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866A -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866A
KR20180018866A KR1020160101015A KR20160101015A KR20180018866A KR 20180018866 A KR20180018866 A KR 20180018866A KR 1020160101015 A KR1020160101015 A KR 1020160101015A KR 20160101015 A KR20160101015 A KR 20160101015A KR 20180018866 A KR20180018866 A KR 2018001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exposure
evaluation
product
risk assess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966B1 (ko
Inventor
이헌주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켐아이넷(주)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아이넷(주),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켐아이넷(주)
Priority to KR102016010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9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709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90Programming languages; Computing architectures; Database systems; Data warehousing
    • G06F19/70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80Data vis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에 의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위해도 평가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해 정확한 위해도 평가가 가능하며,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 저장하여 다양한 위해도 평가가 가능하며, 위해도 평가과정을 시각화하여 비전문가라도 본인의 상황에 맞춰 위해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해성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정보 및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를 포함하여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설문 정보를 저장하는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및 위해성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평가모듈과, 상기 평가모듈의 위해성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를 시각화하여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고,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사용 환경에 맞춰 위해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소비자 각자의 상황에 맞춰 입력변수를 선택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각자의 상황에 맞는 위해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위해성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시각화된 위해성 평가 모델을 통해 특정 사용환경 하에서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Exposure and risk assessment apparatus and method about consumer products}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에 포함된 유해성물질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인 노출 및 위해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통상 화학용품의 다양한 사용양태에 따라 인체에 대한 노출량 및 위해도가 상이하지만 화학용품의 종류, 제품의 특성, 소비자의 사용양태 등이 매우 다양하여 정확한 위해도를 평가하기가 어려운데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양태에 따른 위해도를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도 평가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2011년부터 시작되어 최근 이슈가 된 가습기 살균제 사고 이후, 국민들 사이에서는 이와 유사한 방식의 방향제 등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가중되고 있어 생활화학용품으로부터의 노출이나 위해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특히, 화학물질의 노출은 제품의 생산·폐기단계에서뿐만 아니라 제품 소비단계에서도 발생하므로, 제품을 중심으로 한 화학물질의 전주기 관리(life cycle management, LCM)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생활화학용품에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원료 화학물질을 기반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독성정보를 확인하는 수준인 유해성 평가에 한정하여 일정규모 이상이 생산 및 유통되는 신규화학물질에 국한되어 총량 개념에서 거시적인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거시적인 위해성 평가 체계는 생활화학용품 사용자의 다양한 노출 경로, 계절, 제품 사용 패턴 및 대상 인구집단의 특성을 개별적으로 반영하여 취약 계층 및 위해성의 사각지대를 미세하게 대처하는 데에 있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가령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 화학물질은 환기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는 공간에서의 분사될 경우 큰 문제가 야기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생활화학용품인 가습기에 적용될 경우 그 위해성의 양상은 달라진다. 가습기는 주로 건조한 겨울에 밀폐된 공간에 이루어지는 점, 영유아나 주로 환자와 취약 계층에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면 노출량이나 위해도는 일반적인 상황과는 달리 매우 높아지게 된다. 즉 화학물질의 유해성은 물론 그 물질이 적용되는 용품의 다양한 노출 경로(흡입, 경피 및 식이 등), 노출장소, 사용패턴, 인구집단 계층 및 노출패턴을 고려한 노출 및 위해평가 체계의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정밀한 위해성 평가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활화학용품의 종류와 다양한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노출 및 위해평가 모델이 선행적으로 존재하여 하고 모델이 존재하더라도 화학용품의 사용양태가 매우 다양한 특성이 있고, 그에 따라 노출경로가 상이하지만 이를 일일이 위해도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소비자의 사용양태에 따라 정확한 위해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노출경로가 너무 다양하여 양태별로 위해도 평가를 수행하더라도 일부 소비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생활화학용품의 위해도 관리가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새로 개발된 위해도 평가 모델을 컴퓨터프로그램을 개발 내지는 수정하는 일 없이 프로그램화 할 수 있고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위해도 평가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해 정확한 위해도 평가가 가능하며,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 저장하여 다양한 위해도 평가가 가능하며, 위해도 평가과정을 시각화하여 비전문가라도 본인의 상황에 맞춰 위해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는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질의 발암 및 비발암 관련의 독성 계수를 정량화 및 구조화하여 저장하는 유해성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제품 유통흐름을 저장하는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에 포함된 성분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정보 및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를 포함하여 화학용품에 대한 설문 정보를 저장하는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및 위해성 평가모델을 생성하고 이용하여 해당 화학용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평가모듈과, 상기 평가모듈의 위해성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가모듈에는 해당 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위해 화학용품의 종류, 노출 경로 등 해당 사용 양태에 적합한 변수를 지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시나리오 작성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가모듈은 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모델에 대입되는 입력변수에 대해 각 입력변수의 여러 가지 대입 값을 나타내는 선택창을 표시하는 위해성 평가 시각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 평가 시각화 모듈은 상기 선택창에 해당 화학용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선택창에 입력변수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위해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수신강도 바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모듈에서 노출 및 위해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모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평가모델에 사용되는 수식 등을 툴바 형태로 마련하고 상기 추가 또는 수정되는 평가모델에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를 바인딩하는 모델설계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방법은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학물질에 대한 정량적 유해성 정보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제품 정보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제품에 포함된 성분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정보 및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를 포함하여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설문 정보 중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 및 위해성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위해성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 평가 모델을 설계 및 등록 하는 단계에서, 위해성 평가 모델식을 입력하고 각각의 입력 계수를 속성에 대한 데이터 셋과 사용가능 모수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위해성 평가 모델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위해성을 평가 대상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종류, 노출 경로 등 해당 사용 양태에 적합한 변수를 지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모델에 대입되는 입력변수에 대해 각 입력변수의 여러 가지 대입 값을 나타내는 선택창을 표시하는 위해성 평가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위해성 평가 모델을 평가모델에 사용되는 수식이 마련된 툴바에서 선택하고 추가 또는 수정되는 평가모델에 사용될 데이터를 연결하여 평가모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 평가 시각화 단계에서, 상기 선택창에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선택창에 입력변수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해성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위해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수신강도 바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를 시각화하여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사용 환경에 맞춰 위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 각자의 상황에 맞춰 입력변수를 선택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각자의 상황에 맞는 위해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해성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시각화된 위해성 평가 모델을 통해 특정 사용환경 하에서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의 대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프로파일 데이터의 일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시나리오 작성모듈을 통해 등록된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노출경로에 따른 알고리즘의 구성 및 노출계수의 자료 출처와 설명을 제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위해성 평가 시각화모듈에서 선택창을 통해 노출평가를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노출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위해평가 절차 및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모델설계 모듈에서 프로그램 수정 없이 신규 노출 및 위해성 평가 모델을 설계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우리 주위에는 매우 많은 종류의 생활화학용품이 존재하고 인체에 다양한 형태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생활화학용품은 다양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는 사용 양태에 따라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는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활화학용품의 경우 사용양태가 매우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문제가 된다, 안된다라고 규정할 수 없으며 문제가 되는 상황을 특정하기가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즉, 가습기 살균제의 경우에도 환기가 잘되는 환경에서 사용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영유아나 노약자가 겨울에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하면 치명적일 수 있으며 이런 특정한 환경을 상정하여 위해성 평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만큼 사용양태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사용양태에 대해서 전문가든 비전문가든 본인의 사용양태에 맞춰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을 평가하는 장치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위해 생활화학용품에 포함된 유해성물질들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인 분석을 포함하여 유해물질들을 분석하고 관측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되는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0)와 생활화학용품을 제품별로 분류하고 각 제품의 제조, 판매사 및 제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주성분과 유통 현황 등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0)와 생활화학용품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한 데이터, 분석법에 대한 정보, 화학물질 수, 시료 수 등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석 데이터베이스(300)와 사용 환경에 따라 인체에 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노출계수 및 특정 생활화학용품에 대해 사용양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용양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400)와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모듈(500)과 평가모듈(500)에서 평가된 노출 및 위해성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모듈(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0)는 도 2에 일례를 도시하였는데 유해물질에 대한 물리, 화학 분석결과를 포함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유해물질의 명칭, 화학식, 분류기호, 분자량 등 유해물질에 대한 고유정보와 노출경로에 따른 독성정보 및 독성데이터를 추출한 참고문헌 등 유해물질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된다. 통상 유해물질에 대한 프로파일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프로파일 데이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포함하여 유해물질을 분석하는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공표 및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0)는 이러한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거나 유해물질을 분석하는 기관과 연동하여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0)에 신규 정보를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0)는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품분류, 제품명, 제품의 용도, 판매회사, 제조회사 및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정보와 제품의 유통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3에는 윤활방청제의 제품정보가 예시로 제시되어 있지만 동일한 용도의 제품이라도 제조회사에 따라 성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방식이냐 액체 주입방식이냐에 따라 사용양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동일한 용도의 제품이라도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0)에는 각각의 제품이 모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생활화학용품에 포함된 화학물질별로 기준치와 독성정보가 물질단위 혹은 생활화학용품과의 조합의 형식으로 분석한 분석데이터가 저장되는데 도 4에 그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 및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중 등에 따라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노출계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 형식은 크게 2가지의 형태로 첫째는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양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원자료(raw data) 정보이고 원자료를 기반으로 확률적인 방법에 의해 기 추정된 대푯값이 있을 수 있다. 설문을 실시한 원자료는 모집단에서 추출된 일정한 크기의 샘플에 대한 것이므로 이로부터 유의미한 값을 추출하기 위해 통계를 이용하여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값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계수화하여 저장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원자료를 가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푯값을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출계수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자료원에서 제공되고 있는데 도 5에는 후자인 자료원이 한국노출계수핸드북 2007인 노출계수 데이터를 예시로 들고 있다. 또한 전자의 사례로 표본 조사 방법에 따른 방대한 자료인 신규 생활화학용품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조사결과 원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며 개별자료원 혹은 지속적으로 생산된 여러 자료원을 병합하여 노출장소, 노출경로, 노출대상 인구집단 등 다양한 조합을 통해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400)상에서 계산하여 노출계수를 생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형화되어 저장, 수정할 수 있다.
평가모듈(500)은 위 데이터베이스(100, 200, 300, 4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위한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평가모듈(500)은 크게 노출평가와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활화학용품은 다양한 사용양태를 가지고 있어 정확한 위해성평가가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시나리오 작성모듈(510)은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에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작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위해성평가를 수행한다. 도 5는 시나리오 작성모듈(510)을 통해 작성된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데 앞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중 생활화학용품의 제품 정보 중 품목을 선택하고 사용양태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노출계수, 설문데이터 등 위해성평가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일 사용양태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종래에는 화학용품의 위해성평가를 평균적인 노출계수 및 표준 사용양태를 가정하여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위해성평가는 앞서 가습기 살균제의 경우와 같이 해당 제품의 위해성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시나리오 작성모듈(510)을 통해 다양한 생활화학용품의 사용양태별로 즉 노출장소 공간의 체적, 환기 유무, 경로, 노출대상 집단 및 물질의 확산 과 같은 시나리오의 구성과 관련된 입력 계수를 저장하고 이에 기반하여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게 되므로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평가를 현실과 매우 가까운 상황에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평가모듈(500)에서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노출경로에 따른 알고리즘의 구성 및 노출계수의 자료 출처와 설명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나리오 및 평가 모델에 따라 노출 및 위해도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해성 평가 시각화모듈(520)을 통해 저장된 평가모델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출력되고 사용자 본인 혹은 사용이 예상되는 다양한의 사용양태에 따라 입력 값을 선택창(522, 524, 526, 528)을 이용하여 선택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사용양태에 따라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위해 설문데이터, 노출시간, 호흡률, 사용빈도를 사용자 본인의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한 후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게 되므로 극단적인 상황부터 일상적인 상황까지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은 일반 사용자의 경우 본인의 사용양태에 꼭 맞는 노출 및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고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화학물질을 심사하는 공공기관의 경우 규제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노출 상황을 반영한 정밀하고 정확한 위해도 산출 및 비전문가라 하더라도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출력모듈(600)은 평가모듈(500)에서 평가된 노출 및 위해성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도 8, 9, 10에 출력모듈(600)을 통해 출력된 노출 및 위해도 평가 결과가 도시되어 있는데, 출력된 노출평가의 결과는 사용자가 설정한 각 노출 경로(흡입, 경피)의 알고리즘에 따라 산출된 수치이고, 하루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용품 중 물질이 인체에 노출될 수 있는 노출량을 의미한다. 한 예로 흡입 노출평가 결과의 경우, 공기 중에 분사 후 휘발되고 환기를 통해 일부 제거될 수 있는 제품의 공기 중 유해물질 농도를 계산하고, 이 계수 값과 사람의 호흡률, 노출시간, 몸무게 등을 고려한 수치이다. 경피 노출평가 결과의 경우, 화학용품의 내용물을 도포하여 사용할 때를 고려하여 피부 접촉을 통해 노출되는 유해물질의 노출량을 산정한다. 위해성 평가는 노출량의 값에 발암과 비발암 독성이 있는 물질로 나누어 각각의 독성자료를 활용하여 위해도를 계산한다. 발암과 비발암으로 위해도를 계산하는 이유는 발암과 비발암에서 위해도 평가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인데, 발암 위해성 평가는 노출평가 단계에서 구해진 일일 노출량과 발암 독성을 갖는 유해물질의 독성 참고치인 발암력(Cancer Slope Factor)을 고려하여 초과발암위해도(Excess cancer risk)를 산정한다. 초과발암위해도는 10-6 혹은 10-7을 기준으로 산정된 위해도가 기준보다 클 때에 위해도가 있다, 기준보다 작을 때 위해도가 낮다라는 판단을 한다. 발암 위해성 평가의 다른 방법으로는 기준용량(BenchMark Dose)를 적용한 발암의 노출 안전역(Margin Of Exposure)이 있고, 1,000의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발암 위해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한다. 비발암 독성을 갖는 물질 역시 크게 두 가지의 위해성 평가 방법이 있다. 노출평가 단계에서 계산된 노출량을 RfD(Reference Dose)로 나누어 최종적으로 위해지수(Hazard Quotient)를 구하며, 일반적으로 위해지수가 1 이상일 경우에 인체 유해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발암 위해성 평가에서도 사용되었던 노출 안전역이 있는데 명칭과 로직은 같으나 적용된 독성 참고치는 최대무유해용량(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으로 기준을 100으로 설정하고 이보다 높은 경우 건강 위험의 가능성이 낮다고 결정한다. 기존의 경우, 노출평가와 위해성 평가가 분리되어 수행되었고 다양한 노출경로에 따른 혹은 독성에 따른 평가 프로세스가 다단계로 이루어졌던 반면, 본 발명은 흡입, 경피 등의 노출경로별 발암/비발암 물질 특성별 위해성 평가 원리가 구조화되어 노출평가 결과로부터 위해성 평가까지의 과정이 일원화되고 원스톱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델설계모듈(700)은 위해평가 전문가가 개발한 노출평가 모델(이하 신규 평가 모델)은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도 11에 모델설계모듈(700)을 통해 신규 평가모델을 추가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평가 모델의 쓰임 즉 용도에 대하여 생활화학용품 카테고리, 화학물질, 노출경로(흡입, 경피 혹은 경구), 모델명, 저작자 등의 일반정보를 등록한다. 신규평가 모델의 등록은 공식편집을 지원하는 툴바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공식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실시한다. 입력된 공식에서 본 장치는 독립변수 즉 입력변수에 대하여 토큰 분석에 의하여 종속변수, 독립변수(혹은 입력변수) 그리고 계수나 지수와 같은 수식구성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해낸다. 각 입력변수는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앞서 설명한 분석 및 노출계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와 먼저 바인딩을 하도록 하고 그 데이터베이스 내의 엔터티와 컬럼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변수에 사용할 주 집합을 지정한다. 이때 보조 집합으로 범주화된 특성(예: 성별, 연령별 등)에 대하여 담고 있는 컬럼도 같이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해당 특성에 따라 그룹핑 내지는 필터링하여 집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에게 제시될 평균, 최소값, 최대값, 95퍼센타일 등 모수(population parameter)들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로부터 단순한 수치를 입력 받을 경우 단순 수치 입력형을 선택하면 된다. 종래의 노출평가 장치의 경우(유럽의 RIVM에서 개발한 ConsExpo 시스템과 같은) 실제로 위해평가 전문가가 신규로 개발한 모델을 추가하려면 개발한 기관에 의뢰하여 입력창 및 모델 결과 출력 모듈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소스를 수정하고 컴파일을 통하여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위해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전문가가 직접 모델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모델의 신속한 반영을 통한 신종 화학물질에 대한 신속한 위해성 평가 체계의 가용성이 확대되며 이를 통한 유해물질의 위협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심사기간 단축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수정을 위한 전혀 개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을 도 1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은 우선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00),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0), 분석 데이터베이스(300), 노출계수/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400) 등에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한다.(S100)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모듈(500)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한다.(S110) S110단계에서 평가된 위해성평가결과를 출력모듈(60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120)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사용자의 사용양태에 맞춰 평가함에 따라 정확한 위해성평가가 가능하고 비전문가라 하더라도 본인의 상황에 맞는 위해성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 100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 : 200
분석 데이터베이스 : 300 노출계수/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 : 400
평가모듈 : 500 출력모듈 : 600
평가모델 추가모듈 : 700

Claims (13)

  1.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 평가 장치에 있어서,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해성물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품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정보 및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를 포함하여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설문 정보를 저장하는 노출계수 및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및 위해성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평가모듈과,
    상기 평가모듈의 위해성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평가모듈에는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종류, 노출 경로 등 해당 사용 양태에 적합한 변수를 지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시나리오 작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평가모듈은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모델에 대입되는 입력변수에 대해 각 입력변수의 여러 가지 대입 값을 나타내는 선택창을 표시하는 위해성 평가 시각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위해성 평가 시각화 모듈은 상기 선택창에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선택창에 입력변수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위해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수신강도 바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평가모듈에서 노출 및 위해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모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평가모델에 사용되는 수식 등을 툴바 형태로 마련하고 상기 추가 또는 수정되는 평가모델에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를 바인딩하는 모델설계모듈을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장치.
  8.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해성물질에 대한 정보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다양한 제품 정보와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정보 및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를 포함하여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설문 정보 중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 및 위해성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위해성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9. 청구항 8에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위해성을 평가 대상 생활화학용품의 사용 양태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위해 생활화학용품의 종류, 노출 경로 등 해당 사용 양태에 적합한 변수를 지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10. 청구항 8에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활화학용품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모델에 대입되는 입력변수에 대해 각 입력변수의 여러 가지 대입 값을 나타내는 선택창을 표시하는 위해성 평가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11. 청구항 8에서,
    상기 위해성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위해성 평가 모델을 평가모델에 사용되는 수식이 마련된 툴바에서 선택하고 추가 또는 수정되는 평가모델에 사용될 데이터를 연결하여 평가모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12. 청구항 10에서,
    상기 위해성 평가 시각화 단계에서,
    상기 선택창에 해당 생활화학용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선택창에 입력변수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13. 청구항 8에서,
    상기 위해성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해성 평가 결과를 위해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수신강도 바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화학용품 위해성 평가 방법.
KR1020160101015A 2016-08-09 2016-08-09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90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15A KR101905966B1 (ko) 2016-08-09 2016-08-09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15A KR101905966B1 (ko) 2016-08-09 2016-08-09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866A true KR20180018866A (ko) 2018-02-22
KR101905966B1 KR101905966B1 (ko) 2018-10-10

Family

ID=6138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15A KR101905966B1 (ko) 2016-08-09 2016-08-09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39A (ko) 2018-09-07 2020-03-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화학제품의 위해성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194083B1 (ko) 2019-10-23 2020-12-28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개인별 다중이용행태를 반영한 제품안전기준 제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10065734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 위험성 물질 위험성 평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377584B1 (ko) * 2020-09-23 2022-03-24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위해정보 통합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42A (ko) 2021-12-30 2023-07-10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실내공기의 화학물질 노출량 산정시스템
KR102618447B1 (ko) 2023-06-30 2023-1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폐 실물 모형을 이용한 화학물질 노출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9980A (ja) * 2004-10-22 2006-05-11 Misawa Homes Co Ltd 化学物質情報集計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39A (ko) 2018-09-07 2020-03-17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화학제품의 위해성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194083B1 (ko) 2019-10-23 2020-12-28 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개인별 다중이용행태를 반영한 제품안전기준 제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10065734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 위험성 물질 위험성 평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377584B1 (ko) * 2020-09-23 2022-03-24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위해정보 통합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966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966B1 (ko) 생활화학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opec et al. Validation of population-based disease simulation models: a review of concepts and methods
Curran Life cycle assessment: a review of the methodology and its application to sustainability
Loizou et al. Development of good modelling practice for physiologically based pharmacokinetic models for use in risk assessment: the first steps
Bachand et al. Epidemiological studies of formaldehyde exposure and risk of leukemia and nasopharyngeal cancer: a meta-analysis
McNally et al. Advanced REACH Tool: a Bayesian model for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Koçak et al. Integrat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ftware Product Quality.
Jayjock et al. The Daubert standard as applied to exposure assessment modeling using the two-zone (NF/FF) model estimation of indoor air breathing zone concentration as an example
Ranke et al. Comparison of software tools for kinetic evaluation of chemical degradation data
Vinodh et al. DESSAC: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quantifying and analysing agility
Cheung Computing multivariate effect sizes and their sampling covariance matrice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ory, examples, and computer simulations
Larsson The accuracy of surgery time estimations
Zheng et al. Quantify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 for longitudinal mediator and survival outcome using joint modeling approach
Schendel et al. Guidelines for uncertainty analysis: Application of the respective documents of EFSA and BfR for exposure assessments: Framework partnership agreement GP/EFSA/AMU/2016/01 (agreement 2)
Goto et al. Discrete choice experiment of smoking cessation behaviour in Japan
McNally et al. A probabilistic model of human variability in physiology for future application to dose reconstruction and QIVIVE
Krishna et al. SAR genotoxicity and tumorigenicity predictions for 2-MI and 4-MI using multiple SAR software
Chebekoue et al. Derivation of internal dose-based thresholds of toxicological concern for occupational inhalation exposure to systemically acting organic chemicals
KR20200028639A (ko) 화학제품의 위해성 평가장치 및 방법
Salvador-Carulla et al. Economic context analysis in mental health care. Usability of health financing and cost of illness studies for international comparisons
Berthet et al. Impac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ilities on biological monitoring—an approach using toxicokinetic models
Brilhante et al. Information integration through ontology and metadata for sustainability analysis
Duan et al. Reflection on modern methods: understanding bias and data analytical strategies through DAG-based data simulations
Post et al. User requirements for OO CASE tools
Heinemeyer Concepts of exposure analysis for consumer risk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