description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본 발명은 α,β, 및 γ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이한 연령 및 성별의 인간의 땀과 관련된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 특정 비율로 α,β, 및 γ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는 피부에 있는 지방산과 미생물에 의한 악취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인간의 피부는 자연적으로 다양한 피부 분비물(엑크린 및 아포크린 땀과 피지), 피부 세포 파편, 피부의 분해물 및 유기물 자체에 의해 영양분을 받는 수많은 미생물로 채워진다. 이러한 불쾌한 체취는 주로 아민, 산,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페놀, 인돌, 방향족, 폴리방향족 등과 같은 구조와 작용기가 다른 유기 분자이다. 이들은 또한 티올, 메르캅탄, 황화물 및/또는 이황화물기와 같은 황 함유 작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신체와 머리카락에 불쾌한 냄새를 남기는 물질과의 매일의 접촉은 거의 불가피하다. 생선, 양파, 마늘 또는 다른 향신료와 같은 식품, 요리 냄새, 연기, 담배 및 가솔린은 일상 생활에서 악취의 일반적인 환경 원인의 단지 일부이다.
탈취 조성물을 사용하여 불쾌한 냄새를 감추려는 수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이런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악취를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항균제 및/또는 향료의 존재에 의존한다.
발한으로 인한 악취를 조절하려는 다른 시도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와 같은 악취 흡수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땀으로 인한 악취를 조절하려는 또 다른 시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냄새 조절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땀 냄새와 같은 체취를 포함하는 냄새를 흡수하기 위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사용은 잘 알려져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체 및 액체 탈취 조성물은 예를 들어 EP0691856, EP0939614, EP988364, EP1006993, EP1176944 및 EP1185238에 개시되어있다.
최근 연구는 체취가 연령-관련 및 성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체취의 화학적 조성물은 생쥐, 토끼 및 일부 영장류와 같은 많은 동물에서 연령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간의 경우에,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체취의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체취의 관점에서 인생의 세 단계, 즉, 청소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를 확인할 수 있다. 성인기에, 성별에 따라 더 구별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십대, 노인, 여성 및 남성과 같은 체취의 차이에 따라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발, 입 또는 겨드랑이와 같은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서의 악취 발생은 주로 무취의 자연 분비물의 휘발성 냄새 분자로의 미생물 변형에 의해 유발된다. 인간에서, 피지, 에크린 및 아포크린 땀샘이 박테리아(코리네박테리아 및 스타필로콕키 종) 성장에 중요한 영양소를 제공한다
인간의 땀의 주요하고 특징적인 구성성분은 두 개의 휘발성 스테로드인 모두 안드로스테론으로부터 형성된 남성의 안드로스테논 및 여성의 안드로스테놀, 나중에 3-메틸-2-헥산산(MHA)으로 변형되며, 비록 남성에서 주로 발생하나 남성과 여성에서 발견된 휘발성 지방산인 3-하이드록시-3-메틸헥산산(HMHA), 및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는 설파닐알케인올인 3-메틸-3-설파닐헥산-1-올(MSH)이다.
십대에는, 호르몬 불균형 때문에, 액생 악취의 강도가 사춘기 동안 인지할 수 있게 증가하는데 이는 아포크린 땀샘이 이런 성장 단계까지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청소년은 학교 시험, 취업 인터뷰 또는 첫 데이트와 같이 삶의 여러 부분에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정서적 발한은 신체 표면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불안 또는 정신적 긴장감과 같은 감정 자극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지만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흥미롭게도, 비록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정서적 발한은 유아에서 이미 발생하지만, 액생 지역의 정서적 발한은 사춘기까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액생 부위에서, 에크린 땀샘은 수분을 분비하는 반면 아포크린 땀샘은 피부 표면의 박테리아 효소에 의해 휘발성 악취생성 물질로 변형되는 다양한 무취 악취 전구체를 분비한다.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두 가지 유형의 땀샘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정서적 발한은 강한 액생 악취를 동반한 증가된 땀샘 분비(액취증)를 특징으로 하여 매우 불쾌하게 만든다. 특히,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17β-하이드록시-5α-안드로스탄-3-온 또는 DHT) 및 테스토스테론(17β-하이드록시-4-안드로스텐-3-온)의 농도는 십대의 땀에서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노인, 즉 50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아포크린선 및 피지선의 대사 활성이 안드로겐 호르몬의 제어하에 있기 때문에 감소된 안드로겐 생산은 피부 냄새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피지선은 피부 표면의 대부분에 형성되며 인간의 피부 체취에 대한 중요한 전구체인 지질(피지)과 지방산의 복합 혼합물을 분비한다. 헥사날, 옥테날 및 노네날은 피부 표면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분해를 통해 형성된다. 불쾌한 기름기가 많고 잔디 냄새가 나는 불포화 알데히드인 2-노네날은 노인 대상에서만 검출되며 40세 미만의 대상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응하는 포화 알데하이드 노나날은 노인 대상에서 더 풍부하고 등 및 팔뚝에서 발견되었다.
광범위한 연구 후에,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특정 중량비를 갖는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삼원 혼합물이 십대, 성인 남녀 및 노인의 체취를 조절하고 차단하는데 보다 양호하고 상이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삼원 혼합물이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보다 많을 때, 특히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비율가 약 2:1:1일 때 노인에게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보다 많을 때, 특히 α-,β-, 및 γ-사이크로덱스트린의 중량비가 약 1:2:1일 때,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삼원 혼합물이 성인 남성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 많을 때, 특히 α-,β-, 및 γ-사이크로덱스트린의 중량비가 약 1:1:2일 때,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삼원 혼합물이 성인 여성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 많을 때, 특히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가 약 1:1.5:0.5일 때,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삼원 혼합물이 십대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의 양은 다른 2개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제 1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약 2:1:1의 중량비의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2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약 1:2:1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3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약 1:1:2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4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고,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보다 많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약 1:1.5:0.5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1시간 후 냄새 맡기 테스트의 평가를 비교하는 막대형 차트를 나타낸다.
도 2는 4시간 후 냄새 맡기 테스트의 평가를 비교하는 막대형 차트를 나타낸다.
도 3은 8시간 후 냄새 맡기 테스트의 평가를 비교하는 막대형 차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의 양은 다른 2개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사이클로덱스트린"은 6 내지 12개의 글루코오스 단위를 함유하는 비치환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공지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고도로 수용성인 α-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주로 OH기의 일부가 OR기로 전환되는 분자로 구성되며, 여기서 R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고도로 수용성인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실온에서 100ml의 물에서 적어도 약 10g, 바람직하게는 100ml의 물에서 적어도 약 2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l의 물에서 적어도 약 25g의 수용해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 조성물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탈취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중량% 내지 약 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중량% 내지 약 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4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다.
농축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탈취 조성물에 사용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가 약 3중량% 내지 약 5중량%일 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희석시켜서 끈적 끈적한 피부 느낌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잔유물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물의 중량으로 약 50중량% 내지 약 20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내지 약 10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중량% 내지 약 500중량%로 희석된다.
제 1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탈취 조성물은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양의 α-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탈취 조성물은 약 2:1:1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한다.
제 2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탈취 조성물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양의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탈취 조성물은 약 1:2:1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한다.
제 3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탈취 조성물은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양의 γ-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탈취 조성물은 약 1:1:2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한다.
제 4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탈취 조성물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양의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며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이며 α-사이클로덱스트린 대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4:1 내지 1.5:1의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탈취 조성물은 약 1:1.5:0.5의 중량비로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한다.
가용화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피부에 처음 도포될 때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냄새 분자 사이의 복합체 형성은 물의 존재하에서 빠르게 일어난다. 또한, 피부 표면에서 건조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체액으로 재흡수될 때 다시 향상된 흡수 능력을 얻을 것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건조한 피부에 있을 때 체취 흡수에 덜 효율적이게 만들 수 있는 다른 환경의 냄새로 공동을 채우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특히, 체액에 의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가용화시에, 분리된 공동은 체취 분자와의 포접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이용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용해 된 비복합체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이용가능성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냄새 제어 성능에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탈취 조성물은 이런 조성물을 보다 미용적으로 또는 심미적으로 허용가능하게 하거나 추가의 사용상의 이점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다른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런 통상적인 임의의 성분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7th edition, Wenninger and McEwen(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1997)에서 발견된 임의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은 피부, 모발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다른 적절한 기질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예를 들어,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은 계면 활성제, 방부제, 흡수제, 킬레이트제, 윤활제, 보습제 발수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항자극제, 비타민, 미량 금속, 항균제, 향수, 염료 및 색소 성분 및/또는 구조 제제와 같은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휘발성 및 비 휘발성 용제, 물 및 기타 추가 성분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 된 바와 같이,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는 표현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미용상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상용성 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증량제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상용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이 통상적인 사용 상황하에서 조성물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상호 작용이 없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주요 활성제와 및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체의 유형은 원하는 생성물의 유형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조성물은 매우 다양한 제품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로션, 크림, 젤, 스틱, 스프레이, 연고, 페이스트, 무스 및 화장품(예컨대, 파운데이션을 포함하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메이크업)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런 제품 형태는 용액, 에어로졸, 에멀젼(수중유 또는 유중수 포함), 겔, 고형물 및 리포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러 유형의 담체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양으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 내지 99 중량% 초과의 범위일 수 있다.
고체 조성물, 분무 조성물 및 유중수 크림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의 양의 물을 포함한다. 롤-온(Roll-on)조성물, 수성 조성물 및 탈취제는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5중량% 내지 약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내지 약 90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30중량% 내지 약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 내지 약 75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내지 약 65중량%의 수준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실리콘은 바람직하게는 옥타 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과 같은 사이클릭 실록산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실리콘은 2 내지 7개의 실리콘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고리형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실리콘은 탄소수 1 내지 10개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된다. 적절한 실리콘은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헵타메틸옥틸트라이실록산, 헤사메틸다이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휘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중량% 내지 약 75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중량% 내지 약 65중량%의 수준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휘발성 용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휘발성"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위 조건 하에서 상당한 양의 증기압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휘발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약 2k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kPa 이상의 증기압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휘발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약 1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9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미만의 정상 분위기(1 기압)하에서 용융점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휘발성 용매는 비교적 무취이며 사람 피부에 사용하기에 안전할 것이다. 적합한 휘발성 용매는 C1-C4 알코올, 휘발성 실리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휘발성 용매는 C1-C4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보다 바람직한 것은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비 휘발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비 휘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수준일 것이다. 적합한 비 휘발성 용매는 벤질 벤조에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다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다른 부가 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바이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된 친수성 중합체; 벤조페논-3과 같은 UV 안정화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와 같은 항산화제;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과 같은 방부제; 락트산,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숙신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과 같은 pH 조절제; 파네솔, 아연 페놀설포네이트 및 에틸헥실글리세린과 같은 탈취제 및 항균제; 트라이베헤닌, 글리세린과 같은 보습제; 알란토인과 같은 피부 컨디셔닝제; 트라이메틸 이소프로필 부탄아마이드 및 멘톨과 같은 냉각제; 판테놀, 판테테틴, 판토테인, 판테닐 에틸 에터 및 이의 조합 물과 같은 헤어 컨디셔닝 성분; 프로페인, 아이소프로페인, 부테인 및 아이소부텐과 같은 추진제; 아세트산칼륨과 염화나트륨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일반적인 염; 향수와 염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이들 부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의 수준으로 존재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1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여러 혼합물을 냄새 검사로 분석하여 신체 악취를 가려내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의 조성은 다음 표 1에 보고된다.
샘플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DEO1 1.50 0.75 0.75
DEO2 0.75 1.50 0.75
DEO3 0.75 0.75 1.50
DEO4 1.00 1.50 0.50
악취를 만들어내는 신체 땀의 구성 요소를 모의하는 CFM13668이라는 악취 혼합물의 블렌드를 CFF S.p.A., Opera, Italy(www.creative-flavours-fragrances.com)에서 얻었다. CFM13668 기본 땀은 다음 표 2에 보고된 악취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CAS Number 화합물
101-94-0 p-크레실 페닐아세테이트
120-72-9 인돌
103-82-2 페닐아세트산
55066-56-3 p-크레실 아이소발레레이트
68-11-1 티오글리콜산
107-92-6 N-부티르산
142-62-1 카프로산
25265-71-8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590-86-3 아이소발레르 알데하이드
503-74-2 아이소발레르산
수명 주기 및 성별을 모의하는 4가지 특정 땀은 다음 표 3에 보고된 바와 같이 수명 주기 또는 성별에 고유한 두 가지 화합물을 "기본 땀"에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땀 A
십대
땀 B
여성
땀 C
남성
땀 D
노인
테스토스테론 250
pmoli/L
- - -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150 - 200
pmoli/L
- - -
3-메틸-2-헥사노산 - 7 - 10
㎍/L
7 - 10
㎍/L
-
안드로스테놀 - 100-150
pmoli/L
- -
안드로스테론 - - 100 - 150
pmoli/L
-
2-노네날 - - - 0.2 - 0.4%
노나날 - - - 0.2 - 0.4%
기본 땀 5 방울을 증류수로 1:3으로 희석한 NaCl 0.9% 생리학적 용액 400mL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냄새 맡기 테스트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증류수로 1:3으로 희석한 NaCl 0.9% 생리학적 용액 400mL에 각 땀 A 내지 D 5 방울과 각 DEO 1 내지 4 5 방울을 첨가하였다. 각각 약 400ml의 부피를 가지며 특정 DEO(1 내지 4)와 조합된 특정 땀(A 내지 D)을 함유하는 16개의 용액을 얻었다.
모든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pH를 5.5로 조정하였다. 각 혼합물 2 mL의 분취량을 파이렉스(Pyrex) 튜브로 옮기고 밀봉 플러그로 밀봉하였다.
냄새 맡기 테스트는 1, 4, 8 시간 후에 8명의 훈련된 심사 위원이 수행하였다. 심사 위원은 표 4에 보고된 점수 등급에 따라 악취의 강도를 평가하였고, 기준은 5점이었다
등급 악취 강도
1 기준보다 훨씬 낮음
2 기준보다 낮음
3 기준보다 조금 낮음
4 기준보다 약간 낮음
5 기준과 동일
6 기준보다 약간 높음
7 기준보다 조금 높음
8 기준보다 높음
9 기준보다 훨씬 높음
1 시간, 4 시간 및 8 시간 후의 냄새 맡기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5 내지 7에 보고되었고,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그래픽으로 나타내었다.
1시간 후의 냄새 테스트
땀 A SD 땀 B SD 땀 C SD 땀 D SD
DEO 1 4.20 0.21 4.75 0.17 4.30 0.25 4.00 0.18
DEO 2 4.00 0.13 4.69 0.12 3.78 0.19 3.83 0.23
DEO 3 3.81 0.18 4.06 0.16 3.51 0.23 4.83 0.18
DEO 4 4.06 0.11 4.50 0.13 4.44 0.20 4.19 0.13
기준 4.94 0.14 5.06 0.11 5.02 0.12 4.94 0.09
SD: 표준 편차
4시간 후의 냄새 테스트
땀 A SD 땀 B SD 땀 C SD 땀 D SD
DEO 1 3.83 0.15 4.00 0.15 4.00 0.18 3.44 0.17
DEO 2 3.81 0.11 4.06 0.21 3.67 0.22 3.33 0.21
DEO 3 3.69 0.23 3.06 0.11 3.45 0.16 4.33 0.26
DEO 4 3.25 0.15 4.25 0.17 4.19 0.20 3.81 0.16
기준 4.88 0.12 5.00 0.09 4.97 0.23 4.96 0.08
SD: 표준 편차
8시간 후의 냄새 테스트
땀 A SD 땀 B SD 땀 C SD 땀 D SD
DEO 1 3.45 0.22 3.94 0.14 3.85 0.19 3.35 0.18
DEO 2 3.63 0.13 4.00 0.15 3.55 0.23 3.17 0.19
DEO 3 3.50 0.15 3.00 0.13 3.40 0.25 4.17 0.20
DEO 4 2.88 0.11 4.00 0.09 3.94 0.06 3.56 0.12
기준 5.00 0.16 5.06 0.11 5.05 0.20 5.04 0.12
SD: 표준 편차
표 5 내지 7의 결과는 노인 및 성인(B-D)의 악취를 차단하는 효능과 비교하여 청소년(땀 A)의 악취를 차단하는데 있어 DEO 4의 더 나은 효능을 명확히 입증한다.
또한, 표 5 내지 표 7의 결과는 십대, 남성 및 노인(땀 A 및 C-D)의 악취를 차단하는 효능과 비교하여 여성의 악취(땀 B)를 차단하는데 있어 DEO 3의 보다 나은 효능을 명확히 입증하였다.
표 5 내지 7의 결과가 약간 열등한 경우에도 DEO 2의 효능은 남성(땀 C)의 악취를 차단하는데 있어서 DEO3의 효과와 유사함이 입증되었다.
마찬가지로 표 5에서 7의 결과가 약간 열등한 경우에도 DEO 1의 효능은 노인(땀 D)의 악취를 차단하는데 있어서 DEO 2의 효과와 유사함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8 내지 표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몇 가지 예를 제공한다. 모든 조성물은 십대의 경우 1:1.5:0.5, 여성의 경우 1:1:2, 남성의 경우 1:1:2 또는 바람직하게는 1:2:1, 및 노인의 경우 1:2:1 또는 바람직하게는 2:1:1의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크림 탈취제 1
성분 범위 %
50 내지 80%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0 내지 20%
세테아릴 알코올 2 내지 5%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세틸 알코올 1 내지 3%
다이메티콘 1 내지 3%
카프릴일 메티콘 1 내지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 내지 3%
향수 0.5 내지 2%
세테아레스-20 0 내지 1%
폴리실리콘-11 0 내지 1%
2-메틸 5-사이클로헥실펜탄올 1% 미만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 1% 미만
세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 1% 미만
수산화나트륨 1% 미만
크림 탈취제 2
성분 범위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3 내지 64%
알루미늄 지르코늄 테트라클로로하이드렉스 글리 16 내지 30%
다이메티콘 3 내지 8%
트라이베히닌 3 내지 8%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1 내지 3%
C18-36 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1 내지 2%
향수 0.5 내지 2%
판텐일 트라이아세테이트 2% 미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 미만
향수 1% 미만
롤-온 탈취제 1
성분 범위 %
40 내지 60%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0 내지 30%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1 내지 8%
PPG-15 스테아릴 에터 0 내지 5%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세타아레스-25 1 내지 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내지 3%
스테아르옥시 다이메티콘 1 내지 3%
다이메티콘 1 내지 3%
글리세린 0 내지 3%
향수 0.5 내지 2%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0 내지 2%
페녹시에탄올 0 내지 1%
스테아릴 알코올 1% 미만
롤-온 탈취제 2
성분 범위 %
55 내지 85%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0 내지 30%
PPG-15 스테아릴 에터 1 내지 5%
스테아레스-2 1 내지 3%
스테아레스-20 1 내지 3%
향수 0.5 내지 2%
아이소헥사데케인 0 내지 2%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0 내지 2%
글리세린 0 내지 2%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0 내지 2%
징크 페노설포네이트 0 내지 1%
페녹시에탄올 1% 미만
2-메틸 5-사이클로헥실페탄올 1% 미만
데사일렌 글리콜 1% 미만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분사 탈취제 1
성분 범위 %
부테인 30 내지 65%
아이소부테인 12 내지 23%
프로페인 11 내지 2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 내지 25%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0 내지 8%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다이메티콘 2% 미만
향수 0.5 내지 2%
다이스테아르다이모늄 헥토라이트 2% 미만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0 내지 2%
페녹시에탄올 0 내지 1%
2-메틸 5-사이클로헥실페탄올 0 내지 1%
에틸헥실글리세린 0 내지 1%
0 내지 1%
분사 탈취제 2
성분 범위 %
부테인 35 내지 65%
아이소부테인 13 내지 25%
프로페인 12 내지 22%
4 내지 11%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2 내지 5%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 내지 4%
향수 0.5 내지 2%
C12-13 알킬 락테이트 1% 미만
PEG/PPG-18/18 다이메티콘 1% 미만
카프릴일 글리콜 1% 미만
에틸헥실글리세린 1% 미만
막대 탈취제 1
성분 범위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3 내지 42%
스테아릴 알코올 11 내지 21%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10 내지 18%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5 내지 15%
PPG-14 부틸 에터 3 내지 9%
활석 3 내지 9%
수소화 캐스터 오일 2 내지 7%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파라피늄 리퀴덤 2 내지 5%
페트롤라툼 2 내지 5%
향수 0.5 내지 2%
1% 미만
베헤닐 알코올 1% 미만
막대 탈취제 2
성분 범위 %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25 내지 50%
15 내지 35%
PEG-200 14 내지 26%
글리세린 5 내지 15%
소듐 스테아레이트 3 내지 8%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향수 0.5 내지 2%
PPG-3 미리스틸 에터 2% 미만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 미만
BHT 1% 미만
수산화나트륨 1% 미만
데오 바포(Deo vapo) 1
성분 범위 %
변성 알코올 28 내지 5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9 내지 36%
PPG-3 미리스틸 에터 11 내지 2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5 내지 14%
2 내지 5%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향수 0.5 내지 3%
다이메티콘 2% 미만
징크 페노설포네이트 2% 미만
데오 바포 2
성분 범위 %
79 내지 97%
PEG-40 수소화 캐스터 오일 2 내지 5%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0 내지 5%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3%
세테아레스-20 1 내지 2%
향수 0.5 내지 2%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2% 미만
글리세린 2% 미만
페녹시에탄올 1% 미만
2-메틸 5-사이클로헥실페탄올 1% 미만
에틸헥실글리세린 1% 미만
프로필렌 글리콜 1% 미만
데사일렌 글리콜 1% 미만
다이카프릴일 에터 1% 미만

Claims (13)

  1.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로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의 양은 다른 2개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탈취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 상기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탈취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인 탈취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2:1:1의 중량비의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탈취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인 탈취 조성물.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2:1의 중량비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상기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탈취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상기 α-,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인 탈취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1:2의 중량비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상기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총량과 동일하거나 많고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은 상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보다 많은 탈취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 대 상기 α-,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의 중량비는 4: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의 범위이며 상기 α-사이클로덱스트린 대 상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4:1 내지 1.5:1의 범위인 탈취 조성물.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1:1.5:0.5의 중량비로 상기 α-,β-,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KR1020187001343A 2015-06-25 2016-06-21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KR20180021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3747.5 2015-06-25
EP15173747 2015-06-25
PCT/EP2016/064250 WO2016207133A1 (en) 2015-06-25 2016-06-21 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alpha, beta and gamma cyclodextr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077A true KR20180021077A (ko) 2018-02-28

Family

ID=5348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343A KR20180021077A (ko) 2015-06-25 2016-06-21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10507173B2 (ko)
EP (1) EP3313533B1 (ko)
JP (1) JP2018524277A (ko)
KR (1) KR20180021077A (ko)
CN (1) CN107995860A (ko)
AR (1) AR105019A1 (ko)
AU (1) AU2016282260A1 (ko)
CA (1) CA2985531A1 (ko)
CY (1) CY1122725T1 (ko)
DK (1) DK3313533T3 (ko)
EA (1) EA201890043A1 (ko)
ES (1) ES2775323T3 (ko)
HK (1) HK1251509A1 (ko)
HR (1) HRP20200287T1 (ko)
HU (1) HUE047936T2 (ko)
IL (1) IL256213A (ko)
LT (1) LT3313533T (ko)
MD (1) MD3313533T2 (ko)
MX (1) MX2017016397A (ko)
PL (1) PL3313533T3 (ko)
PT (1) PT3313533T (ko)
RS (1) RS59954B1 (ko)
SI (1) SI3313533T1 (ko)
WO (1) WO20162071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20230036238A (ko) 2021-09-07 2023-03-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1048B2 (ja) * 2018-03-01 2024-04-19 クラシエ株式会社 悪臭化合物を低減するための組成物
JP7465053B2 (ja) * 2018-03-01 2024-04-10 クラシエ株式会社 悪臭化合物の低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307B1 (ko) 1993-03-31 2002-07-2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향기신호를발생시키는냄새억제용흡수제품
US5429628A (en) 1993-03-31 1995-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small particle size cyclodextrin for odor control
AU721891B2 (en) 1996-10-24 2000-07-1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EP0939614B1 (en) 1996-10-24 2002-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reducing odor on skin
US5858335A (en) * 1997-06-09 1999-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reducing body odor using perfume-free two phase compositions
US5928631A (en) * 1997-06-09 1999-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odors on the body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uncomplexed cyclodextrins
ES2248906T3 (es) 1997-06-09 2006-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ones de ciclodextrina no complejada para controlar el olor y las arrugas.
US6344218B1 (en) * 1998-11-23 2002-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deodorizing and santizing compositions
WO2000067715A1 (en) 1999-05-07 2000-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6123932A (en) * 1999-06-14 2000-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dextrin odor controlling agents
EP1212394A2 (en) * 1999-09-02 2002-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deodorizing and/or cleaning carpet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odor control agent
FR2898817B1 (fr) * 2006-03-23 2008-08-08 Univ Rouen Association de substance oleagineuse avec un melange d'au moins deux cyclodextrines
EP2115045B1 (en) * 2007-02-20 2016-10-26 Cellresin Technologies, LLC Combination of substituted cyclodextrin compound and activated carbon
US8802653B2 (en) * 2010-10-01 2014-08-12 C.B. Fleet Company, Inc. Deodorant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20230036238A (ko) 2021-09-07 2023-03-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890043A1 (ru) 2018-05-31
PT3313533T (pt) 2020-03-02
CA2985531A1 (en) 2016-12-29
ES2775323T3 (es) 2020-07-24
HK1251509A1 (zh) 2019-02-01
US20180185261A1 (en) 2018-07-05
LT3313533T (lt) 2020-03-10
HRP20200287T1 (hr) 2020-05-29
HUE047936T2 (hu) 2020-05-28
JP2018524277A (ja) 2018-08-30
CY1122725T1 (el) 2021-03-12
RS59954B1 (sr) 2020-03-31
WO2016207133A1 (en) 2016-12-29
SI3313533T1 (sl) 2020-04-30
EP3313533A1 (en) 2018-05-02
AU2016282260A1 (en) 2018-01-04
MX2017016397A (es) 2018-05-22
AR105019A1 (es) 2017-08-30
PL3313533T3 (pl) 2020-08-24
CN107995860A (zh) 2018-05-04
IL256213A (en) 2018-02-28
EP3313533B1 (en) 2019-12-04
MD3313533T2 (ro) 2020-03-31
US10507173B2 (en) 2019-12-17
DK3313533T3 (da)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1463B (zh) 化妆品或皮肤病学制剂
US10722448B2 (en) Pet care cleansing composition
US20140322151A1 (en) Use Of Isosorbide Caprylates/Caprates In Deodorants And Antiperspirants
KR20180021077A (ko) 알파, 베타 및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US20060165623A1 (en) Natural deodorant composition
KR101987559B1 (ko)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5776364B2 (ja) 抗微生物剤、口腔用組成物とその応用
BR112019007446B1 (pt) Agente e composição desodorante, método para sua fabricação, método de liberação de um benefício de desodorante a um local de uma fonte de mau odor, e uso de neodecanoato de zinco
JP2005187474A (ja) 改善された香粧料
JP2018087153A (ja) 頭皮臭抑制剤
US20020119110A1 (en)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menthol and menthyl lactate, having little odor and being non-irritating
JP2007145771A (ja) 殺菌剤組成物及びデオドラント剤
KR20190102000A (ko) 테르미날리아 페르디난디아나 잎 추출물 및 테르미날리아 페르디난디아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
BRPI0814225B1 (pt) utilização de dióis vicinais de cadeia curta com um número de átomos de carbono de 2 a 4 como substância ativa antitranspirante
NZ184120A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 water insoluble aldehyde polysaccharide
KR20210111230A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KR102147642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431509A (zh) 气味成分的稳定方法、香料组合物及防臭组合物
US5407667A (en) Composition containing inclusion complex of glutathione and a or β-cyclodextrine
JP2004189633A (ja) 防臭化粧料
EP3226827B2 (en) Aluminium-free antiperspirant/deodora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5025535B2 (ja) 抗菌剤組成物及び防臭剤用組成物
JP5346540B2 (ja) タバコ臭用消臭・防臭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配合した頭髪用化粧品組成物
KR102006956B1 (ko)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425973B1 (ko)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