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891A -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891A
KR20180017891A KR1020160102412A KR20160102412A KR20180017891A KR 20180017891 A KR20180017891 A KR 20180017891A KR 1020160102412 A KR1020160102412 A KR 1020160102412A KR 20160102412 A KR20160102412 A KR 20160102412A KR 20180017891 A KR20180017891 A KR 2018001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cabbage
standard
componen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208B1 (ko
Inventor
서종수
김종환
홍수명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0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2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25Fruits or vege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상기 농약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 이다. 본 발명에 따라 농약분석 기관의 정도 관리 및 숙련도 평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Analytical standard reference consisting of multi-residue pesticides for cabbage with high stability and homogene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균질성 및 안정성이 적합한 양배추 시료에 대한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준물질은 측정 기기의 교정, 측정 방법의 평가 또는 물질의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치가 충분히 확정되어 있는 균질한 물질을 의미하며, 분석표준물질은 재료 및 시료를 다루는 분야에서 측정결과의 소급성 개념에 효력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비의 교정, 측정방법의 유효성 검토, 물질에 대한 값의 지정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 현재 농산물 내의 농약 잔류분석은 여러 공공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 농약 잔류분석은 매우 낮은 수준의 농도를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일관성의 확보가 중요하지만, 각 기관에서 제시하는 농약잔류분석의 신뢰성 또는 일관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현재 개발된 농약에 대한 표준물질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검출빈도가 낮은 물질로 되어 있어 사용빈도가 높은 농약다성분 분석을 요하는 현재의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양배추 시료에 대한 분석표준물질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배추 분석에 대한 농약잔류분석 결과의 신뢰성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농약다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농산물 중에서 검출빈도가 높은 농약이 함유된 양배추 시료에 대한 분석표준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분석표준물질의 경우 균질성 및 안정성이 요구된다. 양배추 시료에 사용되는 10종의 농약들이 양배추 시료 내에 균질하게 분포되어야 하고, 장기간 보관 시에도 안정성 있는 상태가 요구된다. 또한 분석표준물질의 경우 수분함량이 높으면 칭량 시 수분을 보정을 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가 있어, 수분 함량이 낮을 것이 요구된다.
잔류분석을 수행하는 기관에 대해서 정도 관리용 및 숙련도평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균질성과 안정성이 적합하고 수분함량이 매우 낮은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농산물 내 검출빈도가 높은 농약성분으로 구성되고 LC/MS/MS로 분석할 수 있는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제공하며, 상기 농약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농약다성분은 ISO 13528 Guide에 따라 시료 간의 표준편차(ss)값이 0.3σ 보다 작은 균질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농약다성분은 EURL-PT, IUPAC 및 AOAC International에서 요구하는 Cochran’s test를 통해 ss 2 값이 c 값보다 작아 매우 우수한 균질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10종의 농약다성분은 ISO 35 Guide의 일원분산분석법(ANOVA test)에 따라 병내 표준편차(within-bottle variation, swb)와 병간 표준편차(between-bottle variation, sbb)가 인증값의 0.4~4.7%의 범위로 우수한 균질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은 실온(20~30 ℃)에서 최대 12일, 냉장온도(4~8℃)에서 40일, 냉동온도(-20~-10℃)에서 최대 70일, 초저온(-80℃이하)에서 최대 234일의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분석물질은 수분함량이 0.03% 이내로 매우 낮은 수분함량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체예에 따르면,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의 표준불확도는 인증값의 0.0007~0.0013(±,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제조방법으로서, 세절된 양배추 시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 증류수에 10종의 농약성분을 각각 0.1~1.0 mg/kg을 처리하고 동결건조 후 가루로 분쇄된 양배추 시료 0.5-2kg을 혼합하며 이 때,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의 비율은 1:1-3으로 하는 단계;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가 혼합되도록 30분-2시간, 실온 조건에서 100 -200 rpm으로 반죽하는 단계; 동결 건조기에서 7-8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10분-40분, 실온 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분쇄하는 단계; 테이블 믹서 및 V-믹서로 30분-2시간, 실온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및 각 시험용 용기에 일정량을 소분하여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배추 시료와 증류수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1:2로 할 경우에 동결건조 단계에서 시간이 최대한 단축될 수 있고, 농약다성분이 매우 균질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이후 반죽시 바람직하게는 150 rpm에서 수행하는 바, 150 rpm 이하의 속도는 균질성이 떨어지며 소요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동결건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130℃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바, -130℃ 초과의 온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라인더로 분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실온조건 30분간 150 rpm 수행하는 바, 시료의 손실이 없고,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믹서를 사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테이블 믹서 및 V-믹서를 사용하며, 1시간동안, 실온조건에서 균질화하며 대량의 시료로 v-믹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100rpm의 조건이 시간이 단축되면서 균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균질성과 안정성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아서 잔류농약을 분석하는 기관을 평가할 수 있는 정도관리 및 숙련도 평가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석 분석표준물질은 잔류농약을 분석하는 각 시험소의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고 일관성을 높이고 분석방법을 검증할 수 있는 물질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정도관리 및 숙련도시험에 활용하므로 각 분석기관의 잔류분석시험의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양배추 시료 분석표준물질의 무처리 시료(좌) 및 10종의 농약성분이 처리된 분석표준물질(우)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농산물의 잔류분석에 많이 검출되는 10종의 농약성분을 정해진 농도로 처리한 후, 10종의 농약이 양배추 시료 내에서 균질성 및 안정성 있게 존재하도록 한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양배추 시료에 대한 10종의 농약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균질성"은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내에 10종의 농약성분이 균질하게 섞여있는 정도를 말하며,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분석 시 균질성은 정도관리 및 숙련도 평가의 적합성평가에 일관성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안정성"은 양배추 시료 내에 10종의 농약성분이 저장기간 동안 변성이나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있게 존재하는 정도를 말하며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분석 시, 즉시 분석하지 못할 경우에 확보된 기간 동안 보관하여 보관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변성 및 분해에 따른 분석결과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표준불확도"는 병간의 뷸균질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값으로, 표준불확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시료의 균질성이 우수하고, 설정된 인증값의 신뢰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양배추 시료에서 10종의 농약다성분 선정 및 분석방법의 확립>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에 적용되는 농약다성분은 “2014년 농산물 안전관리 결과(NAQS, 2015. 03)”에 따라 농산물 내 검출빈도가 높은 상위 10종의 농약으로 LC-MS/MS로 분석할 수 있는,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를 선정한다.
양배추 시료의 10종 농약다성분 잔류분석은 “농산물의 잔류농약 분석법(NAQS 시험연구소, 2014)”에서 제시하는 QuEChERS 시료전처리방법과 LC-MS/MS 동시분석법 및 matrix matched calibration을 적용하여 분석장비의 검출한계, 분석법의 검출한계, 직선성, 회수율을 확립한다. 회수율 시험 시 처리농도로는 2개 농도 즉, 저농도와 고농도로 하고, 저농도는 검출한계의 5~20배, 고농도는 검출한계의 25~100배 수준이 되도록 처리한다. QuEChERS 시료 전처리방법은 양배추 분말시료 5g을 정확히 칭량한 후, 증류수 10 mL을 넣어 1시간 방치한다. 아세토니트릴 10 mL을 추가한 후, 1분간 진탕한다 (ceramic homogenizer와 같이 진탕). QuEChERS 추출 kit(phenomenex, roQ QuEChERS 추출 키트, 4g MgSO4, 1g NaCl, 1g 나트륨 트리베이직 2 수화물, 0.5g 나트륨 다이베직 세스퀴수화물)를 넣은 후, 1분간 진탕하고 원심분리기(3,000 rpm, 5분)로 추출용매와 시료를 분리시킨다. 상등액을 2㎛ syringe filter로 여과시킨 후, 0.5mL을 취하여 아세토니트릴로 2배 희석한다. 상기의 시료에서 200 ㎕ 취한 후, 물 750 ㎕와 아세토니트릴 50 ㎕를 넣어 혼합하여 표1의 LC-MS/MS 조건으로 분석한다.
10종의 농약성분의 분석방법과 분석장비의 검출한계, 분석법의 검출한계, 직선성 그리고 회수율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회수율은 98.6~125.1%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직선성은 0.999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표 1] 10종의 농약성분의 분석장비 및 분석법의 검출한계, 직선성 및 회수율
Figure pat00001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양배추 시료를 사용한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이며, 상기 농약 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다.
분석표준물질의 경우 균질성이 요구되는 데, 분석표준물질의 균질성이 떨어지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분석표준물질의 균질성을 평가하는 데는 통상 ISO 가이드라인 13528, ISO 가이드라인 35 에서 제시한 일원분산분석 모델, 또는 EURL-PT(European Union Proficiency Test)에서 제시하는 병간과 병내의 편차(variance) 차이에 따른 균질성 적합성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한다.
ISO 가이드 13528에서 제시하는 균질도 평가는 아래의 식 (1)~(3)에 따라 시료간의 시료 내 표준편차(sw)와 시료 간의 표준편차(ss)를 구하고 허용편차()는 인증값의 25%를 설정하여 계산한다. 각 농약성분들의 시료간의 표준편차(ss)값이 0.3σ 값보다 작으면 통계학적으로 균질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Figure pat00002
ISO 가이드 35에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병간 표준편차(between-bottle variance, sbb)와 병내 표준편차(within-bottle variation, swb)를 5% 유의수준에서 아래의 식 (4)~(5)에 따라 산출한다. 본 시험의 n0은 누락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수 n과 같다. 아래의 식에 따라 병내 표준편차(swb)와 병간 표준편차(sbb)을 산출하여 균질성의 상태를 판단한다.
Figure pat00003
유럽에서 제시하는 EURL-PT의 식 (6)~(7)에 따라 Cochran’s test를 수행하여 이상치(outlier)를 확인한 후 F-검정에 의한 분석시료들의 허용편차 기준값을 산출하고 시료들의 분석결과 편차가 기준값 이내 인 것을 확인한다. 본 시험의 허용표준편차는 인증값의 25%를 설정하여 계산한다. Cochran’s test를 통해 ss 2 값이 c 값 보다 작으면 각 농약성분이 매우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Figure pat00004
표준불확도는 병간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값으로 ISO 가이드 35에 따라 아래의 식 (8)에 의해 산출하여 표준불확도 값을 확인한다.
Figure pat00005
또한, 분석표준물질의 경우 안정성이 요구되는 데, 분석결과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즉시 분석하지 못할 경우 경과시간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분석표준물질을 배송할 때의 조건과 수령 시 다양한 조건에서 보관 후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저장안정성은 온도를 달리하여 안정성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실온(20-30℃)에서 최대 12일, 냉장온도(4~8℃)에서 최대 40일, 냉동온도(-20~-10℃ )에서 최대 70일, 초저온(-80℃이하)에서 최대 234일 동안 안정성이 있다. 안정성의 확인은 ISO 가이드 35에 따라 아래의 식 (9)~(12)에 의해 확인한다.
Figure pat00006
안정성의 적합성 여부는 아래의 공식 (13)에 따라, 각 농약성분의 시간과 농도에 따른 추세선의 기울기 절대값┃b1┃이 t0 .95,n-2s( b1 )보다 작을 경우 불안정성이 관찰되지 않고 안정한 것으로 간주한다.
Figure pat00007
분석표준물질의 경우 수분함량이 많으면 칭량 시 수분보정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수분함량이 0.03%이내로 칭량 시 수분보정을 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분석표준물질의 인증값이 필요한 바, 인증값이란 분석표준물질이 포함하고 있는 각 농약성분의 고유의 농도로서 양배추 시료 분석표준물질을 30반복 추출 및 측정한 후, 계산된 각각의 농약성분의 평균값으로 적용한다.
본 발명의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균질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Inter-lab 시험을 통한 잔류분석 시험기관의 숙련도 및 정도관리 평가에 사용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가 된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잔류분석을 수행하는 기관에 송부하여 분석표준물질 내의 농약성분에 대한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을 할 수 있다. 각각의 잔류분석기관의 숙련도 및 정도관리 평가를 아래의 식 (14)인 z-value의 통계처리를 적용하여, 각각의 잔류분석기관을 평가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결과로 나온 z 값으로부터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양배추 시료의 10종 농약 다성분 분석 표준 물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절된 양배추 시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 증류수에 10종의 농약성분을 각각 0.1~1.0 mg/kg(을 처리하고 동결건조 후 가루로 분쇄된 양배추 시료 0.5-2kg을 혼합하며 이 때,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의 비율은 1:1-3으로 하는 단계;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가 혼합되도록 30분-2시간, 실온 조건에서 100 -200 rpm으로 반죽하는 단계; 동결 건조기에서 7-8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10분-40분, 실온 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분쇄하는 단계; 믹서로 30분-2시간, 실온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및 각 시험용 용기에 일정량을 소분하여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농약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다.
실시예
일정한 크기로 세절된 양배추 시료를 동결건조한 후, 증류수 2 L에 각각의 농약성분이 0.1 mg/kg(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이 되도록 처리한 후, 미세한 가루로 분쇄된 양배추 시료 1kg을 혼합하였다.
세절된 양배추 시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 증류수에 10종의 농약성분을 각각 0.1~1.0 mg/kg을 처리하고 동결건조 후 가루로 분쇄된 양배추 시료 0.5-2kg을 혼합하며 이 때,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의 비율은 1:2로 하였다.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가 혼합되도록 1시간 동안, 실온 조건에서 150 rpm으로 반죽하였다. 이후 동결 건조기에서 7-8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그라인더로 30분, 실온 조건에서 150 rpm으로 분쇄하였다. 테이블 믹서 및 V-믹서로 1시간 동안, 실온조건에서 150 rpm으로 균질화한 후, 각 시험용 용기에 일정량을 소분하였다. 소분한 최종 시료에 대해 균질성, 안정성, 인증값, 표준 불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균질성 및 표준 확인시험
병간(between-bottle)과 병내(within-bottle)의 균질성 확인은 1 kg의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제조한 후, 50 g씩 100 mL bottles에 소분하고 무작위로 10 bottles을 선정한 후, 각 bottle 마다 3 반복씩(상-중-하의 위치) GC 분석하였다. 양배추 시료에 농약성분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시료(control)도 분석하여 LC-MS/MS 분석에 의한 불순물 간섭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C-MS/MS 분석 시, 10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불순물 간섭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 결과는 LC-MS/MS 분석를 통한 농도확인은 불순물의 영향 및 간섭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LC-MS/MS 분석장비로 확인한 농약 10종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 이다.
분석된 결과를 ISO 가이드 13528와 EURL-PT에서 제시하는 균질성 적합 모델법을 적용하여 시료 내 10종 농약의 균질성 적합여부를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간의 표준편차(ss)값이 0.3σ 보다 작으며, EURL-PT에서 요구하는 ss 2 값이 c 값보다 작았다. 따라서, 본원의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내에서 10종의 농약은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2]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ISO 31528 및 EURL-PT 모델의 균질성 결과
Figure pat00010
분석된 결과를 ISO 가이드 35에서 제시하는 일원분산분석법을 적용하여 시료 내 10종 농약의 균질성 적합여부를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병내 표준편차(within-bottle variation, swb)와 병간 표준편차(between-bottle variation, sbb)가 인증값의 0.4~4.7%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따라서, 본원의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내에서 10종의 농약은 불균질성이 매우 낮아 일정한 균질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3]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ISO 35 모델의 균질성 결과
Figure pat00011
실험예 2: 분석표준물질의 안정성(stability) 확인
안정성의 확인은 조제된 분석표준물질이 각 분석기관에 실온상태에 배송되는 상황과 보관 후 분석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실온(20~30°C), 냉장(4~8°C), 냉동(-20~-10°C) 그리고 초저온상태(-80°C)에서 안정성 확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표 8에 나타내었다.
균질성이 확인된 시료를 실온(20~30℃)/냉동(-20~-10℃)/초저온(-80℃)조건에서 보관하면서 10종 농약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농약 10종 모두 실온상태에는 12일, 냉장상태에서 40일, 냉동상태에는 70일, 초저온 상태에서는 234일 동안 안정하였다.
[표 4]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ISO 35 모델의 안정성 결과
Figure pat00012
[표 5] 10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실온상태에서의 안정성 확인
Figure pat00013
[표 6] 10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냉장상태에서의 안정성확인
Figure pat00014
[표 7] 10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냉동상태에서의 안정성 확인
Figure pat00015
[표 8] 10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초저온상태에서의 안정성 확인
Figure pat00016
실험예 3: 수분함량의 측정
균질화된 시료 0.5 g을 데시케이터(P2O5)안에서 1주일 동안 방치한 후, 처리 전후 질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수분함량은 0.03%로 매우 낮아 정도관리용 분석표준물질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표 9]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수분 함량 측정
Figure pat00017
a) (bottle의 전 무게 (g)/bottle의 후 무게 (g))×100
실험예 4: 인증값과 표준 불확도의 측정
분석표준물질을 30반복 추출 및 분석한 후, 산출된 평균값을 인증값으로 적용하였으며, 표준불확도는 ISO 가이드 35에서 제시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준불확도는 병간의 불균질성으로 발생되는 값으로 인증값의 0.8~1.4%수준으로 매우 낮아 각 잔류농약 분석기관의 정도관리 및 숙련도 평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표 10]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인증값 및 표준불확도 측정
Figure pat00018

Claims (8)

  1.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이며, 상기 농약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농약은 ISO 가이드 13528에 따라 시료 간의 표준편차(ss)값이 0.3σ 보다 작은 균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농약은 EURL-PT (European Union Proficiency Test)모델에 따르면, ss 2의 값이 C의 값보다 작은 균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의 분석표준물질에 포함된 농약은 ISO 가이드 35에 따라 병내 표준편차(within-bottle variation, swb)와 병간 표준편차(between-bottle variation, sbb)가 인증값의 1.7~3.7%의 범위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은 실온(20-30℃)에서 최대 12일, 냉동온도(4~8℃)에서 최대 40일, 냉동온도(-20~-10℃)에서 최대 70일, 초저온(-80℃이하)에서 최대 234일의 안정성이 있는 양배추 시료의 다성분농약분석 분석표준물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의 표준분석물질은 수분 함량 0.0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의 다성분농약분석 분석표준물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의 표준불확도는 ISO 가이드 35에 따라 인증값의 0.8~1.4%수준의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8. 제 1항의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 제조 방법으로서,
    세절된 양배추 시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
    증류수에 10종의 농약성분을 각각 0.1~1.0 mg/kg(을 처리하고 동결건조 후 가루로 분쇄된 양배추 시료 0.5-2kg을 혼합하며 이 때,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의 비율은 1:1-3으로 하는 단계;
    증류수와 양배추 시료가 혼합되도록 30분-2시간, 실온 조건에서 100 -200 rpm으로 반죽하는 단계;
    동결 건조기에서 7-8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그라인더로 10분-40분, 실온 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분쇄하는 단계;
    믹서로 30분-2시간, 실온조건에서 100-200 rpm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및
    각 시험용 용기에 일정량을 소분하여 양배추 시료의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농약다성분은 아세트아미프리드,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카이드, 부프로레진, 카벤다짐, 디페노코나졸, 에토펜프록스, 이미다클로프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및 테부코나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시료의 다성분농약 분석표준물질 제조방법.
KR1020160102412A 2016-08-11 2016-08-11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412A KR101850208B1 (ko) 2016-08-11 2016-08-11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412A KR101850208B1 (ko) 2016-08-11 2016-08-11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91A true KR20180017891A (ko) 2018-02-21
KR101850208B1 KR101850208B1 (ko) 2018-05-31

Family

ID=6152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412A KR101850208B1 (ko) 2016-08-11 2016-08-11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136A (zh) * 2018-09-19 2019-01-11 上海市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应用于实验室农药残留能力验证样品的制备方法及应用
CN113758775A (zh) * 2021-09-13 2021-12-07 广州海关技术中心 固体饮料中柠檬黄含量标准样品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732B1 (ko) * 2020-02-07 2022-01-14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핵자기공명분광법 시료용 전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136A (zh) * 2018-09-19 2019-01-11 上海市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应用于实验室农药残留能力验证样品的制备方法及应用
CN113758775A (zh) * 2021-09-13 2021-12-07 广州海关技术中心 固体饮料中柠檬黄含量标准样品及其制备方法
CN113758775B (zh) * 2021-09-13 2024-04-02 广州海关技术中心 固体饮料中柠檬黄含量标准样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208B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208B1 (ko)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양배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209B1 (ko) 안정성 및 균질성이 향상된 풋고추 시료의 농약 다성분 표준분석물질 및 그 제조 방법
Pashkova et al. X-ray fluorescence analysis of milk and dairy products: A review
CN101166965A (zh) 残留农药的萃取方法和萃取试剂盒
CN106813963A (zh) 一种含有氯霉素的鱼肉粉标准物质制备方法
Van de Riet et al. Determination of malachite green and leucomalachite green in a variety of aquacultured products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detection
JP5028275B2 (ja) 亜リン酸、ホセチル−Al又は両者を同時に分析する方法
EP3525230A3 (en) Method for analyzing microorganism
Yarita et al. Difference between consensus value of participants’ results and isotope-dilution mass spectrometric results in proficiency testing for pesticide residues in husked wheat
WO2019105907A1 (de) Prothrombinzeit-reagenz enthaltend einen eisenchelator
NZ516221A (en) Process for the adaptation of flavor mixtures for modifying food flavors
Sykes et al. Pesticide residues in food-based proficiency test materials, spiking values versus consensus assigned values
RU275397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ндартного образца массовой доли тяжелых металлов в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ах
Alder et al. Determination of chlormequat and mepiquat in food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or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interlaboratory study
EP0851231B1 (de) Verwendung von tiefgefrorenem Blut für biologische Untersuchungsverfahren
US20160054241A1 (en) Preparation of sample-pellets by pressing
DE60020391T2 (de) Zusammensetzung und herstellung einer standardprobe
Yarita et al. Comparison of assigned values from participants’ results, spiked concentrations of test samples, and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ic results in proficiency testing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Jiang et al. Determination of chloramphenicol in royal jelly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RU277330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ассовой доли общей ртути в пищевой продук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диного для группы однородно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ции стандартного образца
Hetter et al. Development of candidat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measurement of lead in bone
Adeilina et al. The effects of K2SO4 solution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dental gypsum type III
Ambrus et al. Sources of random variation of pesticide residue analytical results
AU2021107329A4 (en) Highly Loaded Paraquat Formulations
Meda et al. Impact of particle size on content uniform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