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698A - Overhead crane - Google Patents
Overhead cra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0698A KR20180020698A KR1020160105435A KR20160105435A KR20180020698A KR 20180020698 A KR20180020698 A KR 20180020698A KR 1020160105435 A KR1020160105435 A KR 1020160105435A KR 20160105435 A KR20160105435 A KR 20160105435A KR 20180020698 A KR20180020698 A KR 201800206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upper plate
- sides
- lower plate
- bridge gir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릿지거더의 구조를 경량화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은 건물 천장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벽체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 위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과, 상기 새들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브릿지거더와, 상기 브릿지거더를 따라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거더는 하부 양측에 지지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받침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격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트러스 구조로 구획되도록 상기 격판의 양측에 ∧자 형상으로 반복 배열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crane capabl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ridge girder and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concentrated loads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heavy objects.
An overhea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rail installed on a wall adjacent to both sides of a building ceiling, saddles provided on the traveling rail and moved along the traveling rail, An overhead crane comprising a bridge girder to be moved and a trolley to lift a heavy object while being moved along the bridge girder, wherein the bridge girder includes an upper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support angles are symmetric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plat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as to be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array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divided into a truss structur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r ∧ on both sides of the plate comprises a repeated array of inclined plate in the im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릿지거더의 구조를 경량화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head crane capabl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ridge girder structure and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concentrated loads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heavy objects. will be.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달아 올려 수평으로 운반하는 기계나 장치를 말하며,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권상, 권하와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주행, 횡행, 선회 등의 동작을 하고, 이러한 동작이 서로 조합되어 3차원 공간에서 중량물을 취급하게 되는 것이다. Generally, a crane refers to a machine or a device that lifts a heavy object by using a power and horizontally transports it. The crane performs operations such as lifting and lowering a heavy object, traveling, winding and turning to move horizontally, These operati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handle heavy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이러한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운반시 거더의 변형이나 파손은 운반 중인 중량물의 파손은 물론 산업 재해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The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girders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heavy goods using such a crane may cause damage to the heavy cargo during transportation as well as causing industrial accidents.
따라서, 통상적으로 거더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부에 다수의 횡축 및 종축 방향으로 변형 보강수단을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girder, it is general to provide a plurality of deformation reinforcement means in the transverse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그러나 구조적 보강을 위한 보강 수단의 설치는 다수의 인력과 자재의 공급을 필요해서 시공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체 중량이 상승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소모가 상승하게 된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reinforcement means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necessitates the supply of a large number of manpower and materials, resulting in an excessive construction cost, an increase in the total weight, and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for driving the reinforcement mea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릿지거더의 구조를 경량화하여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오버헤드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verhead crane capabl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ridge girder structure and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concentrated loads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heavy object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은 건물 천장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벽체에 설치된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 위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과, 상기 새들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브릿지거더와, 상기 브릿지거더를 따라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거더는 하부 양측에 지지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받침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격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트러스 구조로 구획되도록 상기 격판의 양측에 ∧자 형상으로 반복 배열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head crane comprising: a traveling rail installed on a wall adjacent to both sides of a building ceiling; a saddle provided on the traveling rail and moved along the traveling rail; A bridge girder which is moved on the running rail by the saddle, and a trolley which lifts a heavy object while being moved along the bridge girder, wherein the bridge girder has a support angle on both sides of the bridge girder, A side plat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ing angles are symmetric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arranged such that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di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plurality dog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lat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ash plate is between the space of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 chair on both sides of the plate to be divided into a truss structure arranged in the form of repeated.
또한,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하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새들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de plate may include a cover member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a s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add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
또한, 상기 측판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커버부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앵글이 끼워지도록 양측에 슬릿이 형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d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member and having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slit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fit the support angle .
또한,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앵글이 끼워지도록 상기 접촉부의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support angle is inserted.
또한, 상기 경사판은 일단부에 상기 상판과 상기 격판의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1연장부와, 타단부에 상기 하판과 상기 격판의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2연장부가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wash plate may have a first extending portion welded to one end of the swash plate so as to be fix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diaphragm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to be fix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diaphragm, .
또한, 상기 경사판은 양측에 각각 리브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wash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s are protruded downward on both sides thereof.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과 하판의 이격 공간에 개재되는 다수의 격판 사이에 경사판이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브릿지거더가 구비됨에 따라, 중량물 운반에 따른 국부적인 하중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재 구매에 따른 원가 및 인건비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idge girder having the swash plate arranged in a truss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interposed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and breakage due to a local load In addition, it is structurally lightweight,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cost and labor cost of purchasing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브릿지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브릿지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overhea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idge girder in the overhead cran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idge girder in the overhead crane shown in Fig. 1; Fig.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브릿지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있어서, 브릿지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Fig.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hea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 2 show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idge girder in the overhead cran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ridge girder in the overhead cran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천장에 인접하도록 양 벽체에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주행레일(100)과, 주행레일(100) 위에 구비되어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는 새들(200)과, 양단부가 새들(20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새들(200)에 의해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는 브릿지거더(300) 및 브릿지거더(3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롤리(400)를 포함한다. The overhead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브릿지거더(300)를 제외한 주행레일(100), 새들(200) 및 트롤리(40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기술에 따른 것과 동일 유사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이하에는 브릿지거더(300)에 관한 것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running
상기 브릿지거더(3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10), 하판(320), 측판(330), 격판(340) 및 경사판(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상기 상판(310)은 브릿지거더(3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방형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며, 하부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용접된 고정앵글(311)이 구비된다. The
이때 고정앵글(311)은 수평부(311a)와 수직부(311b)로 이루어지는데, 수평부(311a)는 상판(310)의 하부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수직부(311b)는 내측에서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하판(320)은 브릿지거더(30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판(3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장방형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용접된 받침앵글(321)이 구비된다. The
이때 받침앵글(321)은 수평부(311a)와 수직부(311b)로 이루지는데, 수평부(321a)는 하판(320)의 상부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수직부(321b)는 내측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ing
상기 측판(330)은 상판(310)과 하판(32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판(310)과 하판(320)이 이격 배치되게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커버부재(331), 안착부재(332) 및 보강부재(333)로 이루어진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재(331)는 평판의 형상으로 상단부가 상판(31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안착부재(332)는 커버부재(331)의 하단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볼트에 의해 새들(20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부(332a)와, 지지부(332a)의 일단부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하판(320)에 연결되는 연결부(332b)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보강부재(333)는 안착부재(332)의 지지부(332a) 상에서 커버부재(331)에 이격되도록 내측으로 배치되어 커버부재(331)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부재(333)는 상부에 지지앵글(311) 사이의 상판(310)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는 접촉부(333a)가 연장 형성되고, 지지앵글(311)의 수직부(311b)가 끼워지도록 접촉부(333a)의 양측에 슬릿(333b)이 형성된다. The reinforcing
즉, 보강부재(333)의 상부는 지지앵글(311)이 슬릿(342)에 끼워지면 접촉부(333a)와 상판(310)이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안착부재(332)의 지지부(332a)에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어 용접으로 고정된다. That is,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한편, 상기 격판(340)은 상판(310)과 하판(320)의 사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개재되어 상판(310)과 하판(320)의 이격 공간을 횡방향으로 구획시키는 역할을 한다. A plurality of the
이러한 격판(340)은 보강부재(333)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지지앵글(311) 사이의 상판(310)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는 접촉부(341)가 연장 형성되고, 지지앵글(311)의 수직부(311b)가 끼워지도록 접촉부(341)의 양측에 슬릿(342)이 형성된다. As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즉, 격판(340)의 상부는 지지앵글(311)이 슬릿(342)에 끼워지면 접촉부(341)와 상판(3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받침앵글(321) 사이의 하판(320) 상부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된다. That is, in the upper part of the
이에 따라, 상판(310)과 하판(320)이 다수개의 격판(340)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브릿지거더(300)의 구조를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그리고 상기 경사판(350)은 상판(310)과 하판(320) 사이 공간에서 트러스 구조로 배열되어 격판(340)에 인가되는 하중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격판(340)의 양측에 ∧자 형상으로 반복 배열된다. The
이와 같은 경사판(350)은 상판(310)과 격판(340)이 직교되는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1연장부(351)가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하판(320)과 격판(340)이 직교되는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2연장부(352)가 타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The
이때 제1연장부(351)의 폭은 격판(340)의 접촉부(34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제2연장부(352)의 폭은 격판(340)의 하부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그러면, 제1연장부(351)는 지지앵글(311)의 간섭없이 상판(310)과 격판(340)의 교차점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제2연장부(352)는 받침앵글(321)의 간섭없이 하판(320)과 격판(340)의 교차점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어 브릿지거더(3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경사판(350)은 양측에 리브(353)가 각각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는 트롤리(40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브릿지거더(300)에 국부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휘어지거나 변형 없이 트러스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100: 주행레일
200: 새들
300: 브릿지거더
310: 상판
320: 하판
330: 측판
340: 격판
350: 경사판
400: 트롤리100: Running rail 200: Saddle
300: bridge girder 310: top plate
320: lower plate 330: side plate
340: diaphragm 350: swash plate
400: Trolley
Claims (6)
상기 브릿지거더는
하부 양측에 지지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부 양측에 받침앵글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되도록 설치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격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 공간이 트러스 구조로 구획되도록 상기 격판의 양측에 ∧자 형상으로 반복 배열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A bridge rail provided on the wall so as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building ceiling; saddles provided on the traveling rail and moved along the traveling rail; a bridge girder moved on the traveling rail by the saddle; And a trolley for lifting the heavy object,
The bridge girder
An upper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support angles are symmetric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wer plat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so that the supporting angles are symmetric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plat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connec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plurality of diaphragm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uch that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divid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n inclined plate repeatedly arranged in a Λ shape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late so that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partitioned by a truss structure.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하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새들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late
A cover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a seating member formed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nd seated on the saddle.
상기 측판은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커버부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앵글이 끼워지도록 양측에 슬릿이 형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member,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and sli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ngle to fit the support angle. Overhead crane.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앵글이 끼워지도록 상기 접촉부의 양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support angle is inserted.
상기 경사판은
일단부에 상기 상판과 상기 격판의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1연장부와,
타단부에 상기 하판과 상기 격판의 교차점에 고정되도록 용접되는 제2연장부가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ash plate
A first extension part welded at one end to be fixed at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diaphragm,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welded to be fixed at an intersect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diaphragm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portion.
상기 경사판은 양측에 각각 리브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ash plate is formed with ribs protruding downward on both sides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435A KR101848878B1 (en) | 2016-08-19 | 2016-08-19 | Overhead crane having a truss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435A KR101848878B1 (en) | 2016-08-19 | 2016-08-19 | Overhead crane having a truss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698A true KR20180020698A (en) | 2018-02-28 |
KR101848878B1 KR101848878B1 (en) | 2018-05-28 |
Family
ID=6140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4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8878B1 (en) | 2016-08-19 | 2016-08-19 | Overhead crane having a truss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887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84713A (en) * | 2018-04-04 | 2018-09-28 |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member lifting new process and equipment |
WO2021085751A1 (en) * | 2019-10-28 | 2021-05-06 | 박승순 | Outdoor gantry crane having ro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20546A1 (en) | 2012-01-26 | 2013-07-31 | Tirso a.s. | Robotic device for welding-on of crane's railways |
-
2016
- 2016-08-19 KR KR1020160105435A patent/KR1018488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84713A (en) * | 2018-04-04 | 2018-09-28 |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member lifting new process and equipment |
WO2021085751A1 (en) * | 2019-10-28 | 2021-05-06 | 박승순 | Outdoor gantry crane having ro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8878B1 (en) | 2018-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1580B2 (en) | Flooring | |
JP6883397B2 (en) | How to build a roof structure | |
KR101848878B1 (en) | Overhead crane having a truss structure | |
KR20210072891A (en) | Lashing bridge | |
JP6909000B2 (en) | Heavy equipment support mechanism | |
JP6713419B2 (en) | Suspension method and suspension structure | |
KR20100095714A (en) | Storage rack for cylinderical type goods | |
JP5609067B2 (en) | Load support frame and load support method | |
KR20150117347A (en) | Jig assembly for supporting blocks of ship | |
US3088562A (en) | Extensible and contractible joist | |
KR20160150572A (en) |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 |
JP2019031792A (en) | Bar arrangement structure of deck plate | |
JP5603805B2 (en) | Lifting jig, lifting jig mounting structure, and balcony unit lifting method | |
KR20130129640A (en) | A double bottom girder structure of continer ship | |
CN215329367U (en) | Heavy bridge deck for steel bridge | |
KR102640154B1 (en) | A reinforcing member for skid of steel packing | |
CN214453418U (en) | Adjustable floor transportation frame | |
JP4867260B2 (en) | Elevator car floor | |
JP2020139288A (en) | Deck plate | |
JP2001090240A (en) | Deck plate and concrete floor | |
KR102161919B1 (en) | A prefabricated iron pallet | |
CN215330933U (en) | Steel skeleton beam structure and steel structure building | |
KR20130024455A (en) | Jig for welder transport | |
JP2020186607A (en) | Deck plate | |
KR102774919B1 (en) | Bogie for transporting support tower and support tower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