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594A -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594A
KR20180020594A KR1020160105184A KR20160105184A KR20180020594A KR 20180020594 A KR20180020594 A KR 20180020594A KR 1020160105184 A KR1020160105184 A KR 1020160105184A KR 20160105184 A KR20160105184 A KR 20160105184A KR 20180020594 A KR20180020594 A KR 2018002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fatigue
smar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6010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594A/ko
Priority to JP2016171815A priority patent/JP2018027282A/ja
Priority to PCT/KR2016/013384 priority patent/WO2018034386A1/ko
Publication of KR2018002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5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은,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감시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심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보드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는 메커니즘으로 화자와 청중의 상황별로 적정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마트보드 사용시에 심전도 정보를 병원에 전송하여 원격지의 의사와 진료상담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BIOMETRIC INFORMATION LINKED SMART BOARD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스마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보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칠판 또는 빔프로젝트 대신 전자칠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교육 환경에서는 전자칠판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수행하고 있고 있으며, 사업현장에서는 프레젼테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IT 기술과 의료정보기술을 발달로 이를 융합한 기술들이 생활현장과 산업현장의 사물들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IT의료융합기술은 진료의 영역을 병원으로부터 확장하여 가정, 학교, 회사 등 시공간의 제한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의료서비스에 접속가능하게 되었다.
피로도 측정에는 광전용적맥파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측정된 맥파에서 순간 심박수를 분리한 후, 심박미세변화율 즉 시간에 따른 심박동의 주기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심박변이도의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균형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자율신경의 균형상태 및 심혈관 기능을 동시에 검사하는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심박변이도, 피로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에 대해 평가 및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로도에 대한 오차가 크고 집중력을 향상하게 하는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보드 사용자가 피로도를 측정함으로써 화자와 청중의 건강상태에 따른 적절한 이벤트를 진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는 심전도 정보를 병원에 전송하여 원격지의 의사와 진료상담이 가능한 생체정보에 연동한 스마트보드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은,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감시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심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는 병원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보드가 송신한 심전도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보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의사와 화상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는,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사용자상태 감시서버와 연동하는 스마트보드에 있어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인식부; 상기 생체정보인식부의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생체정보인식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 정보와 건강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 정보와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와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정보인식부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를 센싱하여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모듈;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이 저장된 저장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과의 차이값을 추출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모듈은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심전도 상태가 피로도 설정값과 데이터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 건강상태가 위험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로도 설정값은 최초의 심전도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가 위험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과의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시각 및 음향적 효과를 외부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은, 심전도에 근거한 피로도측정 장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의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각 파형의 기본 형태를 결정한 후, 사용자에 따른 전체 파형의 기본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파형의 기본형태 변화를 판단하여 해당 파형을 분류하는 단계; 파형이 분류되면 해당 파형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상기 피로도 설정값의 데이터 차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최초 심전도 측정결과를 피로도 설정값으로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추출된 차이값이 위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병원의 응급실에 연결되고 병원의 서버에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보드 사용자가 피로도를 측정함으로써 화자와 청중의 건강상태에 따른 적정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보드 사용시에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병원에 전송하여 원격지의 의사와 진료상담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생체정보인식으로 인한 이벤트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마트보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보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스마트보드(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생체정보인식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보드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보드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10)는, 스마트보드(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보드(100)와 다른 스마트보드(100) 사이, 또는 스마트보드(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스마트보드(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생체정보인식부(130)는 측정모듈(131), 저장모듈(132), 연산모듈(133)로 구성된다. 생체정보인식부(130)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생리학적 또는 행동상의 특성을 기반으로 개인의 특징을 인증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활용한다. 생체인식에 활용되는 인증수단으로는 심전도 뿐만 아니라 지문, 망막, 홍채, 안면, 손, 정맥, 목소리, 서명, DNA 등이 있다.
측정모듈(131)은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받는다. 또한, 측정모듈(131)은 인식된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의 기저선 잡음을 제거한다.
저장모듈(132)은 측정모듈(131)에서 입력한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저장한다. 초기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보통 상태의 피로도 설정값으로 저장한다.
연산모듈(133)은 측정모듈(131)에서 입력된 심전도 파형의 기본 형태를 결정한 후, 사용자에 따른 전체 파형의 기본형태를 결정한다. 연산모듈(133)은 심전도 파형의 기본형태 변화를 판단하여 해당 파형을 분류한다. 연산모듈(133)은 심전도 파형이 분류되면 사용자 인식을 위해 해당 심전도 파형의 특징을 추출한다. 연산모듈(133)은 상기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기 정해져 있는 코드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정보를 생성한다. 연산모듈(133)은 인식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인식을 행한다. 연산모듈(133)은 인식된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저장모듈(132)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다. 연산모듈(133)은 초기 심전도 측정값을 평상상태의 피로도 설정값으로 정하고 이후의 심전도 측정값을 피로도 설정값과 비교한다. 연산모듈(133)은 심전도 측정값과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한 데이터 차이값을 제어부(180)에 송신하면 제어부(180)은 데이터 차이값에 해당하는 이벤트효과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한다.
연산모듈(133)은 검색된 명령어를 제어부(180)에 송신하여 제어부(180)가 검색된 명령어에 의하여 출력부(150)를 제어한다.
센싱부(140)는 스마트보드 내 정보, 스마트보드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생체 인식 센서(141,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근접센서(142,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3,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보드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보드(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보드(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스마트보드(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보드(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스마트보드(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스마트보드(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보드(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보드(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스마트보드(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스마트보드(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스마트보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스마트보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보드(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보드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스마트보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스마트보드 내 정보, 스마트보드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보드(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마트보드(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2)는 위에서 살펴본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스마트보드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2)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스마트보드(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스마트보드(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A/V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스마트보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스마트보드(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은, 심전도에 근거한 피로도측정 장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의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310); 파형의 기본 형태를 결정한 후, 사용자에 따른 전체 파형의 기본형태를 결정하는 단계(S320); 파형의 기본형태 변화를 판단하여 해당 파형을 분류하는 단계(S330); 파형이 분류되면 해당 파형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S340);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S350);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상기 피로도 설정값의 데이터 차이값을 추출하는 단계(S360); 및 상기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S37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생체정보인식으로 인한 이벤트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생체정보인식부(130)의 측정모듈(131)이 사용자(300)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이를 연산모듈(133)에 송신하면 생체정보인식부(130)에서 설정값에 대응하는 피로도를 계산하고 제어부(180)는 출력부(150)를 제어하여 피로도 결과값에 대응하는 이벤트(1,2)를 발생한다. 초기 심전도 측정값을 피로도 설정값으로 정한다. 이벤트(1,2)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아이콘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음향출력모듈(152)의 음향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피로도 결과값이 피로도 설정값보다 작으면 보통 상태의 이벤트(1)가 출력되고, 피로도 결과값이 피로도 설정값보다 크면 피로 상태의 이벤트(2)가 출력된다. 만일 복수개의 스마트보드가 WAN 또는 Internet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화상채팅화면에 사용자의 화면이나 이모티콘이 보통 상태의 이벤트(1)인지 피로 상태의 이벤트(2)인지를 확인하여 원격지의 상대방의 채팅 또는 업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벤트의 형태 및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 및 종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출력부(15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모듈의 작용에 의한 아이콘, 음향 뿐만 아니라 향기, 증강현실, 홀로그램 등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구성들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마트보드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생체정보인식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서버
300: 사용자

Claims (10)

  1.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감시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심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보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는 병원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보드가 송신한 심전도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보드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의사와 화상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3.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사용자상태 감시서버와 연동하는 스마트보드에 있어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인식부;
    상기 생체정보인식부의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생체정보인식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 정보와 건강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 정보와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상태 감시서버와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인식부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를 센싱하여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모듈;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이 저장된 저장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과의 차이값을 추출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모듈은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심전도 상태가 피로도 설정값과 데이터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 건강상태가 위험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설정값은 최초의 심전도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건강상태가 위험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 심전도정보와 피로도 설정값과의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시각 및 음향적 효과를 외부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8. 심전도에 근거한 피로도측정 장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의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각 파형의 기본 형태를 결정한 후, 사용자에 따른 전체 파형의 기본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파형의 기본형태 변화를 판단하여 해당 파형을 분류하는 단계;
    파형이 분류되면 해당 파형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상기 피로도 설정값의 데이터 차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사용자 심전도 정보와 피로도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최초 심전도 측정결과를 피로도 설정값으로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차이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추출된 차이값이 위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병원의 응급실에 연결되고 병원의 서버에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에 근거한 생체 피로도측정 방법.
KR1020160105184A 2016-08-19 2016-08-19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84A KR20180020594A (ko) 2016-08-19 2016-08-19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71815A JP2018027282A (ja) 2016-08-19 2016-09-02 生体情報に連動するスマートボード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PCT/KR2016/013384 WO2018034386A1 (ko) 2016-08-19 2016-11-21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84A KR20180020594A (ko) 2016-08-19 2016-08-19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94A true KR20180020594A (ko) 2018-02-28

Family

ID=6119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184A KR20180020594A (ko) 2016-08-19 2016-08-19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027282A (ko)
KR (1) KR20180020594A (ko)
WO (1) WO2018034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806A (zh) * 2021-04-24 2021-08-2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无线全息显示心电监护系统及监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158B1 (ko) * 2002-07-12 2002-12-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KR100657901B1 (ko) * 2004-10-12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상태에 따른 아바타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5559784B2 (ja) * 2009-10-29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疲労評価装置及び生体疲労評価方法
KR20110069356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이-클리오 고령친화형 헬스케어서비스 시스템
JP6071297B2 (ja) * 2011-07-22 2017-02-01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制御システム
KR20140037325A (ko) * 2012-09-17 2014-03-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심전도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JP6054238B2 (ja) * 2013-04-26 2016-12-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15054002A (ja) * 2013-09-11 2015-03-23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疲労・ストレス検診システム
US10478075B2 (en) * 2013-10-25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odily function measurements using a mobile device
US10052035B2 (en) * 2013-10-25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odily function measurements using a mobile device
KR20160038114A (ko) * 2014-09-29 2016-04-07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386A1 (ko) 2018-02-22
JP2018027282A (ja)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6906B2 (ja) ハプティックcaptcha
US9075462B2 (en) Finger-specific input on touchscreen devices
US10254847B2 (en) Device interaction with spatially aware gestures
US20110234488A1 (en) Portable engine for entertainment, education, or communication
KR102055677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0770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Rozado et al. Controlling a smartphone using gaze gestures as the input mechanism
KR20180104835A (ko) 지문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5000247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KR20140111605A (ko) 시선 함수로서의 햅틱 센세이션
KR102546510B1 (ko) 복수의 입력 간에 매핑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1073743A1 (en) Determining user input based on hand gestures and eye tracking
US9548012B1 (en) Adaptive ergonomic keyboard
KR20230008662A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0594A (ko) 생체정보 연동형 스마트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9927B1 (ko) 사용자 지향적 비접촉식 상호 작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3919B1 (ko) 터치의 압력에 응답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141457A (ko)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873779B (zh) 一种手势识别装置及手势识别方法
US20240096319A1 (en) Gaze-based command disambiguation
JP6668614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Srinivas et al. A survey report on mobile eye-b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JP2022008717A (ja) 音声と動作認識に基づいたスマートボード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仮想レーザーポインター
WO2024063934A1 (en) Gaze-based command disambiguation
Rupavatharam Omnidirectional and blindspot-free pre-touch sens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