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067A -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067A
KR20180017067A KR1020180010218A KR20180010218A KR20180017067A KR 20180017067 A KR20180017067 A KR 20180017067A KR 1020180010218 A KR1020180010218 A KR 1020180010218A KR 20180010218 A KR20180010218 A KR 20180010218A KR 20180017067 A KR20180017067 A KR 2018001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king
parking ticket
vehicl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526B1 (ko
Inventor
신상용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5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임의의 장소의 주차장 및 주차장 요금 할인 방법을 선택하여 모바일 주차권을 할당받고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장소로 이동할 운전자인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수신자가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및 등록된 차량번호에 의한 상기 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관제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Mobile parking ticket issuing system and method, mobile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임의의 장소의 주차장 및 주차장 요금 할인 방법을 선택하여 모바일 주차권을 할당받고,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장소로 이동할 운전자인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수신자가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및 등록된 차량번호에 의해 상기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관제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차량으로 특정 장소로 이동 시 특정 장소 또는 주변에 주차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는 해당 장소에 도착 시 우선적으로 주차장을 확보하여 진입하고, 진입하는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권 발급시스템을 통해서 주차권을 발급받은 후 해당 주차장을 이용한다.
따라서 주차장은 주차권 발급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하며, 상기 주차권 발급 시스템을 통해 발급된 주차권에 대한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 진입 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운전자가 주차권 발급시스템의 버튼을 누르면 발급된 주차권에 대한 주차권정보와 차량 번호판 영상을 맵핑하여 저장한 후 차량 출입 차단 바(Bar)를 오픈하여 해당 차량의 입차를 허용하고, 출차 시 발행된 주차권에 기록된 입차 시간에 정보에 의해 요금을 계산하여 정산 후 차량 출입 차단 바를 오픈하여 해당 차량의 출차를 허용한다.
또한, 일부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권에 의해서만 입출차를 관리하나, 이 경우 발행된 주차권을 다른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주차권을 발급해주는 주차권 발급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차 및 출차 시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권 발급시스템 앞에 정차시켜야 하고,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을 위해 정차시켜야 하므로 입차 및 출차 시 차량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0023호(2006.02.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가 임의의 장소의 주차장 및 주차장 요금 할인 방법을 선택하여 모바일 주차권을 미리 할당받고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장소로 이동할 운전자인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수신자가 차량번호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및 등록된 차량번호에 의해 상기 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관제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부;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생성 시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발행할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를 주차권 발행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수신되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를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부; 및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각각에 대해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차량번호가 등록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의 주차장 이용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등록 차량이 일정 시간 내에 주차장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자 단말기로 주차장 미 이용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정보 획득부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 과정;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생성부가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 과정;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전송부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 과정;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차량 등록부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권 생성 과정은,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 생성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 단계;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모바일 주차권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권 전송 과정에 의해 송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주차권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
상기 차량 등록 과정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전송 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차량번호 등록 요청 모니터링 단계; 차량번호 등록 요청 발생 시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차량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차량번호 입력 요청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번호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과 맵핑하여 저장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 과정은, 상기 등록 요청 모니터링 단계가 개시되면 각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일로부터 일정 기간 후인 차량등록 마감시간까지 차량번호의 등록이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차량번호 등록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차량등록 마감시간까지 차량번호가 등록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폐기하는 모바일 주차권 폐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번호의 등록 후, 일정 기간 내의 입차 마감 시간까지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차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입차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입차 마감 시간까지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차되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폐기하는 모바일 주차권 폐기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취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생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해 입차 및 출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출력하고, 제어를 받아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오거나 주차장을 나가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 및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수신자정보의 수신자 단말기로 발행하고,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차량번호 입력 시 입력된 차량번호가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지를 검사하여 등록된 차량번호이면 입차시키고, 출차 시 상기 차량번호에 맵핑되어 있는 주차권정보에 따라 주차장 요금을 정산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통해 출차시키는 주차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리 서버부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정보의 주차장에 주차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시켜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입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이면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고, 해당 차량의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의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고려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해당 차량을 출차시키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부;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생성 시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발행할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를 주차권 발행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수신되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를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부; 및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입력 창을 포함하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각각에 대해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차량번호가 등록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해 있는 상기 출입 통제 장치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정보, 기준 주차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장 DB 및, 입차 및 출차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주차장 이용 시간, 주차장 이용 시간에 따른 주차장 이용 요금정보, 사용된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관리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차량의 입차 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에 의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입차를 허용하고, 출차 시 주차 요금을 정산한 후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출차를 허용하며, 상기 차량의 출차 시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내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관리 DB에 저장하는 주차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차량의 입차 및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된 등록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등록 차량의 등록 차량번호를 입력받고, 입차 시 주차시간을 카운트하고, 출자 시 카운트된 주차시간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저장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의 주차 이용요금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주차요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주차요금 계산부; 및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을 입차시키고, 차량이 출차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계산부를 통해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차를 위한 출입 통제를 수행하는 차량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주차 관리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제 통신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번호 획득부; 입차 입구 및 출차 출구에 설치된 출입 제한 바를 올리거나 내려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출입 개폐부; 및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를 통해 차량번호가 획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차량번호 획득 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로 획득된 차량번호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출입 통제 제어 명령을 주차 관리 서버부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출입 개폐부를 제어하여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는, 주차장 입구 및 출구 각각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영상 획득부이되, 상기 통제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상기 통제 통신부의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번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상기 통제 통신부는,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까지만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비콘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제 제어부는, 상기 비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근접한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주차권을 획득하는 주차권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통제 통신부의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서버부의 제어부의 주차 관리부는,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과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주차권을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이이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의해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인지를 검사하여 수신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량 출입 통제부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수신자 인증에 성공한 차량에 대해 입차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정보의 주차장에 주차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시켜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과정; 및 주차 관리 서버가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이면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고, 해당 차량의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의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고려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해당 차량을 출차시키는 주차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과정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 과정;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 과정;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 과정;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권 생성 단계는,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 생성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 단계;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모바일 주차권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권 생성 단계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권 전송 단계에 의해 송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주차권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전송 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하는 검사하는 차량번호 등록 요청 모니터링 단계; 차량번호 등록 요청 발생 시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차량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차량번호 입력 요청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번호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과 맵핑하여 저장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리 과정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차량의 입차 및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된 등록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 단계;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을 입차시키는 차량 입차 통제 단계;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등록 차량의 등록 차량번호를 입력받고, 입차 시 주차시간을 카운트하고, 출자 시 카운트된 주차시간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저장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의 주차 이용요금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주차요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주차요금 계산 단계; 및 차량이 출차 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요금 계산부를 통해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차를 위한 출입 통제를 수행하는 차량 출차 통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번호 획득 단계는, 영상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통제 통신부의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번호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과정은, 비콘 송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송신 단계; 상기 비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근접한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주차권을 획득하는 주차권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을 통제 통신부의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권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과정은, 인증부를 통해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과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주차권을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모바일 주차권이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의해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인지를 검사하여 수신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되, 차량 출입 통제부는 상기 인증 단계의 수행에 따른 수신자 인증에 성공한 차량에 대해 상기 차량 입차 통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주차장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 등의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부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사전에 차량을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입구에 물리적인 주차권을 발행하는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플라스틱 주차권 등을 뽑기 위해 주차권 발행시스템 앞에 차량을 정차시키지 않아도 되고, 정산 시 차량의 정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주차장 입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시킬 운전자 등의 탑승자인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자(모바일) 주차권을 발행하고, 주차권 수신자는 주차권의 터치를 통해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타고 갈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가 쉽게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으며, 주차장의 주차구획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입차 시 차량의 차량번호만을 획득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입장에서는 주차 시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한 효과를 가지며, 주차장 관리자 입장에서는 주차장 운영 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차장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 진입 시 비콘신호를 수신한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자신이 수신하여 가지고 있는 주차권을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측으로 제공하고,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이 상기 주차권에 의해 주차권의 수신자와 등록 차량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수신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철저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주차장 등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을 통한 주차권을 발행하여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의 차량번호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자가 수신한 주차권을 통해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발행 주차권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권 발송 내역 확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발행된 주차권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주차권 관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차량 입출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차량 입출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 및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버부(200) 및 출입 통제 장치(400)를 포함한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 및 출입 통제 장치(400)는 상호 근거리에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원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근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은, RS-232C, RS-485, USB, IEEE1394,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원거리 유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망 및 근거리통신망(LAN)을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은 상기 통신 방식들 중 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망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을 통해 사용자 단말부(500, 600)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부(500, 600)는 개인용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터 단말기(510, 610)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으로 불리는 모바일 단말기(520, 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 및 모바일 주차권을 통한 차량번호 등록은 컴퓨터 단말기(510)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나, 모바일 주차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520, 62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발신자라 하고, 그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부를 발신자 단말부(500)라 하며, 상기 발신자가 발행을 요청한 모바일 주차권을 수신하는 사용자를 수신자라 하고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수신자 단말기(600)라 한다. 발신자와 수신자는 동일 사용자일 수 있다. 따라서 발신자 단말부(500)와 수신자 단말부(600)는 동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일 수 있을 것이다.
출입 통제 장치(400)는 주차장(1)별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출입구 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출입 통제 장치(400)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 통제 바(Bar)를 구비하고, 입차 및 출차하려고 상기 출입 통제 바(Bar) 앞에 정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 제공하며,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제어를 받아 출입 통제 바를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들어가도록 하거나 주차장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출입을 통제한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발신자 단말부(500)로부터 주차장 정보, 수신자 정보,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차권 발행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부(600)로 제공하고, 상기 수신자 단말부(600)가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차량번호의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차량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며, 상기 출입 통제 장치(400)를 통해 상기 등록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한 차량의 주차장 출입을 관리한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도 2와 같이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210) 및 주차 관리 서버(220)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하나의 시스템(서버)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210) 및 주차 관리 서버(220)를 포함한다.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210)은 도 3과 같이 주차권 발행 제어부(211), 주차권 발행 저장부(212) 및 주차권 발행 통신부(213)를 포함하여 발신자 단말부(500)로부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받고,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을 발신자가 요청한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부(600)로 모바일 주차권을 발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차권 발행 저장부(212)는 주차장 DB(2121), 발행주차권DB(2122) 및 차량등록 DB(2123)를 포함한다.
주차장DB(2121)는 주차장의 위치, 주차장 이름, 주차장 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주차장 식별정보, 주차장별 주차구획 수 정보, 주차장별 시간당 주차요금 정보, 주차장별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정보 등을 포함한다.
발행주차권DB(2122)는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주차권 발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권 발행 정보에 근거하여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주차권 발행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한다.
상기 차량등록DB(2123)는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에 대해 등록된 차량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주차권 발행 통신부(213)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접속하여 발신자 단말부(500), 수신자 단말부(600) 및 주차 관리 서버(2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주차권 발행 제어부(211)는 정보 획득부(2111), 주차권 생성부(2112), 암호 생성부(2113), 암호화부(2115), 주차권 전송부(2117) 및 차량 등록부(2119)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발신자 단말부(500)로부터 주차권 발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주차권 발행 정보에 대응하는 주차권을 생성하여 수신자 단말부(60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 획득부(2111)는 웹 방식 또는 어플리케이션 방식에 의해 접속한 발신자 단말부(500)로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을 요청할 수 있는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차권 발행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주차권 발행 정보는 주차장 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포함하고, 발신자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차장 정보는 주차장 이름, 주차장 고유번호 등과 같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는 주차장 이용에 대한 이용요금정보,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종류 정보, 할인 시간 정보, 할인 이용요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신자정보는 수신자의 이름 등과 같은 수신자 식별정보 및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620)의 전화번호,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인터스턴 메시징 정보(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서버 및 아이디 등),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주차권 생성부(2112)는 상기 정보 획득부(2111)를 통해 획득된 주차권 발행 정보에 근거하여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한다.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는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 주차장 정보,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차권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는 URL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주차권 정보를 암호화하는 경우 상기 주차권 생성부(2112)는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 상기 암호정보를 모바일 주차권에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주차권 정보에는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주차권 생성부(2112)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생성 시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발행할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를 주차권 발행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암호 생성부(2113)는 상기 주차권 발행 정보 및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한 암호를 생성한다. 정보를 활용하여 암호를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정보를 이용한 암호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암호화부(2114)는 상기 암호 생성부(2113)에서 생성된 암호로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포함될 주차권 정보를 암호화하여 주차권 생성부(2112)로 출력한다.
주차권 전송부(2115)는 상기 수신자정보에 근거하여 수신자정보의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부(600)로 상기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주차권 발행 통신부(213)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주차권 전송부(2115)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의 이동통신망(미도시)을 통한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메시지, 장문메시지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 메시지, 멀티미디어서비스(Multimedial Message Service: MMS) 메시지 등과 같은 이동통신 메시지로 전송될 수도 있고, 카카오톡, 라인 등을 통한 인스턴트 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등록부(2116)는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하여 차량번호의 등록을 요청한 수신자 단말부(600)로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자 단말부(600)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 시 상기 수신자 단말부(600)로부터 수신받은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저장한다.
상기 차량 등록부(2116)는 상기 주차권 생성부(2112)가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수신되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를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한다.
또한, 차량 등록부(2116)는 상기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 각각에 대해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차량번호가 등록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폐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차권 관리 서버(220)는 출입 통제 장치(400)로부터 입차에 대해 입력되는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등록DB(2123)에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등록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등록 차량이면 상기 출입 통제 장치(40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장 입차를 허용하고, 출차에 대해 입력되는 차량번호가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등록 차량이면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정보를 반영하여 정산을 수행하고, 정산 완료 시 해당 차량의 출차를 허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어부(300), 저장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한다.
저장부(330)는 주차장DB(331), 발행주차권DB(332), 차량등록DB(333), 주차관리DB(334)를 포함한다.
주차장DB(331), 발행주차권DB(332), 차량등록DB(333)는 도 3의 주차권 발행저장부(212)의 주차장DB(2121), 발행주차권DB(2122) 및 차량등록DB(2123)와 동일한 정보를 저장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주차관리DB(334)는 주차장별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한 주차장 이용내역을 저장한다.
통신부(34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에 유선 및 무선 중 하나로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에 접속해 있는 출입 통제 장치(400), 발신자 단말부(500) 및 수신자 단말부(600)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도 3의 주차권 발행 제어부(211)에 대응하는 주차권 발행부(310) 및 주차 관리 서버(220)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부(320)를 포함한다.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주차 관리부(320)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321), 주차요금 계산부(322), 차량 출입 통제부(323)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부(322)를 더 포함한다.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321)는 통신부(340)를 통해 출입 통제 장치(400)로부터 입차 및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수신되는 입차에 대한 차량번호의 수신 시 차량 출입 통제부(323)로 출력하고, 출차에 대한 차량번호의 수신 시 주차요금 계산부(322) 및 차량 출입 통제부(323)로 출력한다.
주차요금 계산부(322)는 출차에 대한 차량번호 입력 시 차량번호의 차량이 주차장에 머무른 주차시간에 따른 정상 주차요금을 계산하고, 정상 주차요금에서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정보의 할인을 적용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며, 해당 주차요금에 대한 입금 완료 명령 입력 시 정산 완료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부(323)로 출력한다.
또한, 주차요금 계산부(322)는 정상 주차요금이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의 할인금액을 초과하여 차량 운전자인 수신자가 지불해야 할 주차요금이 발생된 경우 추가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있으면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포함된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부로 추가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쿠폰)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가 있는 경우 주차요금 계산부(322)는 상기 부족한 주차요금에 대해 자체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추가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는 주차장 방문자인 수신자가 주차시간이 주차장 이용요금 할인 정보의 할인요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초과한 경우, 주차장 건물의 방문 회사 등에 사전에 구두로 요청하거나 전화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출입 통제부(323)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321)로부터 입차에 대한 차량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차량번호가 차량등록DB(333)에 모바일 주차권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이면 해당 출입 통제 장치(400)로 입차 허용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입차를 허용하고,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 입력 시 주차요금 계산부(322)로부터 상기 차량번호에 대한 정산 완료 정보가 입력되면 출차 허용 명령을 출입 통제 장치(400)로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출차를 허용한다.
사용자 인증부(324)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321)로부터 입차에 대한 차량번호 입력 시 통신부(340)를 통해 해당 출입 통제 장치(400)로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에 저장된 모바일 주차권을 요청할 것으로 요구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400)로부터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로부터 획득한 모바일 주차권이 수신되면, 상기 차량번호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주차권을 비교하여 각 항목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 결과를 차량 출입 통제부(323)로 출력한다.
그러면 차량 출입 통제부(323)는 입차에 대한 차량번호 입력 시 차량번호의 등록 여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부의 인증결과가 인증 성공인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차량의 입차 허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출입 통제 장치(4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출입 통제 장치(400)는 통제 제어부(410), 영상 획득부(420), 통제 통신부(430) 및 출입 개폐부(450)를 포함한다.
영상획득부(420)는 주차장 출입구의 입차 방향 및 출차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려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421) 및 상기 카메라(4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미리 설정된 영상 포맷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제 제어부(4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423)를 포함한다.
통제 통신부(43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700)에 접속하여 주차 관리 서버부(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431) 및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와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432)는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방송하는 비콘송신부(433)를 포함한다.
출입 개폐부(450)는 입차 입구 및 출차 입구에 설치되어 입차 및 출차하려고 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 통제 바(Bar)를 구비하고, 통제 제어부(410)의 제어를 받아 차량이 지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 통제 바를 내리거나, 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출입 통제 바를 올린다.
통제 제어부(410)는 번호 인식부(411), 번호 전송부(412), 주차권 획득부(413), 주차권 전송부(414) 및 출입 제어부(415)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 통제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번호 인식부(411)는 영상획득부(4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번호판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번호 인식부(411)는 근거리 통신부(433)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신호에 응답하여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로부터 근거리 통신부(432)를 통해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620)에 저장되는 차량번호가 수신자의 것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수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620)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등록증을 촬영하도록 하고,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방식의 공인인증을 수행하여 차량등록증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호전송부(412)는 상기 번호인식부(411)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를 원거리 통신부(431)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 전송한다.
주차권 획득부(4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비콘송신부(433)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기(620)로부터 모바일 주차권을 근거리 통신부(432)를 통해 수신하여 주차권 전송부(414)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620)는 비콘신호의 수신 시 비콘신호에 포함된 비콘송신부(433)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로드하여 출입 통제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에는 해당 주차장에 구비된 비콘송신부(433)의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주차권 전송부(414)는 상기 주차권 획득부(413)로부터 모바일 주차권이 입력되면 원거리 통신부(431)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 전송한다.,
출입제어부(415)는 원거리 통신부(431)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입차 허용 명령 및 출차 허용 명령 등과 같은 출입 통제 (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출입 개폐부(450)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발신자 단말부(500)로부터 주차권 발행정보를 입력받아 모바일 주차권을 발행하고,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을 주차권 발행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자정보에 근거하여 수신자 단말부(600)로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발행한다(S111).
모바일 주차권이 발행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생성되어 등록된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기 시작한다(S113). 등록된 모바일 주차권의 관리는 관리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주차 관리 서버(200)가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발행 주차권의 관리가 개시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모바일 주차권에 의한 주차 관리를 수행한다(S11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통한 주차권 발행하여 수신자에게 발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기 도 6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210) 또는 주차권 발행부(310)는 도 8과 같은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발신자 단말부(500)로 제공하여 주차권 발행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211).
상기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한 후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발신자 단말부(500)로부터 주차권 발행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213).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부(500)에 표시된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를 통해 주차권 발행정보를 입력한 후, 도 8의 발송버튼(801) 및 주차권 발송 수단 선택 수단(806)을 통해 주차권 발송 수단을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부(500)는 도 8의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한 주차권 발행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 전송할 것이다. 이때,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인을 지정할 수 있는 수신인정보 입력 수단(803)을 구비하고, 할인 차량 대수를 지정할 수 있는 할인 차량 수 입력 수단(804)를 구비하며, 할인 방법 선택 수단(805)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권 발행 요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은 카카오톡 및 라인 등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권 발송 수단 및 SMS를 이용한 주차권 발송 수단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주차권 발송 수단 선택 수단(806)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의 발송 취소 확인 버튼(802)을 누르면 모바일 주차권 요청 절차가 종료될 것이다.
주차권 발행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고유한 주차권 식별정보를 생성하고(S215), 상기 주차권 식별정보 및 상기 주차권 발행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생성한다(S217).
주차권정보가 생성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S223) 주차권 발행정보의 수신자정보의 수신자 단말부(600)로 전송한다(S225).
다른 실시예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주차권 발행 정보에 근거하여 암호를 생성하고(S219), 생성된 암호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한(S221) 후 상기 주차권을 생성하도록(S223)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권에는 암호에 대한 암호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의 차량번호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자가 수신한 주차권을 통해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번호등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 모바일 단말기(620)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자의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에는 수신된 모바일 주차권이 (가)와 같이 수신되어 있을 것이다. 도 10에서는 수신자 단말부(600)에 표시되는 모바일 주차권이 이동통신 메시지 형태로만 수신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주차권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과 같이 이동통신 메시지의 형태로 모바일 주차권이 발송된 경우 도 10의 (가)와 같이 접속정보(URL)가 터치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때, 수신자가 도 10의 (가) 화면에서 수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터치하는 경우 수신자 단말부(600)는 모바일 주차권에 포함되어 있는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접속정보에 의해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에 접속하여 도 10의 (나)와 같은 차량번호 등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할 것이다. 상기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웹 방식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포함되어 있는 암호정보의 터치 시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620) 또는 주차 관리 서버부(200)가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와 같은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가 표시되면 수신자는 차량번호 입력 필드(04)에 차량번호를 입력하거나, 수신자 단말부(600)가 모바일 단말기(620)인 경우 카메라 활성화 버튼(05)을 터치하여 수신자 단말부(600)의 모바일 단말기(620)의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촬영에 의해 차량번호를 입력할 것이다.
복수의 차량에 대해 모바일 주차권을 받고 싶은 경우 차량 추가 버튼(06)을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입력 후 입력완료 버튼(07)을 터치하면 등록할 차량번호가 주차 관리 서버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11).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자가 상기 도 10의 (가) 화면에서 모바일 주차권을 터치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된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 식별정보를 획득하고(S313), 획득된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문 주차권정보를 로드하고(S315), 도 10의 (나)와 같은 차량 번호등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수신자 단말부(600)로 제공하여 등록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317).
상기 차량번호 등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의 제공 후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등록할 차량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319),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입력 차량번호를 해당 주차권 식별정보, 즉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저장한다(S32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발행 주차권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권 발송 내역 확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발행된 주차권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주차권 관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주차 관리 서버(220) 또는 주차 관리부(320)는 주차권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11). 상기 주차권 관리 이벤트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서 발생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차권 관리 이벤트가 발생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발행주차권DB(2122 또는 332)에 저장되어 있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내역을 검색한다(S412). 이때, 검색된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내역들은 도 12와 같이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기(미도시) 화면 또는 주차 관리 서버부(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발행된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기간 정보와 발행된 각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 등록 상태 정보, 입차 여부 정보, 출차 여부 정보, 취소 여부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주차권 발행 내역이 검색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차량번호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를 생성하고(S413), 생성된 차량번호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 들 중 제1기간 및 제2기잔 중 하나 이상을 초과한 미등록 주차권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1기간>제2기간)(S415, S417). 일예로, 상기 제2기간은 차량등록 마감 시간이 될 수 있고, 제1기간은 주차장 이용 마감 시간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2기간을 초과한 미등록 모바일 주차권이 있으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를 생성한다(S427). 상기 생성된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를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표시된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의 표시 후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들에 대한 재발송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429).
도 13을 예를 들면 관리자가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에서 임의의 주차권을 선택하면 도 13과 같은 모바일 주차권 관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할 것이다. 이때 관리자는 주차권 재발송 버튼(03)을 클릭하여 모바일 주차권의 재발송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의 모바일 주차권 모두에 대해 자동으로 재발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의 모바일 주차권들에 대해 관리자가 도 13의 발송 취소 버튼(04)를 클릭하는 경우 발송 취소가 되어 이후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의 재발송 요청이 발생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재발행한다(S431).
또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2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의 모든 모바일 주차권을 재발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기간을 초과하는 미등록 주차권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1기간을 초과하는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S419),
상기 제1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의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 후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1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삭제(발송 취소) 명령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21). 제1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리스트에서 임의의 모바일 주차권을 선택하면 도 13과 동일한 모바일 주차권 관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이때에는 발송 취소 버튼(04)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기간 초과 미등록 주차권 삭제 명령이 입력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제1기간 초과 주차권에 대한 발송 취소를 수행하고(S423), 발행내역에서 해당 모바일 주차권을 삭제한다(S425).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차량 입출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출입 통제 장치(400)로부터 차량검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입차 또는 출차하려는 차량이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515).
차량 검출 시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검출된 차량이 입차하려고 하는 차량인지 출차하려고 하는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513, S515).
입차하려는 차량이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차량 검출 신호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S517),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등록DB(2123 또는 333)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인지를 검사한다(S519).
검사결과 등록차량이 아니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일반적인 주차권 발행 신청 절차를 수행하고(S521), 등록 차량이면 해당 출입 통제 장치(400)로 입차 허용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입차를 허용한다(S523).
반면, 검출 차량이 출차하려고 하는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출입 통제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검출 신호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S525), 해당 차량번호에 대한 주차요금을 계산한다(S527).
주차요금이 계산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차량번호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 이용요금 할인정보의 할인요금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529). 이때 요금이 아니라 주차시간 및 할인 시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산된 주차요금이 할인요금 이내이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해당 출입 통제 장치(400)로 출차 허용 명령을 전송하여 출차를 허용한다(S531).
그러나 계산된 주차요금이 할인요금을 초과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수신자가 추가 부담해야할 잔여요금을 계산하여 주차관리자에게 통지하고(S533), 일반적인 관리자에 의한 출차 처리를 수행한다(S535).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한 차량 입출차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주가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도 14의 S529에서 계산된 주차요금이 할인요금을 초과하는 경우(S611), 계산된 주차요금에서 할인요금을 감산하여 잔여요금을 계산하고(S613), 계산된 잔여요금에 대응하는 연장 할인 정보를 검색하고(S615), 검색된 연장 할인 정보들 중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장 할인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617).
판단결과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장 할인정보가 없으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관리자에 의한 출차 처리를 수행하고(S625),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장 할인정보가 있으면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연장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 발송한다(S619).
상기 추가 모바일 주차권의 발송 후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연장 모바일 주차권이 발행주차권DB(2122 또는 332)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21). 상기 연장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등록은 상술한 도 9와 같은 과정을 통해 등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빠른 처리를 위해 연장 모바일 주차권에 대해서는 주차 관리 서버부(200)가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장 모바일 주차권이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관리 서버부(200)는 해당 출입 통제 장치(400)로 출차 허용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출차를 허용한다(S62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200: 주차 관리 서버부
210: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211: 주차권 발행 제어부
212: 주차권 발행 저장부 213: 주차권 발행 통신부
220: 주차 관리 서버
300: 제어부 310: 주차권 발행부
311, 2111: 정보 획득부 312, 2112: 주차권 생성부
313, 2113: 암호 생성부 314, 2114: 암호화부
315, 2115: 주차권 전송부 316, 2116: 차량 등록부
320: 주차 관리부 321: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
322: 주차요금 계산부 323: 차량 출입 통제부
324: 사용자 인증부 330: 저장부
331, 2121: 주차장DB 332, 2122: 발행주차권DB
333, 2123: 차량등록DB 334: 주차관리DB
340: 통신부 400: 출입 통제 장치
410: 통제 제어부 411: 번호 인식부
412: 번호 전송부 413: 주차권 획득부
414: 주차권 전송부 415: 출입제어부
420: 영상 획득부 421: 카메라
423: 영상처리부 430: 통제 통신부
431: 원거리 통신부 432: 근거리 통신부
433: 비콘 송신부 450: 출입 개폐부
500: 발신자 단말기 510:발신자 컴퓨터 단말기
520: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 600: 수신자 단말기
610: 수신자 컴퓨터 단말기 620: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
700: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Claims (18)

  1.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권 발행 통신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 상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부;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생성 시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발행할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를 주차권 발행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수신되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를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부; 및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5.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정보획득부가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 과정;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생성부가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 상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 과정;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전송부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과정;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차량 등록부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권 발행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 등록 과정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전송 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차량번호 등록 요청 모니터링 단계;
    차량번호 등록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여 차량번호의 등록을 요청하는 차량번호 입력 요청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번호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과 맵핑하여 저장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권 생성 과정은,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 생성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 단계;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모바일 주차권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권 전송 과정에 의해 송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주차권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방법.
  8.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해 입차 및 출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출력하고, 제어를 받아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오거나 주차장을 나가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 및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정보의 주차장에 주차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시켜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입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이면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고, 해당 차량의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의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고려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해당 차량을 출차시키는 주차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주차 관리 서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 상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부;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생성 시 모바일 주차권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발행할 모바일 주차권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차량등록 마감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정보를 주차권 발행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차량 등록부는,
    상기 차량등록 마감 시간 내에 수신되는 발행 모바일 주차권에 대한 차량번호를 해당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부; 및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권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유선 및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해 있는 상기 출입 통제 장치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정보, 기준 주차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장 DB 및, 입차 및 출차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주차장 이용 시간, 주차장 이용 시간에 따른 주차장 이용 요금정보, 사용된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관리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차량의 입차 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에 의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입차를 허용하고, 출차 시 주차 요금을 정산한 후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출차를 허용하며, 상기 차량의 출차 시 상기 차량에 대한 이용 내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 관리 DB에 저장하는 주차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차량의 입차 및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된 등록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부;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등록 차량의 등록 차량번호를 입력받고, 입차 시 주차시간을 카운트하고, 출자 시 카운트된 주차시간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저장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의 주차 이용요금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주차요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주차요금 계산부; 및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을 입차시키고, 차량이 출차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주차요금 계산부를 통해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차를 위한 출입 통제를 수행하는 차량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주차 관리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제 통신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번호 획득부;
    입차 입구 및 출차 출구에 설치된 출입 제한 바를 올리거나 내려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출입 개폐부; 및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를 통해 차량번호가 획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차량번호 획득 시 상기 통제 통신부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부로 획득된 차량번호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출입 통제 제어 명령을 주차 관리 서버부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출입 개폐부를 제어하여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는,
    주차장 입구 및 출구 각각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영상 획득부이되,
    상기 통제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상기 통제 통신부의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번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15.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수신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정보의 주차장에 주차할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에 맵핑시켜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과정; 및
    주차 관리 서버가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가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차량번호이면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고, 해당 차량의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가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의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와 상기 차량의 주차시간을 고려하여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해당 차량을 출차시키는 주차 관리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과정은,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정보획득부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주차권을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주차권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생성부가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 상기 주차장정보, 주차장 이용요금정보 및 차량번호 등록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주차권 생성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주차권 전송부가 상기 수신자 정보의 수신자 단말기 식별정보로부터 파악된 수신자 단말기로 생성된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하는 주차권 전송단계; 및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의 차량 등록부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터치에 의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차량 등록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전송 후,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할 차량의 차량번호 등록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차량번호 등록 요청 모니터링 단계;
    차량번호 등록 요청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주차권을 통해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주차권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장 정보의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차량번호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여 차량번호의 등록을 요청하는 차량번호 입력 요청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입력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번호를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 주차권과 맵핑하여 저장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권 생성 단계는,
    상기 주차장정보 및 주차장 이용요금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정보 생성 단계;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발행시간, 발신자정보, 수신자정보, 주차장정보 및 차량등록 마감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유한 암호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생성 단계;
    상기 암호정보로 상기 주차권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주차권정보 및 상기 암호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주차권을 생성하는 모바일 주차권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권 생성 단계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권 전송 단계에 의해 송신된 모바일 주차권을 수신받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주차권의 암호정보의 터치 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를 포함된 암호정보로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주차권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과정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로부터 차량의 입차 및 출차에 따른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번호가 상기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등록된 등록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등록차량 출입 모니터링 단계;
    상기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하고자 하는 차량이 등록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통제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을 입차시키는 차량 입차 통제 단계;
    등록 차량 출입 모니터링부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 하고자 하는 등록 차량의 등록 차량번호를 입력받고, 입차 시 주차시간을 카운트하고, 출자 시 카운트된 주차시간 및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에 저장된 모바일 주차권의 주차권정보의 주차 이용요금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주차요금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주차요금 계산 단계; 및
    차량이 출차 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요금 계산부를 통해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차를 위한 출입 통제를 수행하는 차량 출차 통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방법.
KR1020180010218A 2018-01-26 2018-01-26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4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18A KR101945526B1 (ko) 2018-01-26 2018-01-26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18A KR101945526B1 (ko) 2018-01-26 2018-01-26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45 Division 2017-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067A true KR20180017067A (ko) 2018-02-20
KR101945526B1 KR101945526B1 (ko) 2019-02-07

Family

ID=6139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18A KR101945526B1 (ko) 2018-01-26 2018-01-26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071A (zh) * 2019-03-29 2019-06-21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优惠停车管理方法、停车管理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20200114558A (ko) * 2019-03-29 2020-10-07 정철호 주차시스템
CN110853157B (zh) * 2019-11-12 2022-01-04 南京猫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入场支付管理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071A (zh) * 2019-03-29 2019-06-21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优惠停车管理方法、停车管理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20200114558A (ko) * 2019-03-29 2020-10-07 정철호 주차시스템
CN109920071B (zh) * 2019-03-29 2022-05-03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优惠停车管理方法、停车管理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0853157B (zh) * 2019-11-12 2022-01-04 南京猫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入场支付管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526B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101766206B1 (ko)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6950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휴대 단말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945526B1 (ko)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X2013011116A (es) Distribucion de informacion de acceso a instalaciones.
US10553050B1 (en) System to register users to pre-authorize them to enter preselect locations
KR101513172B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CN109243012A (zh) 门禁系统
KR20170017706A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331972A (zh) 车辆通行请求发送方法、通行控制方法、通行方法及系统
US11423133B2 (en) Managing travel documents
US20200410832A1 (en) Methods of Cautioning and Alerting within Umbras, and Penumbras of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JP2002342285A (ja) 情報発行システム
US20020187791A1 (en)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apparatus
KR101947874B1 (ko) 외부 서비스와 연동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51270B1 (ko)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문서 발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60355A (ko) 공동주택 주차관리시스템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KR102380398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WO2018014346A1 (zh) 一种访客管理的方法及装置
KR20200094333A (ko) 지능형 골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013458A (ko)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KR20190048976A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20140111150A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JP7067979B2 (ja) 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