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160A - 음식물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160A
KR20180018160A KR1020160103188A KR20160103188A KR20180018160A KR 20180018160 A KR20180018160 A KR 20180018160A KR 1020160103188 A KR1020160103188 A KR 1020160103188A KR 20160103188 A KR20160103188 A KR 20160103188A KR 20180018160 A KR20180018160 A KR 2018001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od
head
head po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정
Original Assignee
이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정 filed Critical 이서정
Priority to KR102016010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8160A/ko
Publication of KR2018001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65B67/04Devices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articles or materials into bags, e.g. gu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상기 개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 측 종단부를 경계로 양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재보충 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음식물 충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충진장치{APPARATUS FOR FILL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우치와 같은 외부 용기에 음식물을 쉽게 충진시킬 수 있는 음식물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음식물을 대량으로 만든 경우에, 음식물을 일정량으로 분리하여 가정용 용기에 보관함으로써 보관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가정용 용기의 경우에는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패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을 용기로 옮겨 담는 과정에서도 원하는 양을 정확히 분리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우치와 같은 형태의 밀폐성이 우수한 용기 내에 음식물을 원하는 양만큼 충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음식물 충진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충진장치는, 실린더형 용기 내에 음식물을 보충하고, 피스톤형 가압바를 실린더 내에 삽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음식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충진장치의 경우에는, 실린더형 용기 내의 음식물을 외부로 모두 토출한 후에 음식물을 재보충하기 위하여 피스톤형 가압바를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도, 압력차로 인하여 피스톤형 가압바가 실린더형 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재보충 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음식물 충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상기 개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 측 종단부를 경계로 양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음식물과 직접 접촉하며 제1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몸체부; 단부가 상기 제1헤드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헤드부를 경계로 양측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헤드부, 상기 제2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장부에 수용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턱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1헤드부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벽체; 상기 제1벽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벽체; 상기 제2벽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벽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3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제3벽체에 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1헤드부 내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중심으로 정해진 구간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관통공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중심에 마련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벽체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헤드부의 내벽과 밀착 해제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를 조작하여 압력차를 해소함으로써, 음식물 충진 완료 후 용기부로부터 가압부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음식물 충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가압부를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결합구조로 구성하고, 제2몸체부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동을 쉽게 제어함으로써 압력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를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차를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차를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에 음식물을 충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에 음식물을 충진이 완료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에서 용기부로부터 가압부를 이탈시키기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 변형례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100)는, 용기부(110)와 가압부(120)를 포함하며, 음식물 충진 후 보충시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120)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용기부(110)는 토출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로서, 내부에는 후술하는 가압부(120)가 수용된다.
용기부(110)는 전체적으로 소정 직경의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가압부(120) 및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이 형성된다. 음식물이 토출될 수 있는 경로로서 수용공간(112)의 단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공간(112)는 개구부(111)와 내경이 상이하며, 수용공간(112)과 개구부(111)의 경계가 되는 용기부(110)의 내벽에는 단턱(113)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20)는 상술한 용기부(110)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 변경하여 실질적으로 음식물에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부(120)는 음식물 충진 후 음식물 보충을 위하여 용기부(110)로부터의 용이한 이탈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두 개의 구성요소인 제1몸체부(130)와 제2몸체부(140)가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제1몸체부(130)는 음식물과 실질적인 접촉이 일어나며 가압부(12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헤드부(131)와 제1연장부(13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부(131)는 후술하는 제1연장부(137)와 연결되어 가압부(120)의 종단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제2헤드부(141)를 수용하도록 이격공간(136)을 형성하며, 제1벽체(132)와 제2벽체(133)와 제3벽체(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벽체(132)는 제1연장부(13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기 제2벽체(133)는 제1벽체(132)로부터 수용공간(112)의 내벽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기 제3벽체(134)는 제2벽체(133)로부터 제1벽체(132)로부터 이격되며, 제1벽체(132)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술한 제1벽체(132), 제2벽체(133), 제3벽체(13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을 이격공간(136)이라 하며, 이러한 이격공간(136) 내에 후술하는 제2헤드부(141)가 설치된다. 한편, 제2헤드부(141)가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벽체(132)와 제2벽체(133) 사이의 이격 간격은 제2헤드부(141)의 두께보다 미세히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벽체(134)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35)이 형성된다. 관통공(135)은 제3벽체(134)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벽체(132)와 제3벽체(134)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장부(137)는 용기부(110)의 수용공간(112) 내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개구부(111) 측 단부에는 상술한 제1헤드부(131)가 설치된다.
또한, 제1연장부(137)는 후술하는 제2연장부(144)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140)는 제1몸체부(13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물로서, 제2헤드부(141)와 제2연장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헤드부(141)는 상술한 제1헤드부(13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부(142)와 돌출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142)는 후술하는 제2연장부(144)의 중심에 형성되는 원판형의 구조물이다.
상기 돌출부(143)는 중심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43)는 중심부(142)의 외주면 일영역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타영역에는 돌출부(143)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헤드부(131)의 일부영역에만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영역에는 관통공(135)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돌출부(143)는 제1헤드부(131)의 관통공(135)이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제2헤드부(141)의 영역에만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144)는 단부에 제2헤드부(141)가 설치되며, 제1연장부(137) 내에 수용되는 구조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에 음식물을 충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에 음식물을 충진이 완료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10)의 단부에 음식물을 충진하기 위한 파우치(P)를 장착한 상태에서, 용기부(110) 내에 음식물을 보충한다. 음식물이 보충된 상태에서 가압부(120)를 용기부(110)의 수용공간(112) 내에 장착한 상태로, 가압부(120)에 힘을 가한다.
가압부(120)는 개구부(111)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밀어내고, 음식물을 개구부(111)를 통하여 용기부(110)를 이탈하여 파우치(P) 내에 충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20)가 수용공간(112) 내에 형성된 단턱(113)에 밀착하면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되고, 파우치(P) 내에 음식물의 충진이 완료된다.
용기부(110) 내에 음식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별다른 추가 작업 없이 가압부(120)를 수용공간(112)으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더라도, 압력차에 의하여 가압부(120)를 용이하게 이탈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차를 해소하여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120)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가압부(120)의 개구부(111) 측 단부를 경계로 양측 공간을 서로 연통시켜준다.
도 6은 도 1의 음식물 충진장치에서 용기부로부터 가압부를 이탈시키기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14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시켜주면, 제1헤드부(131) 내에서 제2헤드부(141)가 회전한다. 이때, 회전에 의하여 관통공(135)을 차단하고 있던 돌출부(143)가 위치 이동하고 관통공(135)은 개방됨으로써, 제2헤드부(141)를 경계로 양측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압력차가 해소된다.
압력차 해소로 인하여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120)가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가압부(120)의 이탈 후에는 용기부(110) 내에 음식물을 재보충하여 상술된 순서로 새로운 파우치(P) 내에 음식물을 재충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200) 용기부(110)와 가압부(2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부(241)는 중심부(242)로부터 돌출부(243)가 복수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의 돌출부(243)는 중심부(242)의 외주면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헤드부(231)에 형성되는 관통공(235)도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 관통공(235) 간의 간격은 돌출부(243)의 이격간격에 부합되도록 한다.
관통공(235)은 제3벽체(234)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벽체(232)와 제3벽체(234)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제2헤드부(241)가 회전함에 따라, 관통공(235)의 상측에 돌출부(24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배치되면, 외부의 공기가 관통공(235)을 통하여 제1헤드부(231)의 이격공간(236) 내로 유입되며, 제1헤드부(231)의 양측에 걸린 압력차가 해소되어,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220)를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 변형례의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 제2헤드부(241')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헤드부(241')에는 다수의 유동공이 형성된다. 또한, 제1헤드부(231)에는 유동공(242')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각 위치에 복수 개의 관통공(2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된 변형례에서는 제2헤드부(241')가 회전함에 따라, 유동공(242')과 관통공(235)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관통공(235) 및 유동공(24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헤드부(231) 내로 유입되어 압력차가 해소되어,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220')를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는, 용기부(110)와 가압부(3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용기부(11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가압부(320)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320)는 용기부(110)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 변경하여 실질적으로 음식물에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부(320)는 음식물 충진 후 음식물 보충을 위하여 용기부(110)로부터의 용이한 이탈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두 개의 구성요소인 제1몸체부(330)와 제2몸체부(340)가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제1몸체부(330)는 음식물과 실질적인 접촉이 일어나며 가압부(32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헤드부(331)와 제1연장부(33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부(331)는 후술하는 제1연장부(337)와 연결되어 가압부(320)의 종단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제2헤드부(341)를 수용하도록 이격공간(336)을 형성하며, 제1벽체(332)와 제2벽체(333)와 제3벽체(3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벽체(332)는 제1연장부(33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기 제2벽체(333)는 제1벽체(332)로부터 수용공간(112)의 내벽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기 제3벽체(334)는 제2벽체(333)로부터 제1벽체(332)로부터 이격되며, 제1벽체(332)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벽체 구조물이다.
상술한 제1벽체(332), 제2벽체(333), 제3벽체(33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을 이격공간(336)이라 하며, 이러한 이격공간(336) 내에 후술하는 제2헤드부(341)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부(341)는 제1헤드부(331) 내의 공간인 이격공간(336) 내에서 상하 방향, 즉, 제2연장부(344)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한편, 제2헤드부(34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벽체(332)와 제2벽체(333) 사이의 이격 간격은 제2헤드부(34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337)는 용기부(110)의 수용공간(112) 내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개구부(111) 측 단부에는 상술한 제1헤드부(331)가 설치된다.
또한, 제1연장부(337)는 후술하는 제2연장부(344)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340)는 제1몸체부(33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물로서, 제2헤드부(341)와 제2연장부(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헤드부(341)는 상술한 제1헤드부(331)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판형의 구조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헤드부(341)의 외벽면은 제1헤드부(33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헤드부(341)의 외경은 제1헤드부(331)의 내벽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2헤드부(341)가 제1헤드부(331)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헤드부(341)의 두께는 제1헤드부(331) 내의 이격공간(336)의 높이보다 작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부(110)의 단부에 음식물을 충진하기 위한 파우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용기부(110) 내에 음식물을 보충한다. 음식물이 보충된 상태에서 가압부(320)를 용기부(110)의 수용공간(112) 내에 장착한 상태로, 가압부(320)에 힘을 가한다.
가압부(320)에 힘을 가하면 제2헤드부(341)가 제1헤드부(331)의 제3벽체(334)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부(320)가 음식물을 밀어낸다. 음식물 충진이 완료되면,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320)를 이탈시키며, 이를 위하여 가압부(320) 내에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내외부의 압력차를 해소한다.
압력차 해소를 위해서 제1,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에서는 제2헤드부(341)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충진장치는 제2헤드부(34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1헤드부(331)의 관통공(335)을 개폐하게 된다.
즉, 제2헤드부(341)를 개구부(111)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2헤드부(341)는 제3벽체(334)로부터 밀착 해제되고, 관통공(335)이 개방된다. 개방된 관통공(335)을 통하여 공기가 이격공간(336) 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제1연장부(337)와 제2연장부(344) 사이의 공간 및 수용공간(112) 내를 유동하면서, 발생된 압력차를 해소한다.
상술된 과정으로 가압부(320)에 걸려진 압력차가 해소됨에 따라, 용기부(110)로부터 가압부(320)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용기부 120 : 가압부
130 : 제1몸체부 131 : 제1헤드부
137 : 제1연장부 140 : 제2몸체부
141 : 제2헤드부 144 : 제2연장부

Claims (10)

  1.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상기 개구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 측 종단부를 경계로 양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음식물과 직접 접촉하며 제1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몸체부;
    단부가 상기 제1헤드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헤드부를 경계로 양측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헤드부, 상기 제2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장부에 수용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턱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1헤드부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벽체; 상기 제1벽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벽체; 상기 제2벽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벽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3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제3벽체에 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1헤드부 내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중심으로 정해진 구간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중심에 마련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헤드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벽체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헤드부의 내벽과 밀착 해제됨으로써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충진장치.
KR1020160103188A 2016-08-12 2016-08-12 음식물 충진장치 KR20180018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88A KR20180018160A (ko) 2016-08-12 2016-08-12 음식물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88A KR20180018160A (ko) 2016-08-12 2016-08-12 음식물 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60A true KR20180018160A (ko) 2018-02-21

Family

ID=6152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88A KR20180018160A (ko) 2016-08-12 2016-08-12 음식물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1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9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an electric cigarette
EP3124430B1 (en) Slide valve for liquid injecting container
JP4509799B2 (ja) 機械的および流体力学的に作動する抽出ユニット
CN100484451C (zh) 由容器中的粉末材料渗滤饮料的机器
TWI504518B (zh) 填充墨水匣的對流填充裝置
JP2008501599A5 (ko)
JP6670671B2 (ja) 吐出器
US20160355021A1 (en) Ink supply unit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JP6196546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S6181975A (ja) ペースト状物の供給装置
KR20180018160A (ko) 음식물 충진장치
EP3778418B1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JP6820165B2 (ja) カプセル等に少なくとも2つの製品、特に顆粒状の製薬製品を充填するための供給アセンブリ
JP6150720B2 (ja) インク供給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CN212031919U (zh) 显影剂盒以及显影剂补充装置
JP6349221B2 (ja) 計量容器
CN105919427A (zh) 一种连续冲泡咖啡装置
CN107061136B (zh) 用于液压机的分配装置和装配有该装置的液压机
JP5868112B2 (ja) 流体充填構造、流体充填装置、導入装置、及び逆止弁
JP5452410B2 (ja) 詰め替え容器
JP6193175B2 (ja) 二重容器
CN220242788U (zh) 一种墨水补充容器
EP3193018B1 (en) Improved air compressor
JP6531004B2 (ja) 吐出器
EP3142944A2 (en) Beverage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