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19A -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19A
KR20220002019A KR1020200093757A KR20200093757A KR20220002019A KR 20220002019 A KR20220002019 A KR 20220002019A KR 1020200093757 A KR1020200093757 A KR 1020200093757A KR 20200093757 A KR20200093757 A KR 20200093757A KR 20220002019 A KR20220002019 A KR 20220002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thermal image
area
sens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042B1 (ko
Inventor
박재언
Original Assignee
박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언 filed Critical 박재언
Publication of KR2022000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잔불을 감지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되 잔불이 감지된 이후 도과된 시간과 디바이스의 자세와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ALARMING DEVICE FOR DETECTING FIRE RESIDUE}
본 발명은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 영역의 유무와 방향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된 알람을 제공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산불이 발생되어 진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잔불이 형성될 수 있다. 잔불은, 바람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여지가 있으므로 잔불 제거가 중요할 수 있다. 잔불 제거에 열화상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잔불의 유무 및 위치를 파악하는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잔불의 유무 및 위치를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파악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KR 10 - 1768012 B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잔불 영역을 추출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 영역의 유무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 영역의 위치에 대응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을 감지하면 알람을 제공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자세(또는 방향)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을 감지한 시각으로부터 도과한 시간에 따라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이 분포된 영역 중 담당 구역에 할당된 작업자가 담당 구역을 탐색하여 담당 구역에 잔불의 유무를 판단하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이 분포된 영역 중 담당 구역에 할당된 비행 드론이 담당 구역을 탐색하여 담당 구역에 잔불의 유무를 판단하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잔불을 감지하는 잔불 감지 디바이스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는 단말기로부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n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며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바디에 위치하며,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잔불 영역을 추출하는 제어 유닛; GPS 모듈과 IMU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 그리고 상기 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된 알람을 제공하는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알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GPS 모듈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IMU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자세 정보와 관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이후 현재,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도과된 시간과,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와 위치에 대비한 현재의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와 위치 각각의 자세 변화량과 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잔불 영역을 추출하는 제어 유닛과, IMU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과, 상기 잔불 영역에 대응된 알람을 제공하는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알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이용한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잔불 영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상기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제1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S130); 상기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기준 시점과 기준 방향과 기준 위치를 리셋하는 단계(S140);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카메라 유닛의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변수 변화량과 상기 기준 변화량의 대비된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어셈블리의 알람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잔불 영역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 유닛과, IMU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취합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위치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말기 스크린;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불 영역이 위치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맵,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폿,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스폿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창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맵에 표시하는,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잔불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잔불 영역의 유무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잔불 영역의 위치에 대응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잔불을 감지하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자세(또는 방향)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에 따라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는, 잔불을 감지한 시각으로부터 도과한 시간에 따라 알람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은, 잔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은, 잔불이 분포된 영역 중 담당 구역에 할당된 작업자가 담당 구역을 탐색하여 담당 구역에 잔불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은, 잔불이 분포된 영역 중 담당 구역에 할당된 비행 드론이 담당 구역을 탐색하여 담당 구역에 잔불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은, 잔불을 감지하는 잔불 감지 디바이스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는 단말기로부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관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은, 잔불 영역 판단부가 관심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알람 형성부에 의해 알람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터치 입력에 대응된 작동을 수행한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구비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모듈을 구비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기준 좌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가 잔불(20)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작업자가 걷는 과정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중력 방향 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1000)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 감지 디바이스” 또는 “잔불 알람 디바이스” 또는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바디(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 300)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200, 300)의 내외부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바디(200, 300)는,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200, 3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바디(200, 3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바디(200, 300)는, 밴드(5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밴드(50)는, 사용자의 머리 등에 착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바디(200, 3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제1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은, 제1 바디(2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은, 밴드(5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제1 조작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제1 조작부(240)는 입력 유닛(54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조작부(240)는,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전원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2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10)은 제1 바디(2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10)은, 제2 바디(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10)은, 제1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전면(330, 前面)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330)은, 제2 프레임(31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33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전방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2 조작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작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조작부(350)는, 제2 프레임(3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조작부(350)는, 예를 들어, 모드(mode)의 변환 등에 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케이블(C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CB)은, 제1 바디(200)에서 연장되어 제2 바디(300)로 이어질 수 있다. 케이블(CB)은, 전력 또는/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제2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예를 들어, 제2 바디(300)의 전면(330)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전방에 위치한 사물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510)은, 사물의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카메라(Visual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비주얼 카메라는, “카메라”일 수 있다. 비주얼 카메라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비주얼 카메라는,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비주얼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또는 캡쳐된 이미지는, 통신 유닛(800)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기기로 전송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는, 실시간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비주얼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영상은, 카메라 유닛(510)에서 획득하는 영상과 중첩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조명 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530)은 광(光)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유닛(530)은, 제2 바디(300)의 전면(330)에 위치할 수 있다. 조명 유닛(530)은, 카메라 유닛(510)에 인접할 수 있다.
조명 유닛(5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유닛(530)은, 제1 조명 모듈(531)과 제2 조명 모듈(53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제1 조명 모듈(531)과 제2 조명 모듈(5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은, 이미지(image) 또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은, 디스플레이 바디(7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733)는, 제2 바디(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은, 연결 부재(7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731)는, 전면(330)에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바디(733)로 이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731)는 전면(330)에 착탈될 수 있다. 연결 부재(731)는, 제2 바디(300)와 디스플레이 바디(7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부재(731)는, 제2 바디(300)에 대한 디스플레이 바디(733)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731)는, 가요성(flexible)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733)의 제2 바디(30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연결 부재(731)의 조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처리한 이후 열원(heat source)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산불의 진화 작업시 잔불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제어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회로 기판, PCB, FPCB, 논리 회로, 컴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카메라 유닛(510)으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영상 처리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10)는, 카메라 유닛(510)으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610)는, 열화상 이미지에서 주변 온도 보다 특정 온도 이상 높은 영역(이하 “관심 영역” 또는 “잔불 영역”)과 나머지 부분을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잔불 영역 판단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잔불 영역 판단부(620)는, “판단부”라 칭할 수 있다. 잔불 영역 판단부(620)는, 관심 영역의 형상 또는 위치로부터 관심 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이 좌측에 치우친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는 관심 영역이 좌측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알람 형성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형성부(630)는, 잔불 영역 판단부(620)에 의해 판단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알람을 형성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입력 유닛(54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54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유닛(540)은, 획득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유닛(540)은, 제1 신호(S1)를 제어 유닛(600)에 전송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520)은, 온도 센서(521)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521)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유닛(520)은, 조도 센서(5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522)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유닛(520)은, 감지된 온도와 측정된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520)은, 제2 신호(S2)를 제어 유닛(600)에 제공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획득된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은, 제3 신호(S3)를 제어 유닛(6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입력 신호(S1, S2, S3)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S4)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S4)는, “제4 신호”라 칭할 수 있다. 입력 신호(S1, S2, S3)는, 제1 신호(S1), 제2 신호(S2), 그리고 제3 신호(S3)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될 제5 신호(S5)가 제어 유닛(600)에 제공되는 경우, 입력 신호(S1, S2, S3, S4)는, 제1 신호(S1), 제2 신호(S2), 제3 신호(S3), 그리고 제5 신호(S5)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될 제5 신호(S5)가 제어 유닛(600)에서 생성되는 경우, 출력 신호(S4, S5)는, 제4 신호(S4)와 제5 신호(S5)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알람 어셈블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어셈블리(700)는, 제어 유닛(600)으로부터 제4 신호(S4)를 수신할 수 있다. 제4 신호(S4)는, 알람 어셈블리(7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어셈블리(700)는, 사운드 유닛(710, soun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유닛(710)은, 제4 신호(S4)에 포함된 정보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알람 어셈블리(700)는, 플리커 유닛(720, flick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제4 신호(S4)에 포함된 정보를 깜빡임으로 변환할 수 있다. 알람 어셈블리(700)는, 디스플레이 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은, 제4 신호(S4)에 포함된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알람 어셈블리(700)는, 음향, 깜빡임, 그리고 이미지로부터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통신 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외부 기기와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근거리 통신 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810)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지그비, 와이파이,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원거리 통신 모듈(82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820)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SigFox, LoRa, 5G(Fifth Gener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입출력 모듈(8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830)은, “입출력 포트” 또는 “Input/Output Port”라 칭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830)은, 예를 들어, SD카드 포트 또는/및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GPS 모듈(840)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84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PS 모듈(840)은,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GPS 모듈(840)은, 다른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간헐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840)은, GPS 신호가 약한 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GPS 신호를 간헐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GPS 신호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예를 들어, IMU(850,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IMU(850)를 통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자세(attitude)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U(850)는, 카메라 유닛(510)이 향하는 방향(orientation)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이 향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는, 잔불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IMU(850)는, “관성 측정 장치”로서, 관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U(850)는, 선형 가속도와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IMU(850)는,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그리고 지자기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MU(850)는, 예를 들어 지자기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 유닛(510)이 향하는 방위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MU(850)는, 다른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또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 유닛(510)이 가리키는 방향(orientation)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유닛(600)은, IMU(850)를 통해 카메라 유닛(510)의 자세(attitude) 뿐만 아니라 선형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600)은, IMU(850)를 통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840)이 실시간으로 GPS 신호를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 유닛(600)은, GPS 모듈(840)로부터 획득된 GPS 신호를 기초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IMU(850)로부터 획득된 위치 변화량과 초기 위치를 기초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고도 모듈(860, altitude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고도 모듈(86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고도 모듈(860)은, 기압 정보를 이용하여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GPS 모듈(840), IMU(850), 그리고 고도 모듈(86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MU(850)를 통해 추측된 위치는, GPS 모듈(840)이 새로운 GPS 신호를 수신하면, 새로운 GPS 신호에 포함된 현재 위치로 갱신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가 설정되면, 제어 유닛(60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 유닛(510)의 방향(orientation) 정보에 기초하여, 잔불 영역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제어 유닛(60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800)은, 제5 신호(S5)를 제어 유닛(6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유닛(800)은 제5 신호(S5)에 대응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800)은, 관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5 신호(S5)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서버 또는 이동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800)은, 제5 신호(S5)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6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5 신호(S5)는, 통신 유닛(800)이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힌지 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400)는 힌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3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결합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에 힌지 결합(hingedly coupled)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힌지 결합부(400)에 의해, 제1 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300)가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 바디(300)의 제1 바디(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힌지(430)는,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 대하여 자세를 유지하되 일정 크기 초과의 외력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30)는, 토크 힌지(torque 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430)에 의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상대적 위치 관계 설정이 용이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플리커 유닛(72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제2 바디(3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하면(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00)의 하면(340)은, 제2 프레임(310)의 바닥(bottom)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리커 유닛(720)은, 제2 바디(300)의 하면(340)에 위치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밴드(50, 도 1 참조)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특히 이마)에 착용된 상태에서 플리커 유닛(720)이 깜빡이면, 플리커 유닛(720)은 사용자의 눈(eye)에 깜빡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리커 유닛(720)은, 제1 플리커 모듈(721)과 제2 플리커 모듈(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리커 모듈(721)은, 제2 플리커 모듈(72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플리커 모듈(721)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이마 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2 플리커 모듈(722)의 좌측(左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착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220)는, 제1 바디(200)의 후면(後面)에 위치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이마 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부(220)는 사용자에 접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이마 등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부(220)는 사용자와 제1 프레임(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착용부(220)는 예를 들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22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디스플레이 바디(733)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후방을 향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730, 도 1 참조)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200)는 제2 바디(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제1 대향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향면(230)은 제1 프레임(2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대향면(230)은 제2 바디(30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대향면(230)은, 착용부(22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전원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250)는, 별도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에서 전원 연결부(250)는 별도의 보호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제1 조작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2 대향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향면(320)은, 제2 바디(300)의 후면(後面)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대향면(320)은 제1 바디(200)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향면(320)은 제1 대향면(230)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대향면(320)은, 전면(33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이어폰 잭(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잭(360)은 외부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에 연결되어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이어폰 잭(360)은 별도의 보호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510) 또는/및 조명 유닛(530)은, 전면(330)에 위치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하면(340)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400)는, 제1 결합부(410)와 제2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는, 제2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430)는, 제1 결합부(410)와 제2 결합부(4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10) 또는/및 제2 결합부(420)는,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2 결합부(420)는,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결합부(410)에 대한 상대적 위치 또는/및 자세(attitude)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2 대향면(320)은 제1 대향면(230)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제2 대향면(320)과 제1 대향면(230)이 형성하는 각도는, 힌지 결합부(400)의 작동에 의존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420)가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 대향면(320)은 제1 대향면(230)을 비스듬히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유닛(510)은 전하방(前下方)을 향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510)이 향하는 시선은 힌지 결합부(400)의 작동에 의존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관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600, 도 2 참조) 또는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는,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으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열화상 이미지를 가공한 이후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735, 도 3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는 열화상 이미지의 각 지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열화상 이미지를 가공한 이후의 이미지는, 배경 영역(735a)과 잔불 영역(735b)을 포함할 수 있다.
잔불 영역(735b)은, 열화상 이미지 중에서 주변 온도 보다 특정 온도 이상 높은 온도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배경 영역(735a)은, 잔불 영역(735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왼편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측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좌측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오른편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측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우측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아래쪽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하측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후방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위쪽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상측변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전방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e)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상(左上)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상(左上) 코너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은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좌상측(左上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f)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하(左下)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하(左下) 코너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좌하측(左下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g)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하(右下)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하(右下) 코너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우하측(右下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h)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상(右上)에 치우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상(右上) 코너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서 우상측(右上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어느 변에도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b) 및 (c)를 참조하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영역 중 대다수에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불 영역(735b)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영역의 특정 비율(예를 들어 8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이 카메라 유닛(510, 도 2 참조)의 시선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가 관심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1 영역(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상변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2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상 코너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3 영역(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R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4 영역(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영역(R4)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우하 코너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5 영역(R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영역(R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6 영역(R6)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영역(R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하 코너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7 영역(R7)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영역(R7)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8 영역(R8)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영역(R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좌상 코너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9 영역(R9)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영역(R9)은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 도 5 또는 6 참조)이 제1 내지 제9 영역(R1 ~ R9)과 중첩되는 비율에 기초하여, 잔불 영역(735b, 도 5 또는 6 참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가로축(PXH)과 세로축(PXV)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픽셀(pixel)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9 영역(R1 ~ R9)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R3, 도 7 참조), 제7 영역(R7, 도 7 참조), 그리고 제9 영역(R9, 도 7 참조)에 위치하는 픽셀은 “3”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영역(R1, 도 7 참조) 및 제5 영역(R5, 도 7 참조)에 위치하는 픽셀은 “1”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R2, 도 7 참조), 제4 영역(R4, 도 7 참조), 제6 영역(R6, 도 7 참조), 그리고 제8 영역(R8, 도 7 참조)에 위치하는 픽셀은 “2”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중치를 달리하는 이유가 설명될 수 있다. 잔불 영역(735b, 도 5 또는 6 참조)의 위치는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은, 알람 형성부(630, 도 2 참조)에 의해 알람 어셈블리(700)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카메라 유닛(510)이 관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이 관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생성한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은,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알람 형성부(63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의 판단을 기초로 제4 신호(S4, 도 2 참조)를 생성하여 알람 어셈블리(700, 도 2 참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음향(7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1 음향(71)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음향(71)은,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하여 깜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리커 모듈(721)은 깜빡이고 제2 플리커 모듈(722)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방향 지시 이미지(735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좌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형상의 제1 방향 지시 이미지(735d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생성한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은,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알람 형성부(63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의 판단을 기초로 제4 신호(S4, 도 2 참조)를 생성하여 알람 어셈블리(700, 도 2 참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음향(7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2 음향(72)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음향(72)은,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하여 깜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리커 모듈(722)은 깜빡이고 제1 플리커 모듈(721)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방향 지시 이미지(735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우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형상의 제2 방향 지시 이미지(735d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열화상 이미지에서 추출된 각 지점의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잔불 영역(735b, 도 5 참조)의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user)는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으로부터 잔불이 위치한 영역의 대략적인 상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10, 도 2 참조)가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생성한 잔불 영역(735b, 도 6 참조)은, 예를 들어 도 6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735b, 도 6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알람 형성부(630, 도 2 참조)는, 잔불 영역 판단부(620, 도 2 참조)의 판단을 기초로 제4 신호(S4, 도 2 참조)를 생성하여 알람 어셈블리(700, 도 2 참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음향(7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은 제3 음향(73)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음향(73)은, 잔불 영역(735b, 도 6 참조)이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의 시선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하여 깜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리커 모듈(721)과 제2 플리커 모듈(722)이 모두 깜빡일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제4 신호(S4, 도 2 참조)에 대응된 방향 지시 이미지(735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735)은, 원(圓) 형상의 제3 방향 지시 이미지(735d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제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 시스템(1000)은, 제1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a), 제2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b), 그리고 제3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GPS 모듈(840, 도 2 참조)을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510, 도 1 참조)과 제어 유닛(600, 도 2 참조)을 통해 실시간으로 잔불 영역(735b, 도 5 또는 6 참조)의 유무(有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2000)를 통해, 단말기(3000) 또는/및 서버(40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제 시스템(1000)은, 단말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또는 스마트폰(smartphone)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통제 시스템(1000)은, 서버(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잔불 영역(735b, 도 5 또는 6 참조)의 유무(有無)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1000)에서 작동되는 단말기(30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3000)는 단말기 본체(3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3100)는 통신 모듈과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3100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3000)에서 구동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할 수 있으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 도 12 참조)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단말기 스크린(3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스크린(3200)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스크린(3200)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이미지는, 맵(3210)을 포함할 수 있다. 맵(3210)은, 단말기 스크린(3200)에 표시될 수 있다. 맵(321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 도 12 참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이미지는, 모니터링 스폿(3220, monitoring spot)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스폿(3220)은, 잔불 영역(735b)을 생성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 도 12 참조)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스폿(32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링 스폿(3220)은 맵(3210)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 스크린(3200)의 영역은, 상태창(3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태창(3230)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태창(3230)에 모니터링 스폿(3220)의 개략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스크린(3200)은,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ser)의 손(60)은, 모니터링 스폿(3220)을 터치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에 대응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터치 입력에 대응된 작동을 수행한 단말기(30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도 13 참조)에 대응된 모니터링 스폿(3220)에 관련된 정보를 상태창(32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통제 시스템(1000)은, 잔불 감시 및 제거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의 유무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서버(4000)에 잔불의 유무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취합하여 단말기(30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서버(40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잔불의 위치 및/또는 상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제자(commander)는, 단말기 스크린(3200)에 표시되는 정보를 기초로, 잔불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자는, 단말기 스크린(3200)에 표시되는 정보를 기초로, 리소스(resource)를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가 단말기 스크린(3200)에 표시되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는, 맵(3210), 모니터링 스폿(3220), 그리고 상태창(323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맵(3210)에 표시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궤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구비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배터리 모듈(5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0)은, 바디(200, 300)와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0)은, 밴드(50)에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0)은, 밴드(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0)은, 바디(200, 30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560)은 바디(200, 300)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무게가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배터리 연결 케이블(565)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연결 케이블(565)은, 바디(200, 300)와 배터리 모듈(5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0)은, 배터리 연결 케이블(565)을 통해 바디(200, 3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장시간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배터리 모듈(56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작업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터 모듈(55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은, 바디(3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은, 전방을 향하여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 모듈(550)은, 전방을 향하여 레이저 광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이 제공하는 빛은 유색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인디케이터 모듈(550)로 제공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에서 제공되는 빛의 진행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 또는 카메라 유닛(510)이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550)은, 작업자가 카메라 유닛(510) 또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자 향하는 방향(orientation)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참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 모듈을 구비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커버 모듈(57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모듈(570)은 바디(300, 도 15 참조)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모듈(570)은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은 바디(300)의 전면에 회동(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의 (a)는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이 카메라 유닛(510, 도 15 참조)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b)는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이 회동하여 카메라 유닛(510, 도 15 참조)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의 일단(一端)은, 바디(3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모듈(570)은 카메라 커버 돌출부(57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돌출부(573)는,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의 타단(他端)에 위치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돌출부(573)는, 작업자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올바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모듈(570)은, 카메라 수용부(57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수용부(575)는, 카메라 커버 프레임(571)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수용부(575)는, 오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모듈(570)이 카메라 유닛(510, 도 15 참조)를 덮은 상태에서, 카메라 수용부(575)는 카메라 유닛(510, 도 15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7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기준 좌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SR, 또는 작업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XYZ 좌표계에 위치할 수 있다. X축 방향(양의 X축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전방(前方)을 의미할 수 있다. Y축 방향(양의 Y축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측면 방향(또는 오른쪽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 방향(양의 Z축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하방(下方)을 의미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중력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XYZ 좌표계는, 카테시안(Cartesian) 좌표계일 수 있다. XYZ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일 수 있다.
XYZ 좌표계에서 회전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롤(roll) 회전 방향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양(positive)의 X축을 가리키도록 X축을 오른손으로 감싸는 방향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롤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의 회전 모멘텀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피치(pitch) 회전 방향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양(positive)의 Y축을 가리키도록 Y축을 오른손으로 감싸는 방향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피치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의 회전 모멘텀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여(yaw) 회전 방향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양(positive)의 Z축을 가리키도록 Z축을 오른손으로 감싸는 방향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여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의 회전 모멘텀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가 잔불(20)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과 도 19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은 평면도로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여(yaw) 방향 회전을 나타낼 수 있고, 도 19는 측면도로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피치(pitch) 방향 회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은, 제1 내지 제4 시선 방향(LOS1, LOS2, LOS3, LOS4)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 또는 카메라 유닛(510, 도 15 참조)가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은 제1 시선 방향(LOS1)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유닛(510)이 획득하는 이미지에 잔불(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20)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람 어셈블리(700, 도 2 참조)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은 제1 시선 방향(LOS1)에서 제2 시선 방향(LOS2)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이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20)을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면, 알람 어셈블리(700, 도 2 참조)는 작동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면, 작업자는 잔불(20)을 바라보면서 잔불 제거 작업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20)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잔불(20)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황에서 사운드 유닛(710)이 계속 작동한다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고 작업자의 집중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한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설정하고 현재 얼마의 시간이 도과하였는지를 고려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기준 시점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을 기준 시선 방향으로 설정하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이 기준 시선 방향에서 회전(또는 이동)한 범위를 고려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한 시점이 기준 시점이 될 수 있고, 기준 시점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인 제2 시선 방향(LOS2)이 기준 시선 방향일 수 있다. 기준 시선 방향인 제2 시선 방향(LOS2)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회전한다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더라도 사운드 유닛(710)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잔불(20)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다. 일정 각도 범위는, “기준 각도 변화량”이라 칭할 수 있다. 기준 각도 변화량은, 예를 들어, 제2 시선 방향(LOS2)과 제3 시선 방향(LOS3)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기준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이고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과 제3 시선 방향(LOS3) 사이인 경우,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플리커 유닛(720)은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이고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3 시선 방향(LOS3)인 경우, 해당 잔불(20)을 제거하는 작업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다른 영역을 탐색하는 이벤트(event)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여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3 시선 방향(LOS3)인 경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여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과 플리커 유닛(720)이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각도 변화량(기준 시선 방향 대비)이 기준 각도 변화량 이상인 상태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 잔불(20)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와 같은 알람 프로세스가 리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점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3 시선 방향(LOS3)인 시점으로 설정되고, 기준 시선 방향은 제3 시선 방향(LOS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각도 변화량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자세 변화량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기준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이고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과 제3 시선 방향(LOS3) 사이인 경우라도, 현재 시점이 기준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라면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이로써 잔불(20)의 소멸 여부에 관한 정보가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정 시간은, “기준 도과 시간”이라 칭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4 시선 방향(LOS4)인 경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20)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기준 시선 방향이 제3 시선 방향(LOS3)이고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제4 시선 방향(LOS4)이어서 현재 잔불(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4 시선 방향(LOS4)과 제3 시선 방향(LOS3) 사이의 각도가 기준 각도 변화량 보다 작더라도 기준 시선 방향과 무관하게 잔불(20)을 감지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하지 않는 시선 방향에서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20)을 감지하는 프로세스 및 그에 따른 알람 프로세스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잔불(20) 감지에 대한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다.
플리커 유닛(720, 도 2 참조)은 사운드 유닛(710)과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리커 유닛(720, 도 2 참조)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현재 시선 방향을 기준 시선 방향에 대비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선 방향이 제3 시선 방향(LOS3)이고 현재 시선 방향이 제4 시선 방향(LOS4)이면, 잔불(20)은 제4 시선 방향(LOS4) 대비 왼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리커 모듈(721, 도 3 및 도 9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30, 도 3 및 도 9 참조)은, 플리커 유닛(720, 도 2 참조)이 작동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선 방향이 제2 시선 방향(LOS2)이고 현재 시선 방향이 제1 시선 방향(LOS1)이면, 잔불(20)은 제1 시선 방향(LOS1) 대비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플리커 모듈(722, 도 3 및 도 10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9에서 설명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작동 방법 또는 방식은, 회전 방향을 제외하고 도 18에서 설명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작동 방법 또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여(yaw) 방향 시선 방향과 피치(pitch) 방향 시선 방향의 조합일 수 있다.
작업자가 잔불(20)을 제거하는 작업 중에,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가 잔불(20)을 감지한 기준 시점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위치에 대비하여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변화량은, “변위량”이라 칭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변위량이 기준 위치 변화량 이상인 경우, 해당 잔불(20)을 제거하는 작업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다른 영역을 탐색하는 이벤트(event)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 감지를 시도할 수 있고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도 20은, 작업자가 걷는 과정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중력 방향 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작업자가 걷거나 뛰는 과정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중력 방향 속도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의 그래프에서, 횡축은 시간(time)에 관한 축이며, 종축은 중력 방향 속도(velocity)에 관한 축일 수 있다.
작업자가 걷거나 뛰는 과정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중력 방향 속도는 양(positive)와 음(negative)을 교대로 나타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중력 방향 속도가 양(positive)와 음(negative)의 값을 1회 교번하는 것은, 작업자의 1보(步)에 해당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중력 방향 속도가 양과 음의 값을 n회(n은 자연수) 교번하면, 해당 잔불(20)을 제거하는 작업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다른 영역을 탐색하는 이벤트로 인식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중령 방향 속도가 양과 음을 n회 교번하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 감지를 시도할 수 있고 사운드 유닛(710, 도 2 참조)이 작동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도 1 내지 도 20과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기준방향을 리셋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방향은, “기준 시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이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600)은, 기준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설정하거나 정북(north) 방향 또는 정동(east)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잔불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카메라 유닛(510)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에 잔불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잔불 영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 단계(S120)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S120)는, “제1 잔불 영역 판단 단계”라 칭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제1 알람 발생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획득된 이미지에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600)은, 사운드 유닛(710)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운드 유닛(710)에서 발생되는 제1 알람은, 잔불의 유무 또는/및 위치에 관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제1 리셋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S140)는, 제1 알람 발생 단계(S130)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알람 발생 단계(S130)는 이 단계(S140)의 수행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600)은, 해당 잔불(20)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600)은, 기준 시점에서 잔불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을 기준방향(기준 시선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600)은, 기준 위치를 기준 시점에서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600)은, 알람 플래그를 0(zero)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변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수 변화량은, 각도 변화량과 변위량(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변화량은, “기준 각도 변화량”과 “기준 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각도 변화량은, “기준 자세 변화량”이라 칭할 수 있다.
이 단계(S150)에서, 제어 유닛(600)은, 각도 변화량이 기준 각도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단계(S150)에서, 제어 유닛(600)은, 위치 변화량이 기준 위치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단계(S150)에서, 제어 유닛(600)은, 각도 변화량이 기준 각도 변화량 이상이거나 위치 변화량이 기준 위치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변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경우, 제어 유닛(600)은 제1 잔불 영역 판단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잔불 영역 판단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60)는, “제2 잔불 영역 판단 단계”라 칭할 수 있다. 변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유닛(600)은 이 단계(S16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S160)에서 카메라 유닛(510)이 획득한 이미지에 잔불 영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유닛(600)은 제1 잔불 영역 판단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도과 시간(t)과 기준 도과 시간(T)을 대비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과 시간(t)은, 기준 시점에서 현재 시점까지의 도과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과 시간(t)이 기준 도과 시간(T)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유닛(600)은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알람 플래그가 0(zero)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도과 시간(t)이 기준 도과 시간(T)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이 단계(S18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알람 플래그가 0(zero)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는, 제2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600)은, 알람 플래그가 0(zero)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 단계(S190)를 수행할 수 있다. 알람 플래그가 0(zero)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유닛(600)은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S190)에서 제어 유닛(600)은, 사운드 유닛(710)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운드 유닛(710)에서 발생되는 제2 알람은, 잔불의 유무 또는/및 위치에 관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90)에서, 제어 유닛(600)은 알람 플래그를 1(one)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알람은 제1 알람 이후 1회만 발생될 수 있다. 이 단계(S190) 이후, 제어 유닛(600)은,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1에서 알람 플래그는, 0과 1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람 플래그가 0 또는 1로 설정되는 것은, 2개의 경우를 구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알람 플래그는, -1 또는 1로 설정되어 구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0.5 또는 0.5로 설정되어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알람 플래그가 0인 것은 알람 플래그가 “u”에 대응되고, 알람 플래그가 1인 것은 알람 플래그가 “w”에 대응될 수 있다. “u”와 “w”는 대비될 수 있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IMU(850, 도 2 참조)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시선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GPS 모듈(840, 도 2 참조)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제 시스템(1000)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통제 시스템(1000)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와 단말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단말기(3000)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0)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0)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를 휴대하거나 착용한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또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단말기(3000)에 잔불 영역(735b, 도 5 및 도 6 참조)의 유무(有無)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3000)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0)는,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0a, 3000b, 300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제1 내지 제3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0a, 3000b, 3000c)는 제1 내지 제3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a, 100b, 100c)에 각각 대응된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단말기(3000d)는 통제 시스템(1000)의 커맨더(commander)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0a, 3000b, 3000c)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작업자 단말기”라 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4 단말기(3000d)는 “커맨더 단말기”라 칭할 수 있다.
통제 시스템(1000)은, 서버(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네트워크(2000)를 통해 단말기(300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0)는 LTE 통신 방식 또는 5G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서버(4000)는, 단말기(3000)로부터 잔불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4 단말기(3000d)는, 서버(4000)로부터 잔불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4 단말기(3000d)는, 통제 시스템(1000)의 커맨더(commander)로부터 작업자의 작업에 관한 명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4 단말기(3000d)는, 네트워크(2000)를 통해, 서버(4000)에 상기 명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정보는, 잔불 제거 작업에 관한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네트워크(2000)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0a, 3000b, 3000c)에게 상기 명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4 단말기(3000d)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 그리고 컴퓨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통제 시스템(1000)은, 게이트웨이(500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00)는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00)와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로라(LoRa)일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잔불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5000)에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00)는, 네트워크(2000)를 통해 서버(4000)와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000)는 잔불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3의 단말기(3000)는, 커맨더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서버(4000)는 잔불에 관한 정보 또는/및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취합할 수 있다. 잔불에 관한 정보는, 잔불의 위치, 잔불의 위치에서의 주변 온도, 해당 잔불의 온도 분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잔불의 온도 분포는, 해당 잔불의 최저 온도, 최고 온도, 그리고 평균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취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300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받은 데이터(서버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 스크린(3200, 도 13 참조)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스크린(3200, 도 13 참조)에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의 이동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스크린(3200, 도 13 참조)에 잔불의 온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잔불 제거 작업이 서버(4000)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불이 위치하는 담당 구역에 일 작업자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작업자는 일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에 대응될 수 있다. 이 작업자가 담당 구역의 잔불을 제거한 이후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에 의해 담당 구역이 1회 탐색된 경우에도 잔불이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구역의 잔불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제 시스템(1000)은 비행 드론(drone)을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100)는, 비행 드론에 장착될 수 있다. 비행 드론이 담당한 구역을 1회 탐색한 경우에도 잔불이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구역의 잔불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작업자가 일 방향으로 잔불을 제거해가면, 비행 드론은 작업자의 뒤를 이어서 잔불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잔불 제거 작업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잔불 제거 작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해당 구역의 탐색을 1회 초과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200: 제1 바디
300: 제2 바디 400: 힌지 결합부
510: 카메라 유닛 520: 센서 유닛
530: 조명 유닛 540: 입력 유닛
600: 제어 유닛 700: 알람 어셈블리
710: 사운드 유닛 720: 플리커 유닛
730: 디스플레이 유닛 800: 통신 유닛

Claims (16)

  1.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며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바디에 위치하며,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잔불 영역을 추출하는 제어 유닛;
    GPS 모듈과 IMU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 그리고
    상기 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된 알람을 제공하는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알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GPS 모듈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IMU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자세 정보와 관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이후 현재,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으로부터 도과된 시간과,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와 위치에 대비한 현재의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와 위치 각각의 자세 변화량과 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 변화량은, 상기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의 변화량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자세 변화량과 기준 자세 변화량을 대비하여 상기 자세 변화량이 상기 기준 자세 변화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열화상 이미지 획득하고 처리하여 잔불 영역이 추출되면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세 변화량과 상기 기준 자세 변화량을 대비하여 상기 자세 변화량이 상기 기준 자세 변화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처리하여 잔불 영역이 추출되더라도 최초의 잔불 영역이 추출된 이후 현재 도과된 시간(t)이 기준 도과 시간(T) 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위치 변화량과 기준 위치 변화량을 대비하여 상기 위치 변화량이 상기 기준 위치 변화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열화상 이미지 획득하고 처리하여 잔불 영역이 추출되면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위치 변화량과 상기 기준 위치 변화량을 대비하여 상기 위치 변화량이 상기 기준 위치 변화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처리하여 잔불 영역이 추출되더라도 최초의 잔불 영역이 추출된 이후 현재 도과된 시간(t)이 기준 도과 시간(T) 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을 덮거나 개방하는, 카메라 커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면(前面)에 위치하고 전방을 향하여 광선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6.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잔불 영역을 추출하는 제어 유닛과, IMU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과, 상기 잔불 영역에 대응된 알람을 제공하는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알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를 이용한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잔불 영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상기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제1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S130);
    상기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기준 시점과 기준 방향과 기준 위치를 리셋하는 단계(S140);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카메라 유닛의 변수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변수 변화량과 상기 기준 변화량의 대비된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어셈블리의 알람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 변화량은,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자세가 변화된 정도로서 자세 변화량과, 상기 잔불 영역이 추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위치가 변화된 정도로서 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변화량은,
    상기 자세 변화량에 대응된 기준 자세 변화량과 상기 위치 변화량에 대응된 기준 위치 변화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변수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잔불 영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변수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잔불 영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잔불 영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유닛이, 최초로 잔불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시점인 기준 시점으로부터 현재 도과된 시간인 도과 시간(t)과 기준 도과 시간(T)을 대비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도과 시간(t)이 기준 도과 시간(T)을 초과한 경우에만 상기 사운드 유닛을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과 시간(t)이 상기 기준 도과 시간(T)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유닛이, 알람 플래그가 0(zero)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도과 시간(t)이 상기 기준 도과 시간(T)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수 변화량과 상기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을 수행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플래그가 0(zero)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유닛이, 제2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알람 플래그를 1(one)로 설정하는 단계(S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알람 플래그가 0(zero)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S190)의 수행 이후, 상기 변수 변화량과 상기 기준 변화량을 대비하는 단계(S150)를 수행하는,
    잔불 감지 알람 프로세스(S100).
  12.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잔불 영역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 유닛과, IMU를 구비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취합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위치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말기 스크린;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불 영역이 위치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맵, 상기 잔불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폿,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스폿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창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맵에 표시하는,
    통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와 로라(LoRa)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에 대하여 담당 구역을 할당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가 상기 담당 구역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잔불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담당 구역에 잔불이 제거되었음을 판단하는,
    통제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비행을 하면서 잔불 여부를 감시하는 비행 드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비행 드론에 대하여 담당 구역을 할당하고, 상기 비행 드론이 상기 담당 구역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잔불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담당 구역에 잔불이 제거되었음을 판단하는,
    통제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잔불 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서버에 잔불 제거 작업에 관한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커맨더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제 시스템.
KR1020200093757A 2020-06-30 2020-07-28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KR102478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9865 2020-06-30
KR1020200079865 202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9A true KR20220002019A (ko) 2022-01-06
KR102478042B1 KR102478042B1 (ko) 2022-12-16

Family

ID=793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57A KR102478042B1 (ko) 2020-06-30 2020-07-28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0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012B1 (ko) 2016-12-27 2017-08-23 룩시어 유한회사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이용한 잔불 감지 시스템
KR20180019889A (ko) * 2016-08-17 2018-02-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KR20190100504A (ko) * 2018-02-06 2019-08-29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산림 재해 진화대원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054175B1 (ko) * 2019-05-17 2019-12-10 박재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89A (ko) * 2016-08-17 2018-02-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모듈식 화재 감지기 및 감지 방법
KR101768012B1 (ko) 2016-12-27 2017-08-23 룩시어 유한회사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이용한 잔불 감지 시스템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KR20190100504A (ko) * 2018-02-06 2019-08-29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산림 재해 진화대원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054175B1 (ko) * 2019-05-17 2019-12-10 박재언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042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10B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JP691922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3422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scanning on a binocular augmented reality device
CN109358754B (zh) 一种混合现实头戴显示系统
CN104639912A (zh) 一种基于红外三维成像的单兵消防救灾设备与系统
KR20220148921A (ko) 근육 센서들을 사용하여 안면 표정을 결정하는 안경류
US20170278453A1 (en) Head mount display
KR20130021060A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CN111127822B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消防辅助方法及智能穿戴设备
CN112402949A (zh) 虚拟对象的技能释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10059344A1 (en) Wearable assisted perception module for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in hazardous environments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CN109246456A (zh) 显示系统以及显示系统的显示控制方法
CN109445596B (zh) 一种一体式混合现实头戴显示系统
CN109833047A (zh) 信息采集终端、系统及头盔
KR102054175B1 (ko)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TW202137155A (zh) 視覺圖資定位系統
KR102134419B1 (ko)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KR102478042B1 (ko) 잔불 감지 알람 디바이스
US1113760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209291A (zh) 一种集成ar眼镜身体状况检测装置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CN106886287A (zh) 用于在虚拟现实设备中共享画面的方法和装置
CN113842574A (zh) 基于云平台的“Firbot灭火机器人”智能消防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