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889A -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889A
KR20180019889A KR1020160104160A KR20160104160A KR20180019889A KR 20180019889 A KR20180019889 A KR 20180019889A KR 1020160104160 A KR1020160104160 A KR 1020160104160A KR 20160104160 A KR20160104160 A KR 20160104160A KR 20180019889 A KR20180019889 A KR 2018001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alue
module
fi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267B1 (ko
Inventor
석정봉
박현
바트바야르
이은식
정창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5/37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식으로 구비되는 모듈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정확하게 화재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MODULAR FIRE DETECTOR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모듈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센서를 선택적으로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지기는 건물 내부에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사전에 경고해 줄 수 있는 장치로서,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정해진 장소에 정해진 모듈로 설치되어 있어 새로운 센서 기능을 추가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246호에 개시되어 있는 지그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적층식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860호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은 센서를 교체 또는 교환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센서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2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8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모듈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화재 감지 모듈센서, 건물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센서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모듈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센서는 온도, 불꽃,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연기를 측정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센서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모듈센서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듈센서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한는 단계에서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센서값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센서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카운터값에 카운터값+1을 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카운터값이 2 미만인 경우 방식 1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 데이터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카운터값이 2 이상인 경우 방식 2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 데이터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식으로 구비되는 모듈센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화재 감지기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모듈식 화재 감지기는 고유 식별 ID를 구비하여 화재가 감지되었을 경우 보다 신속하게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재 화재 발생 지역의 상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이 있고, 데이터 전송 시 오류를 점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기로 간소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거주 지역을 간소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센서를 다른 각도롤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 서버 및 단말기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는 모듈센서(10), 베이스(20) 및 제어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모듈센서(1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모듈센서(10)는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모듈센서(10)를 하나 이상 적층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듈센서(10)는 온도, 불꽃,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연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연기, 불꽃, 이산화탄소, 가스, 온도의 변화, 이산화탄소의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듈센서(10)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연기 모듈센서(10)는 연기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연기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3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모듈 센서(10)는 측정되고 있는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화재가 난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불꽃 모듈센서(10)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측정하여 불꽃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모듈센서(10)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검출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30)로 이러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가스 모듈센서(10)는 가스를 측정하여 가스가 기 설정된 것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이를 제어부(30)로 전달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모듈센서(10)가 고장 난 경우 간소하게 고장난 모듈센서(1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때문에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모듈센서(10)는 적층식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홈과 체결부를 구비하여 홈과 체결부가 체결되어 적층식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듈센서(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를 더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듈센서(10)는 각각의 센서 ID를 부여하여 간소하게 모듈센서(10) 관리를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제어부(30)에서 센서 ID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연결이 된 경우 0에서 1로 상태를 변경하여 연결되었음을 제어부로 전달한다)를 확인할 수 있고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한 경우 감지한 모듈센서(10)를 간소하게 확인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베이스(20)는 건물 내부에 마련되어 모듈센서(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베이스(20)는 모듈센서(1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건물 내부에 마련된다. 모듈센서(10)는 베이스(20)와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20)에 마련되는 제어부(30)와 연결되어 모듈센서(10)에서 감지하는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어부(30)는 베이스(20)에 구비되고 모듈센서(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어부(30)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는 모듈센서(10)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서버(200)로 전달하여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즉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30)는 이러한 신호를 후술할 통신부(60)를 이용하여 서버(200) 또는 단말기(300)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또는 기관에서 화재를 인지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어부(30)는 고유 식별 I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유 식별 ID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를 ID로 구분할 수 있어 보다 간소하게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즉 고유 식별 ID를 이용하여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가 설치된 장소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게 화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 출력부(50), 통신부(60) 및 전원공급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40)는 모듈센서(10)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카운터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30)에서 발생되는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출력부(50)는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경고 신호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50)는 조명, 진동발생기 또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리, 진동 또는 빛으로 건물에 위치된 사람들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여 화재 시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정보를 서버(200) 또는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6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써, 내부전원으로 배터리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어부(30)는 전원공급부(70)의 전원이 5% 미만이거나,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출력부(50)를 이용하여 알림해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원이 5% 미만일 때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소리 또는 광원을 다른 것으로 제공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전원이 5% 미만임을 알림 받은 경우 전원공급부(70)를 교체하거나 전원공급부(7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어부(30)는 카메라 및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영된 이미지의 색상 변화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이미지 센서는 이전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를 비교하여 노랑색 또는 빨간색 픽셀이 20%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하여 외부로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전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함께 제공하여 잘못된 정보인지 아닌지를 관리자가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은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S10), 센서값을 판단하는 단계(S20),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 카운터값을 저장하는 단계(S40) 및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도 6을 참고하면,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S10)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에 구비되는 모듈센서(10)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것으로써, 모듈센서(10)는 상기 기술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모듈센서를 이용한다. 이는 건물 내부를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로 모니터링 하는 경우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듈센서(10)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센서값을 판단하는 단계(S20)는 모듈센서(10)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20)이다. 화재 발생 시 모듈센서(10)의 센서값이 변동이 있는 경우 후술할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만든다. 이 단계(S20)에서는 모듈센서(10)에서 이상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 다음 단계(S3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전 센서값과 현재 센서값이 동일한 경우 이상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단계(S20)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는 모듈센서(10)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이다. 기준값보다 센서값이 적은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센서값을 메모리부(40)에 저장한 다음 작업을 종료한다. 이후 다시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S10)로 건물 내부를 모니터링한다.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단계(S40)로 진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값은 1 내지 10의 값(1이 가장 낮은 값 10이 가장 높은 값, 높을수록 많은 가스, 연기, 이산화탄소 또는 높은 온도 등이 발생됨)을 가지고 있고, 기준값이 5로 설정된 경우 센서값이 6 이상인 경우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화재 데이터(모듈식 화재 감지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KS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명시된 기준값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카운터값은 후술할 데이터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카운터값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 방식을 달리하여 데이터의 손상 없이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판정값을 0(off)에서 1(on)로 변경하고, 화재 알람 플래그를 0(off)에서 1(on)로 변경하여 화재 발생 상태로 현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제어는 제어부(3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요리로 연기, 일시적인 온도 상승 등으로 간주하여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값을 메모리부(40)에 저장한 후 작업을 종료하고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S10)로 다시 돌아간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카운터값을 저장하는 단계(S40)는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센서값은 메모리부(40)에 저장하고 카운터값에 카운터값+1을 하여 저장하는 단계(S40)이다. 이 단계(40)는 카운터값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변경(QoS, QoS는 동일 회선을 여러 용도로 사용할 시 용도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우선순위 지정방식은 카운터값이 한 번일 때와 두 번 이상일 때의 전송 방식(방식 1, 방식 2)을 제공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데이터 전송 방식(방식 1, 방식 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 에러(손상)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든다.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센서값은 통신부(60)를 통하여 서버(200) 또는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카운터값이 두 번 이상인 경우에는 같은 장소에서 두 번 이상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든다(카운터값이 1인 경우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0)는 카운터값이 2미만인 경우 방식 1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통신부(6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카운터값이 2 이상인 경우 방식 2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통신부(6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50)이다. 이 단계(S50)는 데이터 전송 방식을 결정하여 중요도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손상(왜곡)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방식 1은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2번 전송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같은 데이터를 2번 발송하여 혹시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 손상(왜곡)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든다. 즉 2번 발송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가 손상된 것으로 간주하고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에 데이터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식 2는 4 웨이 핸드 쉐이킹(4-way hand shaking, 클라이언트(단말기)와 서버가 4번의 통신과정(클라이언트->서버->클라이언트->서버->클라이언트)을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 후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4 웨이 핸드 쉐이킹을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2중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만들어 데이터가 유실(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데이터를 보다 신뢰도 높은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만든다. 서버(200)는 이러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데이터를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알림 해주어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들거나 기관에 연락을 취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정보를 저장하여 화재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게 만드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는 라우터(게이트웨이)와 같은 수단에 구비하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50)는 출력부(50)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화재를 감지한 후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 경고 신호를 하여 대피할 수 있게 만들어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는 고유 식별 ID, 모듈센서 ID, 센서값, 데이터 전송 방식(방식 1 및 방식 2), 시간, 날짜 및 화재 알람 플래그 값을 포함한다.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정보를 통신부(60)를 통하여 서버(200) 또는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화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에서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메모리부(40)에 센서값을 저장하도록 마련된다. 즉 센서값이 기준값을 넘지 않더라도 이벤트가 발생된 기록을 저장하여 이러한 기록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화재 예방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5를 참고하면, 서버(200)와 통신하는 단말기(클라이언트)(300)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300)는 서버(200)와 통신하여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서버(200)에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300)(이동단말기, 핸드폰, 컴퓨터, 노트북 등)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간소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단말기(300)는 서버(200)에 요청하여 각각의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수동형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300)를 통하여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의 정보를 단말기(300)에서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를 관리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모듈센서, 20 : 베이스,
30 : 제어부, 40 : 메모리부,
50 : 출력부, 60 : 통신부,
70 : 전원공급부,
100 : 모듈식 화재 감지기,
200 : 서버,
300 : 단말기,
S10 :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
S20 : 센서값을 판단하는 단계,
S30 :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S40 : 카운터값을 저장하는 단계,
S50 :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laims (11)

  1. 하나 이상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화재 감지 모듈센서(10);
    건물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모듈센서(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고 상기 모듈센서(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센서(10)는 온도, 불꽃,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연기를 측정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고유 식별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 출력부(50), 통신부(60) 및 전원공급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전원이 5% 미만이거나, 상기 모듈센서(10)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50)를 이용하여 알림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 및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촬영된 이미지의 색상 변화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기.
  6.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듈센서(10)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를 센싱하는 단계(S10);
    상기 모듈센서(10)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모듈센서(10)의 센서값이 이전 센서값과 동일한지 판단한는 단계(S20)에서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
    상기 센서값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센서값을 메모리부(40)에 저장하고 카운터값에 카운터값+1을 하여 저장하는 단계(S40); 및
    카운터값이 2 미만인 경우 방식 1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통신부(6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고, 카운터값이 2 이상인 경우 방식 2로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통신부(6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 전송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는 고유 식별 ID, 모듈센서 ID, 센서값, 데이터 전송 방식(방식 1 및 방식 2), 시간, 날짜 및 화재 알람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30)에서 센서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메모리부(40)에 센서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 1은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2번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 2는 4 웨이 핸드 쉐이킹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 후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와 통신하는 단말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300)는 서버(200)와 통신하여 상기 모듈식 화재 감지기(100) 데이터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화재 감지 방법.
KR1020160104160A 2016-08-17 2016-08-17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KR10185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60A KR101851267B1 (ko) 2016-08-17 2016-08-17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60A KR101851267B1 (ko) 2016-08-17 2016-08-17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951A Division KR101875829B1 (ko) 2017-10-18 2017-10-18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89A true KR20180019889A (ko) 2018-02-27
KR101851267B1 KR101851267B1 (ko) 2018-04-23

Family

ID=6139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60A KR101851267B1 (ko) 2016-08-17 2016-08-17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1806A (zh) * 2019-10-19 2020-02-04 合肥市伟丰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仓库安防监控报警系统及其监控方法
WO2020116699A1 (ko) * 2018-12-07 2020-06-11 디노플러스 (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가스감지센서 내장형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KR20220002019A (ko) * 2020-06-30 2022-01-06 박재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605B1 (ko) * 2019-01-25 2019-07-16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관 배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443B1 (ko) * 2005-04-08 2006-04-0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360°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KR101104519B1 (ko) * 2011-06-20 2012-01-12 황수명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99A1 (ko) * 2018-12-07 2020-06-11 디노플러스 (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가스감지센서 내장형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CN110751806A (zh) * 2019-10-19 2020-02-04 合肥市伟丰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仓库安防监控报警系统及其监控方法
KR20220002019A (ko) * 2020-06-30 2022-01-06 박재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67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67B1 (ko)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0755543B1 (en) Bridge device supporting alarm format
US10769919B2 (en) Additional function-expandable fire detector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US9671467B2 (en) Electric power meter capable of monitoring contact status of latch relay
KR101022731B1 (ko) 불꽃감지기를 이용한 원격화재감시시스템 및 화재감시방법
EP3608888A1 (en)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1875829B1 (ko)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KR101205265B1 (ko)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CN114061669B (zh) 一种环保设备智能化监测系统
KR101625606B1 (ko) Cctv 관리 시스템
US10862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output control hierarchy for wireless fire systems and for fire protection before and during the installation thereof
KR20200004599A (ko) 경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1806552B1 (ko) 도난 방지용 네트워크 카메라
KR102015575B1 (ko) 네트워크 영상 장비 연결 장치
JP6068211B2 (ja) 火災報知設備の感知器試験システム
KR101627111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에 의한 화재 감지 방법
KR102112691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JP6362184B2 (ja) 火災報知設備の感知器試験システム
KR101309926B1 (ko) 센서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67705B1 (ko) 버스정보 안내장치의 오류 확인시스템
US20100309804A1 (en) Quality Assessment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a Radio-Operated Multi-Hop Hazard Reporting System
TWI402776B (zh) 纜線防盜系統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