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525A -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4525A KR20180014525A KR1020160097972A KR20160097972A KR20180014525A KR 20180014525 A KR20180014525 A KR 20180014525A KR 1020160097972 A KR1020160097972 A KR 1020160097972A KR 20160097972 A KR20160097972 A KR 20160097972A KR 20180014525 A KR20180014525 A KR 201800145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hole
- sewage
- lost
- ho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사이로 빠진 귀중품이 하수로의 수류에 의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는,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맨홀과 상기 하수로의 사이에 마련되며, 우수와 함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오물 또는 분실품이 상기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는,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맨홀과 상기 하수로의 사이에 마련되며, 우수와 함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오물 또는 분실품이 상기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사이로 빠진 귀중품이 하수로의 수류에 의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하여 하수 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분류 또는 분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수류를 분류 또는 분기하거나 직경이 큰 관거공사에서 각 지관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로의 중간 중간에 설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이유 이외에도, 맨홀은 하수도의 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배출하고, 또 거리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와 우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도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종종 맨홀 주변을 지나치는 행인들의 부주의로 인하여 동전이나 소형 휴대폰, 그리고 반지나 귀걸이들의 귀중품을 맨홀 사이로 빠트리게 되는데, 맨홀 사이로 빠진 귀중품은 하수로에서 형성되는 수류로 인하여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설령 귀중품을 회수하더라도 생활하수가 포함하는 악취 및 유해균 등으로 인하여 귀중품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우천 시에 우수의 흐름에 의하여 우수와 함께 하수로로 유입되는 흙과 모래를 비롯하여 버려진 휴지나 담배꽁초 또는 낙엽 등의 오물 등이 하수로로 유도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흙이나 모래와 같은 중량물이 하수관 속에 퇴적되어 하수관을 막게 되므로 수시로 퇴적된 오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지속적으로 유입된 오물이 하수로에 퇴적에 따라 생성되는 메탄가스와 썩는 냄새로 주위 공기를 오염시켜 환경을 해치게 된다.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사이로 빠진 귀중품이 그대로 하수로를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분실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로에 오물 또는 모래 등의 침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악취와 유해가스의 발생의 감소가 가능하며, 하수로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맨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맨홀과 상기 하수로의 사이에 마련되며, 우수와 함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오물 또는 분실품이 상기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구 바닥면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맨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에 마련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분실물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맨홀에는 각각의 상기 고정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삽입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맨홀은,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가 개구되는 사각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 소정 패턴으로 동일하게 관통 형성되는 이동용 홀이 마련되는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용 홀을 따라 상기 맨홀 바디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관통홀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맨홀형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맨홀형 이동체에는 상기 맨홀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용 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이동용 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구의 바닥면은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맨홀 바디 방향으로 만곡지게 솟아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맨홀 사이로 빠진 귀중품이 그대로 하수로를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분실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수로에 오물 또는 모래 등의 침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악취와 유해가스의 발생의 감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술한 효과를 통하여 하수로의 환경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 바디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거름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가 맨홀 바디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 바디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거름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가 맨홀 바디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실물 회수가 가능한 맨홀 어셈블리는 맨홀(100)과 거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맨홀(100)은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어,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며, 우수 또는 주택가 또는 거리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등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맨홀(100)은 이미 국내 각지에 사용되는 맨홀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에 관한 기술적 구성과 작용은 기존의 맨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부에서 제외된 맨홀(1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맨홀과 동일 내지 유사한 목적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면, 도시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예외로 서술해두고자 한다.
거름구(200)는 맨홀(100)과 하수로의 사이에 마련되어, 우수와 함께 관통홀(131)을 통과하는 오물 또는 분실품이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거름구(200)의 상단 모서리측에는 맨홀(100)의 하측과 하수로의 상측 사이에 걸림되기 위한 고정용 테두리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용 테두리를 통하여 거름구(200)는 맨홀(100) 하부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거름구(200)에 걸러진 오물 및 분실물 또한 하수로에서 맨홀(100)을 분리하지 않는 한 거름구(200) 내에 온전히 보존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거름구(200)는 흙과 모래를 비롯하여 버려진 휴지나 담배꽁초, 빈 담배곽, 각종 포장지, 빈 뚜껑, 돌, 시멘트 부스러기, 비닐봉지 등의 길거리에 쉽게 버려저 맨홀(100)의 관통홀(131) 사이로 들어오기 쉬운 오물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를 가지며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거름구(200)의 조밀한 정도나 거름구(200)를 구성하는 재질은 해당 발명이 사용되는 도로 또는 거리의 상태 및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하철 공사가 진행 중인 도로 옆의 하수로라면 돌이나 나무조각, 쇳조각에 대비에 거름구(200)의 재질은 보다 굵고 튼튼하되, 조밀도는 높지 않아도 본 발명의 목적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
그러나 잘 정비된 도로 또는 주택가 밀집지역이라면 얇은 낙엽이나 비닐 포장지 또는 빈뚜껑이나 담배꽁초 등에 대비하여 전술한 경우보다 가늘고 세밀하되 쉽게 손상되지 않는 강도의 재질로 형성하고, 조밀도도 매우 높도록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저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맨홀(100)과 거름구(200)에 추가하여 맨홀(100)을 개구할 필요없이 분실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분실물 회수유닛(300)이 더 포함된다.
이때 분실물 회수유닛(300)은 승강부(310), 승강가이드부(320) 및 손잡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중 승강부(310)는 거름구(200) 바닥면의 상측에 마련되고 바닥면과 동일한 형태의 판으로 형성된다. 무엇보다 오물을 거르기 위한 망은 승강부(310)와 거름구(200)가 동일 내지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승강부(310)의 망이 거름부보다 작다면 승강부(310)를 통과한 망이 거름부에 쌓이게 되어 승강부(310)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승강부(310)와 거름부 사이에 자리한 오물에 의하여 기존의 위치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부(310)의 망이 유수와 생활하수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승강부(310) 자체로 거름구(200)의 바닥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름구(200)의 망보다 다소 조밀하게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는 차질이 없다.
승강가이드부(320)는 승강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관통홀(13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맨홀(100)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승강가이드부(320) 길이는 후술할 손잡이부(330)가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승강부(310)와 승강부(310)에 쌓인 오물의 중량을 함께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튼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손잡이부(330)는 승강가이드부(320)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에 마련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30)를 파지하고 상승시키면 손잡이부(330)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320)와 승강부(310) 또한 손잡이부(33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거름구(200)의 바닥에 놓여진 분실물을 맨홀(100)의 관통공에 인접하도록 하고, 분실물의 위치를 확인 및 회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330)는 맨홀(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충격을 입을 수 있는 확률이 다른 구성요소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따라서 손잡이부(330)는 승강가이드부(320)와는 다르게 사람들이나 자전거, 자동차 등의 차량이 지나가는 것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강한 경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분실물 회수유닛(300)이 손잡이부(330)를 통해 승강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승강가이드부(320)와 맨홀(100)은 각각의 분실물 회수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승강가이드부(3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홀(321)이 마련되고, 맨홀(100)에는 각각의 고정홀(32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삽입체(110)가 마련된다. 따라서 분실물 회수유닛(300)을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추어 고정홀(321)과 고정 삽입체(110)가 평행하도록 위치한 후, 고정 삽입체(110)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홀(321)에 삽입시키면 분실물 회수유닛(300)은 고정 삽입체(110)가 고정홀(321)로부터 분리되기 전까지 승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분실물 회수 유닛을 통하여 거름구(200)로부터 분실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관통홀(131)을 통하여 분실물이 거름구(200)의 어떤 곳에 놓여져 있는지 확인을 한 후, 손잡이부(330)를 파지한 후 맨홀(100)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승강가이드부(320)와 승강부(310)는 손잡이부(330)를 따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승강부(310)와 함께 상승한 분실물이 관통홀(131)을 통하여 손 또는 족집게 등을 통하여 회수 가능할 정도로 인접하게 되면 승강을 정지하고, 맨홀(100)에 마련되는 고정 삽입체(110)의 위치에 맞추어 고정 삽입체(110)에 가장 인접한 고정홀(321)이 위치하도록 조정한 이후, 고정 삽입체(1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홀(321)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분실물 회수 유닛이 고정삽입체와 고정홀(321)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 것을 확인한 이후, 손이나 족집게 또는 회수를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분실물 회수를 마치고 나면, 고정홈에서 고정 삽입체(110)를 분리하면 분실물 회수유닛(300)은 중력에 의하여 저절로 원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제3 실시예>
마지막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 바디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거름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의 맨홀형 이동체가 맨홀 바디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맨홀(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 실시예와 다르게 맨홀 바디(120)와 맨홀형 이동체(130)라는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중 맨홀 바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가 개구되는 사각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맨홀 바디(120)는 후술할 맨홀형 이동체(130)를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 가능한 크기, 또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양 측면에 소정 패턴으로 동일하게 관통 형성되는 이동용 홀(121)이 마련되는데, 이는 맨홀형 이동체(13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며, 이동용 홀(12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맨홀형 이동체(130)와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맨홀형 이동체(130)는 맨홀 바디(120)에 마련되어 이동용 홀(121)을 따라 맨홀 바디(12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기존의 맨홀과 동일하게 우수의 유입을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이때 맨홀형 이동체(130)는 보통 맨홀과 다르게 이동이 용이해야 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의 최소화를 위하여 관통공의 크기와 수를 최대한으로 구성하되, 이로 인하여 쉽게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튼튼하되 가벼운 재질로 견고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맨홀형 이동체(130)에는 맨홀 바디(12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용 홀(12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이동용 휠(132)이 포함된다. 따라서, 분실물을 회수하거나 거름구(200)에 쌓인 오물을 퍼내고자 할 경우, 이동용 휠(132)을 통하여 크게 힘들이지않고 맨홀 바디(120) 내부를 이동용 홀(121)을 따라 맨홀형 이동체(130)를 휠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름구(200)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기존의 거름구(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이 형성된 면이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서는 바닥면은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맨홀 바디(120) 방향으로 만곡지게 솟아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관통홀(131) 사이로 빠진 오물 및 분실물은 바닥면의 구조를 통해 중력 또는 우수 및 생활하수의 수류에 의하여 바닥면의 중심부에서 더 낮은 위치의 양단방향으로 대부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분실물을 찾고자 할 경우에도 용이하며, 오물이 양단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쌓이여 바닥면의 중심부를 통하여 우수와 생활하수를 하수로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1,2 실시예에 비해 거름구(200)에 쌓인 오물 청소에 따르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도 8을 참고로 맨홀형 이동체(130)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분실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맨홀형 이동체(130)의 관통을 통하여 분실물의 위치를 확인한 이후, 분실물이 위치한 곳과 인접한 위치의 맨홀형 이동체(130)를 움직여서 이동형 홀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제 맨홀형 이동체(130)가 손이나 도구를 뻗어 분실물을 바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이동하면, 분실물을 회수 후 상기 맨홀형 이동체(130)를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구시키는 것으로 회수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맨홀
110 : 고정 삽입체
120 : 맨홀 바디
121 : 이동용 홀
130 : 맨홀형 이동체
131 : 관통홀
132 : 이동용 휠
200 : 거름구
300 : 분실물 회수유닛
310 : 승강부
320 : 승강가이드부
321 : 고정홀
330 : 손잡이부
110 : 고정 삽입체
120 : 맨홀 바디
121 : 이동용 홀
130 : 맨홀형 이동체
131 : 관통홀
132 : 이동용 휠
200 : 거름구
300 : 분실물 회수유닛
310 : 승강부
320 : 승강가이드부
321 : 고정홀
330 : 손잡이부
Claims (6)
-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맨홀; 및
상기 맨홀과 상기 하수로의 사이에 마련되며, 우수와 함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오물 또는 분실품이 상기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구 바닥면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맨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에 마련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분실물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맨홀에는 각각의 상기 고정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삽입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오수 및 생활하수가 흘러가는 하수로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가 개구되는 사각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 소정 패턴으로 동일하게 관통 형성되는 이동용 홀이 마련되는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용 홀을 따라 상기 맨홀 바디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우수의 유입을 위하여 상기 관통홀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맨홀형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형 이동체에는 상기 맨홀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용 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이동용 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구의 바닥면은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맨홀 바디 방향으로 만곡지게 솟아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7972A KR101855144B1 (ko) | 2016-08-01 | 2016-08-01 |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7972A KR101855144B1 (ko) | 2016-08-01 | 2016-08-01 |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4525A true KR20180014525A (ko) | 2018-02-09 |
KR101855144B1 KR101855144B1 (ko) | 2018-05-04 |
Family
ID=6119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7972A KR101855144B1 (ko) | 2016-08-01 | 2016-08-01 |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51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75064A (zh) * | 2021-04-09 | 2021-07-27 | 冉洪钊 | 一种市政下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975B1 (ko) * | 2013-08-05 | 2015-01-19 | 서재호 | 우수커버의 오물수집장치 |
-
2016
- 2016-08-01 KR KR1020160097972A patent/KR101855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75064A (zh) * | 2021-04-09 | 2021-07-27 | 冉洪钊 | 一种市政下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5144B1 (ko) | 2018-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9656B1 (ko) |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 |
US6733665B1 (en) |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 |
US20130186811A1 (en) | Filter | |
KR20130049310A (ko) |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 |
AU2018288385B2 (en) |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 |
KR101855144B1 (ko) | 분실물 회수가 용이한 맨홀 어셈블리 | |
KR100976852B1 (ko) | 집수정 | |
KR101320456B1 (ko) |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 |
KR200167090Y1 (ko) |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 |
CN209548846U (zh) | 一种垃圾渗滤液预除渣用过滤器 | |
CN209194685U (zh) | 一种用于污水处理的新型沉沙井 | |
KR20180034011A (ko) | 빗물 배수시설 | |
CN111335443A (zh) | 一种防堵塞的市政排水管道 | |
CN110670703B (zh) | 一种城市新区初期雨水分流装置及其布置 | |
CN209907552U (zh) | 一种土木工程道路排水去污环保装置 | |
KR100557657B1 (ko) | 쓰레기 수거망 | |
KR20160057682A (ko) | 우수맨홀 하수관 파이프에 연결하는 쓰레기 분리 및 하수구 냄새 막는 거름망 | |
KR200468245Y1 (ko) |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 |
KR19980059575U (ko) | 빗물받이용 삽탈식 잡물 걸름망 | |
US20200399883A1 (en) | Surface Drain Precursor Screen | |
KR20170087840A (ko) |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 |
CN221142976U (zh) | 一种排水渠结构 | |
CN212001523U (zh) | 一种收水井三重滤过装置 | |
KR200348451Y1 (ko) |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 |
CN216778056U (zh) | 一种市政排水管道用截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