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19A -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419A
KR20180017419A KR1020160101206A KR20160101206A KR20180017419A KR 20180017419 A KR20180017419 A KR 20180017419A KR 1020160101206 A KR1020160101206 A KR 1020160101206A KR 20160101206 A KR20160101206 A KR 20160101206A KR 20180017419 A KR20180017419 A KR 2018001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atient
information
bed
bed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신택균
Original Assignee
조용현
신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현, 신택균 filed Critical 조용현
Priority to KR102016010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419A/ko
Publication of KR2018001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86Accessories or supplementary instru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G06F19/34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Nursing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으로서, 병상의 물리적 기본골격인 베이스부, 베이스부 상에 놓이는 매트부, 및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펜스, 베이스부, 매트부 및 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동부를 가진 병상기구와, 병상기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병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있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감지하는 신체 센싱부를 가지고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구를 포함하는 스마트 병상과; 스마트 병상으로부터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전달받아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환자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와; 스마트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원측 단말기를; 구비하고, 스마트 병상, 스마트 서버 및 요원측 단말기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 상호 연결되며, 요원측 단말기는 고정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이다. 따라서, 환자의 병환상태 및 병상자체의 상태정보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 및 이동단말기를 통해 수시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에 대한 신속한 대처능력, 치료 및 간호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 경감, 경제적으로 노무비 절감효과와, 환자 안전성 제고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SMART MEDICAL BED SYSTEM AND PATI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상 차원에서 환자로부터 발생하는 생리적 현상에 관한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적기에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병상 내에 각종 센싱장비와 계측장비가 구비되고,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와 병상내 장비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병상내 장비가 외부 고정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 스마트 서버,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서로 정보를 주고받거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상의 기계적 구조의 움직임 또는 변화를 원격에서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병상은 환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는 용도, 간단한 시술을 받을 때 위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병상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수동 또는 전동식 등받이 높이조절, 안전펜스, 식사탁자 등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최근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호스피탈 서비스의 경우 병상에 모니터나 태블릿을 설치하여 VOD 서비스 등 환자의 여가 생활을 위한 미디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가 있지만 환자의 치료나 간호, 간병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장치는 아니다.
따라서, 환자로부터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몸무게, 체온, 심박수, 혈압, 혈당, 대소변 등에 관한 정보를 체크해야 한다. 또한, 중환자실에서도 이러한 기초정보는 외부장치를 병상 주변에 배치해서 수집해야 하고, 더욱이 일부 정보는 환자를 움직이고 센싱기기를 이동시켜 수동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병상 자체에 신체 센싱부를 배치하여 환자의 이동이나 의료관련 요원인 간호원 등의 도움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실시간으로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상과 해당 환자를 돌보는 의사, 간호원, 간병인 등의 요원이 핸들링할 수 있는 고정 또는 이동단말기를 유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환자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서 병상의 센싱장비 또는 계측장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상과 해당 환자를 돌보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의 고정 또는 이동단말기를 유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병상의 이동, 펜스의 움직임 등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서 병상의 기계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으로서, 병상의 물리적 기본골격인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놓이는 매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펜스, 상기 베이스부, 상기 매트부 및 상기 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동부를 가진 병상기구와, 상기 병상기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병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있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감지하는 신체 센싱부를 가지고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구를 포함하는 스마트 병상과; 상기 스마트 병상으로부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전달받아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환자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와; 상기 스마트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원측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병상, 상기 스마트 서버 및 상기 요원측 단말기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요원측 단말기는 고정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기구는 상기 병상기구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병상기구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서버는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로부터 제공하는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여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제공하며, 상기 요원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병상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신체 센싱부와 조력하여 환자에 관한 과거 및 현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함께 상기 스마트 서버에 제공하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구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가 제공하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수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기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 중 관련있는 구성요소에 연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연계부와, 상기 스마트 병상과 시스템의 다른 장치와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와,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의 감지,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의 감지, 상기 연계부의 동작, 및 상기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의 동작, 상기 스마트 서버 및 상기 요원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상기 병상기구의 전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제어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는 환자의 몸무게, 체온, 습도, 심박수, 혈압, 혈당, 욕창정보, 심전도, 수액정보, 소변정보, 배변정보, 뇌파정보, 호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신체 센싱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로부터의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조합으로 상기 연계부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의 협동작용에 의해 완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체 센싱부는, 몸무게 감지기, 체온 감지기, 습도 감지기, 심박수 감지기, 혈압 감지기, 혈당 감지기, 욕창 감지기, 심전도 감지기, 수액 감지기, 소변 감지기, 배변 감지기, 뇌파 감지기 및 호흡 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는, EMR 서버, X레이/자기공명검사기, 초음파검사기, 심전도 관리장치, 뇌파 관리장치, 혈압 관리장치, 산소포화도 관리장치, 대소변 관리장치, 욕창 관리장치, 수액 관리장치 및 혈액검사실 관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스마트 제어부의 도움으로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의 각 구성요소로부터 상호 연관성을 대응시켜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완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기구는 환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신체로부터 스마트 베드에 접근한 인체의 정체성을 식별하는 인체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 식별부는 지문감지기, 홍체감지기, 정맥감지기, 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상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간이식탁과, 상기 베이스부의 다리에 연결되어 스마트 병상 자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부와 수액을 유지하는 수액유지부와 환자의 호흡을 돕는 보조기구로서의 호흡도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는 베이스부 베드판 및 등받이 이동 감지기와, 간이식탁 이동 감지기, 상기 매트부의 이동,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매트부 감지기와 펜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펜스부 이동 감지기와, 휠의 이동을 감지하는 휠 이동 감지기와, 수액유지 프레임 이동 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상에는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 연결되어 스마트 기구의 각 구성요소의 설정값을 셋팅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병상단말기가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 서버는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상기 병상단말기에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전달하며, 상기 병상단말기의 셋팅값 입력은 병상단말기 자체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과 상기 요원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입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IoT 센서칩이고, 상기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블루투스 및 IoT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기는 태블릿 PC 또는 일반PC이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병상의 물리적 기본골격인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놓이는 매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펜스, 상기 베이스부, 상기 매트부 및 상기 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동부를 가진 병상기구와,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신체 센싱부 및 상기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병상기구 센싱부를 가진 스마트 기구를 포함하는 스마트 병상과;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하여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스마트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원측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환자관리방법은, 상기 스마트 병상의 스마트 기구가 상기 신체 센싱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있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감지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스마트 기구가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병상기구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서버가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여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요원 단말기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병상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신체 센싱부와 조력하여 환자에 관한 과거 및 현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함께 상기 스마트 서버에 제공하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구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가 제공하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수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기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 중 관련 있는 구성요소에 연계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는 환자의 몸무게, 체온, 습도, 심박수, 혈압, 혈당, 욕창정보, 심전도, 수액정보, 소변정보, 대변정보, 뇌파정보, 호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신체 센싱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로부터의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조합으로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기구가 환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신체로부터 스마트 베드에 접근한 인체의 정체성을 식별하는 인체 식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 식별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구가 사용하는 센서는 지문감지기, 홍체감지기, 정맥감지기, 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환자의 병환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존재하는 신체 센싱부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이동과 정보수집을 위한 기구의 설치, 간호사가 환자에게 직접 감지기구를 셋팅하는 수동식 측정 등과 같은 불편하고 시간이 들어가는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둘째, 병상 구조물의 현재 상태와 환자 자체의 현재 병환상태를 거의 실시간으로 환자 치료 또는 간병에 관여하는 요원의 고정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의사, 간호사, 간병인은 언제라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전달받은 병상기구 상태정보와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병상에서의 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자신들의 단말기로 원격에서도 병상기구 및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문제 대처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첫째 및 둘째 효과에 따라서, 환자 간호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경감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노무비 절감효과와, 환자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노령화 및 치매 등의 문제로 와상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이 제공하는 효과를 이러한 노령화에 따른 간호문제를 해소하는 것에 적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병상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신체 센싱부를 중심으로 하는 병상내 장치와 병상외 의료관련기구 간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병상기구 센싱부를 중심으로 하는 병상내 장치와 기계적 병상기구 간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스마트 병상(10), 병상단말기(20), 병상외 의료기기(400), 통신망(700), 스마트 서버(500), 고정단말기(ST) 및 이동단말기(MT)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병상(10)은 일반 병상의 기능 외에도 환자의 일상적인 생리변화에 관한 생리기초정보 및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 정보 등(환자관련 기초정보)을 검출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마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제공기능에 관여하는 전자기계적 장치와 병상의 기계적 기구의 동작을, 예를 들면, 고정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의 이동단말기나 태블릿PC 또는 개인용PC 등의 고정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병상(10)은 침대의 일반적 물리적, 또는 기계적 구조를 포함하는 한편 전동식 동작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병상기구(200)와, 환자 신체의 일상적, 생리적 변화에 관한 생리기초정보 및 환자에 투여되는 수액정보 등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한편 병상기구(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병상기구(200)의 움직임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도록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구(300)와, 병상기구(200) 및 스마트기구(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를 포함한다. 스마트 병상(10), 병상기구(200) 및 스마트기구(300)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병상단말기(20)는 스마트기구(300)가 제공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병상기구(200) 또는 스마트기구(300)의 설정값이나 제어값 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 또한, 스마트 서버(500)가 제공하는 현재 또는 과거의 환자 상태정보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스마트 서버(500)와 관련한 동작은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병상단말기(20)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의 의료 관련요원(본 명세서에서 칭하는 "요원"은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 환자의 치료나 간병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며, 의료관련요원, 관련요원, 또는 요원으로 사용한다)이 직접 설정값이나 제어값을 입력할 수도 있고 원격으로 떨어져 있는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단말기(MT)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원격으로 병상단말기(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병상단말기(20)는 태블릿 PC, 개인용 일반 PC, 무선 단말기 등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이 없다.
다음에,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는 병상기구(200) 및 스마트기구(300) 내에 설치되지 않은 의료관련 여러 계측기기, 장치, 설비라 할 수 있다. 특히,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는 병상의 인근에 위치하거나 다소 원격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면서 스마트 병상의 스마트 기구가 생성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수집하는데 도움을 주는 계측기기나 보조기구 및 EMR 서버 등 환자의 인적정보, 신체적 의료관련 정보를 스마트 병상(10)의 구성요소와 주고받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병상(10)의 스마트 기구(300)가 생성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완성하는데 조력하는 병원내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스마트 서버(500)는 스마트 기구(300)로부터 제공하는 모든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와 병상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의료관련 요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고정단말기(ST) 및 이동단말기(MT)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 환자의 치료나 병간호와 관련된 관련요원이 관장하거나 이동하면서 소지할 수 있는 단말기이며, 고정단말기(ST)는 태블릿 PC, 개인용 일반 PC 등이고, 이동단말기(MT)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능이면, 병원내에서만 사용하는 전용의 고정 또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 범용단말기에 앱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앱의 제공은 스마트 서버(500)가 관장한다.
다음에 통신망(70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관여하는 모든 구성요소들 간의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웍이며, 이동통신망(701), 인터넷(702), 블루투스(703), IoT망(7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이동통신망(701), 인터넷(702), 블루투스(703), IoT망(704)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통신연결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IoT망(704)의 경우 단독으로 또는 다른 통신망과 연계하여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감지기(또는 센서)에 적용하는 IoT 센서칩으로 구성할 경우 매우 간편하게 스마트 병상(10)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병상(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병상(1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스마트 병상(10)은 병상기구(200), 스마트 기구(300) 및 전원부(15)를 포함한다.
먼저, 병상기구(200)는 침대의 기계적 기본골격과 그 부착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침대의 기계적 프레임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베이스부(210)와, 이 베이스부(210)의 일측에서 착탈가능하고 접철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간이식탁(220)과, 베이스부(210)의 베드판 위에 놓이는 매트부(230)와, 베이스부(210)의 베드판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펜스부(240)와, 베이스부(210)의 다리부 아래에 부착되어 스마트 병상(10)의 전체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부(250)와, 링겔 등의 수액을 걸거나 고정하여 유지하는 수액유지부(260), 산소호흡기 등의 호흡과 관련된 기구를 포함하는 호흡도구부(270) 및 이들 병상기구(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동력을 부여하는 전동부(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현하는 전동부(280)는 병상기구 각각의 구성요소 마다 결합되는 전동모터의 총합을 의미하며, 전동모터는 모든 병상기구의 모든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병상기구(200)는 일실시예로서 예시한 것이며,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체 접철식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수액유지부(260) 및 호흡도구부(270) 외에도, 환자 팔다리 유지부 등 의료용으로 필요한 여러 장비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의 베드판은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이동식 등받이 기능 외에도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신체부위별로 상하좌우 자유로이 몸을 변경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스마트 기구(300)는 스마트 병상(10)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전기전자적 기능성 장치의 총합이라 할 수 있으며, 스마트 병상(10)의 목적을 실현하는 중추적 기능을 담당한다. 즉, 스마트 기구(300)는 병상기구(200)의 모든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출력하는 병상기구 센싱부(310), 환자관련 신체 기초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체 센싱부(320), 스마트 병상(10) 내 병상기구(200)와 스마트 기구(300)의 모든 구성요소와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를 서로 통신적 관계로 연결하는 연계부(330)와, 스마트 병상(10) 내 모든 구성요소의 동작을 관장하는 스마트 제어부(340)와, 환자를 포함하여 관련 요원 등의 인체에 관한 정체성을 식별하는 인체 식별부(350) 및, 스마트 병상(10)의 모든 구성요소와 스마트 병상(10) 외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 간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체 식별부(350)는 지문감지기, 홍체감지기, 정맥감지기 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감지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체 식별부(350)는 자체적으로 인체의 정체성을 식별하는 독립된 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인체 식별 관리장치(431)와 연계하여 함께 기능하면서 인체 식별부(350)는 단지 감지센서 신호만을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인체 식별부는 인체의 정체성을 온전히 식별할 수 있는 독립된 장치를 의미한다.
스마트 병상(10)의 전원부(15)는 병상기구(200) 및 스마트 기구(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에, 스마트 병상(10)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상호 동작 관계를 신체 센싱부(320)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신체 센싱부(320)를 중심으로 병상 내 구성요소와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 간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구(300)의 신체 센싱부(320)는 신체의 생리적 변화를 감지하는 여러 가지 감지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병상(10) 내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다르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하는 “스마트 병상(10) 내”라는 것은 스마트 병상(10) 내부 또는 표면 등에 결합되어 스마트 병상(10)과 일체로 하나의 단일체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센싱부(320)는 몸무게 감지기(320-1), 체온 감지기(320-2), 습도 감지기(320-3), 심박수 감지기(320-4), 혈압 감지기(320-5), 혈당 감지기(320-6), 욕창 감지기(320-7), 심전도 감지기(320-8), 수액 감지기(320-9), 소변 감지기(320-10), 배변 감지기(320-11), 뇌파 감지기(320-12), 호흡 감지기(320-13)를 포함한다.
몸무게 감지기(320-1)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210)의 베드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초당, 분당, 시간당, 6시간당, 아침별, 저녁별 특정 시간, 또는 3일간, 1주일간, 월별 등 다양하게 일정기간 마다 환자의 몸무게 변화 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기간 설정값은, 예를 들면, 병상단말기(20)를 통해 간호사 등의 요원이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자신의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 단말기(MT)를 통해 통신망(700)을 경유하여 유무선으로 병상단말기(20)에 입력될 수도 있다. 몸무게 감지기(320-1)로부터의 몸무게 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스마트 제어부(340)의 제어를 통해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 통신망(700)을 경유하여 스마트 서버(500)로 전송되어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입력된다.
체온 감지기(320-2)는, 예를 들면, 환자의 귀와 가까운 위치에서 베이스부(210)의 베드판이나 머리측 펜스 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몸무게 감지기(32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초당, 분당, 시간당, 6시간당, 아침별, 저녁별 특정 시간, 또는 3일간, 1주일간, 월별 등 다양하게 일정기간 마다 환자의 신체온도 변화 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무게 감지기(32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온 감지기(320-2)의 경우도, 그 기간 설정값은, 예를 들면, 병상단말기(20)를 통해 간호사가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자신의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 단말기(MT)를 통해 통신망(700)을 경유하여 유무선으로 병상단말기(2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체온 감지기(320-2)로부터의 체온 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스마트 제어부(340)의 제어를 통해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 통신망(700)을 경유하여 스마트 서버(500)로 전송되어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입력된다.
습도 감지기(320-3)는, 예를 들면, 병상기구(200)의 매트부(230)의 적절한 부분에 설치되어, 환자의 땀 등에 의한 매트의 습기를 측정할 수 있다. 습기 정보 감지 기간과 그 설정기간의 셋팅, 및 감지된 습기정보를 스마트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은 몸무게 감지기(320-1) 및 체온 감지기(320-2)의 경우와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모든 신체 센싱부(320)의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설정과정과 정보전송과정을 거친다.
심박수 감지기(320-4) 및 혈압 감지기(320-5)는 특성상 동일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역시 베이스부(210)의 적절한 부분에 결합되고, 적절한 정보수집 기간을 가지도록 설정되며, 그 설정방법 및 정보전달방법은 상기 몸무게 감지기(320-1) 등과 유사하게 진행한다. 또한, 심박수 감지기(320-4) 및 혈압 감지기(320-5)는 감지된 정보를 연계부(330) 및 병상측 유무선통신부(350)를 거쳐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의 혈압감지장치(4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심박수 감지기(320-4) 및 혈압 감지기(320-5)는 단순히 전기적 신호만을 정보로서 보내고,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의 혈압감지장치(420)는 심박수 감지기(320-4) 및 혈압 감지기(320-5)로 부터 보내온 전기적신호를 해석하여 구체적인 심박수와 혈압값을 계측하여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하나로서 EMR서버(410)로 제공하는 한편 동시에 연계부(330)로도 보내고, 스마트제어부(340)는 연계부(330)에서 수신한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성격을 파악하고 적절히 심박수 및 혈압에 관한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완성하여 스마트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의 혈압감지장치(420)는 스마트 병상(10) 인근에 위치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즉, 신체 센싱부(320)의 심박수 감지기(320-4) 및 혈압 감지기(320-5)는 자체로 심박수와 혈압값 정보를 제공하는 완성된 장치로서 스마트 병상(10)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부의 기능을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의 혈압감지장치(420)와 분담하여 스마트 병상(10)에서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적 부담을 경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신체 센싱부(320)의 모든 구성요소는 그 설비의 크기에 따라서 혈압 감지기(320-5)와 같이 스마트 병상(10) 내에 일부 기능을 가지고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에 속하는 장치에 역할을 분담하는 보조장치를 둘 수도 있고, 스마트 병상(10)내에서 정상적인 감지와 계측을 모두 수행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구성상의 다양성은 병원의 여러 설비구조와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병상에 환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병상 내의 신체 센싱부(320)를 통해 신체의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감지하여 완성할 수만 있다면, 신체 센싱부(320)의 구성요소별 구조는 병상내와 병상외로 적절히 분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혈당 감지기(320-6)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모든 장치가 스마트 병상(10) 내에 위치하지만, 스마트 병상(10) 내에는 전기적 기초 신호만을 제공하는 감지기능만 제공하고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에 일부 기능을 분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최종 혈당관련 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욕창 감지기(320-7)의 경우는 압력센서를 기반으로 욕창감지매트는 환자의 욕창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환자의 신체부위가 매트와 접촉한 시간과 압력 등을 감지하고, 특정 신체부위 및 욕창부위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인 접촉이나 압력이 감지될 경우 간호사나 요원에게 알람을 주도록 하며, 환자의 욕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촬영장비를 포함하며, 이 경우 환자의 욕창부위를 간호사나 간병인 등의 도움으로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베이스부(210)의 적절한 부분에 카메라가 설치되며, 이 카메라는 바람직하게는 IP카메라로서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단말기(MT)를 통해 줌 등의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고통 정도나 기타 욕창관련 문진내용을 병상단말기(2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문진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욕창기초정보를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욕창 관리장치(426)로 보내면 욕창 관리장치(426)는 욕창의 크기 및 색상으로 욕창의 깊이 도는 욕창의 진행상태를 파악하고 욕창상태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여기서 이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다시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심전도 감지기(320-8)는 심전도기초정보 만을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여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심전도 관리장치(416)로 전달되고 심전도 관리장치(416)는 적절한 분석을 통해 심전도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인 심전도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에 전달된다.
수액 감지기(320-9)는 링겔수액의 잔류량, 수액투여속도를 감지하여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수액 관리장치(428)로 전달하고, 수액 관리장치(428)는 적절한 분석을 통해 수액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수액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소변 감지기(320-10)는 소변시간, 소변량, 소변빈도수, 소변색상 등의 소변관련기초정보를 수집하여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대소변 관리장치(424)로 전달하고, 대소변 관리장치(424)는 적절한 분석을 통해 소변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배변 감지기(320-11)도 배변시간, 배변량, 배변빈도수, 배변색상 등의 배변관련기초정보를 수집하여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대소변 관리장치(424)로 전달하고, 대소변 관리장치(424)는 적절한 분석을 통해 배변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뇌파 감지기(320-12)는 뇌파판정에 기초가 되는 뇌파기초정보를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뇌파 관리장치(418)로 전달하고, 뇌파 관리장치(418)는 뇌파기초정보를 토대로 뇌파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생성하여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호흡 감지기(320-13)는 호흡도구부(270)(도 4, 병상기구(200) 참조)로부터의 변동상황을 통해 환자의 호흡여부 및 호흡량 등의 호흡기초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할 수 있고 병상외 의료기기(400)의 산소포화도 관리장치(422)는 병상기구(200)의 호흡도구부(270)로부터 직접 호흡의 화학적 성질을 채취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고, 호흡 감지기의 호흡기초정보 및 산소포화도를 통해 분석한 호흡정보를 생성하고 이 호흡정보를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연계부(330)로 전달하고 역시 다른 경우와 유사하게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서버(500)의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된다.
스마트 기구(300)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환자관련 기초정보는 병상단말기(20)에도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병상외 의료기기(400)는 그 밖에도 환자에 관한 종합정보가 수록된 EMR 서버(410), X레이/자기공명검사기(412), 초음파검사기(414), 혈액이나 기타 소변, 대변검사 등 환자로부터 나오는 물질을 검사하는 혈액/기타 검사실 관리장치(430), 및 인체 식별부(35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체식별정보를 스마트 기구(300)로 전달하고, 병원내 환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정체성 정보를 관리하는 인체 식별 관리장치(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로부터 나오는 모든 자료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로서 스마트기구(300)의 연계부(300)에 전달된후 스마트 제어부(340)의 조력으로 환자관련 기초정보로 완성되어 병상측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본 발명의 독창적인 스마트서버(500)에도 저장되지만, 기존의 EMR 서버(410)에도 모두 기록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다.
다음에, 스마트 병상(10) 내에서 스마트기구(300)의 병상기구 센싱부(300)와 병상기구(200) 간의 세부적인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병상기구 센싱부(310)를 중심으로 하는 병상내 장치와 기계적 병상기구(200) 간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병상기구 센싱부(310)는 스마트 병상(10)에 배치되는 한편, 병상기구(200)의 각 구성요소별로 동작상태를 감지하고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는 스마트제어부(340)의 제어하에 유무선통신부(350) 및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스마트서버(500)는 적절한 분석을 통해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해당 스마트 병상(10)과 관련된 담당 의사나 간호사, 간병인의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단말기(MT)로 전달하며, 병상단말기(20)에도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병상기구 센싱부(310)는 베이스부(210)의 적절한 장소에 결합된 베이스부 베드판 및 등받이 이동 감지기(310-1)와, 간이식탁(220)과 연계하여 간이식탁(22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간이식탁 이동 감지기(310-2)와, 매트부(230)에 연계되고 매트의 온도 및 습도 및 이동을 감지하여 매트정보를 생성하는 매트부 감지기(즉,매트판 이동 감지기(310-3), 매트판 온도 감지기(310-4), 매트판 습도 감지기(310-5)를 합하여 매트부 감지기라 함)와, 펜스부(240)에 연계되어 펜스부(240)의 이동을 감지하는 펜스부 이동감지기(310-6)와, 휠부(250)에 연계되어 스마트 병상(10) 자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휠 이동 감지기(310-7)와, 수액유지부(260)에 수액유지 프레임의 상하좌우이동을 감지하는 수액유지 프레임 이동 감지기(310-6)와, 예를 들면, 산소호흡기 등의 호흡도구부(270) 또는 기타 전동부(280) 등에 연계되어 각 도구의 동작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타 도구 감지기(310-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병상기구 센싱부(3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병상기구의 기능적 요소의 추가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신체 센싱부(320)와 연계하여 서로 기능을 분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체 센싱부(320)의 습도 감지기(320-3)는 신체의 습도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신체 센싱부(320)에 속하는 기구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매트부 감지기(310-3, 310-4, 310-5)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고, 신체 센싱부(320)의 수액 감지기(320-9)는 병상기구 센싱부(310)의 수액유지 프레임 이동 감지기(6)가 그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병상기구 센싱부(310) 및 병상기구(200)는 그 용도나 사용환경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며, 병상기구(200)의 여러 기계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가 실시간으로 원격으로 감시되고 간호사나 간병인 등의 관련 요원이 실시간으로 그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현장이나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서버(5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서버(50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기구(300)의 신체 센싱부(320)를 통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와 병상기구 센싱부(310)를 통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수집 분류부(510)와, 분류정보를 기초로 환자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정보 생성부(520)와, 병상기구 센싱부(310)로부터의 분류정보를 기초로 병상기구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병상기구 상태정보 생성부(530), 이와 같이 생성된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관련 요원의 고정단말기(ST) 또는 이동단말기(MT)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700)을 통해 전달하는 종합병상정보 제공부(540), 및 정보 수집분류부(510)의 분류정보, 환자 상태정보 생성부(520)의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 생성부(530)의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포괄하는 종합병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50) 및 스마트 서버(500)와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서버측 유무선통신부(56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S1에서 인체 식별부(350) 및 인체 식별 관리장치(431)를 통해 환자의 신체특징(지문, 홍체, 정맥 등)이나 환자가 지니고 있는 신체정보 태그로부터 환자의 정체성을 특정하고, 신체 센싱부(320)를 통해 신체와 관련된 신호를 감지한다. 스텝S2에서는 스텝S1에서 감지된 신호가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 중 연관이 있는 부분을 연계부(300)를 통해 검색한다.
스텝S2에서 연관이 없으면, 스텝S3으로 진행하여 스텝S1에서 감지된 신호를 토대로 스마트 제어부(340)는 신체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여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를 통해 통신망(700)을 경유하고 스마트 서버(500)의 서버측 유무선 통신부(560)를 통해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한다.
스텝S2에서 연관이 있으면, 스텝S4로 진행하여 연관된 의료관련기구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생성하여 연계부(330)로 전달한다.
스텝S5에서, 연계부(330)는 스마트 제어부(340)의 제어하에 스텝S1에서 생성된 감지신호와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병합하여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여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를 통해 통신망(700)을 경유하고 스마트 서버(500)의 서버측 유무선 통신부(560)를 통해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한다.
다음에, 스텝S6에서, 병상기구 센싱부(310)는 병상기구(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여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360)를 통해 통신망(700)을 경유하고 스마트 서버(500)의 서버측 유무선 통신부(560)를 통해 정보수집분류부(510)로 전달한다.
다음에, 스텝S7에서, 스마트 서버(500)는 수집분류부(510)에서 수집된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서버측 유무선 통신부(560)를 통해 요원측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 경우, 병상단말기(20)에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는 데이터베이스(550)에도 저장될 수 있고, EMR서버(410)에도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즉 병상외 의료관련기구(400)에 속하는 장치) 외에도 기존 VOD 서비스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함께 결합할 수도 있으며, 관련요원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의료관련 차트작성을 유용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10: 스마트 병상 15: 전원부
20: 병상단말기 200: 병상기구
210: 베이스부 220: 간이식탁
230: 매트부 240: 펜스부
250: 휠부 260: 수액유지부
270: 호흡도구부 280: 전동부
300: 스마트 기구 310: 병상기구 센싱부
310-1: 베이스부 베드판 및 등받이 이동 감지기
310-2: 간이식탁 이동 감지기 310-3: 매트판 이동 감지기
310-4: 매트판 온도 감지기 301-5: 매트판 습도 감지기
310-6: 펜스부 이동 감지기 310-7: 휠 이동 감지기
310-8: 수액유지 프레임 이동 감지기
310-9: 기타 도구 감지기 320: 신체 센싱부
320-1: 몸무게 감지기 320-2: 체온 감지기
320-3: 습도 감지기 320-4: 심박수 감지기
320-5: 혈압 감지기 320-6: 혈당 감지기
320-7: 욕창 감지기 320-8: 심전도 감지기
320-9: 수액 감지기 320-10: 소변 감지기
320-11: 배변 감지기 320-12: 뇌파 감지기
320-13: 호흡 감지기 330: 연계부
340: 스마트 제어부 350: 인체 식별부
360: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 400: 병상외 의료기기
410: EMR서버 412: X레이/자기공명 검사기
414: 초음파 검사기 416: 심전도 관리장치
418: 뇌파 관리장치 420: 혈압 관리장치
422: 산소포화도 관리장치 424: 대소변 관리장치
426: 욕창 관리장치 428: 수액 관리장치
430: 혈액/기타 검사실 관리장치 500: 스마트 서버
510: 정보수집분류부 520: 환자 상태정보 생성부
530: 병상기구 상태정보 생성부 540: 정보제공부
550: 데이터베이스 560: 서버측 유무선 통신부
700: 통신망 701: 이동통신망
702: 인터넷 703: 블루투스
704: IoT망 ST: 고정단말기
MT: 이동단말기

Claims (12)

  1.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으로서,
    병상의 물리적 기본골격인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놓이는 매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펜스, 상기 베이스부, 상기 매트부 및 상기 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동부를 가진 병상기구와, 상기 병상기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병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있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감지하는 신체 센싱부를 가지고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구를 포함하는 스마트 병상과;
    상기 스마트 병상으로부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전달받아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환자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와;
    상기 스마트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원측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병상, 상기 스마트 서버 및 상기 요원측 단말기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요원측 단말기는 고정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구는 상기 병상기구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병상기구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서버는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로부터 제공하는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여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제공하며,
    상기 요원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병상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신체 센싱부와 조력하여 환자에 관한 과거 및 현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함께 상기 스마트 서버에 제공하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구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가 제공하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수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기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 중 관련있는 구성요소에 연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연계부와,
    상기 스마트 병상과 시스템의 다른 장치와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와,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의 감지,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의 감지, 상기 연계부의 동작, 및 상기 병상측 유무선 통신부의 동작, 상기 스마트 서버 및 상기 요원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상기 병상기구의 전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는 환자의 몸무게, 체온, 습도, 심박수, 혈압, 혈당, 욕창정보, 심전도, 수액정보, 소변정보, 배변정보, 뇌파정보, 호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신체 센싱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로부터의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조합으로 상기 연계부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의 협동작용에 의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센싱부는, 몸무게 감지기, 체온 감지기, 습도 감지기, 심박수 감지기, 혈압 감지기, 혈당 감지기, 욕창 감지기, 심전도 감지기, 수액 감지기, 소변 감지기, 배변 감지기, 뇌파 감지기 및 호흡 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는, EMR 서버, X레이/자기공명검사기, 초음파검사기, 심전도 관리장치, 뇌파 관리장치, 혈압 관리장치, 산소포화도 관리장치, 대소변 관리장치, 욕창 관리장치, 수액 관리장치 및 혈액검사실 관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스마트 제어부의 도움으로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의 각 구성요소로부터 상호 연관성을 대응시켜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구는 환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신체로부터 스마트 베드에 접근한 인체의 정체성을 식별하는 인체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 식별부는 지문감지기, 홍체감지기, 정맥감지기, 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상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간이식탁과, 상기 베이스부의 다리에 연결되어 스마트 병상 자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부와 수액을 유지하는 수액유지부와 환자의 호흡을 돕는 보조기구로서의 호흡도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는 베이스부 베드판 및 등받이 이동 감지기와, 간이식탁 이동 감지기, 상기 매트부의 이동,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매트부 감지기와 펜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펜스부 이동 감지기와, 휠의 이동을 감지하는 휠 이동 감지기와, 수액유지 프레임 이동 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상에는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 연결되어 스마트 기구의 각 구성요소의 설정값을 셋팅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병상단말기가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 서버는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상기 병상단말기에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전달하며,
    상기 병상단말기의 셋팅값 입력은 병상단말기 자체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과 상기 요원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입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IoT 센서칩이고, 상기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블루투스 및 IoT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기는 태블릿 PC 또는 일반PC이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디컬 병상 시스템.
  9.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병상의 물리적 기본골격인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놓이는 매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펜스, 상기 베이스부, 상기 매트부 및 상기 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전동부를 가진 병상기구와,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신체 센싱부 및 상기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병상기구 센싱부를 가진 스마트 기구를 포함하는 스마트 병상과;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하여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스마트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기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원측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환자관리방법은,
    상기 스마트 병상의 스마트 기구가 상기 신체 센싱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환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환자관련 기초정보를 병상에 있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감지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스마트 기구가 상기 병상기구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병상기구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병상기구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서버가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수집, 분류, 분석, 저장하여 환자 상태정보 및 병상기구관련 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기간 마다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요원 단말기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및 상기 병상기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병상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구의 신체 센싱부와 조력하여 환자에 관한 과거 및 현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함께 상기 스마트 서버에 제공하는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구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가 제공하는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를 상기 신체 센싱부의 각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수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기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 중 관련 있는 구성요소에 연계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는 환자의 몸무게, 체온, 습도, 심박수, 혈압, 혈당, 욕창정보, 심전도, 수액정보, 소변정보, 대변정보, 뇌파정보, 호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관련 기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신체 센싱부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로부터의 상기 병상외 의료관련기구정보의 조합으로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구가 환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신체로부터 스마트 베드에 접근한 인체의 정체성을 식별하는 인체 식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 식별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구가 사용하는 센서는 지문감지기, 홍체감지기, 정맥감지기, 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관리방법.
KR1020160101206A 2016-08-09 2016-08-09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KR20180017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06A KR20180017419A (ko) 2016-08-09 2016-08-09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06A KR20180017419A (ko) 2016-08-09 2016-08-09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19A true KR20180017419A (ko) 2018-02-21

Family

ID=6152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06A KR20180017419A (ko) 2016-08-09 2016-08-09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4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90A1 (ko) * 2018-07-31 2020-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병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20220023260A (ko) * 2020-08-20 2022-03-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호 로봇을 위한 영상 기반 의료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0505A1 (ko) * 2020-09-03 2022-03-10 김문희 신체 정보 측정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차트 관리 시스템
KR102606014B1 (ko) * 2022-06-10 2023-11-29 국민건강보험공단 코드 인식을 연계한 측정 정보 전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90A1 (ko) * 2018-07-31 2020-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병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20220023260A (ko) * 2020-08-20 2022-03-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호 로봇을 위한 영상 기반 의료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0505A1 (ko) * 2020-09-03 2022-03-10 김문희 신체 정보 측정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차트 관리 시스템
KR102606014B1 (ko) * 2022-06-10 2023-11-29 국민건강보험공단 코드 인식을 연계한 측정 정보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5826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KR101898783B1 (ko) 쌍방간 화상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의사소통을 통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마의자
US8672842B2 (en) Smart mattress
KR100755974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CN101499106B (zh) 数字化病床监护网络系统
US20070208241A1 (en) Vital Sign Sensing Device
US20120053423A1 (en) Smart mattress
KR20180017419A (ko) 스마트 메디컬 병상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관리방법
JP3221096U (ja) スマート検査測定設備
KR102026706B1 (ko) 인공지능 환자 케어 침대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TW201019894A (en) Smart-type hospital bed system
CN115485783A (zh) 用于保护患者的健康以进行流体注射的系统、设备和方法
WO2017009697A1 (en) A measuring device and a system for comprehensive scree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JP2004157941A (ja) ホームケア・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バ,ならびにホームケア・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おもちゃ装置
KR101336925B1 (ko) 효율적인 전자 건강 기록이 가능한 보행 보조 로봇
US20230034389A1 (en) Interactive controllers for managing pressure-mitigation devices and approaches to facilitating engagement by users
US20240197256A1 (en) Smart mattress
JP2016154696A (ja) 患者の見守りシステム
MX2014015536A (es) Terminal multimedia con medida de parametros vitales.
Rajaseskaran et al. IoT-Based Health Services Framework for Endless Ailment Administration at Remote Areas
AU2021104799A4 (en) Medical and therapeutic care facilitating apparatus, systems and devices thereof
JP3227389U (ja) 医療機能と健康ロハス住宅機能を結合すると共に、ユニット式医療背壁を配置する建築物
CN107822618A (zh) 非侵入式脑死亡检测评估仪器
Radhakrishnan et al. Applications of Body Sensor Network in Healthcare
Kesavan et al. IoMT-Based Telemedicine Monitoring Machine for COVID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