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295A -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295A
KR20180017295A KR1020160100853A KR20160100853A KR20180017295A KR 20180017295 A KR20180017295 A KR 20180017295A KR 1020160100853 A KR1020160100853 A KR 1020160100853A KR 20160100853 A KR20160100853 A KR 20160100853A KR 20180017295 A KR20180017295 A KR 2018001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enoid valve
pipe
clean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Priority to KR102016010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295A/ko
Publication of KR2018001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식 정수기의 본체 외부에서 조작만을 통해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정수 필터부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입수되는 입수배관과; 상기 입수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순간 온수모듈과; 상기 순간 온수모듈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배관과; 상기 출수 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코크부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코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연동 작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Direct receiving type water purifier possibile automatic sterilization cleaning by steam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water purifier by stream}
본 발명은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식 정수기의 본체 외부에서 조작만을 통해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기인데,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수식 정수기와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식 정수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 중 직수식 정수기는 가정 등에 설치되는 수도에 직접 연결하는 것으로, 수도에서 수압을 가지면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필터에 통과시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직수식 정수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35546호의 "직수식 정수기"(이하,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며 물의 유입압력에 의해서 물이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정수부, 및 상기 정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부의 압력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압력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및 밸브 등에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게 되고, 미생물 등이 번식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관 및 밸브 등의 살균을 위하여 고온의 스팀을 상기 배관에 통류 시켜서 살균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의 배관을 살균 소독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고온의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의 배관을 살균 소독할 경우에는 스팀 발생장치를 연결하고 분리해야 함으로써, 정수기의 비 전문가인 사용자가 정수기 배관을 직접적으로 청소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직수식 정수기의 배관을 살균 세척할 경우에는 스팀 발생장치를 연결하고 분리해야 함으로써, 정수기 배관을 살균 세척시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35546호의 "직수식 정수기"(2013.04.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수식 정수기의 본체 외부에서 조작만을 통해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챔버에 물이 부족할 경우에 물 챔버 내에 물을 보충하여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챔버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상승될 경우에는 스팀 살균 청소를 자동을 멈추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 살균 청소시간을 본체의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는 정수 필터부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입수되는 입수배관과; 상기 입수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순간 온수모듈과; 상기 순간 온수모듈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배관과; 상기 출수 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코크부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코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연동 작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의 상기 순간 온수모듈은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의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물 챔버와 상기 물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물을 가열하는 물 가열수단과 상기 물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물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상부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의 상기 조작 제어부는 정수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청소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코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 스위치를 눌르면 청소 스위치로부터 청소 신호를 입력받고,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물 챔버에 구비된 상부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채워진 물의 수위 상태를 파악하여, 물 챔버 잔류된 물이 부족한 상태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물 챔버에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고, 또한, 물 챔버에 물이 채워진 상태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물 챔버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가 닫혀지며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 가열수단을 통해 물 챔버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를 스팀 살균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물 챔버 내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물의 증발로 인하여 물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높아지면 물 가열수단으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의 상기 조작 제어부는 정수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고 청소시간을 설정하는 청소 시간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청소 시간 타이머부에서 입력된 설정시간 동안만 상기 물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의 상기 조작 제어부는 물 가열수단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청소가 종료되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아 청소 전 상태로 복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구현은 코크부(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을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는 닫히고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는 열린 상태에서 순간 온수모듈(4)이 작동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직수식 정수기의 본체 외부에서 조작만을 통해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함으로써, 비 전문가인 정수기 사용자가 수시로 정수기 배관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스팀 발생장치의 사용을 필요 없게 하는 효과도 있고, 신속하게 정수기 배관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챔버에 물이 부족할 경우에 물 챔버 내에 물을 보충하여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챔버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상승될 경우에는 스팀 살균 청소를 자동을 멈추게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직수식 정수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살균 청소시간을 본체의 외부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청소 시간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청소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청소기의 스팀 살균 청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청소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청소기의 스팀 살균 청소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청소기는 정수 필터부(F)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입수되는 입수배관(1)과 상기 입수배관(1)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3)과 상기 제1배관(3)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순간 온수모듈(4)과 상기 순간 온수모듈(4)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5)과 상기 제2배관(5)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와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배관(7)과 상기 출수 배관(7)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코크부(8)와 정수기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9)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 순간 온수모듈(4),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와 연결되어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 순간 온수모듈(4),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코크부(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 순간 온수모듈(4),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연동 작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상기 제1, 2배관(3)(5),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 필터부(F),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 제1배관(3), 제2배관(5), 및 출수 배관(7)은 정수기의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크부(8)는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조작 부분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순간 온수모듈(4)은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을 증발되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관(3)과 제2배관(5)의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물 챔버(41)와 상기 물 챔버(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9)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물을 가열하는 물 가열수단(42)과 상기 물 챔버(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9)와 연결되는 온도센서(43)와 상기 물 챔버(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9)와 연결되는 상부 수위센서(44)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를 공급하면 열을 발산하는 열선이나 열판 또는 여러 가열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정수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청소 스위치(9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코크부(8)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 스위치(91)를 누르면 청소 스위치(91)로부터 청소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와 같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수위센서(44)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물 챔버(41)에 구비된 수위 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채워진 물의 수위 상태를 파악하여, 물 챔버(41) 잔류된 물이 부족한 생태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개방하여 물 챔버(41)에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개방하고, 또한, 물 챔버(41)에 물이 채워진 상태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개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 챔버(41)에 물이 부족할 경우에 물 챔버(41) 내에 물을 보충하여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와 같이, 상기 물 챔버(41)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가 닫혀지며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가열수단(42)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 가열수단(42)을 통해 물 챔버(41)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2배관(3)(5),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스팀 살균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2배관(3)(5),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스팀 살균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도센서(43)로부터 물 챔버(41) 내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물의 완전 증발로 인하여 물 챔버(41)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높아지면 물 가열수단(42)으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온도센서(43)의 설정된 온도는 정수기의 제조시 초기에 설정하는 것으로, 스팀이 발생될 정도의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물 챔버(41)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상승될 경우에는 스팀 살균 청소를 자동으로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온도센서(43)의 센싱에 의해 물 가열수단(42)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청소가 종료되되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닫아 청소 전 상태로 복귀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정수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고 청소시간을 설정하는 청소 시간 타이머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청소 시간 타이머부(92)에서 입력된 설정 시간 동안만 상기 물 가열수단(42)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2배관(3)(5),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스팀 살균하는 시간을 외부 조작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상기 청소 시간 타이머부(92)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가열수단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청소가 종료되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을 닫아 청소 전 상태로 복귀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수식 정수기의 스팀 살균 청소 과정을 설명하면 다응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정수기의 스팀 살균 청소를 할 경우에는, 먼저, 정수기의 사용자가 상기 코크부(8)를 개방한 상태에서 조작 제어부(9)의 청소 스위치(91)를 눌르게 되면, 조작 제어부(9)에서는 청소 스위치(91)로부터 청소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9)로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 제어부(9)에서는 상기 물 챔버(41)에 구비된 상부 수위센서(44)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채워진 물의 수위 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물 챔버(41)의 수위 상태를 파악하여 물 챔버(41) 잔류된 물이 부족한 상태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개방하여 물 챔버(41)에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이드밸브를 개방하고, 또한, 물 챔버(41)에 물이 채워진 상태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개방한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9)에서는 상기와 같이 물 챔버(41)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가 닫혀지며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되면, 상기 물 가열수단(42)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 가열수단(42)을 통해 물 챔버(41)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스팀 살균을 하게 한다. 그리고, 이동되는 스팀은 상기 제2배관(5),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9)에서는 상기 제1, 2배관(3)(4),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를 스팀 살균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챔버(41)에 구비된 온도센서(43)로부터 물 챔버(41) 내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물의 완전 증발로 인하여 물 챔버(41)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높아지면 물 가열수단(42)으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스팀 살균 청소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가열수단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청소가 종료되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을 닫아 청소 전 상태로 복귀시킨 후, 코크부(8)를 다시 닫는 과정을 통해 정수기의 청수를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수식 정수기의 본체(10) 외부에서 조작만을 통해 정수기 배관의 스팀 살균 청소를 가능함으로써, 비 전문가인 정수기 사용자가 수시로 정수기 배관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제어부(92)에는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온수 스위치(9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작 제어부(9)는 외부에서 온수 스위치(93)를 누르게 되면 상기 물 가열수단(42)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 챔버(41)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온수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수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는 물 챔버(41)의 온도센서(43)는 온수의 온도와 상응되는 온도를 감지하여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온수를 배출시킬 경우에는 스팀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온도(섭씨 100도미만)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수 스위치(93)의 작동시 온수를 코크부(8)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좀더 요약하면 본 발명은 코크부(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2)는 닫히고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는 열린 상태에서 순간 온수모듈(4)이 작동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6)의 유로, 출수 배관(7), 및 코크부(8)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입수배관 2 :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3 : 제1배관 4 : 순간 온수모듈
5 : 제2배관 6 : 출수 솔레노이드밸브
7 : 출수 배관 8 : 코크부
9 : 조작 제어부 10 : 본체
41 : 물 챔버 42 : 물 가열수단
43 : 온도센서 44 : 상부 수위센서
91 : 청소 스위치 92 : 청소 시간 타이머부
93 : 온수 스위치 F : 정수 필터부

Claims (6)

  1. 정수 필터부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입수되는 입수배관과;
    상기 입수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과;
    상기 제1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순간 온수모듈과;
    상기 순간 온수모듈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출수 배관과;
    상기 출수 배관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코크부와;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코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 순간 온수모듈,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연동 작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세척이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온수모듈은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의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물 챔버와
    상기 물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물을 가열하는 물 가열수단과
    상기 물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물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상부 수위센서(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세척이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는
    정수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청소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코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 스위치를 누르면 청소 스위치로부터 청소 신호를 입력받고,
    청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부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물 챔버에 구비된 상부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입력받아 물이 채워진 물의 수위 상태를 파악하여, 물 챔버 잔류된 물이 부족한 상태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물 챔버에 물을 채운 다음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고, 또한, 물 챔버에 물이 채워진 상태면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물 챔버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가 닫혀지며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여 물 가열수단을 통해 물 챔버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2배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를 스팀 살균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물 챔버 내의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물의 증발로 인하여 물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청소 온도보다 높아지면 물 가열수단으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을 차단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는 정수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고 청소시간을 설정하는 청소 시간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청소 시간 타이머부에서 입력된 설정시간 동안만 상기 물 가열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는
    물 가열수단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청소가 종료되면, 상기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아 청소 전 상태로 복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6.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에 있어서,
    코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작를 통해 입수 솔레노이드밸브는 닫히고 출수 솔레노이드밸브는 열린 상태에서 순간 온수모듈이 작동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출수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 출수 배관, 및 코크부의 유로에 통과시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스팀 살균 세척 방법.
KR1020160100853A 2016-08-08 2016-08-08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KR2018001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53A KR20180017295A (ko) 2016-08-08 2016-08-08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53A KR20180017295A (ko) 2016-08-08 2016-08-08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295A true KR20180017295A (ko) 2018-02-21

Family

ID=6152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53A KR20180017295A (ko) 2016-08-08 2016-08-08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345A (zh) * 2018-06-20 2019-12-2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饮水机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345A (zh) * 2018-06-20 2019-12-2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饮水机及其控制方法
CN110613345B (zh) * 2018-06-20 2024-04-26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饮水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58B1 (ko) 멸균 냉온수 공급기기
KR101317386B1 (ko) 의료용 증기멸균기
KR100244383B1 (ko) 온수 세정장치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JP2012528000A5 (ko)
CN111102734A (zh)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2528000A (ja) 水処理機器用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2601995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0859373B1 (ko) 정수기의 물 배출구 살균장치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9458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JP2012529337A (ja) 浄水器のスチーム殺菌システム
KR20110061343A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20180017295A (ko)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190081221A (ko) 정수기의 순간온수모듈을 이용한 스팀 세척 방법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90014029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5246A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1813266B1 (ko) 정수기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0242356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