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014A -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 Google Patents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014A
KR20180015014A KR1020160098573A KR20160098573A KR20180015014A KR 20180015014 A KR20180015014 A KR 20180015014A KR 1020160098573 A KR1020160098573 A KR 1020160098573A KR 20160098573 A KR20160098573 A KR 20160098573A KR 20180015014 A KR20180015014 A KR 2018001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lutch
honey
palle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4385B1 (en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호 filed Critical 박병호
Priority to KR102016009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85B1/en
Publication of KR2018001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 for a honey extractor, which allows a honeycomb to collect honey collected in a beehive to be easily moved at a place in which the honeycomb is placed and to be moved by using power. In the electric car for a honey extractor,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a wheel through a passive clutch while the wheel of a trolley is rotated by the motor, the honey extractor is installed at a portion provided with a handle at an upper side of the trolley, an auxiliary reservoi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honey of the honey extractor is provided, a pump for pumping the honey of the auxiliary reservoir and filling a drum container with the honey is provided, and a holder for holding the drum container filled with the honey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trolley is provided.

Description

채밀기용 전동카{Motor car for honey extractor}{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본 발명은 벌통에 모아진 꿀을 회수하는 채밀기를 벌통이 놓인 곳으로 간편하게 이동하며 채밀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동력을 이용한 이동과 드럼통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vehicle for a hunting machine that allows a honeycomb to collect honey collected in a beehive to be easily moved to a place where the honeycomb is placed and to perform a honeycomb operation while moving by power and moving up and down the drum.

꿀벌이 모아온 꿀은 벌통에 넣어진 소비에 채워지게 되고, 소비에 충분한 량의 꿀이 채워진 후에는 소비를 꺼내어 원심력을 이용한 채밀기에 넣고 회전되게 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소비에서 꿀이 빠져 나오게 되며, 이러한 채밀 작업은 벌통이 놓인 곳과 떨어진 곳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벌통을 싣고 채밀기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한 후 소비를 꺼내거나, 벌통이 놓인 곳에서 소비를 꺼내어 소비 운반용 수레에 싣고 채밀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한 후 소비의 벌집 입구를 막아주는 막을 제거하여 채밀기에 넣고, 강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비에 채워진 꿀을 채밀기에서 얻어낼 수 있다.The honey collected by the honey bee is filled with the consumption in the beehive. After the honey is filled with sufficient amount of the honey, the honey is taken out from the consump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by putting it into the sieve machine using centrifugal force after the honey is filled, The work is carried out at a place away from the beehive. For example, the beehive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beeher is installed, and then the consumer is taken out, or the beehive is taken out of the place where the beehive is placed. After moving to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it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membrane that blocks the entrance of the honeycomb of consumption, putting it in a sieve machine, and spinning it with a strong rotational force.

이러한, 채밀 작업은 벌통이 놓인 장소와 채밀기가 놓인 장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벌통이나 소비를 채밀기로 이동하고, 채밀 작업이 끝난 벌통이나 소비는 다시 벌통이 놓인 곳으로 이동하여 설치하거나 벌통에 채워 넣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많은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는 한편 소비를 운반하는 만큼 힘든 작업을 하게 된다.Since the beehives are placed at different places, the beehives and consumption are shifted to the beehands, and the beehives and consumed beans are moved to the place where beehives are placed again and are filled with beehives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it is as hard as carrying the consumption.

그리고, 채밀기의 무게로 인하여 채밀기의 운반에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채밀 작업에 의해 모아진 꿀은 상당한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채밀기가 놓인 장소에서 꿀을 보관하는 장소로 운반하기도 어려우며, 특히, 꿀을 드럼통에 모았을 경우, 드럼통을 트럭의 적재함에 싣고 운반하여야 하나, 드럼통을 적재함 위치까지 들어올리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honeycomb is heavy,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honeycomb to a place where the honeycomb is placed, and in particular, honey The drums must be carried in the truck's loading box, but it is very difficult to lift the drums to the loading position.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2010-0011720호(2010.12.03. 공개)Korea Utility Model Disclosure 20-2010-0011720 (Dec. 3, 2010)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7-0115445호(2007.12.06.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115445 (published on December 6, 2007)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2-0052466호(2012.05.24.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2466 (2012.05.24. Disclosed)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1996-0014246호(1996.05.17.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14246 (Published May 17, 1996)

본 발명은 벌통이 놓인 곳에서 채밀기가 놓인 곳까지 벌통이나 소비를 운반하여 채밀 작업을 한 후 다시 벌통이나 소비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벌통이나 소비를 운반하는 작업에 힘이 들고, 채밀 작업 전에 채밀기를 특정 장소로 운반하는 작업과 채밀 작업에 의해 모아진 꿀을 보관 장소로 운반하는 작업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밀기와 꿀을 모은 드럼통을 전동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채밀기와 드럼통의 운반이 가능하고, 특히, 벌통이 놓인 곳으로 채밀기를 이동시켜 벌통 옆에서 채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채밀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pouring apparatus for carrying a beehive or consumption to a place where a beeher is placed, and then returning the beehive or consumption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honeycomb is placed, , To solve the problem of transporting the harvesting machine to a specific place before harvesting and to solve the problem that requires a great deal of power in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collected honey to the storage place by the harvesting operation. The hammer can be transported without being laborious, and in particular, the hammer can be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beeher is placed, and the hammer can be carried out next to the beeher so that the hammer can be easily carried out.

본 발명은 채밀 작업으로 모아진 꿀을 채운 드럼통을 들어 올리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한편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는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수동으로 이동이 가능케 하고, 채밀 작업 시 흔들림에 의해 안정된 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fficulty of lifting a drum filled with honey collected by a dredging operation, and solves the problem that it can not move when the electric supply is interrupted, thereby enabling manual movement. In addition, The problem is solved.

본 발명은 밀차의 바퀴를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모터로 회전되게 하되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수동 클러치를 통하여 바퀴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밀차의 상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쪽으로 공지의 채밀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채밀기의 꿀을 일시 모아주는 보조 저장통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저장통의 꿀을 펌핑하여 드럼통에 채우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밀차의 상측 후방으로 꿀이 채워지는 드럼통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에 구비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밀차를 이동시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채밀기를 이용하여 채밀이 이루어지게 하고, 채밀기의 꿀은 보조 저장통에서 펌프를 통하여 드럼통에 모아지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heel of a trolley is rotated by a motor provided with a braking device,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a wheel through a passive clutch, and a known trolley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olley with a handle, And a cradle for holding a drum filled with honey to the rear of the cradle, the cradle having an auxiliary reservoir for collecting the honey of the beaker and filling the drum with the honey of the auxiliary reservoir, , A switch provided on the handle is used to move the stove to move to a desired place, and then the honeycomb is squeezed using a squeezer, and the honey of the squeezer is collected in the drum through the pump in the auxiliary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밀차의 전방 측면으로 전도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채밀 작업 중 밀차가 넘어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고, 드럼통은 정역 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래칫이 구비된 윈치를 이용하여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며, 클러치에서는 완충재를 사용하여 초기 기동시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ll prevention device on the front side of a trolley so as to eliminate the case where the trolley falls down during the squeezing operation, and the drum can be lifted by using a winch provided with a ratchet- So that the clutch can be easily loaded, and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is used in the clutch to relieve the shock at the time of the initial start-up.

본 발명은 밀차의 저면 전방에는 두 개의 바퀴를 모아서 설치하고, 밀차의 저면 후방에는 두 개의 바퀴를 이격시켜 설치함으로써 최대한 무게중심을 견디는 한편 전방 저면에 설치된 바퀴를 이용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며, 채밀 작업 중 벌이 달려들지 못하게 하는 선풍기를 설치할 수 있는 한편 햇빛을 가리는 파라솔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wheels are assembled in front of the bottom of a trolley, and two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olley so as to withstand the center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while using a wheel provided on the front bottom, It is possible to install a fan to prevent the bee from rushing while working on the shade, and to install a parasol that shields the sunligh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발전기를 밀차에 싣고 다니며 작업을 하거나, 특정의 장소에 발전기를 놓고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용 발전기는 보조 저장통의 상부에서 설치하되 프레임을 이용하여 진동이 보조 저장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is driven by electricity, and a generator is placed on a trolley to carry out work, or a generator is placed in a specific place and a wire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So that the vibr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채밀기를 벌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켜 채밀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채밀된 꿀을 모아주는 드럼통을 탑재한 채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채밀 작업과 드럼통을 운반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honeycomb is moved to a place where a honeycomb is placed by using a rotating force of a motor to perform a compacting operation while a drum for collecting honey is moved so as to carry the compacting operation and the drum .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이 클러치를 통하여 회전축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정전시 수동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꿀이 채워진 드럼통을 윈치를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들을 수 있어, 드럼통을 트럭의 적재함에 쉽게 실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clutch, so that it can be moved manually during a power failure, and the drum filled with honey can be heard without being tired by the winch, .

본 발명은 밀차의 전방에 전도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채밀 작업 시 진동이나 바닥의 경사 등으로 인하여 밀차가 넘어지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case where the mill difference is caused to fall due to vibration or inclination of the floor at the time of compacting work by providing a fall prevention device in front of the coac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 방지장치가 구비된 실시예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도 방지장치가 걸음고리에 걸린 상태를 보인 실시예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밀차의 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도 방지장치의 작동상태 설명을 위한 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동 클러치 실시예 평면 및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 클러치 다른 실시예 평면 및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밀차에 파라솔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비 걸이대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온수통 사용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드럼통 승하강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드럼통 승하강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운반대 이동로를 보인 요부 단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윈치로 운반대를 승하강 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윈치와 롤러로 운반대를 승하강 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모터로 운반대를 승하강 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
Fig. 6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of a trolley equipped with the anti-
7 is a side elevation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nti-ref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passive clu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
9 is a plan view and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assive clu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asol is installed on a tro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sumer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ot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um tub lifting and lower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um tub lifting and lowe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the carrier traveling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inch carrying platform is moved up and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allet is moved up and down by a winch and a roll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otorcarrier is moved up and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채밀기를 벌통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되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정전시 정지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손잡이가 세워진 밀차의 저면으로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되 밀차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바퀴는 손잡이에 의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밀차의 후방 양쪽에 설치된 바퀴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본 발명의 모터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거나 밀차에 탑재된 발전기의 전기를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ving a weighing machine to a place where a beehack is located, and a braking device is provided to facilitate movement using a motor that stops when a power failure occurs. The wheel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trolley are turned by handles and the whee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rolley are rotated to receiv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hrough electric wires, The power of the generator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supplied, or a battery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정전시 정지되는 모터의 회전력은 수동 클러치를 통하여 바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밀차의 상부 후방에는 수직으로 거치대를 세우되 상기 거치대를 타고 상하 이동하는 운반대를 설치하며, 상기 운반대는 래칫 기능이 구비된 윈치에 의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운반대에는 꿀을 담는 드럼통이 적재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rake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stopped during a power failure can be transmitted to a wheel through a passive clutch, a vertically standing cradle is installed at the upper rear of the cradle, The conveyor is vertically moved by a winch provided with a ratchet function, and a drum for holding honey is loaded on the pallet.

상기 밀차의 상부에는 채밀기를 설치하는 한편 채밀기에서 채취한 꿀은 보조 저장통에 모인 후 펌프에 의해 드럼통에 저장되게 하고, 상기 밀차의 일측에는 파라솔 또는 선풍기를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채밀기에는 소비 걸이대나 온수통을 걸을 수 있도록 하여, 채밀이 끝난 소비를 걸어 주거나 채밀용 칼을 넣어 줄 수 있도록 한다.A honeycomb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and honey collected in the hopper is collected in an auxiliary storage tank and stored in a drum by a pump. A parasol or a fan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It is possible to hang a hanger or a hot water tank, so that it can put the finished consumption or put the sowing knife.

본 발명은 손잡이 구비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동카를 전,후진 시키는 한편 손잡이를 좌우로 틀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밀차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 후 전도 방지장치를 펼쳐서 밀차가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킨 다음 채밀기에 소비를 넣고 채밀을 하게 되면, 소비의 꿀은 원심력에 의해 소비에서 빠져나와 보조 저장통에 모아지게 되고, 이는 펌프를 통하여 드럼통에 모아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ar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using a knob-equipped switch, and the knob is turned to the left and right to move the carriage in a desired direction, and then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unfolded to firmly fix the mill, , Honey is consum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collec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which is collected in the drum through the pump.

이때, 밀차는 벌통이 놓인 장소로 이동하여 채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벌통에서 이격된 장소에 채밀기를 놓은 후 벌통 또는 소비를 운반하여 채밀이 이루어지는 작업에 비하여 간편하게 채밀 작업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wheat tea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beeher is placed and the wheat is sown, the wheat tea can be easily sown in comparison with the work where the beehives or consumption are transported by placing the sowing machine in a place apart from the beehive, .

채밀이 이루어져 드럼통에 꿀이 차게 되면, 윈치를 이용하여 드럼통을 상승시킴으로써 적재함에 드럼통을 싣기가 용이하고, 채밀 작업 중에 벌을 ??거나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파라솔과 선풍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honeycomb is drilled in the drum, the drums can be loaded on the loading box by using the winch to raise the drum, and the parasol and the fan can be installed to cover the sunshine or bee during the dipping operation.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사각 프레임 또는 판재로 이루어진 밀차(10)를 구비하여 상측으로 채밀기(20)와 보조 저장통(21) 및 펌프(22)를 설치하는 한편 드럼통(90)을 올릴 수 있도록 하고, 밀차(10)의 저면으로는 바퀴(40)(41)를 설치하며, 밀차(10)의 일측으로는 상측으로 손잡이(11)가 돌출되게 설치한다.A drum 10 made of a rectangular frame or a plate material is provided so that the drum 20 can be lifted up while the drum 20, the auxiliary storage 21 and the pump 22 are installed, And the wheels 40 and 41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handle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10 so as to protrude upward.

본 발명의 밀차(10)는 저면에 전후방으로 바퀴(40)(41)를 설치하되 전방 중앙에는 두 개의 바퀴(40)가 일체로 설치되어 손잡이(11)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밀차(10)의 후방 양쪽으로 설치되는 바퀴(41)는 회전축(47)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7)에는 모터(45)의 회전력이 체인(46)을 통하여 전달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47)에는 클러치(30)를 설치하여 회전축(47)에서 바퀴(41)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mi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wheels 40 and 41 on the bottom surface and two wheels 40 integrally installed at the front center so as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handle 11 A wheel 41 installed on both rear sides of the trolley 10 is connected to a rotary shaft 47 through whi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5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47, 47 are provided with a clutch 3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wheel 41 from the rotational shaft 47 can be selected.

본 발명에서의 바퀴(41)는 모터(45)의 회전력이 체인(46)을 통하여 회전축(47)으로 전달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력은 클러치(3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며, 상기 클러치(30)는 슬라이드 클러치(31)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기어가 맞물리면 회전이 이루어지고, 기어가 서로 이격되면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것으로, 슬라이드 클러치(31)는 내측으로 키를 타고 스플라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슬라이드 클러치(31)가 클러치(30)와 맞물릴 때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클러치(31)와 클러치(30)가 서로 이격될 때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 wheel 4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5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47 through the chain 46 to be rotated and selectively transmitted through the clutch 30, The clutch 30 is rotated when the gear is engaged while the slide clutch 31 is shifted to the left and right. When the gea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wer transmission is interrupted, and the slide clutch 31 is splined to the inside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when the slide clutch 31 is engaged with the clutch 30 and no power is transmitted when the slide clutch 31 and the clutch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슬라이드 클러치(31)를 고정볼트(33)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클러치(31)를 이동하거나 고정시킬 때 고정볼트(33)를 풀거나 조이도록 하고, 상기 고정볼트(33) 대신에 클러치 레버(34)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클러치(31)의 이동을 조작하여도 무방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lide clutch 31 to be fixed by the fixing bolt 33 so that the fixing bolt 33 is loosened or tightened when the slide clutch 31 is moved or fixed, The clutch lever 34 may be provided to operate the slide clutch 31 to move.

본 발명에서 클러치(30)의 기어가 슬라이드 클러치(31)의 기어와 맞물리지 않았을 경우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밀차(1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41)가 인력으로 손잡이(11)를 미는 힘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클러치(30)가 슬라이드 클러치(31)와 맞물릴 때에는 모터(45)의 회전력에 의해서만 바퀴(4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수동으로 바퀴(41)를 회전시킬 수 없다.When the gear of the clutch 30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slide clutch 3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is interrupted and the wheel 41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rolley 10 is biased by the force When the clutch 30 is engaged with the slide clutch 31, the wheel 41 is rotated on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5, so that the wheel 41 can not be rotated manually .

본 발명의 클러치(30)의 기어 사이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재(32)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클러치(31)와 클러치(3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터(45)의 작동에 의해 초기 기동이 이루어 질 때 클러치(30)의 동력전달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한다.The cushioning material 32 made of urethane is provided between the gears of the clutch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initial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45 in the state where the slide clutch 31 and the clutch 30 are engaged Thereby relieving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lutch 30 is transmitted in the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의 모터(45)는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 또는 프레임(56)에 올려진 자가 발전기(55)로부터 발전되는 전기를 공급받게 되며, 손잡이(11)에 설치된 스위치(12)를 이용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에서 모터(4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밀차(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바퀴(40)의 방향을 손잡이(11)로 변경시켜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The motor 4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using the switch 12 installed on the handle 11 because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 wire or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55 is fed to the frame 56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the motor 45 to rotate forward, reverse, or stop the motor 45 by the controller which is not provid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heel 40 provid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trolley 10 is changed to the handle 11, This is possible.

본 발명의 모터(45)는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되어 정전시에는 정지되고, 정지 버튼을 누르면 모터(45)가 회전되지 않아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전진이나 후진 버튼을 누를 때만 모터(45)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The motor 45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brake device so that the motor 45 is stopped during a power failure. When the stop button is pressed, the motor 45 is not rotated to prevent slippage, and rotation of the motor 45 only when the forward or backward button is pressed .

본 발명의 밀차(10)에는 상측으로 채밀기(20)를 고정 설치하는 한편 상기 채밀기(20)를 구동시키는 모터(23)를 설치하고, 상기 채밀기(20)의 후방으로는 채밀기(20)에서 추출된 꿀을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 저장통(21)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조 저장통(21)에 모아진 꿀을 드럼통(90)으로 이동하는 펌프(22)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저장통(21)의 상측으로 프레임(56)에 지지된 발전기(55)를 설치하여 밀차(10)와 함께 발전기(55)를 이동시키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A motor 23 for driving the hopper 20 is installed while the hopper 20 is fixed to the hopp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pper 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pper 20 And a pump 22 for moving honey collect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21 to the drum 90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21 and the auxiliary reservoir 21 for temporarily storing honey extracted from the auxiliary reservoir 21 A generator 55 supported on the frame 5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50 to move the generator 55 together with the trolley 10 to allow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여기서, 보조 저장통(21)에는 저면으로 히터(24)를 설치하여, 꿀이 굳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heater 24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21 to prevent the honey from hardening.

본 발명의 밀차(10)에는 후방 상측으로 거치대(50)를 고정하고, 상기 거치대(50)를 타고 상하 이동하는 운반대(60)를 설치하되 상기 운반대(60)에는 드럼통(90)을 받치게 하고, 상기 운반대(60)는 드럼통(90)의 중앙 이상을 받쳐주게 하여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드럼통(90)을 쉽게 운반대(60)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A carriage (60) is mounted on the carria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radle (50) fixed to the rear upper side and moved up and down with the cradle (50) And the carrier 60 supports the center of the drum 90 to be stably supported while allowing the drum 90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carrier 60.

본 발명 운반대(60)는 드럼통(90)을 받치는 한편 드럼통(90)의 측면을 받쳐주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반대(60)은 거치대(50)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베어링(61)이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운반대(60)가 거치대(50)의 프레임을 타고 베어링(61)에 의해 부드럽게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운반대(60)에 올려진 드럼통(90)이 넘어지지 않도록 운반대(60)의 상측으로 드럼통(90)을 감싸는 형태로 체인이나 와이어 등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rriag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rum 90 and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drum 90. The carriage 60 is supported by bearings 61 The drum 60 is moved up and down smoothly by the bearing 61 on the frame of the mounting table 50 and the drum 90 mounted on the carrier 6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bearing 61. [ A fixing device such as a chain or wire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drum 90 on the upper side of the pallet 60 so as not to fall down.

본 발명의 운반대(60)는 거치대(50)에 설치되고 래칫 기능이 구비된 윈치(70)를 작동시켜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으로, 윈치(70)가 거치대(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윈치(70)에 운반대(60)의 하측에 연결된 와이어(71)를 결합시킴으로써 윈치(70)로 와이어(71)를 감아줌에 따라 운반대(60)가 거치대(50)를 따라 상부로 올려지게 되며, 상기 윈치(70)를 하측에 설치하고 거치대(50)의 상측으로 롤러(72)를 설치한 후 상기 롤러(72)에 걸리게 와이어(71)를 끼운 후 운반대(60)의 상측에 와이어(71)가 결합되게 하여도 무방하다.The palle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fted up to an upper position by operating a winch 70 provided with a ratchet function and mounted on the platform 50. The winch 70 is installed above the platform 50 And the wire 71 is wound around the winch 70 by the wire 71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allet 60 so that the pallet 60 is moved along the pallet 50 The winch 7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the rollers 72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 table 50 and then the wires 71 are put on the rollers 72. Then, The wire 7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즉, 거치대(50)에 설치된 윈치(70)를 작동시킴으로써 드럼통(90)을 받치는 운반대(60)가 거치대(50)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윈치(70)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드럼통(90)을 들어 올리지 않고, 모터(73)를 사용하여 운반대(60)를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으로, 이 같이 모터(73)를 이용하여 운반대(60)를 들어줄 때는 도시되지 아니한 리미트 스위치와 릴레이를 이용하여 운반대(60)가 특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구비하도록 한다.That is, by operating the winch 70 installed on the platform 50, the platform 60, which supports the drum 90, is moved up and down on the platform 50. The winch 70 is used to manually move the platform And the carrier 73 can be used to lift the pallet 60 up without lifting the pallet 90. When the pallet 60 is lifted using the motor 73 as described above, Use a switch and a relay to ensure that the pallet (60) is not out of position.

본 발명은 밀차(10)의 전방 일측으로 전도 방지장치(80)를 설치하여 밀차(10)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 채밀 작업을 할 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tip device (8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trolley (10) to fix the trolley (10) at a certain position and prevent it from collapsing when the trolling operation is performed.

전도 방지장치(80)는 밀차(10)의 전방 측면에 힌지(81)로 받침통(82)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통(82)에는 핸들(84)을 회전시킬 때 받침다리(85)가 상하로 이동하는 받침대(83)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통(82)의 상측에는 레버(86)를 설치함으로써 레버(86)를 밀카(10)의 내측으로 당길 경우 받침통(82)이 지면과 수평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레버(86)를 밀카(10)의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받침통(82)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받침대(83)의 받침다리(85)가 지면을 받치게 된다,The underside prevention device 80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rrel 82 with a hinge 81 on the front side of the barrel 10 and a support leg 85 is provided on the support barrel 82 when the handle 84 is rotated. A lever 8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ube 82 so that when the lever 86 is pulled toward the inside of the milker 10, When the lever 86 is push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ver 86 is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milker 10, the support tube 82 is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support leg 85 of the support 83 supports the ground ,

상기 레버(86)의 선단은 밀차(10)와 스프링(87)으로 연결함으로써, 레버(86)를 밀차(10)의 내측 방향으로 당길 때 스프링(87)이 인장력을 갖도록 하고, 레버(86)를 당기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87)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통(82)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본 발명은 밀차(10)에 걸음고리(88)를 형성하여 레버(86)를 밀차(10)의 내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걸음고리(88)를 끼워 레버(86)가 원래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밀차(10)를 이용하여 위치를 이동할 때 레버(86)를 당긴 후 걸음고리(88)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밀차(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The tip end of the lever 86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10 by a spring 87 so that the spring 87 is tensioned when the lever 86 is pulled inwardly of the carriage 10, The support barrel 82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7.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el ring 88 is formed on the barrel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ver 86 from being pivot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inserting the pawl ring 88 in the state of being pulled to the inside of the pawl 10. When the lever 86 is pulled, 88 so that the carriage 10 can be moved.

본 발명의 받침다리(85)는 밀차(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받침통(82)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받침다리(85)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받침 작용을 하도록 한다.The support leg 8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toward the side away from the mill 10 so that the support leg 8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even when the support cylinder 82 is inclined.

본 발명의 전도 방지장치(80)는 밀차(10)의 좌우측에 모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ill 10.

본 발명의 밀차(10)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파라솔(91)이나 선풍기를 끼워서 사용하는 걸이대(15)를 구성함으로써, 선풍기를 이용하여 시원함을 더는 동시에 채밀 작업시 벌이 달려들지 않도록 하거나, 파라솔(91)을 설치하여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도록 한다.In the stov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gs 91 and the pegs 15 that are used by sandwiching the fan are used to cool the stove 10 using a fan, 91) to make a cool shade.

본 발명에서 채밀기(20)에는 상측으로 걸음고리(96)가 형성된 소비 걸이대(95)를 걸쳐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음고리(96)의 하단부에는 소비(97)를 끼워서 받쳐지게 하는 소비 걸이대(95)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소비 걸이대(95)는 채밀이 완료되어 채밀기(20)에서 꺼낸 소비(97)를 바로 벌통에 넣지 못할 경우, 소비 걸이대(95)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20 may be provided with a consumption hook 95 formed with an upper hook 96. The lower hook of the hook hook 96 is provided with a consumption hook 97, The consumption hanger 95 can hang the consumption hanger 95 in the case where the consumption 97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hummer 20 and the hummer can not be put into the beehive hanger immediately,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채밀 작업시 사용되는 채밀용 칼의 온도를 높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통(98)을 걸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온수통(98)에는 히터(99)를 설치하며,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온수통(98)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er 99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98 and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heater 99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98,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98 can be adjust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상용전기 또는 발전기의 전기를 공급한 상태에서 손잡이(11)에 설치된 스위치(12)를 이용하여 모터(45)로 바퀴(41)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진과 후진 및 정지가 이루어지고, 이 같이 모터(45)로 바퀴(41)를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손잡이(11)로 바퀴(40)의 방향을 전환하여 원하는 곳으로 밀차(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dvancing, backward, and stopping are performed by rotating the wheel 41 with the motor 45 using the switch 12 provided on the handle 11 in the state that the electric power of the commercial electric power or the generator is supplied In this state, the wheel 41 is rotated by the motor 45,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 40 is chang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moving the handle 11 to the desired position.

여기서, 밀차(10)의 상부에는 채밀기(20)와 보조 저장통(21) 및 펌프(22)가 설치되는 한편 꿀을 담는 드럼통(90)이 받쳐져 있게 되며, 드럼통(90)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이나 와인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운반대(60)에서 원치 않는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this case, a hopper 20, an auxiliary reservoir 21 and a pump 22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ve 10 while a drum 90 for holding honey is supported, and the drum 90 is moved rearward So as not to cause undesired departure from the pallet 60. [0051] As shown in FIG.

밀차(10)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전도 방지장치(80)의 핸들(84)을 회전시켜 받침대(83)를 받침통(82)에서 하측으로 돌출시키되 받침대(83)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다리(85)가 지면을 받치도록 함으로써, 밀차(10)는 후방 두 개의 바퀴(41)와 전방 한 쌍의 바퀴(40) 및 전방 측면에서 전도 방지장치(80)에 의해 받쳐지게 되므로, 밀차(10)가 채밀기(20)의 회전력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넘어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After the carriage 1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 handle 84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80 is rotated to project the pedestal 83 downward from the receiving cylinder 82, and the pedestal 83, which is provided below the pedestal 83, By allowing the leg 85 to support the ground, the train 10 is supported by the two rear wheels 41, the front pair of wheels 40 and the anti-fall device 80 on the front side, 10 ar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r vibration of the hopper 20.

이 같이 전도 방지장치(80)를 이용하여 밀차(10)의 전방 측면까지 받쳐준 상태에서는 벌통에서 소비를 꺼내어 채밀기(20)에 균형을 맞추어 넣은 후 채밀기(20)를 작동시킴으로써 소비에서 원심력에 의해 꿀이 추출되고, 채밀기(20)에서 추출된 꿀은 보조 저장통(21)에 채워진 후 펌프(22)에 의해 드럼통(90)으로 모아지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is used to support the front side of the cooktop 10, the consumption is removed from the beehive, the balance 20 is put in balance, The honey extracted from the hopper 20 is filled in the auxiliary reservoir 21 and then collected by the pump 22 into the drum 90. [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채밀이 완료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이때에는 전도 방지장치(80)가 걸리게 되므로, 레버(86)를 밀차(10)의 내측으로 당기게 되면, 스프링(87)이 탄성을 가하면서 받침통(82)이 힌지(8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받침대(83)의 받침다리(85)가 측면으로 들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걸음고리(88)를 이용하여 레버(86)를 고정시킴으로써 전도 방지장치(80)가 측방향을 향하여 눕혀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바퀴(40)(41) 이외에는 지면에 닿지 않으므로, 스위치(12)로 모터(45)를 구동시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된다.When the levers 86 are pulled toward the inside of the trolley 10, the spring 87 is resiliently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olley 10 by the above- The pedestal 82 is rotated about the hinge 81 so that the pedestal 85 of the pedestal 83 is heard to the side and the pedestal 85 is moved The motor 45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by the switch 12 because the wheels 40 and 41 are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is state. To move it to a desired place.

원하는 곳으로 밀차(10)를 이동시킨 후에는 레버(86)를 잡고 걸음고리(88)를 풀어준 후 서서히 놓게 되면, 스프링(87)의 탄성에 의해 받침통(82)이 회동하면서 받침대(83)의 받침다리(85)가 지면을 받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 상태는 다시 밀차(10)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채밀이 가능하다.When the carriage 10 is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the lever 86 is held and the walking ring 88 is loosened and then slowly released. When the carriage 82 rotat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87, Is supported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ground surface, and this state can be dewatered since the trolley 10 does not move again.

본 발명에서 전도 방지장치(80)의 받침대(83)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밀차(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핸들(84)을 돌려 받침대(83)의 길이를 줄이고 늘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이동 후 세워서 사용토록 함으로써 시간을 크게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It is possible to move the trolley 10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pedestal 83 of 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is re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pedestal 83,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time by allowing the user to stand up and use after being moved down.

이러한 전도 방지장치(80)는 밀차(10)의 일측에만 설치하지 않고, 양쪽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한 방향의 전도 방지장치(80)를 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er 10, and in this case, 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in the necessary direction may be operated.

본 발명은 회전축(47)에 클러치(30)를 설치하여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정전시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모터(45)의 동력이 바퀴(41)로 전달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볼트(33)를 풀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클러치(31)가 스플라인 결합된 채로 이동하면서 동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클러치 레버(34)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클러치(31)의 좌우 이동을 선택하여 동력 전달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클러치 기어 사이에 우레탄으로 된 완충재(32)을 설치함으로써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때 초기 구동시의 기동충격을 완충재(32)에서 완충시키도록 함으로써, 초기 구동시 덜컹하고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utch 30 i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47 so that the power of the motor 45 which is provided with the brake device and maintains the stop state during the power fail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wheel 41,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power while moving the slide clutch 31 while the slide clutch 31 is engaged in a state where the slide clutch 31 is in a released state or to select the power transmission by selec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lide clutch 31 using the clutch lever 34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ushioning material 32 made of urethane between the clutch gears, the cushioning material 32 buffers the starting impact at the time of the initial driving when the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So that a smooth start is achieved.

본 발명에서 드럼통(90)을 받치는 운반대(60)는 거치대(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윈치(70)에 의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운반대(60)의 측면이 거치대(50)의 프레임 내측으로 베어링(61)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거치대(50)를 타고 운반대(60)가 부드럽게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운반대(60)에는 드럼통(90)이 받쳐져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60 supporting the drum 90 is vertically moved by the winch 70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pallet 50, And the drum 60 is smoothly moved up and down by the bearing 61. The drum 90 is supported by the carrier 60. As shown in FIG.

거치대(50)에는 윈치(70)를 설치하고, 상기 윈치(70)에 의해 와이어(71)로 운반대(60)를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으로, 윈치(70)를 이용하여 와이어(71)로 운반대(60)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71)가 롤러(72)에 받쳐지게 설치하여 윈치(70)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71)가 롤러(72)를 타고 운반대(6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드럼통(90)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적재함의 높이까지 드럼통(90)을 올려 손쉽게 실을 수 있다.The winch 70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50 and the platform 7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wire 71. The winch 70 is used to transport the winch 70 by the wire 71 The wire 71 that is wound or unwound by the winch 70 is moved up and down the carrier 60 by the roller 72 by moving the carriage 60 or installing the wire 71 to be supported by the roller 72, The drum 90 can be lifted up, and the drum 90 can be easily lifted up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여기서, 윈치(70)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모터(73)를 사용하여 운반대(6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Here, the pallet 6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using the decelerating motor 73 without using the winch 70.

본 발명에서, 채밀기(20)의 측면에는 소비 걸이대(95)를 걸쳐놓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소비 걸이대(95)에는 소비(97)를 걸어놓을 수 있는 것이며, 채밀 작업이 끝난 소비(97)를 벌통에 넣기 전에 임시 보관하거나, 채밀이 시작되기 전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ption hanger 95 can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hopper 20 so that the consumption hanger 95 can be consumed 97, 97) should be stored temporarily before being placed in a hive, or kept for a while before sowing begins.

상기 소비 걸이대(95)는 필요에 따라서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nsumer hanger 95 can be used by being attached or used separately,

그리고, 본 발명은 밀차(10)의 측면으로 선풍기나 파리솔(91)을 끼울 수 있는 걸이대(15)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선풍기 또는 파라솔(91)을 꼿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ok 15 for inserting an electric fan or a fryer sole 9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olley 10 so that a fan or a parasol 91 can be used as needed.

10 : 밀차 11 : 손잡이
20 : 채밀기 22 : 펌프
30 : 클러치 31 : 슬라이드 클러치
32 : 완충재 33 : 고정볼트
40,41 : 바퀴 45 : 모터
47 : 회전축 50 : 거치대
55 : 발전기 56 : 프레임
60 : 운반대 61 : 베어링
70 : 윈치 71 : 와이어
80 : 전도 방지장치 82 : 받침통
83 : 받침대 85 : 받침다리
86 : 레버 87 : 스프링
88 : 걸음고리 90 : 드럼통
91 : 파라솔 95 : 소비 걸이대
10: Trolley 11: Handle
20: Dewatering 22: Pump
30: clutch 31: slide clutch
32: cushioning material 33: fixing bolt
40: 41: wheel 45: motor
47: rotating shaft 50:
55: generator 56: frame
60: carrier 61: bearing
70: winch 71: wire
80: anti-falling device 82:
83: pedestal 85:
86: lever 87: spring
88: Walking ring 90: Drum
91: Parasol 95: Consumption Hangers

Claims (7)

저면 전후방으로 바퀴(40)(41)가 구비된 밀차(10)의 바퀴(40)는 손잡이(11)로 방향 전환되는 한편 바퀴(41)는 모터(4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게 하고,
상기 모터(45)의 회전력은 수동 클러치(30)를 통하여 바퀴(41)로 전달되게 하며,
상기 밀차(10)의 상측에는 채밀기(20)와 보조 저장통(21) 및 펌프(22)가 설치되는 한편 밀차(10)의 후방으로 거치대(50)가 세워지게 하고,
상기 거치대(50)를 타고 드럼통(90)을 받치는 운반대(60)가 상하 이동되게 하되 상기 운반대(60)는 윈치(70)의 동력을 받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
The wheels 40 of the trolley 10 provided with the front and rear wheels 41 and 41 are turned to the handle 11 while the wheels 41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5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5 is transmitted to the wheel 41 through the passive clutch 30,
A hopper 20 is installed above the trolley 10 and an auxiliary storage tank 21 and a pump 22 are installed on the trolley 10,
Wherein the pallet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pallet is supported by the pallet so as to receive the power of the winch.
제1항에 있어서, 바퀴(41)를 회전시키는 모터(45)의 회전력은 체인(46)을 통하여 회전축(47)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축(47)에는 수동 클러치(30)를 설치하되 상기 수동 클러치(30)에는 회전축(47)에 스플라인 결합된 슬라이드 클러치(31)가 이동하면서 동력 전달이 선택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드 클러치(31)는 고정볼트(33)로 고정되게 하거나 클러치 레버(34)로 동력 전달이 선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onal force of a motor (45) for rotating the wheel (41) is transmitted to a rotational shaft (47) through a chain (46), and a passive clutch The slide clutch 31 splined to the rotary shaft 47 moves to select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clutch 30 and the slide clutch 31 is fixed to the fixed bolt 33 or to the clutch lever 34 And the power transmission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전도 방지장치(80)는 밀차(10)의 전방 측면에 힌지(81)로 받침통(82)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통(82)에는 핸들(84)을 회전시켜 받침대(83)의 하강으로 받침다리(85)로 지면을 받치게 설치하며, 상기 받침통(82)의 상측에는 레버(86)를 설치하여 받침통(82)을 좌우로 회동되게 하고, 상기 레버(86)의 선단은 밀차(10)와 스프링(87)으로 연결하며, 상기 레버(86)를 밀차(10) 쪽으로 당겨서 받침통(82)이 눕혀진 상태에서 걸음고리(88)를 레버(96)에 끼워 고정되게 한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on preventing device (80) is provided with a support tube (82) by a hinge (81) on the front side of the trolley (10), and rotates the handle (84) A lever 8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ube 82 so that the support tube 82 is pivo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lever 86 86 are connected by a carriage 10 and a spring 87. When the lever 86 is pulled toward the trolley 10 and the pedal case 82 is laid down, So as to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it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거치대(5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운반대(60)는 드럼통(90)을 받친 채로 상하 이동되게 하되 상기 운반대(60)의 양쪽에 설치된 베어링(61)이 거치대(50)의 프레임에 끼워져 이동되게 하고, 운반대(60)은 거치대(50)에 설치된 윈치(70)와 와이어(71)로 연결되어 래칫기능이 구비된 윈치(70)로 운반대(60)를 승하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or belt (6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radle (50) is moved up and down while supporting the drum (90) And the pallet 60 is connected to the winch 70 installed on the pallet 50 by a wire 71 and is wound around the pallet 60 by a winch 70 having a ratchet function. And the descent is made to descend. 제1항에 있어서, 밀차(10)의 일측으로 걸이대(15)를 돌출시켜 파라솔(91)이나 선풍기를 끼워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electric motor car for a hatc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er (15)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stove (10) so as to use a parasol (91) or a fan. 제1항에 있어서, 채밀기(20)에 걸음고리(96)로 걸쳐지는 소비 걸이대(95)를 설치하여, 채밀이 끝난 소비(97)를 소비 걸이대(95)에 걸쳐지게 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hopper (95) is provided on the hopper (20) with a step ring (96) provided thereon to store the finished consumption (97) over the hopper The electric motorcar for the hunting machine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밀차(10)에 설치된 보조 저장통(21)의 상측으로 프레임(56)에 지지되는 발전기(55)를 펌프(22)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The electric motor for a hatc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generator (55) supported by a frame (56) above the auxiliary reservoir (21) provided in the coach (1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ump (22).
KR1020160098573A 2016-08-02 2016-08-02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KR101864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73A KR101864385B1 (en) 2016-08-02 2016-08-02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73A KR101864385B1 (en) 2016-08-02 2016-08-02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14A true KR20180015014A (en) 2018-02-12
KR101864385B1 KR101864385B1 (en) 2018-06-05

Family

ID=6122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73A KR101864385B1 (en) 2016-08-02 2016-08-02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15Y1 (en) * 2020-02-27 2022-03-08 신영숙 Caterpillar type moving apparatus of honey extractor
KR102378318B1 (en) 2020-04-16 2022-03-25 박병호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KR102374896B1 (en) 2020-06-03 2022-03-16 정동일 Electric truck for honey extractor equipped with drum
KR20230099031A (en)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성진에이테크 Honey extractor cart with anti-shake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246U (en) 1994-10-13 1996-05-17 박삼웅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foot of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goods
KR100672743B1 (en) * 2005-11-02 2007-01-22 장재욱 Transport device
KR20070115445A (en) 2006-06-02 2007-12-06 이복한 A conveyance equipment for honey-gathering equipment
KR20100011720U (en) 2009-05-25 2010-12-03 김창연 Honey extractor
KR20120052466A (en) 2010-11-16 2012-05-24 칠곡군(승계청:칠곡군농업기술센터, 관리청:칠곡군수) Beehive transportation and lift loa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246U (en) 1994-10-13 1996-05-17 박삼웅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foot of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goods
KR100672743B1 (en) * 2005-11-02 2007-01-22 장재욱 Transport device
KR20070115445A (en) 2006-06-02 2007-12-06 이복한 A conveyance equipment for honey-gathering equipment
KR20100011720U (en) 2009-05-25 2010-12-03 김창연 Honey extractor
KR20120052466A (en) 2010-11-16 2012-05-24 칠곡군(승계청:칠곡군농업기술센터, 관리청:칠곡군수) Beehive transportation and lift loa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385B1 (en)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85B1 (en)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US20200039163A1 (en) Device for collecting compaction material and for feeding the collected compaction material to a press that compacts the compaction material, and mobile collection cart for use in the device
US20110243696A1 (en) Powered hand truck with vertically movable platform
KR101864389B1 (en)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FR2587291A1 (en) Motorised trolley which can be used in supermarkets and hypermarkets
US1861191A (en) Service truck for refrigerators
JP4569703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US9145093B1 (en) Trunk server/butler
KR20110007445U (en) Vehicle for collecting crops
KR102329254B1 (en) Cart for carrying box have a lift divice
JP4293085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2012135220A (en) Root vegetables harvester
JP2010183915A (en) Field crop harvester
JP4905564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849177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849167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CN108438714A (en) A kind of printing and dyeing fabrics handling device
JP4247578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2006034248A (en) Farm product harvesting machine
JP4849100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905476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379497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849138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367278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569208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