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959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959A
KR20180014959A KR1020160098452A KR20160098452A KR20180014959A KR 20180014959 A KR20180014959 A KR 20180014959A KR 1020160098452 A KR1020160098452 A KR 1020160098452A KR 20160098452 A KR20160098452 A KR 20160098452A KR 20180014959 A KR20180014959 A KR 2018001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oling plate
circuit module
battery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889B1 (ko
Inventor
정정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889B1/ko
Priority to US15/601,462 priority patent/US10388999B2/en
Priority to CN201710622232.4A priority patent/CN107681073B/zh
Publication of KR2018001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6Frames for plat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1M50/287Fixing of circuit boards to 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배터리 팩과, 상기 배터리 팩을 차폐하며,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안착하여 상기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배터리 팩과, 상기 배터리 팩을 차폐하며,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안착하여 상기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가 설치되는 상기 커버의 외면은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의 외면의 테두리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모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보다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의 일부와 상기 커버의 외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회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가 접촉하는 상기 커버의 면은 상기 회로모듈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로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모듈의 구성 요소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로모듈을 커버에 밀착시키면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로모듈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제1 냉각 플레이트와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회로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커버, 결합부, 회로모듈, 부싱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 부싱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제1 냉각 플레이트와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회로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 부싱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배터리 모듈(100)은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배터리 팩(120), 커버(130), 결합부(140), 회로모듈(150), 고정부(160) 및 부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는 배터리 팩(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는 다른 구조물 등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위로는,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로부터 팩 수용부(G)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제2 냉각 플레이트(110b)와,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로부터 팩 수용부(G)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제3 냉각 플레이트(110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각각 배터리 팩(120)과 직접 접촉되어 배터리 팩(120)을 방열하는 것으로, 배터리 팩(120)의 지지 역할과 함께 배터리 팩(120)을 방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각 배터리 팩(120)을 방열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 내에는 냉매가 공급되어 순환하는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는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 내부에 매립되거나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각각 배터리 팩(120)을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는,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와 다른 이종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다이 캐스팅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가 가 고정되어 있는 금형(미도시) 내부에, 플레이트 형성용 용융 금속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가 일체적으로 매립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와,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서로 다른 이종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융점을 갖는 SUS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US 소재의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가 금형(미도시) 내에 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융 알루미늄이 주입될 수 있고, 융점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는 고상을 유지하며 관 형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유로 및 이들을 매립하는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는, 이들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배터리 팩(120)의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열전도 특성이 우수하면서 서로 다른 융점을 갖는 SUS 소재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팩(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개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은 이차 전지 형태일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는 제1 방향(Z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종방향부(111a)와, 제2 방향(Z2)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횡방향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는 전체적으로 T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종방향부(111a) 위로는 제1 방향(Z1)을 따라 2개의 배터리 팩이 배치될 수 있고, 횡방향부(112a) 위로는 제2 방향(Z2)을 따라 2개의 배터리 팩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 플레이트(110b)는 제1 방향(Z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위로는 제1 방향(Z1)을 따라 2개의 배터리 팩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는 제2 방향(Z2)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3 냉각 플레이트(110c) 위로는 제2 방향(Z2)을 따라 2개의 배터리 팩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2 냉각 플레이트(110b)와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일렬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중 종방향부(111a)의 상방으로는 팩 수용부(G)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2 냉각 플레이트(11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 플레이트(110a)의 종방향부(111a)와 제2 냉각 플레이트(110b)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중 횡방향부(112a)의 상방으로는, 팩 수용부(G)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3 냉각 플레이트(11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 플레이트(110a)의 횡방향부(112a)와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는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 플레이트(110b)와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는, 전체 배터리 모듈(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 배터리 모듈(100)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는,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위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에는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로부터 상방 위치에서 각각의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를 지지해주기 위한 레그(L)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및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사이와,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 사이에는 각각의 레그(L)가 형성되어, 제1 냉각 플레이트(110a)로부터 팩 수용부(G)를 사이에 두고,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를 지지해줄 수 있다.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로부터 돌출된 레그(L)에는 결합공(H)이 형성되고 결합공(H)을 관통하여 제1 냉각 플레이트(110a)에 결합되는 삽입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2 냉각 플레이트(110b) 및 제3 냉각 플레이트(110c)가 고정된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상에는 커버(130)가 씌워질 수 있다. 커버(130)는 제1 내지 제3 냉각 플레이트(110a,110b,110c) 상에 배치된 배터리 팩(120)을 밀봉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제1 냉각 플레이트(110a)와 커버(130)가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되어 그 내부로 배터리 팩(12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냉각 플레이트(110a)와 커버(130)는 서로 마주하게 조립되도록 같은 형태, 예를 들어, T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130)에는 회로모듈(150)이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커버(130)에는 회로모듈(150)과 배터리 팩(120)을 연결하는 케이블(C), 회로모듈(1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1)의 주변의 커버의 일면은 결합부(140)가 안착하도록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130)에는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부(140)가 안착하는 안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32)은 커버(13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32)의 깊이는 결합부(140) 일부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안착홈(132)의 테두리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0)는 커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40)는 커버(130)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140)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결합부(140)는 스터드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결합부(1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30)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되어 회로모듈(150)에 삽입되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140)가 스터드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140)는 헤드부(141)와 삽입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41)는 안착홈(132)에 삽입되어 안착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41)의 높이는 안착홈(132)의 깊이 이하일 수 있다. 삽입부(142)는 헤드부(1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은 헤드부(141)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2)는 회로모듈(150)에 삽입되어 회로모듈(15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2)의 끝단에는 고정부(160)가 결합하도록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140)는 안착홈(132)에 안착되어 커버(13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41)와 안착홈(132)의 저면(또는 내면)은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헤드부(141)는 안착홈(132)의 저면에 스팟(Spot) 용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착홈(132)의 저면은 회로모듈(15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회로모듈(15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32)을 제외한 부분에서 회로모듈(150)과 커버(130)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안착홈(132)의 내면으로부터 회로모듈(150)의 외면까지의 거리는 회로모듈(150)의 외면으로부터 커버(130)의 외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헤드부(141)의 테두리 부분에는 용접으로 인한 비드(Bead)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41)의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용접점의 비드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32) 내부에 헤드부(141)를 배치시켜 헤드부(141)를 안착홈(132)의 저면에 용접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비드로 인하여 회로모듈(150)의 저면이 커버(130)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헤드부(141)와 안착홈(132)의 저면 사이에서 발생한 용접점의 비드는 안착홈(132)의 테두리 부분에 쌓임으로써 안착홈(132)을 넘어 커버(130)의 외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안착홈(132)의 테두리 부분이 헤드부(141)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용접점의 비드가 형성될 때 용접점의 비드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0)를 커버(130)에 고정시키는 경우 커버(130)를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즉, 일반적으로 결합부(140)를 커버(130)에 고정시키는 경우 커버(130)에 홀을 형성하고, 결합부(140)를 커버(130)에 삽입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13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의 수분이 커버(130)와 제1 냉각 플레이트(110a)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배터리 팩(120)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결합부(140)를 커버(130)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130)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홀 없이도 커버(130)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로모듈(150)은 커버(1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로모듈(150)은 케이스(151), 케이스(151)에 설치되는 실링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모듈(150)은 케이스(151)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 팩(120)과 케이블(C)로 연결되는 제어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1)는 삽입홀(131)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152)는 삽입홀(131)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케이스(15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링부(152)는 케이스(151)와 커버(130) 사이를 통하여 외부의 수분이 삽입홀(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140)는 실링부(152)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실링부(152)는 결합부(140)와 삽입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실링부(152)는 결합부(140)보다 회로모듈(15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는 케이스(151)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20)과 케이블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는 배터리 팩(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결합부(140)와 결합하여 회로모듈(1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60)는 삽입부(142)가 내부에 삽입되어 삽입부(14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60)는 삽입부(142)가 삽입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60)는 삽입부(14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핀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60)는 삽입부(142)에 삽입되는 볼트, 나사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6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부(142)와 결합하여 회로모듈(15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60)는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싱부(170)는 삽입부(142)와 케이스(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싱부(170)는 케이스(151) 내부에 삽입되며, 부싱부(170)의 내부에는 삽입부(142)가 삽입될 수 있다.
부싱부(170)는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42)와 케이스(151)에 각각 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싱부(170)는 삽입부(142)가 움직이거나 케이스(151)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스(15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커버, 결합부, 회로모듈, 부싱부 및 고정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커버(13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안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3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안착홈(13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안착홈(132)은 회로모듈(미도시)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40)의 헤드부(141)는 안착홈(132)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41)는 안착홈(132)의 저면(또는 내면)과 스팟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점에서의 비드는 안착홈(132)과 헤드부(141) 사이의 공간에 저장됨으로써 안착홈(132)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130)에 안착홈(132)을 형성한 후 결합부(140)를 안착홈(132)에 용접을 통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커버(130)에 별도의 홀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140)를 배치한 후 회로모듈(150)의 케이스(151)에 삽입부(142)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부싱부(170)는 삽입부(142)와 케이스(151) 사이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회로모듈(150) 삽입홀(13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모듈(150)의 일부는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부(152)는 결합부(140)와 삽입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모듈(150)의 배면은 커버(1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실링부(152)는 커버(13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2)와 고정부(160)를 결합하여 회로모듈(150)을 커버(13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커버(130)에는 결합부(140)를 삽입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커버(13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30)에 결합부(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경우 결합부(140)가 실링부(152)의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이러한 홀을 통하여 커버(13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버(130)에 홀이 아닌 안착홈(132)을 형성하고, 안착홈(132)의 저면과 결합부(140)를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실링부(152) 외곽에 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링부(152)의 실링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100)은 회로모듈(150)이 설치된 부분에서 외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 수분으로 인한 배터리 팩(120)의 고장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안착홈(132)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140)의 고정 시 용접점의 비드로 인하여 회로모듈(150)이 커버(130)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링부(152)가 커버(130)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회로모듈(150)을 안전하면서 견고하게 커버(13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모듈(100)은 안착홈(132)을 통하여 누수 경로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배터리 모듈
110a: 제1 냉각 플레이트
110b: 제2 냉각 플레이트
110c: 제3 냉각 플레이트
120: 배터리 팩
130: 커버
140: 결합부
150: 회로모듈
160: 고정부
170: 부싱부

Claims (10)

  1. 제1 냉각 플레이트;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하는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팩을 차폐하며,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커버에 안착하여 상기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설치되는 상기 커버의 외면은 상기 제1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배터리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인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의 외면의 테두리는 경사지게 형성된 배터리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모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보다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의 일부와 상기 커버의 외면은 서로 접촉하는 배터리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회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접촉하는 상기 커버의 면은 상기 회로모듈로부터 이격된 배터리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로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60098452A 2016-08-02 2016-08-02 배터리 모듈 KR10221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52A KR102210889B1 (ko) 2016-08-02 2016-08-02 배터리 모듈
US15/601,462 US10388999B2 (en) 2016-08-02 2017-05-22 Battery module
CN201710622232.4A CN107681073B (zh) 2016-08-02 2017-07-27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52A KR102210889B1 (ko) 2016-08-02 2016-08-02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59A true KR20180014959A (ko) 2018-02-12
KR102210889B1 KR102210889B1 (ko) 2021-02-02

Family

ID=6106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52A KR102210889B1 (ko) 2016-08-02 2016-08-02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88999B2 (ko)
KR (1) KR102210889B1 (ko)
CN (1) CN107681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1636B (zh) * 2021-08-30 2021-12-07 深圳市东方芯愿新能源有限公司 一种可充电锂电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364A (en) * 1993-04-30 1996-07-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box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120070699A1 (en) * 2010-09-16 2012-03-22 Fdk Twicell Co., Ltd. Circuit-Substrate Supporting Device and a Battery Unit with the Same
JP2012240476A (ja) * 2011-05-17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3833B2 (ja) 2006-09-06 2009-06-2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12226872A (ja) 2011-04-15 2012-11-15 Jx Nippon Oil & Energy Corp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6094889B2 (ja) 2013-07-26 2017-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364A (en) * 1993-04-30 1996-07-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box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120070699A1 (en) * 2010-09-16 2012-03-22 Fdk Twicell Co., Ltd. Circuit-Substrate Supporting Device and a Battery Unit with the Same
JP2012240476A (ja) * 2011-05-17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889B1 (ko) 2021-02-02
US20180040931A1 (en) 2018-02-08
US10388999B2 (en) 2019-08-20
CN107681073A (zh) 2018-02-09
CN107681073B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15B1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KR102092764B1 (ko)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방법
US10998602B2 (en) Rechargeable battery for hand-guided electromechanical tools
KR102198000B1 (ko) 배터리 팩용 케이스
EP3641012A1 (en) Battery module
KR102210460B1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조립체
JP7303270B2 (ja) 電池パック
US8906532B2 (en) Electrochemical cells with improved heat collection and transfer systems
JP2005005167A (ja) 組電池
KR20150033783A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KR20100067464A (ko) 전지 모듈
JP5589955B2 (ja) 角形二次電池
KR20200043170A (ko) 배터리 팩
JP2008251472A (ja) パック電池
KR20160109155A (ko) 배터리 팩
JP2008277054A (ja) 電源装置
KR20190053106A (ko) 개선된 셀홀더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JP2007012393A (ja) パック電池
KR20180014959A (ko) 배터리 모듈
KR20190034736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8169B1 (ko) 배터리 팩
KR20200074320A (ko) 배터리 팩
KR102646853B1 (ko) 배터리 모듈
KR100658677B1 (ko)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220090207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