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572A -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 Google Patents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572A
KR20160150572A KR1020160019113A KR20160019113A KR20160150572A KR 20160150572 A KR20160150572 A KR 20160150572A KR 1020160019113 A KR1020160019113 A KR 1020160019113A KR 20160019113 A KR20160019113 A KR 20160019113A KR 20160150572 A KR20160150572 A KR 2016015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beam
reinforcing
sectio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3949B1 (en
Inventor
안익헌
안효찬
Original Assignee
안효찬
(주)퍼스텍이엔지
(주) 이래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찬, (주)퍼스텍이엔지, (주) 이래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안효찬
Publication of KR2016015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beam with an optimized cross section which secures structural stability by reinforcing and connecting steel beam members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selects a cross section divided for each section of a steel beam to effectively optimize a cross section of each member by a bending moment, and efficiently reduces construction costs. The composite beam with an optimized cross section is extende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s to steel pillars installed at horizontal intervals to be extend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comprises: a steel beam joined and installed on the steel pillar; a first steel beam having a vertical web and an upper and a lower horizontal flanges, wherein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one joining end of the steel beam to be fixed and installed; a second steel beam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eel beam, separated from the first steel beam, and extended horizontally, wherein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o have a lower plate and a side wall web on a left and a right; and a reinforcing connection unit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first and the second steel beams and including a first reinforcing flange extended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s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in an inclination direction to connect the first and the second steel beams to each other, a second reinforcing flange extended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s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beam to connect the first and the second steel beams to each other, and a third reinforcing flange extended from the lower plate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s the low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beam to connect the first and the second steel beams to each other.

Description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본 발명은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보 부재 간에 합성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보강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철골보의 구간별로 구분된 단면을 선정하여 휨모멘트에 따라 각 부재의 단면을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는 동시에 시공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eam whose cross section is optimiz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beam which is constructed by mutually reinforcing each other so as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between steel beam members, thereby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and selecting cross- To a composite beam optimized in cross section that can effectively optimize the cross-section of each member and efficie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함에는 강재의 기둥을 세운 후 강재기둥 사이에 철골보를 연결하고, 철골보상에 거푸집과 보강철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거쳐 복합보를 시공하게 된다.
Generally, in order to construct buildings with various structures, steel columns are installed, steel beams are connected between pillars of steel, concrete and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to compensate for steel beams, concrete beams are installed, and composite beams are constructed.

이러한 복합보는 강재의 철골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가 합성되어 철골보의 강재량을 절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MHS 복합보, MPS 복합보, SPS 복합보, CPS 복합보 등 다양한 형태의 복합보가 사용되고 있다.
These composite beams are composed of steel beams and precast concrete beams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beams and improve the workability. Various types of composite beams such as MHS composite beams, MPS composite beams, SPS composite beams, and CPS composite beams Composite beams are being used.

그런데 기존 복합보는 보 부분의 접합부가 중첩이음 형태의 접합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복합보 시공에 따른 철골량이 과도하게 사용 제작되어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existing composite beams have a problem in that the joints of the beams are formed as overlapping joints, so that the steel beams according to the composite beams are excessively us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61786호(2007.09.19.)에는 상/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터럽철근,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면 양측 모서리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콘크리트 부재, 상기 H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공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동부는 메탈래스에 의해 형성되게 구성함에 따라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공지되어 있다.
As a prior art discl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61786 (Sep. 19, 2007) discloses an H-shaped steel comprising an upper /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tirrup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steel so as to enclose at least a part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art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art of the stirrup reinforcing steel are integrally formed At least one tensile / compressive reinforcing bar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shape, and a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supporting the deck plate disposed thereon, Wherein the support is installed at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nd a buried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cket and being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wherein the concrete memb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entir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by a metal lath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stratification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is known.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566932호(2015.11.02.)에는 보의 양단부는 강재 기둥에 강재 보가 용접 접합되고, 보의 중앙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가 설치되어 상기 강재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가 결합된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사이에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강재 보의 단부는 연결부재의 수직판과 용접 접합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수평판 단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다수의 상,하부철근 단부는 돌출되어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수직판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과 상기 연결부재의 철근고정판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홀을 관통하여 커플러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수직판과 강재 보 상부플랜지에는 소정 간격으로 상부보강판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수평판과 철근고정판에는 소정 간격으로 하부보강판이 용접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보 단부의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보가 공지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566932 (Feb. 11, 2015), a steel beam is welded to both ends of a steel beam, and a center part of the beam is provided with a precast concrete beam, Wherein a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beam,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beam is welded to the vertical pl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precast concrete beam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end portions of the precast concrete beams are protruded to penetrat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vertical pl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lit holes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reinforcing plate is welded to the vertical pl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teel beam upper flan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lower reinforcing plate welded to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in the composite plate is capable of controlling cracks in the beam.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복합보인 등록특허공보 제761786호 및 제1566932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보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가 구비되므로 중량이 무거워 취급과 시공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omposite manifolds No. 761786 and No. 1566932, there is a problem in that both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crete member are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eam, so that it is heavy in weight and difficult to handle and construct.

나아가 종래 복합보는 H형강과 U형강으로 구성되어 브라켓 형태의 접합구조를 이루되 브라켓 길이는 1M 정도의 길이인 반면 철골보의 길이는 10M 이상의 장스팬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변곡점까지의 부모멘트로 U형강 부재단면이 저항하고, 변곡점을 지나 중앙부까지는 U형강과 콘크리트의 합성보로써 저항하게 되므로 U형 부재단면이 과도하게 제작되어 전체적인 시공 공사비용이 상승하게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since the conventional composite beam consists of a H-shaped section and a U-shaped section and has a bracket-like joint structure, the bracket length is about 1M, whereas the length of a steel beam is composed of a long span structure of 10M or more. And the U-shaped member and the concrete are resistant to the center portion beyond the inflection point, so that the U-shaped member cross-section is excessively manufactured,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1786호(2007.09.1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1786 (September 19, 20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6932호(2015.11.0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6932 (Nov.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모멘트 구간의 철골보와 부모멘트 구간의 철골보를 일체로 보강 연결하면서 기존 보 접합 방식으로 시공접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철골자재의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구조물의 철골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복합보 부재단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joining a steel beam of a section of a moment section and a steel beam of a moment section integrally, And to provide a composite beam having a cross section optimized to minimize the amount of steel frames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to optimize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beam member.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기둥 상에 접합설치되는 강재보와; 상기 강재보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수직웨브 및 상하로 수평플랜지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1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좌우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하부플레이트 및 좌우로 측벽웨브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2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와 상기 제2철골보를 연결 보강하되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 측벽웨브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상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2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의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하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3보강플랜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osite beam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teel column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au; A first steel beam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el beam via a connection bracket at one end thereof and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web and a horizontal flange; A second steel frame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frame, the second steel frame being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having a lower plate and right and left side wall webs; A first reinforcing flange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first steel beam and the second steel beam and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A secon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el frame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interconnecting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thir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of the second steel frame toward the low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composed of a flange.

상기 제1철골보는 상기 수직웨브가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이중웨브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steel bars may be configured as a double web type in which the vertical webs a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2철골보에는 상기 측벽웨브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단부를 구비한다.
The second steel frame has a support en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측벽웨브의 상단을 기준으로 40~60㎜의 길이로 돌출형성된다.
The supporting end portion is protruded with a length of 40 to 60 mm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상기 제2철골보에는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격판과, 상기 지지격판을 상호 연결토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철골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긴장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철골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채움PC부를 구성한다.
Wherein the second steel frame includes a pair of support diaphragms provided at an interval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teel frame and a tension reinforcing bar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 diaphragm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teel frame, And a concrete PC portion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상기 제2철골보에는 상기 측벽웨브 간에 상호 연결하되 상면이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제2철골보의 상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되는 이형철근을 구비한다.
The second steel bars are provided with deformed bar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side wall webs and arranged in a staggered fash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eel bars so as to maintain the open top.

상기 보강연결부의 제1보강플랜지는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한 경사각도는 25~35°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has an inclination angle of 25 to 35 degrees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상기 복합보는 상기 보강연결부의 위치지점(변곡점)을 기준으로 제2철골보의 전체 영역구간에 정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상기 제2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고, 상기 보강연결부의 위치지점(변곡점)에서 상기 연결브라켓까지를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며, 상기 강재기둥에서 상기 연결브라켓까지를 최대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상기 강재보의 단면을 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composite view is configured to select a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considering only the moment stress section stress in the entire area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point (inflection point)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section, A section of the first steel beam is selected by taking the connection up to the connection bracket as the moment stress, and a section of the steel beam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arent moment stress from the steel column to the connection bracket.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에 의하면 부모멘트 구간의 제1철골보 및 정모멘트 구간의 제2철골보를 상호 보강연결하며 강재보에 연결브라켓을 통해 보 접합 방식으로 연결접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철골보의 자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시공구조물의 철골량을 감소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According to th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el beam and the second steel beam of the moment section are mutually reinforc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steel beam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Thereby improving the self-durability of the steel frame and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frames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는 보강연결부의 위치지점인 변곡점을 기준으로 정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제2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부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제1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며, 최대 부모멘트 응력을 고려하여 강재보의 단면을 선정하므로, 부재단면의 합성효과를 극대화하고 복합보 단면이 최적화되어 시공공사비용을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nflection point, which is the location point of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section,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steel frame is selected considering only the stress in the moment frame section, The cross section of steel beam is selected and the cross section of steel beam is selected considering the maximum moment stress, maximizing the synthesis effect of member cross section and optimizing composite cross section to reduce construction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는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단부를 구성하므로, 데크플레이트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제2철골보의 내측을 향한 콘크리트 타설도 완전충진할 수 있어 합성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e en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upport end protruding outwardly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frame, it is easy to install the deck plate as well as the concrete pour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steel fram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omposite beam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는 제2철골보의 상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되는 이형철근을 구성하므로, 제2철골보 내 콘크리트 충진효율을 증진시키면서 콘크리트와 합성효과를 향상시켜 시공공사비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having the cross section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zigzag form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eel beam, the concrete filling efficiency in the second steel frame can be impr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강재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철골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철골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보강연결부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보강연결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front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a steel beam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 (a) and 5 (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a first steel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eel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lan view illustrating a reinforced connection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ed connection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기둥 상에 접합설치되는 강재보와; 상기 강재보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수직웨브 및 상하로 수평플랜지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1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좌우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하부플레이트 및 좌우로 측벽웨브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2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와 상기 제2철골보를 연결 보강하되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 측벽웨브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상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2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의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하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3보강플랜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beam exten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xtending in correspondence with a steel column provided at left and right intervals, th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steel beam joined to the steel column; A first steel beam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el beam via a connection bracket at one end thereof and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web and a horizontal flange; A second steel frame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frame, the second steel frame being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having a lower plate and right and left side wall webs; A first reinforcing flange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first steel beam and the second steel beam and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A secon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el frame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interconnecting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thir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of the second steel frame toward the low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composed of a flang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posite beam with optimized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반복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emplarily shown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5)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B)에 있어서, 강재보(10)와, 제1철골보(20) 및 제2철골보(30)와, 보강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a composite beam having a cross section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rresponding to a steel column 5 installed at right and left intervals, The composite beam B includes a steel beam 10, a first steel beam 20 and a second steel beam 30, and a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상기 강재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강재기둥(5) 상에 일단이 접합설치되어 상기 강재기둥(5)의 일면에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철골보(20) 및 제2철골보(30)를 포함한 복합보(B)의 전반적인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1 and 2, one end of the steel beam 10 is joined to the steel column 5, and the steel beam 10 is laterally projected from one side of the steel column 5, (B) including the first steel beam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상기 강재보(10)는 H형강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The steel beam 10 is constructed by applying H-shaped steel.

상기 강재보(10)는 상기 제1철골보(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구조물의 가장 기본적인 지지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beam 10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first steel beam 20 to maintain the most basic support efficiency of the structure.

상기 강재보(10)는 상기 제1철골보(20)를 기준으로 상향 연장 또는 하향 연장된 단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강재보(10)의 제1실시예는 도 4의 (a)에서처럼 일반적인 건축물의 구조물로 시공하는 경우로서 상기 강재보(10)가 상기 제1철골보(20)보다 하향 연장된 단면을 형성하여 상기 강재보(10)의 상부에도 콘크리트층 타설이 이뤄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강재보(10)의 제2실시예는 도 4의 (b)에서처럼 주차장 등의 건축물의 구조물로 시공할 경우로서 상기 강재보(10)가 상기 제1철골보(20)보다 상향 연장된 단면을 형성하여 상기 강재보(10)의 상부에 콘크리트층이 부재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eel beam 10 is configured to form an upwardly extending or downwardly extending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el beam 20.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el beam 10,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steel beam 10 is constructed as a general building structure, the steel beam 10 forms a sec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steel beam 20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eel beam 10 is constructed as a structure of a building such as a parking lot as shown in FIG. 4 (b),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teel beam 10 can be perform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eel beam 10 forms an upwardly extending section than the first steel beam 20 so that the steel beam 10 has no concrete layer on the upper part thereof.

상기에서 강재보(10)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에 차량이 주차시 바퀴를 접촉 지지할 수 있는 차량방지턱(1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of the steel beam 10,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vehicle-restraining jaw 15 capable of supporting the wheels when the vehicle is parked.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은 강재보(10)를 구성하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량을 줄여 자재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복합보(B)의 자체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By constructing the steel beam 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ing,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and minimizing the self weight of the composite beam B. [

상기 제1철골보(20)는 상기 강재보(10)상에 고정설치되어 횡 방향으로 연장토록 형성한다.
The first steel beam 20 is fixed on the steel beam 10 and formed to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철골보(20)는 상기 강재보(10)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25)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된다.
One end of the first steel beam 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el beam 10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25 and fixed.

상기 제1철골보(20)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웨브(21)와, 상기 수직웨브(21)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플랜지(23)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The first steel beam 20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web 21 exten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 horizontal flange 23 extending horizontally above and below the vertical web 21.

상기 제1철골보(20)의 제1실시예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형강의 단면형상을 이루되 하나의 상기 수직웨브(21)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steel beam 20 is configured to have one vertical web 21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H-shaped steel.

또한 상기 제1철골보(20)의 제2실시예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의 수평플랜지(23) 사이에 2개의 수직웨브(21)를 구비한 이중웨브형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수직웨브(21)가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게 구성하므로, 상기 제1철골보(20)의 단면 응력을 더욱 보강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5 (b),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steel frame 20 is a double web type having two vertical webs 21 between upper and lower horizontal flanges 23 . That is, the vertical webs 21 a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ectional stress of the first steel beam 20 can be further reinforced.

상기 제2철골보(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철골보(20)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좌우로 연장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rst steel frame beam 20 and extends laterally.

상기 제2철골보(30)는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철골재의 구조로서, 하부에 측 방향으로 평탄한 평면을 갖는 하부플레이트(3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좌우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벽면을 이루는 측벽웨브(33)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has a structure of a steel frame having a top open structure.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includes a lower plate 31 having a flat lateral side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idewall web 3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to form a wall surface.

상기 제2철골보(30)에는 상기 측벽웨브(33)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평탄한 평면을 조성토록 돌출형성되는 지지단부(34)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The second steel bar 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end portion 34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33 so as to extend outwardly in a flat plane.

상기 지지단부(34)는 상기 측벽웨브(33)의 상단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40~60㎜의 길이로 돌출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2철골보(30)의 자체중량을 최소화하면서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도면에 미도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upport end portion 34 protrudes outward with a length of 40 to 60 mm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33 so that the weight of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is minimized while the deck plate (Not shown in the drawing)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와 같이 제2철골보(30)의 측벽웨브(33) 상단에 지지단부(34)를 구성하게 되면, 데크플레이트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제2철골보(30)의 내측을 향한 콘크리트 타설도 완전충진할 수 있어 합성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end portion 3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eam 30,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deck plate and also to completely insert the concrete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steel beam 3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제2철골보(30)에는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른 채움PC부(35)를 형성하므로, 철골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성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Since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is formed with the filled PC portion 35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being laid therein, the second steel frame beam 30 is formed to have a composite beam structure of a steel frame and concrete.

상기 채움PC부(35)를 이루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기 제2철골보(30)에는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격판(36)과, 상기 지지격판(36)을 상호 연결토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철골보(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긴장철근(37)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A pair of support diaphragms 36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teel frame 30 in which the concrete is installed so as to form the filled PC unit 35, And a tension reinforcing bar (3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teel bar (30).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격판(36)에는 상기 제2철골보(30)의 하부플레이트(31)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는 상기 긴장철근(37)의 이격 높이를 상황에 따라 제어설정할 수 있게 다수의 설치공이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을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diaphragm 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31 of the second steel bar 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e or a long hole extending vertically up and down.

상기 제2철골보(30)에는 상기 측벽웨브(33)의 상단에 상호 연결토록 구비된 이형철근(39)을 구성한다.
The second steel bar 30 is formed with a deformed reinforcing bar 39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33.

상기 이형철근(39)은 상기 제2철골보(30)의 상면이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제2철골보(30) 측벽웨브(33)의 상측에 좌우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하여 배설한다.The deformed reinforcing bar 39 is repeatedly disposed in a zigzag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eam 30 so as to keep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beam 30 open.

상기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된 이형철근(39)을 구성하게 되면, 제2철골보(30)를 향한 콘크리트 충진작업이 원활함은 물론 제2철골보(30)와 채움PC부(35)의 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를 극대화하여 시공공사비를 보다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deformed reinforcing bars 39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filling operation toward the second steel bars 30 is smoothly performed, and the concrete of the second steel bars 30 and the filled PCs 35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상기 보강연결부(40)는 상기 제1철골보(20)와 상기 제2철골보(30)를 상호 연결하여 부재 간에 일체화하되 복합보(B)의 단면 응력을 보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40 connects the first steel beam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to each other to integrate the members and reinforce the cross-sectional stress of the composite beam B.

상기 보강연결부(4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철골보(20)와 상기 제2철골보(30) 간에 상호 연결하되 제1보강플랜지(41) 및 제2보강플랜지(43), 제3보강플랜지(4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7 and 8,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beam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such that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and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3 ), And a third reinforcing flange (45).

상기 제1보강플랜지(41)는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직웨브(21)와 상기 제2철골보(30)의 측벽웨브(33)를 상호 연결토록 형성한다.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connects the vertical web 21 of the first steel bar 20 and the side 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ar 30 to each other.

상기 제1보강플랜지(41)는 상기 제2철골보(30)의 측벽웨브(33)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직웨브(21)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한다. 즉 상기 제2철골보(30)의 좌우로 배치된 양측 측벽웨브(33)의 한쪽 단부와 모두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직웨브(21) 단부를 연결토록 접합하여 상기 제2철골보(30)에서 상기 제1철골보(20)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extends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ar 30 to the vertical web 21 of the first steel bar 20 and interconnects them. The second steel bar 30 and the second steel bar 30 are join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side wall web 33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econd steel bar 30 to the end of the vertical web 21 of the first steel bar 20, So as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first steel bar 20.

상기 제1보강플랜지(41)는 상기 제2철골보(30)의 측벽웨브(33)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직웨브(21)를 향한 경사각도(α)가 25~35°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is formed such that an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first steel beam 20 toward the vertical web 21 from the side 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eam 30 is 25 to 35 degrees. .

상기 제2보강플랜지(43)는 상기 제1보강플랜지(41)의 상단에 위치토록 구비하되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평플랜지(23)와 상기 제2철골보(30)의 측벽웨브(33)를 상호 연결토록 형성한다.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3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and the horizontal flange 23 of the first steel bracket 20 and the side 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racket 30 ) Are interconnected.

상기 제2보강플랜지(43)는 상기 제2철골보(30) 측벽웨브(33)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20)의 상측 수평플랜지(23a)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철골보(20)와 상기 제2철골보(30)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3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web 33 of the second steel bar 30 toward the upper horizontal flange 23a of the first steel bar 20, 20 and the second steel bar 30 are interconnected.

상기 제3보강플랜지(45)는 상기 제1보강플랜지(41)의 하단에 위치토록 구비하되 상기 제1철골보(20)의 수평플랜지(23)와 상기 제2철골보(30)의 하부플레이트(31)를 상호 연결토록 형성한다.
The third reinforcing flange 45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and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flange 23 of the first steel bracket 20 and the lower plate 31 of the second steel bracket 30 ) Are interconnected.

상기 제3보강플랜지(45)는 상기 제2철골보(30)의 하부플레이트(31)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20)의 하측 수평플랜지(23b)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철골보(20)와 상기 제2철골보(30)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The third reinforcing flange 45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lower plate 31 of the second steel bar 30 toward the lower horizontal flange 23b of the first steel bar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보강연결부(40)의 제1보강플랜지(41) 및 제2보강플랜지(43), 제3보강플랜지(45)는 상호 접촉부분에 용접접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1보강플랜지(41)를 기준으로 상단에 접촉하는 상기 제2보강플랜지(43) 간의 접촉부분에 용접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플랜지(41)를 기준으로 하단에 접촉하는 상기 제3보강플랜지(45) 간의 접촉부분에 용접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토록 구성한다.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3 and the third reinforcing flange 45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are weld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is welded 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3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1,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45 and the second reinforcing flange 45 are welded to each other.

상기 복합보(B)는 상기 강재보(10)를 비롯하여 상기 제1철골보(20) 및 상기 제2철골보(30)의 단면을 선정하되 상기 보강연결부(40)의 위치지점(변곡점)을 기준으로 구간별로 구분하여 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composite beam B is formed by select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steel beam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including the steel beam 10 and setting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It is calculated to be divided into sections.

상기 제2철골보(30)의 단면을 선정함에는 변곡점을 기준으로 제2철골보(30)의 전체 영역구간에 정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단면을 선정한다.
In order to select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30, a cross section is selected considering only the stress at the last moment on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steel beam 30 with respect to the inflection point.

상기 제1철골보(20)의 단면을 선정함에는 변곡점인 상기 보강연결부(40)의 위치지점에서 상기 연결브라켓(25)까지를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단면을 선정하고, 상기 강재보(10)의 단면을 선정함에는 상기 강재기둥(5)에서 상기 연결브라켓(25)까지를 최대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단면을 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In order to select the section of the first steel beam 20, the s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which is an inflection point, to the connecting bracket 25 is considered as the moment stress, The section from the steel column 5 to the connection bracket 25 is considered as the maximum moment stress.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B)에 의하면 부모멘트 구간의 제1철골보(20) 및 정모멘트 구간의 제2철골보(30)를 상호 보강연결하며 강재보(10)에 연결브라켓(25)을 통해 보 접합 방식으로 연결접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철골보의 자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시공구조물의 철골량을 감소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according to the composite beam B having the above-described cross section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el beam 20 and the second steel beam 30 of the moment frame section are reinforc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10 by connecting joints via a connection bracket 25,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teel beam,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frame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보강연결부(40)의 위치지점인 변곡점을 기준으로 정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제2철골보(30)의 단면을 선정하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부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제1철골보(20)의 단면을 선정하며, 최대 부모멘트 응력을 고려하여 강재보(10)의 단면을 선정하므로, 부재단면의 합성효과를 극대화하고 복합보(B) 단면이 최적화되어 시공공사비용을 보다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30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which is the position point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0, and only the moment stress interval is considered.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beam 20 is selected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beam 10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arent moment stress to maximize the synthesis effect of the member cross section and to optimize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beam B,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do so.

B : 복합보 5 : 강재기둥
10 : 강재보 20 : 제1철골보 21 : 수직웨브
23 : 수평플랜지 25 : 연결브라켓 30 : 제2철골보
31 : 하부플레이트 33 : 측벽웨브 34 : 지지단부
35 : 채움PC부 36 : 지지격판 37 : 긴장철근
39 : 이형철근 40 : 보강연결부 41 : 제1보강플랜지
43 : 제2보강플랜지 45 : 제3보강플랜지
B: Composite beam 5: Steel column
10: steel beam 20: first steel bar 21: vertical web
23: Horizontal flange 25: Connection bracket 30: Second steel frame
31: bottom plate 33: sidewall web 34: support end
35: filled PC part 36: supporting diaphragm 37: tensioned reinforcing bar
39: deformed reinforcing bar 40: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41: first reinforcing flange
43: second reinforcing flange 45: third reinforcing flange

Claims (8)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기둥 상에 접합설치되는 강재보와;
상기 강재보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수직웨브 및 상하로 수평플랜지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1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좌우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하부플레이트 및 좌우로 측벽웨브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2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와 상기 제2철골보를 연결 보강하되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 측벽웨브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상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2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의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하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3보강플랜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A composite beam exten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xtending in correspondence with a steel column provided at left and right intervals,
A steel beam joined to the steel column;
A first steel beam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el beam via a connection bracket at one end thereof and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web and a horizontal flange;
A second steel frame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frame, the second steel frame being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having a lower plate and right and left side wall webs;
A first reinforcing flange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first steel beam and the second steel beam and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A secon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el frame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interconnecting to the upp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third reinforc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of the second steel frame toward the lower horizontal flange of the first steel frame, And a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composed of a fl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골보는 상기 수직웨브가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이중웨브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el beam is a double web type in which the vertical webs a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left and r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보에는 상기 측벽웨브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teel bar includes a support end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측벽웨브의 상단을 기준으로 40~60의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ing end portion is protruded at a length of 40 to 60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we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보에는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격판과, 상기 지지격판을 상호 연결토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철골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긴장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철골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채움PC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upporting diaphragm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tee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ension reinforcing bar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diaphragm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teel frame,
And a filling PC portion formed by placing concrete inside the second steel ba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보에는 상기 측벽웨브 간에 상호 연결하되 상면이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제2철골보의 상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설되는 이형철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steel frame beam includes a deformed reinforcing bar which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webs in a zigzag form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eel frame so as to keep the upper surface op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의 제1보강플랜지는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한 경사각도는 25~35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flange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portion is optimized in cross sec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25 to 35 from the side wall web of the second steel beam toward the vertical web of the first steel be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보는 상기 보강연결부의 위치지점(변곡점)을 기준으로 제2철골보의 전체 영역구간에 정모멘트 구간 응력만 고려하여 상기 제2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고, 상기 보강연결부의 위치지점(변곡점)에서 상기 연결브라켓까지를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철골보의 단면을 선정하며, 상기 강재기둥에서 상기 연결브라켓까지를 최대 부모멘트 응력으로 고려하여 상기 강재보의 단면을 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view is configured to select a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considering only the moment stress section stress in the entire area section of the second steel beam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point (inflection point) of the reinforcing connection sectio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steel beam is selected by taking the connection up to the connection bracket as the moment stress, and a cross section for select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beam considering the maximum connection stress from the steel column to the connection bracket is optimized Composite beams.
KR1020160019113A 2015-06-22 2016-02-18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KR1018339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8372 2015-06-22
KR1020150088372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72A true KR20160150572A (en) 2016-12-30
KR101833949B1 KR101833949B1 (en) 2018-03-05

Family

ID=5773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113A KR101833949B1 (en) 2015-06-22 2016-02-18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208A (en) * 2019-06-27 2019-09-20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Across the transfer st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original coal transporting trestle
CN114809295A (en) * 2022-04-07 2022-07-2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Multi-inner-core pressure forming concrete-filled steel tube laminated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6B1 (en) 2005-02-17 2007-09-28 (주)엠씨에스공법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1566932B1 (en) 2014-10-23 2015-11-06 (주)한주에스티 Composite Gir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451A (en) * 2000-03-27 2001-10-05 Shimizu Corp Thickness increased steel beam and its manufacture
KR100555248B1 (en) * 2005-06-27 2006-03-03 노윤근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an steel i beam girder to which rigidity increased and this
KR101406583B1 (en) * 2013-12-26 2014-06-19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U-shaped composite be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6B1 (en) 2005-02-17 2007-09-28 (주)엠씨에스공법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1566932B1 (en) 2014-10-23 2015-11-06 (주)한주에스티 Composite Gir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208A (en) * 2019-06-27 2019-09-20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Across the transfer st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original coal transporting trestle
CN110255208B (en) * 2019-06-27 2024-04-26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Transfer station crossing original coal conveying trestl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4809295A (en) * 2022-04-07 2022-07-2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Multi-inner-core pressure forming concrete-filled steel tube laminated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49B1 (en)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5927A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1186062B1 (en) Connectio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H-shaped steel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101036088B1 (en) Horizontal member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WO2017078567A1 (en) Connection joint of a column and a floor slab of a girderless building frame without a capital
KR101191502B1 (en) Structure system using bar truss integrated asymmetry h-beam and end beam
KR102027813B1 (en) Built-Up Beam
KR101833949B1 (en)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KR20070004279A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KR20120029257A (en) Truss girder built-in type deck plate
KR102374295B1 (en)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KR20130096969A (en) Steel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slim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18884B1 (en) Hybrid PC underground parking lot
KR101407816B1 (en) structure system using bar truss integrated asymmetry H-beam
KR20080099753A (en)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KR102433621B1 (en)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CN215759633U (en) Concrete beam and wall, post connected node
KR20190126530A (en) Pre-fabricated column with angle-type reinforcing bar
KR101738244B1 (en) Built-up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KR102133079B1 (en) Structure of column and flat plate slab
KR200456012Y1 (en) Wrinkled steel plate girder which concrete is composed of one body
KR101883116B1 (en) Steel bridge supported by hybrid structures
KR100837831B1 (en)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KR102270444B1 (en) Steel Form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