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16A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7616A KR20180017616A KR1020160101707A KR20160101707A KR20180017616A KR 20180017616 A KR20180017616 A KR 20180017616A KR 1020160101707 A KR1020160101707 A KR 1020160101707A KR 20160101707 A KR20160101707 A KR 20160101707A KR 20180017616 A KR20180017616 A KR 201800176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glass
- door
- bracket member
- contac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고 개방창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개방창을 덮으며 안착부에 안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와, 프레임결합부로부터 도어글래스를 향해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로부터 도어글래스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도어글래스와 접촉되며 도어글래스를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브래킷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도어의 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조리실이 형성된 밀폐형 조리기기의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도어글래스를 도어프레임에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를 이루는 도어프레임과 도어글래스의 장착 구조에서는, 도어글래스에 너무 강한 압박이 국부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도어프레임과 도어글래스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고정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도어는 밀폐형 조리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한 장의 도어글래스가 장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두 장 이상의 도어글래스가 장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글래스의 개수에 따라 도어글래스가 차지하는 전체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존에 제작되던 도어와 도어글래스의 개수가 다른 도어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프레임과 고정 구조물의 구조가 그에 맞게 변경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도어프레임과 도어글래스 사이의 기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즉 통상적인 도어프레임과 도어글래스의 장착 구조에 따르면, 도어글래스의 개수가 서로 다른 도어 간의 부품 호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도어글래스의 개수가 다른 도어들 간의 부품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밀성능을 높이면서도 도어글래스에 가해지는 압박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는: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창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개방창을 덮으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를 향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되며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브래킷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도어글래스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기 도어글래스와의 접촉면에서 절개된 일부분이 상기 도어글래스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3면이 분리되도록 절개되어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절곡된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평면 형태의 금속판이 "ㄷ" 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글래스의 측방향 위치를 구속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접촉부 간의 간격은, 상기 설정간격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설정간격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가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가로지지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세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가로방향 테두리를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가로지지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세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지지부의 접촉부와 상기 세로지지부의 접촉부가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는,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브래킷부재와 "ㄴ" 형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브래킷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가 "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글래스의 네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는, 상기 가로지지부 또는 상기 세로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촉결합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결합부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의 세로지지부와 면접촉되며 결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결합부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의 가로지지부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기 프레임결합부 또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창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개방창을 덮으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를 향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되며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브래킷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를 제조하고자 경우에도, 브래킷부재만 그에 적합한 것으로 준비하면 도어프레임 및 그외 관련 부품들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부품들의 호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도어글래스에 대해 이루어지는 밀착 및 가압 작용이 안착부 및 탄성가압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방도어글래스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도어의 기밀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판이 벤딩되어 매끄럽게 연결된 부분만이 도어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설치되는 브래킷부재를 이용하여 파단면이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 완성도가 향상된 도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래킷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래킷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이러한 상판(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0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0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00a)이 설치된다. 핸들(100a)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10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100)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래킷부재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도어패널(110)과 도어프레임(120)과 도어글래스(130,140) 및 브래킷부재(150,160)를 포함한다.
도어패널(110)은, 도어(100)의 전면, 상면 및 양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패널(110)은,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패널(110)의 전면에는 전방개방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개방창(111)은, 조리실(31)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도어패널(110)의 일부가 대략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20)은, 도어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도어(100)의 후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프레임(120)이 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프레임(120)에는 후방개방창(121)이 형성된다. 후방개방창(121)은, 전방개방창(111)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도어프레임(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120)의 후방개방창(121)을 둘러싸는 주변부에는, 안착부(123)가 마련된다. 안착부(123)는, 후방개방창(121)을 둘러싸는 도어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안착부(123)는, 후술할 후방도어글래스(140)와 접촉되는 평면 형태의 접촉지지면(123a)과 이러한 접촉지지면(123a)을 후방도어글래스(14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프레임(120)은, 그 상면 및 양측면의 외측이 도어패널(110)의 상면의 양측면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도어패널(110)과 도어프레임(120)의 사이에는, 도어글래스(130,140)와 브래킷부재(150,16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도어글래스(130,140)는, 개방창(111,121)을 덮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글래스(130,140)로서 전방개방창(111)을 덮는 전방도어글래스(130)와 후방개방창(121)을 덮는 후방도어글래스(1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방도어글래스(130)는, 전방개방창(111)을 덮도록 도어패널(110)에 설치되어 전방개방창(111)을 차폐한다. 그리고 후방도어글래스(140)는, 후방개방창(121)을 덮도록 도어프레임(120)에 설치되어 후방개방창(121)을 차폐한다.
이때 후방도어글래스(140)는, 후면 테두리 부분이 안착부(123)에 안착된 상태로 도어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도어글래스(140)는, 안착부(123)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안착부(123)와 밀착됨으로써 도어프레임(120)과 밀착될 수 있다.
브래킷부재(150,160)는, 후방도어글래스(140)를 도어프레임(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브래킷부재(150,16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가로지지부(151)와 세로지지부(155)를 포함하는 제1브래킷부재(150)와 "ㄴ" 형상으로 연결되는 가로지지부(161)와 세로지지부(165)를 포함하는 제2브래킷부재(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네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브래킷부재(150)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상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며, 제2브래킷부재(160)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하측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를 밀착시키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가로지지부(151,161)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가로방향 테두리, 즉 상측 테두리 또는 하측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세로지지부(155,165)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세로방향 테두리, 즉 좌측 테두리 또는 우측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제1브래킷부재(150)는, 가로지지부(151)와 세로지지부(155)를 통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상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는 구성이 된다.
그리고 제2브래킷부재(160)는, 가로지지부(161)와 세로지지부(165)를 통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하측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는 구성이 된다.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에 마련되는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은,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a)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두께방향(이하 "두께방향(t)"이라 한다)을 따라 안착부(123)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프레임결합부(a)는, 후방도어글래스(140)와 나란한 평면을 포함하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프레임(120)과 프레임결합부(a) 사이에는, 결합서포터(125)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서포터(125)는, 도어프레임(120)과 프레임결합부(a)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어프레임(120)에 마련되며, 두께방향(t)에 따른 길이가 대략 설정간격만큼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서포터(125)는, 두께방향(t) 일측이 도어프레임(120)에 결합되고, 두께방향(t) 타측이 프레임결합부(a)와 결합됨으로써, 안착부(123)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결합부(a)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네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서포터(125)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의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에 구비된 결합서포터(125)가 결합서포터(125)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안착부(123)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결합부(a)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가 도어프레임(12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b)는, 프레임결합부(a)로부터 후방도어글래스(140)를 향해 두께방향(t)을 따라 연장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연장부(b)는, 프레임결합부(a)와 후술할 접촉부(c)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프레임결합부(a)와 접촉부(c)를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접촉부(c)는, 연장부(b)로부터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c)는, 배면이 안착부(123)에 안착된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접촉되며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부(a)와 접촉부(c)는 연장부(b)에 의해 연결되며, 프레임결합부(a)와 접촉부(c) 간의 간격은 연장부(b)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b)의 길이는 설정간격에서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며, 이로써 접촉부(c)는 프레임결합부(a)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안착부(123)에 안착된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래킷부재(150,160)의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은,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은, 평면 형태의 금속판이 "ㄷ" 형상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 각각은, 이와 같이 형성된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 각각은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 부재를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벤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 각각은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가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의 연결은, 가로지지부(151,161)의 접촉부(c)와 세로지지부(155,165)의 접촉부가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래킷부재(150)가 "ㄱ"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2브래킷부재(160)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가 "ㅁ"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브래킷부재(150,160)를 이룬다.
이와 같이 "ㅁ"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브래킷부재(150,160)를 이루는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ㄱ" 형상의 제1브래킷부재(150)를 두께방향(t)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키면 제2브래킷부재(160)와 같이 "ㄴ" 형상을 이루게 되며, "ㄴ" 형상의 제2브래킷부재(160)를 180˚ 회전시키면 제1브래킷부재(150)와 같이 "ㄱ"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브래킷부재(150,160)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종류가 감소될 수 있고, 이로써 부품의 제조와 관리가 용이해지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브래킷부재(150,16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결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결합부(170)는, 가로지지부(151,161) 또는 세로지지부(155,16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다. 접촉결합부(170)가 가로지지부(151,161)에 형성되는 경우, 접촉결합부(170)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150,160)의 세로지지부(155,165)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접촉결합부(170)가 세로지지부(155,165)에 형성되는 경우, 접촉결합부(170)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150,160)의 가로지지부(151,161)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또한 접촉결합부(170)는, 프레임결합부(a) 또는 연장부(b)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결합부(170)가 세로지지부(155,165)의 단부에 형성되되, 연장부(b)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브래킷부재(160)의 접촉결합부(170)는 제1브래킷부재(150)와 마주보는 세로지지부(165)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결합부(170)는, 연장부(b)의 단부가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브래킷부재(150)의 마주보는 면과 나란한 평면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촉결합부(170)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인 제1브래킷부재(150)의 가로지지부(151)에 형성된 연장부(b)와 면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다.
제2브래킷부재(160)의 접촉결합부(170)와 제1브래킷부재(150)의 연장부(b) 간의 결합은, 접촉결합부(170)와 연장부(b)의 맞닿는 접촉면을 관통하며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브래킷부재(150)의 세로지지부(155)에도 접촉결합부(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브래킷부재(150)의 세로지지부(155)와 제2브래킷부재(160)의 가로지지부(16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촉결합부(170)에는, 오목부(170a)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결합부(170)와 맞닿는 연장부(b)에는, 볼록부(151a)가 오목부(170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오목부(170a)와 볼록부(151a)는 접촉결합부(170)와 연장부(b) 간의 결합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170a)와 볼록부(151a)의 맞물림에 의해 제1브래킷부재(150)의 가로지지부(151)와 제2브래킷부재(160)의 세로지지부(165)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의 조립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래킷부재(150,160)의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은,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 각각은, 평면 형태의 금속판이 "ㄷ" 형상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 각각은, 이와 같이 형성된 가로지지부(151,161)와 세로지지부(155,165)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재(150,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d)는, 접촉부(c)에 후방도어글래스(14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가압부(d)는 접촉부(c)의 후방도어글래스(140)와의 접촉면에서 절개된 일부분이 후방도어글래스(140)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탄성가압부(d)는 접촉부(c)로부터 3면이 분리되도록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절곡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d)는, 접촉부(c)와 접촉되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탄성가압부(d)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방에서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후방도어글래스(140)가 안착부(123)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브래킷부재(150,160)는, 지지부(e)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부(e)는, 접촉부(c)로부터 두께방향(t)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e)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면서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테두리를 측방향에서 감쌈으로써,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측방향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도어프레임(120), 후방도어글래스(140), 브래킷부재(150,160), 전방도어글래스(130), 도어패널(110)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후방도어글래스(140)는 도어프레임(120)과 브래킷부재(150,160) 사이에 배치되며, 도어프레임(120)과 브래킷부재(150,160) 간의 결합에 의해 도어프레임(120)과 브래킷부재(150,160) 사이의 위치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배면은 안착부(123)에 안착되고,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은 도어프레임(120)과 결합된 브래킷부재(150,160)에 의해 지지된다.
브래킷부재(150,160)는, 프레임결합부(a)와 연장부(b) 및 접촉부(c)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브래킷부재(150,160)는, 프레임결합부(a)가 결합서포터(125)를 매개로 도어프레임(120)과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120)과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120)과 결합된 프레임결합부(a)와 연결된 접촉부(c)가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접촉되면서, 브래킷부재(150,160)가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지지하는 후방도어글래스(140) 지지 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후방도어글래스(140)와 접촉되는 접촉부(c)에는, 탄성가압부(d)가 후방도어글래스(14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탄성가압부(d)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접촉되면서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브래킷부재(150,160)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후면과 안착부(123)의 밀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방 측에서는 탄성지지부(123b)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123)와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배면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후방도어글래스(140)를 브래킷부재(150,160)의 접촉부(c)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후방 측에서는 탄성가압부(d)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브래킷부재(150,160)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도어글래스(140)에 대해 이루어지는 밀착 및 가압 작용에 의해, 도어프레임(120)과 후방도어글래스(140) 사이의 기밀 및 후방도어글래스(140)와 브래킷부재(150,160) 사이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밀성능이 향상된 도어(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지지하는 부분인 접촉부(c)와 브래킷부재(150,160)를 도어프레임(120)에 결합시키는 부분인 프레임결합부(a) 간의 간격은 연장부(b)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연장부(b)의 길이는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연장부(b)의 길이는 설정간격에서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도어글래스(140) 자체의 두께 증가나 후방도어글래스(140)의 개수 증가로 인해 후방도어글래스(140)가 차지하는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그에 맞게 연장부(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진 길이로 설정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연장부(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 길이로 설정된다.
이에 따르면, 브래킷부재(150,160)는 후방도어글래스(140)가 차지하는 전체 두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후방도어글래스(140)를 도어프레임(12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후방도어글래스(140)가 차지하는 전체 두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브래킷부재(150,160)만 마련되면, 도어프레임(120)이나 도어패널(110), 기타 다른 구성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설치가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글래스의 설치 구조가 예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글래스(1,2)는 도어프레임(3)과 이너커버(4) 사이에 설치된다.
도어프레임(3)에 2장의 도어글래스(1,2)가 설치되는 경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2장의 도어글래스(1,2) 사이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글래스홀더(5)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2장의 도어글래스(1,2)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도어프레임(3)과 이너커버(4)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도어글래스(1,2)의 전방에는 이너커버(4)가 도어프레임(3)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도어글래스(1,2)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너커버(4)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평판 형태로 마련된다. 이너커버(4)의 내부의 개구는, 조리실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너커버(4)의 중심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너커버(4) 내부의 개구 주변부에는 이너커버(4)가 절개됨에 따라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파단면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파단면은 그 전방에 위치한 글래스홀더(5)에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는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평판 형태로 마련되는 이너커버(4)는, 도어프레임(3)에 결합되어 도어글래스(1,2)를 압박함으로써 도어프레임(3)과 도어글래스(1,2) 간의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어프레임(3)과 도어글래스(1,2) 간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너커버(4)가 도어글래스(1,2)를 압박하는 강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너커버(4)의 압박 강도가 높아지면 도어글래스(1,2)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도어글래스(1,2)가 파손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어글래스(1,2)의 고정 구조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3)에 1장의 도어글래스(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어글래스(1)가 안착되는 도어프레임(3)의 안착면과 이너커버(4) 간의 간격이 도어글래스(1)가 차지하는 두께보다 넓어지게 되므로, 도어글래스(1)가 제대로 고정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1장의 도어글래스(1)가 설치되는 형태의 도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어프레임(3)의 형상이 그에 적합한 형상으로 변경되어야만 하며, 이로 인해 그와 관련된 다른 여러 부품들의 형상 또한 그에 적합하게 변경되어야 한다.
즉 도어글래스(1)의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를 제조하고자 할 때 도어프레임(3)과 같은 부품들의 호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도어글래스(1)의 두께, 설치 개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의 도어프레임(3)이 각각 제조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어프레임(3)에 2장 이상의 도어글래스(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글래스홀더(4; 도 10 참조)로 인해 이너커버(4)의 파단면이 노출되지 않았으나, 1장의 도어글래스(1)가 설치되는 형태의 도어에서는 글래스홀더(4)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이너커버(4)의 파단면이 전방으로 그대로 노출되어 도어의 외관 완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비교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도어(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후방도어글래스(140)가 차지하는 전체 두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브래킷부재(150,160)로 브래킷부재(150,160)의 교체만 이루어지면, 도어프레임(120)이나 도어패널(110), 기타 다른 구성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설치가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글래스(1)의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100)를 제조하고자 경우에도, 브래킷부재(150,160)만 그에 적합한 것으로 준비하면 도어프레임(120) 및 그외 관련 부품들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100)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부품들의 호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래킷부재(150,160)의 구조 변경 또한 단순히 연장부(b)의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큰 형상 변경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러 형태의 브래킷부재(150,160)를 제조하는데도 어려움이 없고, 도어프레임(120) 등과 같은 부품의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적은 수준의 비용만이 소요된다.
더욱이 제1브래킷부재(150)와 제2브래킷부재(160)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면, 브래킷부재(150,160)의 구조 변경 수준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것이므로, 매우 적은 수준의 비용 증가만으로 여러 형태의 브래킷부재(150,160)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후방도어글래스(140) 고정 구조에 따르면, 브래킷부재(150,160)는 평면 형태의 금속판이 일측이 개구된 "ㄷ" 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평면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전방개방창(111; 도 3 참조)을 통해 도어(100)의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는 금속판이 절개된 부분이 아니라 금속판이 벤딩되어 매끄럽게 연결된 부분만이 보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개방창(111; 도 3 참조)을 통해 파단면이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도어(100)의 외관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후방도어글래스(140) 고정 구조에 따르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방 측에서는 탄성지지부(123b)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123)와 후방도어글래스(140)의 배면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후방도어글래스(140)를 브래킷부재(150,160)의 접촉부(c)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후방도어글래스(140)의 후방 측에서는 탄성가압부(d)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후방도어글래스(140)의 전면과 브래킷부재(150,160)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후방도어글래스(140)를 안착부(123)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후방도어글래스(140)에 대해 이루어지는 밀착 및 가압 작용이 안착부(123) 및 탄성가압부(d)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후방도어글래스(140)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도어(100)의 기밀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30 : 오븐부
50 : 전장실
100 : 도어
110 : 도어패널
100a : 핸들
111 : 전방개방창
120 : 도어프레임
121 : 후방개방창
123 : 안착부
123a : 접촉지지면
123b : 탄성지지부
125 : 결합서포터
130 : 전방도어글래스
140 : 후방도어글래스
150 : 제1브래킷부재
151,161 : 가로지지부
151a : 볼록부
155,165 : 세로지지부
160 : 제2브래킷부재
170 : 접촉결합부
170a : 오목부
a : 프레임결합부
b : 연장부
c : 접촉부
d : 탄성가압부
e : 지지부
20 : 쿡탑부
30 : 오븐부
50 : 전장실
100 : 도어
110 : 도어패널
100a : 핸들
111 : 전방개방창
120 : 도어프레임
121 : 후방개방창
123 : 안착부
123a : 접촉지지면
123b : 탄성지지부
125 : 결합서포터
130 : 전방도어글래스
140 : 후방도어글래스
150 : 제1브래킷부재
151,161 : 가로지지부
151a : 볼록부
155,165 : 세로지지부
160 : 제2브래킷부재
170 : 접촉결합부
170a : 오목부
a : 프레임결합부
b : 연장부
c : 접촉부
d : 탄성가압부
e : 지지부
Claims (19)
-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창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개방창을 덮으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를 향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되며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브래킷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도어글래스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기 도어글래스와의 접촉면에서 절개된 일부분이 상기 도어글래스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도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3면이 분리되도록 절개되어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절곡된 ">"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평면 형태의 금속판이 "ㄷ" 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글래스의 측방향 위치를 구속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접촉부 간의 간격은, 상기 설정간격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도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설정간격에서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가 차감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도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가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가로지지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세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도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도어글래스의 가로방향 테두리를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가로지지부,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세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도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접촉부가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지지부의 접촉부와 상기 세로지지부의 접촉부가 "ㄱ" 형상 또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도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는,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브래킷부재와 "ㄴ" 형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세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브래킷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가 "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글래스의 네 테두리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도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부재와 상기 제2브래킷부재는, 상기 가로지지부 또는 상기 세로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촉결합부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결합부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의 세로지지부와 면접촉되며 결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부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결합부는, 인접한 다른 브래킷부재의 가로지지부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도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기 프레임결합부 또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도어.
-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내측에 개방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창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개방창을 덮으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도어글래스; 및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설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프레임결합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를 향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평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되며 상기 도어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브래킷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707A KR101847278B1 (ko) | 2016-08-10 | 2016-08-10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707A KR101847278B1 (ko) | 2016-08-10 | 2016-08-10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616A true KR20180017616A (ko) | 2018-02-21 |
KR101847278B1 KR101847278B1 (ko) | 2018-04-09 |
Family
ID=6152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1707A KR101847278B1 (ko) | 2016-08-10 | 2016-08-10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27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1553A1 (en) | 2020-03-31 | 2021-10-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
2016
- 2016-08-10 KR KR1020160101707A patent/KR10184727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1553A1 (en) | 2020-03-31 | 2021-10-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EP4058736A4 (en) * | 2020-03-31 | 2022-1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AND HOUSEHOLD APPLIANCE WITH SAID DOOR |
US12000594B2 (en) | 2020-03-31 | 202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7278B1 (ko) | 2018-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6813B1 (ko) | 금속패널 및 그 가공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 | |
US10208963B2 (en) | Cooking appliance | |
KR20190018945A (ko) |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
WO2015062756A1 (en) | A door for a domestic appliance | |
US9482437B2 (en) | Front frame for a cooking device | |
KR101847278B1 (ko)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
US10736186B2 (en) | Cooking appliance | |
KR20110078910A (ko) | 조리기기 | |
JP6162538B2 (ja) | 加熱調理器 | |
KR20180121252A (ko) | 오븐 | |
KR20180037700A (ko) | 컨트롤패널 및 이를 갖는 가전제품 | |
JP6189677B2 (ja) | 加熱調理器 | |
JP2000274694A (ja) | 加熱調理器 | |
KR101064060B1 (ko) | 조리기기용 도어 | |
KR101985527B1 (ko) |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
KR100782178B1 (ko) | 전기 오븐 | |
KR101815777B1 (ko) | 쿡탑 고정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00769B1 (ko) | 오븐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 |
JP2020067251A (ja) | 加熱調理器 | |
KR20180079709A (ko) | 도어 서포터와 이를 구비하는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
KR100641433B1 (ko) | 전기 오븐 | |
JP6189676B2 (ja) | 加熱調理器 | |
KR101231322B1 (ko) |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 |
KR20220152799A (ko) | 조리 기기 | |
KR101623590B1 (ko) |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