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018A -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018A
KR20180017018A KR1020177035227A KR20177035227A KR20180017018A KR 20180017018 A KR20180017018 A KR 20180017018A KR 1020177035227 A KR1020177035227 A KR 1020177035227A KR 20177035227 A KR20177035227 A KR 20177035227A KR 20180017018 A KR20180017018 A KR 2018001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icture data
chrominance
color pictur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브리쓰 르레아넥
세바스티앙 라쎄르
빠트릭 로뻬즈
야닉 올리비에
다비드 뚜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8001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입력 컬러 공간에서의 컬러 픽처 데이터를 표현하는 3개의 성분 C1, C2 및 C3으로부터 3개의 색차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1 색차 성분은 성분 C1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2 색차 성분은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2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3 색차 성분은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3으로부터 정의된다. 방법은,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색차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CIEXYZ, CIELab 또는 임의의 컬러 공간들에서 표현된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획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아래에서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되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들과 관련될 수 있는 본 기술분야의 다양한 양태들을 독자에게 소개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논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의 더 양호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들은 선행 기술의 인정이 아니라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져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입력 3차원 컬러 공간(C1, C2, C3)에 속하는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색차 성분들)의 인코딩(획득)은 출력 3차원 컬러 공간(D1, D2, D3)에서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을 표현하고, 여기서, D1은 성분 C1로부터 정의되는 제1 성분이고, D2는 성분 C2 및 성분 C1로부터 정의되는 제1 색차 성분이고, D3은 성분 C3 및 성분 C1로부터 정의되는 제2 색차 성분이다.
CIEXYZ 또는 RGB 컬러 공간들은 입력 컬러 공간의 예들이고, CIELab 또는 YDzDx("WD SMPTE Standard: YDzDx Color-Difference Encoding for XYZ integer signals", 2014-03-03의 버전 1.06) 컬러 공간들은 출력 컬러 공간의 예들이지만,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입력 및/또는 출력 특정 컬러 공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색차들을 인코딩하는 것은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을 3차원 공간의 트리플릿들로 컬러 변환하는 것 및 컬러 변환된 트리플릿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듈 C1C2C3-대-D1D2D3은 수식 (1)에 따라 입력 컬러 공간의 트리플릿(C1, C2, C3)을 컬러 변환함으로써 부동 소수점 값들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01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F1(), F2() 및 F3()은 모듈 C1C2C3-대-D1D2D3에 의해 구현되는 컬러 변환 함수들을 표현한다.
다음으로, 모듈들 Q1, Q2 및 Q3은 수식 (2)에 따라 트리플릿들 (
Figure pct00003
)을 양자화함으로써 출력 컬러 공간의 정수 값들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04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Q1(), Q2() 및 Q3()은 모듈 Q1, Q2 및 Q3에 의해 각각 구현되는 양자화 함수들을 표현한다.
다음으로, 표기 EA는 값 A의 부동 소수점 버전을 나타내며 DA는 값 A의 정수(디지털) 버전을 나타낸다.
일례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CIELab1976 컬러 공간(D1 = L, D2 = a*, D3 = b*)인 경우, 트리플릿들(X, Y, Z)은 수식 (3)에 따라 컬러 변환된다:
Figure pct00006
그 다음, 수식 (3)에 의해 주어진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07
)은 수식 (4)에 따라 양자화된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EDipeak 및 EDimin (i=1, 2, 3)은 각각 컬러 성분 EDi에 대한 미리 정의된 피크(경계) 및 최소값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상한 및 하한들은, 예를 들어 코딩 방식에 의해 지원되도록, 컬러 픽처 값들의 성분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YDzDx 컬러 공간인 경우, 트리플릿들(X, Y, Z)은 수식 (5)에 따라 컬러 변환된다:
Figure pct00009
그 다음, 수식 (5)에 의해 주어진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0
)은 수식 (6)에 따라 양자화된다:
Figure pct00011
출력 컬러 공간에 속하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색차들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2
)을 디코딩하는 것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기 색차의 인코딩의 수학적 역이다.
모듈들 IQ1, IQ2 및 IQ3은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3
)을 역양자화함으로써 역양자화된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4
)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모듈 D1D2D3-대-C1C2C3 모듈은 역양자화된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5
)을 역변환함으로써 디코딩된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6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수식 (7)은 역양자화 및 역변환 연산들의 조합을 정의한다:
Figure pct00017
여기서 IF1(), 각각 IF2() 및 IF3()은 모듈 C1C2C3-대-D1D2D3에 의해 구현된 F1(), 각각 F2() 및 F3()을 표현하고, IQ1(), 각각 IQ2() 및 IQ3()은 양자화 함수들 Q1(), 각각 Q2() 및 Q3()의 역을 표현한다.
일례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CIELab1976 컬러 공간(D1 = L, D2 = a*, D3 = b*)인 경우, 디코딩된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은 수식 (8)에 따라 획득된다:
Figure pct00020
다른 예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YDzDx 컬러 공간인 경우, 디코딩된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21
)은 수식 (9)에 따라 획득된다:
Figure pct00022
여기서 d1=2741/2763 및 d2=2800/2763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색차들을 인코딩하는 것은, 성분 C2(각각 C3)와 성분 C1 사이의 색차들(예를 들어, 수식 (1), (3) 또는 (5))을 계산하는 것을 수반하지만, 색차들을 디코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수식들 (8) 또는 (9)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색차 성분들
Figure pct00023
(각각
Figure pct00024
)와 사이의 합산들을 계산하는 것을 수반한다. 그러한 색차 성분들
Figure pct00026
(각각
Figure pct00027
)은 성분 C2(각각 C3)의 색차 변환된 버전의 양자화된 버전들이고, 따라서 합산들은 양자화된 성분들 사이에서 계산되지만, 색차들은 성분들의 비-양자화된 버전들 사이에서 계산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라 색차들을 인코딩/디코딩하는 것은 디코딩된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28
) 상의 에러들을 도출하는 양자화 에러들을 누산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 내용의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의 데이터 오브젝트들 사이의 시맨틱(semantic) 관계들을 생성 및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하기 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본 개시내용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이는 본 개시내용의 핵심적이거나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요약은 단지 아래에 제공된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상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입력 컬러 공간에서의 컬러 픽처 데이터를 표현하는 3개의 성분 C1, C2 및 C3으로부터 3개의 색차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1 색차 성분은 성분 C1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2 색차 성분은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2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3 색차 성분은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3으로부터 정의된다. 방법은,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색차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는 성분 C1의 양자화를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제1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한다.
색차들을 컴퓨팅하기 위해 성분 C1보다는 성분 C1의 양자화 및 역양자화된 버전을 사용하는 것은 누산적 양자화 에러들을 회피하는데, 이는, 색차들을 계산하기 위해 성분 C1에 대한 양자화 에러가 고려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는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제1 성분의 디코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는 성분 C1의 양자화 및 그에 후속하는 양자화된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제1 성분의 디코딩 및 그에 후속하는 디코딩된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비선형 컬러 픽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해 전달 함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하기 전에 컬러 픽처 데이터의 각각의 성분을 역양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은 CIEXYZ 컬러 공간 또는 YDzDx 컬러 공간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상기 방법에 따라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 C1의 잔차(residual)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이 컬러 픽처 컬러 데이터의 루마(luma) 성분인 경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잔차는 컬러 픽처의 상기 루마 성분에 대한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저 공간 주파수 버전을 감산함으로써 계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이 컬러 픽처 컬러 데이터의 루마 성분인 경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잔차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을 백라이트 성분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 중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및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들을 포함(carrying)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성질 뿐만 아니라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특징들 및 용도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색차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 도 3a 또는 도 3b와 관련하여 설명된 본 원리들의 예들의 변형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픽처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d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픽처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e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원리들의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원리들의 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2개의 원격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유사하거나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참조된다.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대안적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지만, 이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의 예로서 도시되며 본원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을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반대로, 본 개시내용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균등물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표현들("a", "an" 및 "the")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복수형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비하다" 및/또는 "구비하는"은,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오퍼레이션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오퍼레이션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응답하는" 또는 "연결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엘리먼트는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응답하거나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개재된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엘리먼트가 다른 엘리먼트에 "직접 응답하는" 또는 "직접 연결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어떠한 개재 엘리먼트도 존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결합들을 포함하고, "/"로 축약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엘리먼트를 다른 엘리먼트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교시들을 벗어남이 없이, 제1 엘리먼트는 제2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도면들은 통신의 주 방향을 도시하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의 화살표들을 포함하지만,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블록도들 및 동작 흐름도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각각의 블록은 특정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회로 엘리먼트, 모듈 또는 코드 부분을 표현한다. 또한, 다른 구현들에서, 블록들에 언급된 기능(들)은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들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블록들은 수반되는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 따라"라는 문구의 출현은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별개의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과 상호 배타적이지는 않다.
청구항들에 나타나는 참조 부호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항들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적인 효과도 갖지 않을 것이다.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들 및 변형들은 임의의 조합 또는 서브-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픽처(종래 기술에서 종종 이미지 또는 프레임으로 지칭됨)는, 픽처(또는 비디오)의 픽셀 값들과 관련된 모든 정보, 및 픽처(또는 비디오)를 시각화 및/또는 디코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픽처/비디오 포맷으로 샘플들(픽셀 값들)의 하나의 또는 몇몇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픽처는, 샘플들의 제1 어레이, 통상적으로 루마(또는 휘도) 성분의 형상인 적어도 하나의 성분, 및 가능하게는, 샘플들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레이, 통상적으로는 컬러 성분의 형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픽처를 인코딩/디코딩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퀀스의 각각의 픽처가 순차적으로 인코딩/디코딩되기 때문에 시퀀스들(비디오)의 시퀀스의 인코딩/디코딩으로 확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르면, 도 1과 관련하여 도입부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은,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2 성분
Figure pct00029
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색차 성분들은 제2 컴포넌트로부터 추가로 정의된다.
더 정확하게는, 모듈 PP는 프로세스 pro를 성분
Figure pct00030
에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모듈 IPP는 다음과 같이 상기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 IPP(프로세스 PP의 역)를 적용함으로써 제2 성분
Figure pct00031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032
그 다음, 모듈 C1C2C3-대-D1D2D3은 수식 (10)에 따라 입력 컬러 공간 (C1, C2, C3)의 트리플릿(C1(C1))을 컬러 변환함으로써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33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034
수식 (10)은, 먼저 성분 C1로부터 성분
Figure pct00035
이 정의되고, 그 다음, 제2 성분
Figure pct00036
이 획득되고, 마지막으로 색차 성분들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이 성분들 C2 및 C3 및 제2 성분
Figure pct00039
으로부터 획득된다.
일례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CIELab1976 컬러 공간(D1 = L, D2 = a*, D3 = b*)인 경우, 트리플릿들(X, Y, Z)은 수식 (11)에 따라 컬러 변환된다:
Figure pct00040
여기서 D1peak 및 D1min은 각각 컬러 성분에 대한 미리 정의된 피크(경계) 및 최소값을 각각 나타낸다.
변형에 따르면,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41
)은 다음 수식들에 의해 근사된다:
Figure pct00042
다른 예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이고 출력 컬러 공간이 YDzDx 컬러 공간인 경우, 트리플릿들(X, Y, Z)은 하기 수식들에 따라 컬러 변환된다:
Figure pct00043
그 다음, 가능하게는, 출력 컬러 공간의 정수 값들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44
)은 수식 (2)에 따라 트리플릿들 (
Figure pct00045
)을 양자화함으로써 획득된다.
색차들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46
)은 수식 (7)에 따라 디코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 PP는 성분 C1의 양자화를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 IPP는 제1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실시예는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성분 C1에 대한 양자화 에러를 누산하는 것을 회피하고, 그 다음, 색차 인코딩의 성능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 PP는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 IPP는 제1 성분의 디코딩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실시예는, 인코딩 및 디코딩 동작들 E/D에 의해 도입되는,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성분 C1의 코딩 에러를 누산하는 것을 회피하고, 그 다음, 색차 인코딩의 성능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 PP는 성분 C1의 공간 블록의 비디오 인코딩을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 IPP는 제1 성분의 상기 공간 블록의 비디오 디코딩(예를 들어, HEVC)을 포함한다.
인코딩 동작 E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을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 ENC1에서 구현될 수 있고, 디코딩 동작 D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을 디코딩하도록 적응된 디코더 DEC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C1에 적용된 프로세스 PP는 성분 C1의 양자화 및 그에 후속하는 양자화된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 IPP는 제1 성분의 디코딩 및 그에 후속하는 디코딩된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실시예는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성분 C1에 대한 코딩 에러 및 양자화 에러를 누산하는 것을 회피하고, 그 다음, 색차 인코딩의 성능을 증가시킨다.
도 3a에 예시된 변형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인 경우, 방법은 CIEXYZ 컬러 공간의 트리플릿(X,Y,Z) 상에 전달 함수 tf를 적용함으로써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X', Y', Z')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 다음, 색차들은 수식 (11) 또는 (12)에 따라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X', Y', Z')로부터 인코딩된다.
예시적인 전달 함수 tf는 SMPTE "FCD SMPTE Standard High Dynamic Range Electro-Optical Transfer Function of Mastering Reference Displays, SMPTE ST2084:201X, Version 1.24 --- of 2014-06-18"에 설명된 역 전기-광학 전달 함수(
Figure pct00047
로 표기되는 역 EOTF)이다. 이는 하기 수식들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48
여기서,
m1은 수 2610/4096×1/4=0.1593017578125이고,
m2는 수 2523/4096×128=78.84375이고,
c1은 수 3424/4096=0.8359375=c3-c2+1이고,
c2는 수 2413/4096×32=18.8515625이고,
c3은 수 2392/4096×32=18.6875이다.
다른 예시적인 전달 함수 tf는,
Figure pct00049
로 주어지고,
여기서 (Xn, Yn, Zn)는 컬러 픽처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경을 표현하는 트리플릿들이다.
예를 들어, 전달 함수 f는 주로 1/3과 동일한 지수를 갖는 감마 함수, 즉,
Figure pct00050
인 경우
Figure pct00051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ct00052
이다.
예를 들어,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 컨텐츠의 경우, 전달 함수 f는 앞서 나타낸 감마 함수와 상이한 형태일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3b는 이러한 변형에 따른 색차들의 디코딩을 예시한다.
전달 함수 tf가 CIEXYZ 컬러 공간의 트리플릿들(X, Y, Z)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방법은 하기 수식에 따라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53
) 상에 역변환 함수 itf를 적용함으로써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54
)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Figure pct00055
Lab 컬러 공간의 경우, 역 전달 함수 itf는 하기 형태를 취한다:
Figure pct00056
도 3c에 예시된 변형에 따르면, 입력 컬러 공간이 CIEXYZ 컬러 공간(C1 = Y, C2 = X 및 C3 = Z)인 경우 및 부동 소수점 값들의 트리플릿들(X, Y, Z)보다 트리플릿들(X, Y, Z)의 정수(양자화된) 버전(Dx, Dy, Dz)이 이용가능한 경우, 방법은 수식 (13)에 따라 트리플릿들(Dx, Dy, Dz)을 역양자화함으로써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X', Y', Z')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색차들은 수식 (11) 및 (12)에 따라 트리플릿들(X', Y', Z')로부터 인코딩된다.
Figure pct00057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SMPTE ST 2085에서 통상적으로 역 코드 맵핑으로 지칭되고 수식 (13)의 역양자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IQx, IQy, IQz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Figure pct00058
(X, Y, Z)는 선형 데이터의 트리플릿들인데, 즉, 이러한 데이터는 각각의 성분(X, Y, Z)에서 주어진 센서에 의해 수신된 광량에 비례하고, (X', Y', Z')는 비선형 데이터, 즉, 비선형 함수(지각 곡선)에 의한 변형된 각각의 선형 광 성분(X, Y, Z)을 가진 이후 표현되는 데이터의 트리플릿들임을 주목한다. 결과적으로, 트리플릿들(X', Y', Z')이 색차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입력으로 고려되는 경우, 색차들은 비선형 영역에서 계산된다.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들을 인코딩하는 것은 임의의 인코딩/디코딩 컬러 픽처 데이터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디코딩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식은 성분
Figure pct00059
에 양자화(프로세스 PP)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
Figure pct00060
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Q1 및 제1 성분
Figure pct00061
에 역양자화(프로세스 IPP)를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IQ1을 포함한다.
또한, 인코딩 방식은 성분들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성분들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모듈들 Q2 및 Q3을 포함한다.
그 다음, 정수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66
)은 컬러 픽처 데이터들의 이러한 트리플릿들을 비트스트림 F로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 ENC1의 입력이다.
도 4b에 예시된 디코딩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방식은 비트스트림 F를 디코딩함으로써 정수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들(
Figure pct00067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DEC1을 포함하고, 디코딩 방식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68
)로부터 디코딩된 컬러 픽처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69
)을 획득하기 위한 모듈들 D1D2D3-대-C1C2C3 및 IQ1, IQ2, IQ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 ENC1의 입력 및 디코더 DEC1의 출력은 정수 포인트 값들이다.
도 4c 및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디코딩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식은 성분
Figure pct00070
을 인코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인코더 E(프로세스 PP) 및 제1 성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D(프로세스 IPP)를 포함한다.
또한, 인코딩 방식은 부동 소수점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71
)을 비트스트림 F로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 ENC2를 포함한다.
변형에 따르면,
Figure pct00072
이 이미 인코딩되었기 때문에, 오직 성분들(
Figure pct00073
)만이 인코더 ENC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면, 인코딩 방식은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 C1의 성분
Figure pct00074
로 지칭되는 잔차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성분 C1이 컬러 픽처 컬러 데이터의 루마 성분인 경우, 이러한 잔차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상기 루마 성분에 대한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저 공간 주파수 버전을 감산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잔차는 또한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을 백라이트 성분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도 4d에 예시된 디코딩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방식은 디코딩된 컬러 픽처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75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DEC2를 포함하고, 디코딩 방식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76
)로부터 디코딩된 컬러 픽처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77
)을 획득하기 위한 모듈들 D1D2D3-대-C1C2C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 ENC2의 입력 및 디코더 DEC2의 출력은 부동 소수점 값들이다.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디코딩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방식은 성분
Figure pct00078
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중간적 성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모듈 Q1 및 상기 중간적 성분을 인코딩(프로세스 PP)함으로써 제1 성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코더 E를 포함한다. 인코딩 방식은 제1 성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D 및 제1 디코딩된 성분에 역양자화(프로세스 IPP)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모듈 IQ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인코딩 방식은 성분들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성분들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모듈들 Q2 및 Q3을 포함한다.
그 다음, 정수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83
)은 컬러 픽처 데이터들의 이러한 트리플릿들을 비트스트림 F로 인코딩하도록 적응된 인코더 ENC1의 입력이다.
디코딩 방식은 도 4b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디코더 D(각각 DEC1, DEC2)는 인코더 D(각각 ENC1, ENC2)에 의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인코더 E 및/또는 ENC1 및/또는 ENC2(및 디코더 D 및/또는 DEC1 및/또는 DEC2)는 블록 기반 프로세싱일 수 있다.
인코더들 E 및/또는 ENC1 및/또는 ENC2(및 디코더 E 및/또는 DEC1 및/또는 DEC2)는 특정 인코더(디코더)로 제한되지 않는다.
인코더 E 및/또는 ENC1 및/또는 ENC2(및 디코더 D 및/또는 DEC1 및/또는 DEC2)는, 예를 들어, JPEG, JPEG2000, MPEG2, HEVC 추천("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ERIES H: AUDIOVISUAL AND MULTIMEDIA SYSTEMS, Recommendation ITU-T H.265,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of ITU, April 2013) 또는 H264/AVC 추천("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SERIES H: AUDIOVISUAL AND MULTIMEDIA SYSTEMS, Recommendation ITU-T H.264,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of ITU, February 2014)과 같은 손실있는 이미지/비디오 코더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e에서, 모듈은 식별가능한 물리적 유닛들과 관련이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기능 유닛들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듈들 또는 이들 중 일부는 고유 컴포넌트 또는 회로에 통합되거나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에 기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일부 모듈들은 잠재적으로 별개의 물리적 엔티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호환가능한 장치는 순수한 하드웨어, 예를 들어 ASIC 또는 FPGA 또는 VLSI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각각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를 사용하여, 또는 디바이스에 내장된 몇몇 통합 전자 컴포넌트들로부터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혼합으로부터 구현된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e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50)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표현한다.
디바이스(50)는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51)에 의해 함께 링크되는 하기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DSP(즉, Digital Signal Processor)인 마이크로프로세서(52)(또는 CPU);
ROM(즉, Read Only Memory)(53);
RAM(즉, Random Access Memory)(54);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할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I/O 인터페이스(55); 및
배터리(56).
변형에 따르면, 배터리(56)는 디바이스 외부에 있다. 언급된 메모리 각각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 레지스터 ≫는 작은 용량(일부 비트들)의 영역에 또는 매우 큰 영역(예를 들어, 전체 프로그램 또는 대량의 수신 또는 디코딩된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ROM(53)은 적어도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의 알고리즘은 ROM(53)에 저장된다. 스위치 온되는 경우, CPU(52)는 RAM에 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대응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RAM(54)은, 레지스터에서, CPU(52)에 의해 실행되고 디바이스(50)의 스위치 온 후에 업로드되는 프로그램, 레지스터 내의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 내의 방법의 다른 상태들의 중간적 데이터 및 레지스터 내의 방법의 실행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변수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은, 예를 들어,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오직 단일 형태의 구현의 상황에서 논의되는(예를 들어, 오직 방법 또는 디바이스로서만 논의되는) 경우에도, 논의되는 특징들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들(예를 들어,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지칭하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들, 셀 폰들, 휴대용/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들"), 및 최종 사용자들 사이에서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인코딩 또는 인코더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픽처 데이터의 트리플릿들(C1, C2, C3) 또는 (X, Y, Z) 또는 (Dx, Dy, Dz)가 소스로부터 획득된다. 예를 들어, 소스는 다음을 포함하는 세트에 속한다:
로컬 메모리(53 또는 54),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 또는 RAM(즉,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즉, Read Only Memory), 하드 디스크;
저장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대용량 저장소, RAM, 플래시 메모리, ROM, 광 디스크 또는 자기 지원부와의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스 인터페이스,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EEE 802.11 인터페이스 또는 Bluetooth® 인터페이스); 및
픽처 캡처 회로(예를 들어, CCD(즉, 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즉,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와 같은 센서).
디코딩 또는 디코더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컬러 픽처 데이터의 출력 트리플릿들(
Figure pct00084
) 또는 (
Figure pct00085
)은 목적지로 전송되고, 특히, 목적지는 다음을 포함하는 세트에 속한다:
로컬 메모리(53 또는 54),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 또는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저장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대용량 저장소, RAM, 플래시 메모리, ROM, 광 디스크 또는 자기 지원부와의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스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즉, Universal Serial Bus)),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EEE 802.11 인터페이스, WiFi® 또는 Bluetooth®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인코딩 또는 인코더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트스트림 F는 목적지로 전송된다. 일례로, 비트스트림 F는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54) 또는 RAM(54), 하드 디스크(53)에 저장된다. 변형에서, 비트스트림은 저장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대용량 저장소, 플래시 메모리, ROM, 광 디스크 또는 자기 지원부와의 인터페이스에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통신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통신 버스,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링크 또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다.
디코딩 또는 디코더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트스트림 F는 소스로부터 획득된다. 예시적으로, 비트스트림은 로컬 메모리,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54), RAM(54), ROM(53), 플래시 메모리(53) 또는 하드 디스크(53)로부터 판독된다. 변형으로, 비트스트림은 저장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대용량 저장소, RAM,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또는 자기 지원부와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고 그리고/또는 통신 인터페이스(55), 예를 들어,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버스,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링크 또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로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 도 3a, 도 3c, 도 4a, 도 4c 또는 도 4e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50)는 다음을 포함하는 세트에 속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게임 디바이스;
태블릿(또는 태블릿 컴퓨터);
랩탑;
스틸 픽처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인코딩 칩;
스틸 픽처 서버; 및
비디오 서버(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서버, 비디오-온-디맨드 서버 또는 웹 서버).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 도 3b, 도 4b 또는 도 4d와 관련하여 설명된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50)는 다음을 포함하는 세트에 속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게임 디바이스;
셋탑 박스;
TV 세트;
태블릿(또는 태블릿 컴퓨터);
랩탑;
디스플레이 및
디코딩 칩.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 NET를 통한 2개의 원격 디바이스들 A 및 B 사이의 송신 상황에서, 디바이스 A는 도 3, 도 3a, 도 3c, 도 4a, 도 4c 또는 도 4e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B는 도 2, 도 3b, 도 4b 또는 도 4d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디코딩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변형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A로부터 디바이스 B를 포함하는 디코딩 디바이스들로 스틸 픽처들 또는 비디오 픽처들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적응된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이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특징들의 구현들은 특히, 예를 들어, 장비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장비 또는 애플리케이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의 예들은 인코더, 디코더, 디코더로부터의 출력을 프로세싱하는 포스트-프로세서, 인코더에 입력을 제공하는 프리-프로세서, 비디오 코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코덱, 웹 서버, 셋톱 박스, 랩톱, 개인용 컴퓨터, 셀 폰, PDA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명확해야 할 바와 같이, 장치는 모바일일 수 있고, 심지어 모바일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어들(및/또는 구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값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 구현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그 내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고유의 능력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정보의 검색을 제공하는 고유의 능력이 주어지면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보다 구체적인 예들을 제공하는 한편, 단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되는 것, 즉,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과 같이 예시적이며 포괄적인 것이 아니다.
명령어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상에 유형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운영 시스템, 별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 둘의 조합에서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와,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갖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둘 모두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들에 추가하여 또는 명령어들 대신에, 구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바와 같이, 구현들은, 예를 들어, 저장 또는 송신될 수 있는 정보를 반송하도록 포맷된 다양한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또는 설명된 구현들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는 설명된 실시예의 신택스를 기록 또는 판독하기 위한 규칙들을 데이터로서 운반하거나,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기록된 실제 신택스 값들을 데이터로서 운반하도록 포맷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스펙트럼의 무선 주파수 부분을 사용하는) 전자기 파로서 또는 기저대역 신호로서 포맷될 수 있다. 포맷은,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것 및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과 캐리어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가 반송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 신호는,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신호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수의 구현들이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이한 구현들의 엘리먼트들은 다른 구현들을 생성하기 위해 결합, 보충, 수정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구조체들 및 프로세스들이 개시된 것들을 대체할 수 있고 결과적인 구현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들)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여, 개시된 구현들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들)를 달성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및 다른 구현들이 본 출원에 의해 고려된다.

Claims (16)

  1. 입력 컬러 공간에서의 컬러 픽처 데이터(colors picture data)를 표현하는 3개의 성분 C1, C2 및 C3으로부터 3개의 색차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1 색차 성분은 성분 C1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2 색차 성분은 상기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2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3 색차 성분은 상기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3으로부터 정의됨 -,
    상기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색차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에 적용되는 프로세스는 상기 성분 C1의 양자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상기 제1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에 적용되는 프로세스는 상기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상기 제1 성분의 디코딩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에 적용되는 프로세스는 상기 성분 C1의 양자화 및 그에 후속하는 상기 양자화된 성분 C1의 인코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에 적용되는 역 프로세스는 상기 제1 성분의 디코딩 및 그에 후속하는 상기 디코딩된 성분의 역양자화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비선형 컬러 픽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해 전달 함수(transfer function)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하기 이전에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의 각각의 성분을 역양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컬러 공간은 CIEXYZ 컬러 공간 또는 YDzDx 컬러 공간인 방법.
  8. 컬러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는 컬러 픽처 데이터의 성분 C1의 잔차(residual)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이 상기 컬러 픽처 컬러 데이터의 루마 성분일 때,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잔차는, 상기 컬러 픽처의 루마 성분에 대해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저 공간 주파수 버전(low spatial frequency version)을 감산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1이 상기 컬러 픽처 컬러 데이터의 루마 성분일 때,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의 잔차는 상기 컬러 픽처 데이터의 루마 성분을 백라이트 성분으로 제산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12. 입력 컬러 공간에서의 컬러 픽처 데이터를 표현하는 3개의 성분 C1, C2 및 C3으로부터 3개의 색차 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1 색차 성분은 성분 C1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2 색차 성분은 상기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2로부터 정의되고, 상기 색차 성분들 중 제3 색차 성분은 상기 제1 색차 성분 및 성분 C3으로부터 정의됨 -,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성분 C1에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제1 성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성분에 역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색차 성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픽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상에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인코딩 방법의 단계들을 적어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16.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들을 운반하는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것인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
KR1020177035227A 2015-06-10 2016-06-07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80017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05887.0 2015-06-10
EP15305887.0A EP3104610A1 (en) 2015-06-10 2015-06-10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color differences for color picture data
PCT/EP2016/062824 WO2016198364A1 (en) 2015-06-10 2016-06-07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olor difference components for color picture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018A true KR20180017018A (ko) 2018-02-20

Family

ID=5348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227A KR20180017018A (ko) 2015-06-10 2016-06-07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57427B2 (ko)
EP (2) EP3104610A1 (ko)
JP (1) JP2018524869A (ko)
KR (1) KR20180017018A (ko)
CN (1) CN107950027A (ko)
TW (1) TW201711474A (ko)
WO (1) WO20161983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431A (ja) 1992-08-14 1994-03-04 Oki Electric Ind Co Ltd カラ−画素デ−タの量子化/逆量子化方法
US6804299B2 (en) * 2001-06-15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requantization-originated generational error in predictive video streams using motion compensation
US20030012431A1 (en) * 2001-07-13 2003-01-16 Irvine Ann C. Hybrid lossy and lossless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23066A1 (en) * 2005-07-22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image encoding program, image decoding progra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enco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KR101311403B1 (ko) * 2006-07-04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291196B1 (ko) 2008-01-25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4650512B2 (ja) * 2008-03-28 2011-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集積回路装置
KR100968371B1 (ko) * 2008-04-25 2010-07-06 주식회사 코아로직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1534454B (zh) 2009-04-29 2010-11-10 天津大学 扩展数字电视色域的色差信号非线性量化方法
KR101763113B1 (ko) * 2010-12-06 2017-08-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288500B2 (en) 2011-05-12 2016-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uma-based chroma intra-prediction for video coding
JP6094973B2 (ja) * 2011-05-20 2017-03-15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色平面内予測を用いて映像を符号化および復号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414054B2 (en) * 2012-07-02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 and use of chroma quantization parameter values
WO2014007514A1 (ko) 2012-07-02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770317B1 (ko) * 2013-04-08 2017-09-05 지이 비디오 컴프레션, 엘엘씨 성분-간 예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50027A (zh) 2018-04-20
US20180160128A1 (en) 2018-06-07
US10757427B2 (en) 2020-08-25
EP3104610A1 (en) 2016-12-14
WO2016198364A1 (en) 2016-12-15
EP3308546A1 (en) 2018-04-18
JP2018524869A (ja) 2018-08-30
TW201711474A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5352B (zh) 包括有影像資料之影像單位之編碼/解碼方法及裝置,影像資料係由亮度道及至少一色訊道表示
CN108028944B (zh) 用于处理经解码视频数据的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2120571B1 (ko) 넌-4:4:4 크로마 서브-샘플링의 디스플레이 스트림 압축 (dsc) 을 위한 엔트로피 코딩 기법들
TW201931853A (zh) 具有聯合像素/變換為基礎之量化之視頻寫碼之量化參數控制
KR102537393B1 (ko) Hdr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7358473B2 (ja) 多仮説予測を用いたブロックのための最確モードリスト構成のエンコーダ、デコーダ、および対応する方法
US20160337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data
EP2961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image samples for encoding or decoding
WO2020114394A1 (zh) 视频编解码方法、视频编码器和视频解码器
KR20160102414A (ko) 높은 동적 범위 이미지를 인코딩 및/또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568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oding mode used for encoding/decoding a residual block
JP2023153802A (ja) イントラ・サブパーティション・コーディング・ツール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サブパーティション境界のための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CN115668915A (zh)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及相关装置
CN113660489B (zh) 用于帧内子划分的解码方法、装置、解码器和存储介质
JP2023085337A (ja) イントラ予測のためのクロスコンポーネント線形モデリングの方法、装置、デコーダ、エンコーダ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022039A1 (zh) 一种视频图像解码方法、编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766246A (zh)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及相关装置
EP30269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quantizing and de-quantizing a picture using scaling factors for chrominance based on luminance
WO2021135856A1 (zh) 视频编解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096520B1 (en) A method for encoding/decoding a picture block
KR20180017018A (ko) 컬러 픽처 데이터에 대한 색차 성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TWI821013B (zh) 視頻編解碼方法及裝置
EP3099073A1 (en) Method and device of encoding/decoding a hdr and a sdr picture in/from a scalable bitstream
EP31467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calable encoding of a high dynamic range frame and/or decoding a bitstream representing such a frame
EP2887673A1 (en) Method for coding a sequence of pictures and method for decoding a bitstream and corresponding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