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082A -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 Google Patents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082A
KR20180015082A KR1020170093564A KR20170093564A KR20180015082A KR 20180015082 A KR20180015082 A KR 20180015082A KR 1020170093564 A KR1020170093564 A KR 1020170093564A KR 20170093564 A KR20170093564 A KR 20170093564A KR 20180015082 A KR20180015082 A KR 2018001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ain body
body portion
axis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382B1 (ko
Inventor
마사미치 코바야시
마사히로 하수누마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2Devices for applying air or other gas pressure for forcing liquid to delivery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플러그 본체부(10)와, 플러그 본체부(10)에 접속되는 사이폰 관(20)을 구비하고, 플러그 본체부(10)가,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본체부(10a)와, 제1 본체부(10a)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X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저면부(12)를 갖는 제2 본체부(10b)를 갖고, 제2 본체부(10b)가, 저면부(12)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을 연통시키는 연통부(13)를 갖는 플러그(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PLUG AND PLUG STRUCTURE}
본 발명은,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약액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플러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러그는,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에 외측 플러그를 설치하고, 외측 플러그에 액 취출 파이프를 삽입하고, 외측 플러그에 내측 플러그를 설치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러그는, 외측 플러그의 플랜지부와 내측 플러그의 하단부 사이에 패킹을 배치함으로써, 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누액을 방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외측 플러그에 내측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액 취출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운반이나 보관에 수반되는 액체 수납 용기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한 경우,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이 가압되게 된다. 이 경우,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서 외측 플러그로부터 내측 플러그를 제거할 때에, 액 취출 파이프를 통하여 액체가 외부로 분출될 가능성이 있다.
JPH06-051200 U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액체 수납 용기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해서 액체가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를 억제한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는, 축선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상면에 설치된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플러그이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하단부에 형성된 플러그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 본체부의 상기 하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저부까지 연장되는 사이폰 관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부가,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저면부를 갖는 제2 본체부를 갖고, 상기 제2 본체부가, 상기 저면부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상기 플러그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에 의하면,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 내주면에 플러그 본체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부가 갖는 제2 본체부의 저면부에 시일 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플러그 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가 밀봉된다. 유로를 밀봉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에 의하면, 제2 본체부가 연통부를 갖기 때문에, 저면부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플러그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플러그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에 의한 유로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하는 문제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연통부가,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연장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하고 타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연통 홈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본체부의 저면부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관통 구멍과 연통 홈을 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플러그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에 의한 유로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하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제2 본체부에 관통 구멍과 그와 교차하는 연통 홈을 형성한다고 하는 비교적 간이한 구성에 의해, 연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저면부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상기 관통 구멍보다도 외주측에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환상 돌기부를 가져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본체부의 저면부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의 외주측에 무단부 형상의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이폰 관 혹은 액체 수납 용기로부터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문제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에 있어서는, 상기 플러그 본체부 및 상기 사이폰 관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본체부와 상기 사이폰 관이 상기 수지 재료의 용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본체부와 사이폰 관을 용착하지 않고 개별 부재로서 시일 부재 등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플러그 본체부와 사이폰 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체나 기체가 유출입되는 것에 의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 구조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러그와,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저면부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시일 부재를 갖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 구조에 의하면, 밀봉부를 플러그의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설치함으로써, 시일 부재와 저면부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 시일 영역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 및 사이폰 관으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시일 영역이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플러그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플러그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에 의한 유로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플러그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수나사를 상기 암나사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밀봉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설치한다고 하는 비교적 간이한 조작에 의해, 밀봉부를 제1 본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수납 용기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해서 액체가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를 억제한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플러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플러그가 설치된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플러그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플러그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밀봉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소켓이 설치된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플러그 및 소켓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플러그가 설치된 액체 수납 용기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액체를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흡인해서 복수의 공급처 장치(도시 생략)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란,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장치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순수나 각종 약액이다.
액체 수납 용기(400)는, 반도체 제조 장치가 설치된 공장으로의 운반 시나 공장 내에서의 보관 시에,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시점보다도 환경 온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내부의 액체 증발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해서 내부 공간이 가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약액으로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수는, 환경 온도 등에 따라서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400)를 밀폐했을 경우에는,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의 기체 영역이 산소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된다. 또한, 휘발성이 있는 약액 등에 있어서도,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의 기체 영역이 산소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이 가압된 상태로 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400)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분출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이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400)는, 축선(X2) 주위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410)와, 용기 본체(410)의 상면(천장판)에 설치되어 축선(X1) 주위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구부(420) 및 개구부(43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 수납 용기(400)의 개구부(420)에 설치되는 플러그(100) 및 밀봉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 수납 용기(400)의 개구부(430)에 설치되는 밀봉 마개(3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납되는 액체를 흡인해서 공급처 장치에 공급할 때에는, 밀봉부(200) 대신에 소켓(500)이 설치된다. 또한, 밀봉 마개(300) 대신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로 기체를 공급 가능한 다른 마개(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구조는, 액체 수납 용기(400)의 개구부(420)에 설치되는 플러그(100)와, 플러그(100)에 설치되는 밀봉부(200)를 구비한다.
플러그(100)는, 개구부(42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플러그 본체부(10)와, 플러그 본체부(10)에 접속되는 동시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저부(440)(도 1 참조 )까지 연장되는 사이폰 관(20)을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고, 사이폰 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0a)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부(10) 및 사이폰 관(20)은, 각각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 재료 혹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은, 이들 접속 부분의 수지 재료를 초음파에 의해 용융시킴으로써 용착되어 있다. 또한, 초음파에 의해 수지 재료를 용융시키는 대신에,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의 접속 부분을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용접봉을 용융시켜서 용접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부(10)는, 축선(X1)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10a)와, 축선(X1)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저면부(12)를 갖는 제2 본체부(10b)를 갖는다. 제1 본체부(10a)와 제2 본체부(10b)는, PFA 등의 불소 수지 재료 혹은 HDPE 등의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10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10a)의 수나사를 개구부(420)의 암나사에 체결함으로써, 제1 본체부(10a)가 개구부(420)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2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200)의 수나사를 제1 본체부(10a)의 암나사에 체결 시킴으로써, 밀봉부(200)와 제1 본체부(10a)가 연결된다.
개구부(420)의 내주면에는, 불소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 O링(45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본체부(10a)가 개구부(420)의 내주면에 설치된 경우, O링(450)과 제1 본체부(10a)가 접촉하고, 축선(X1) 주위에 무단부 형상으로 연장되는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본체부(10)와 개구부(420)의 간극으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부(10b)는, 축선(X1)에 대하여 유로(11)의 외주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13a)과 일단부가 관통 구멍(13a)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된 연통 홈(13b)을 갖는 연통부(13)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부(13)는, 저면부(12)에 밀봉부(200)의 시일 부재(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을 연통시킨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3a)은,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3a)은, 축선(X1) 주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이며, 축선(X1) 주위에 90도씩 간격을 두고 4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연통 홈(13b)은, 4군데에 형성된 관통 구멍(13a) 각각과 연통되어 있고, 축선(X1)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 있어서 축선(X1)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4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축선(X1) 주위의 둘레 방향에 4군데에 관통 구멍(13a)과 연통 홈(13b)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2군데, 6군데, 8군데 등의 임의의 개소에 형성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부(10b)의 저면부(12)에는, 축선(X1)에 대하여 관통 구멍(13a)보다도 외주측에 축선(X1)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환상 돌기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2)에 밀봉부(200)의 시일 부재(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 환상 돌기부(12a)와 시일 부재(220)의 접촉 부분에 축선(X1)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 시일 영역에 의해, 플러그 본체부(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11)가 밀봉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200)는,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본체부(210)와, 플러그 본체부(10)의 저면부(12)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시일 부재(220)를 구비한다. 시일 부재(220)는, 하방에 원환 형상의 시일면(220a)이 형성되도록 플러그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210)는, 시일 부재(220)의 시일면(22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a)를 갖는다. 돌출부(210a)는, 밀봉부(200)의 본체부(210)를 플러그 본체부(10)에 설치했을 때에, 플러그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오목부(1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돌출부(210a)를 오목부(14)에 삽입함으로써, 밀봉부(200)의 본체부(210)의 중심축을 플러그(100)의 플러그 본체부(10)의 중심축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부(200)의 돌출부(210a)가 플러그 본체부(10)의 오목부(14)에 삽입되어도, 돌출부(210a)의 외주면과 오목부(14)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설치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밀봉부(200)를 플러그(100)에 설치한 경우에도,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은, 연통부(13)를 통하여 연통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이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가압된 경우라도, 내부 공간(S1)의 압력과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이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납되는 액체를 흡인해서 공급처 장치에 공급할 때에 밀봉부(200) 대신에 개구부(420)에 설치되는 소켓(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500)은,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켓 본체부(510)와,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소켓 본체부(5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설치 너트(520)와, 소켓 본체부(5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O링(530)과, 소켓 본체부(510)의 상방에 체결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플랜지부(540, 550)와, 시일 부재(560)와, 하단부(570)와, O링(580)을 구비한다.
소켓 본체부(510)의 내부에는 유로(511)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500)을 플러그(100)에 설치한 상태에서, 유로(511)와, 사이폰 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0a)와, 소켓 본체부(510)에 설치되는 공급 배관(600)이 연통된 상태로 된다.
설치 너트(520)는, 하방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부재인 동시에, 축선(X1)을 따라 소켓 본체부(5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설치 너트(520)를 소켓 본체부(510)의 하단부까지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너트(520)의 수나사를 플러그 본체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너트(520)와 플러그 본체부(10) 사이에, 소켓 본체부(510)와 시일 부재(560)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O링(530)은, 설치 너트(520)를 소켓 본체부(5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설치 너트(520)가 소켓 본체부(510)에 대하여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O링(530)은, 소켓(500)을 플러그(100)에 설치할 때에, 작업자가 소켓(500)의 선단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설치 너트(520)를 상방에 고정해 두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플랜지부(540, 550)는, 각각 체결 볼트에 의해 소켓 본체부(510)에 체결되는 부재이다. 플랜지부(540, 550)는, 설치 너트(520)가 소켓 본체부(5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한 위치를 정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560)는, 하방에 원환 형상의 시일면(560a)이 형성되도록 소켓 본체부(510)에 설치되어 있다.
소켓 본체부(510)의 하단부에는, 시일 부재(560)의 시일면(56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단부(570)가 설치되어 있다. 하단부(570)는, 소켓 본체부(510)를 플러그 본체부(10)에 설치했을 때에, 플러그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오목부(1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하단부(570)를 오목부(14)에 삽입함으로써, 소켓 본체부(510)의 중심축을 플러그(100)의 플러그 본체부(10)의 중심축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570)가 플러그 본체부(10)의 오목부(14)에 삽입되었을 경우, 소켓 본체부(5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O링(580)이 오목부(14)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축선(X1)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소켓(500)을 플러그(100)에 설치했을 경우에는,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은,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로 인해,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을 펌프(도시 생략)로 흡인할 때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가 유지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소켓(500)을 플러그(100)로부터 제거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설치 너트(520)와 플러그 본체부(10)의 체결을 서서히 느슨하게 하면,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도 8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O링(580)이 오목부(14)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가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S1)과 내부 공간(S2)의 압력차에 의해 사이폰 관(20)의 내부 액체가 플러그(100)의 오목부(14)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설치 너트(520)와 플러그 본체부(10)의 체결을 더욱 느슨하게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O링(580)이 오목부(14)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S1)과 내부 공간(S2)의 압력차가 없기 때문에, 사이폰 관(20)의 내부 액체가 플러그(100)의 오목부(14)까지 상승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내부 공간(S1)에서의 액체의 액면 높이와, 내부 공간(S2)에서의 액체의 액면 높이가 동일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에 의하면, 관통 구멍(13a) 외에 연통 홈(13b)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통 홈(13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O링(580)이 오목부(14)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조기에 실현된다. 그로 인해, 연통 홈(13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이폰 관(20)의 내부 액체가 플러그(100)의 오목부(14)까지 상승해서 분출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 및 플러그 구조가 발휘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에 의하면, 액체 수납 용기(400)의 개구부(420)의 내주면에 플러그 본체부(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부(10)가 갖는 제2 본체부(10b)의 저면부(12)에 시일 부재(220)를 접촉시킴으로써, 플러그 본체부(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11)가 밀봉된다. 유로(11)를 밀봉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에 의하면, 제2 본체부(10b)가 연통부(13)를 갖기 때문에, 저면부(12)에 시일 부재(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이 연통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400)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의 압력과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의 압력이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220)에 의한 유로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에 있어서는, 연통부(13)가,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13a)과, 축선(X1)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연장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관통 구멍(13a)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된 연통 홈(13b)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본체부(10b)의 저면부(12)에 시일 부재(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관통 구멍(13a)과 연통 홈(13b)을 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내부 공간(S2)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220)에 의한 유로(11)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제2 본체부(10b)에 관통 구멍(13a)과 이와 직교하는 연통 홈(13b)을 형성한다고 하는 비교적 간이한 구성에 의해, 연통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는, 저면부(12)가, 축선(X1)에 대하여 관통 구멍(13a)보다도 외주측에 축선(X1)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환상 돌기부(12a)를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본체부(10b)의 저면부(12)에 시일 부재(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되는 관통 구멍(13a)의 외주측에 무단부 형상의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이폰 관(20) 혹은 액체 수납 용기(400)로부터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문제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에 있어서는, 플러그 본체부(10) 및 사이폰 관(20)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이 수지 재료의 용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을 용착하지 않고 개별 부재로서 시일 부재 등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체나 기체가 유출입되는 것에 의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구조는, 플러그(100)와,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저면부(12)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시일 부재(220)를 갖는 밀봉부(2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구조에 의하면, 밀봉부(200)를 플러그(100)의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 설치함으로써, 시일 부재(220)와 저면부(12)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 시일 영역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400) 및 사이폰 관(20)으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시일 영역이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이 연통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액체 수납 용기(400)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기체가 증가한 경우라도, 액체 수납 용기(400)의 내부 공간(S1)의 압력과 플러그(100)의 사이폰 관(20)의 내부 공간(S2)의 압력이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220)에 의한 유로(11)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에 액체 수납 용기(400)에 수용되는 액체가 사이폰 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200)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본체부(10a)와 밀봉부(200)가, 수나사를 암나사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밀봉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제1 본체부(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설치한다고 하는 비교적 간이한 조작에 의해, 밀봉부(200)를 제1 본체부(10a)에 설치할 수 있다.
< 다른 실시 형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플러그 본체부(10)와 사이폰 관(20)은, 초음파에 의한 수지 재료의 용융에 의해 용착되거나, 혹은 용접봉의 용융에 의해 용접되는 것으로 했지만, 다른 형태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부(10A)의 하단부를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플러그 본체부(10A)의 하단부를 사이폰 관(20A)의 상단부에 삽입하는 형태라도 좋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변형예)에 관한 플러그 본체부(10A)의 하단부는,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무단부 형상의 환상 돌기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부(10A)의 하단부의 외주면은, 사이폰 관(20A)의 상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환상 돌기부(15)와 사이폰 관(20A)의 상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축선(X1)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시일 영역이 형성된다. 이 시일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용착이나 용접 등의 작업을 하지 않고 플러그 본체부(10A)와 사이폰 관(20)을 연결할 수 있다.

Claims (6)

  1. 축선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상면에 설치된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플러그이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 본체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저부까지 연장되는 사이폰 관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부가,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저면부를 갖는 제2 본체부를 갖고,
    상기 제2 본체부가, 상기 저면부에 시일 부재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과 상기 플러그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갖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가,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연장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연통 홈을 갖는,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상기 관통 구멍보다도 외주측에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무단부 형상의 환상 돌기부를 갖는,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부 및 상기 사이폰 관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본체부와 상기 사이폰 관이 상기 수지 재료의 용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러그와,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저면부와 접촉해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시일 부재를 갖는 밀봉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봉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수나사를 상기 암나사에 체결시킴으로써 연결되는, 플러그 구조.
KR1020170093564A 2016-08-02 2017-07-24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KR102398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1991A JP6720013B2 (ja) 2016-08-02 2016-08-02 プラグおよびプラグ構造
JPJP-P-2016-151991 2016-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82A true KR20180015082A (ko) 2018-02-12
KR102398382B1 KR102398382B1 (ko) 2022-05-16

Family

ID=6116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64A KR102398382B1 (ko) 2016-08-02 2017-07-24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20013B2 (ko)
KR (1) KR102398382B1 (ko)
TW (1) TWI732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81522A (ja) 2021-05-26 2022-12-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3020204A (ja) 2021-07-30 2023-02-0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2024014019A (ja) 2022-07-21 2024-02-0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取り外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8567A (ja) * 1989-03-20 1990-10-19 Tatsuo Kitamura 液漏れを防止した栓の構造
JPH0651200U (ja) 1992-12-22 1994-07-1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貯蔵容器
JP2002114242A (ja) * 2000-10-11 2002-04-16 Surpass Kogyo Kk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2014040270A (ja) * 2012-08-23 2014-03-06 Daizo: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30414A (en) * 2005-11-18 2007-08-16 Advanced Tech Materials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JP3914560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容器用の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8567A (ja) * 1989-03-20 1990-10-19 Tatsuo Kitamura 液漏れを防止した栓の構造
JPH0651200U (ja) 1992-12-22 1994-07-1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貯蔵容器
JP2002114242A (ja) * 2000-10-11 2002-04-16 Surpass Kogyo Kk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2014040270A (ja) * 2012-08-23 2014-03-06 Daizo:Kk 二重エアゾー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382B1 (ko) 2022-05-16
JP2018020793A (ja) 2018-02-08
TWI732899B (zh) 2021-07-11
TW201808740A (zh) 2018-03-16
JP6720013B2 (ja)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5082A (ko) 플러그 및 플러그 구조
KR102647284B1 (ko) 개스킷의 장착 구조
KR100812869B1 (ko) 격납 용기 장치
US9517925B2 (en) Valve-integrating container, liquid withdraw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lve-integrating container
KR100883613B1 (ko) 정압 레귤레이터
US6536810B2 (en) Structure of fluid passage output port of fluid-operated apparatus
JP2002054782A (ja) 管継手
JP2000193155A (ja) 流体圧機器の管体接続構造
KR20170039746A (ko) 수지제관 이음매 구조
TWI694220B (zh) 閥裝置、包含該閥裝置的流體控制裝置、使用該流體控制裝置的流量控制方法、產品製造方法及半導體製造裝置
KR102301779B1 (ko) 벽 관통 장치
EP3115309B1 (en) Chemical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388818B2 (ja) プラグ一体型容器
KR102596133B1 (ko) 연결장치
US10724664B2 (en) Connector
JP2022097723A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及びガスケット
JP6913540B2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US1076666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emical container
JP2005180614A (ja) バルブ
JP2019015300A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