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79A - 헬멧용 원터치 버클 - Google Patents

헬멧용 원터치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79A
KR20180014479A KR1020160097784A KR20160097784A KR20180014479A KR 20180014479 A KR20180014479 A KR 20180014479A KR 1020160097784 A KR1020160097784 A KR 1020160097784A KR 20160097784 A KR20160097784 A KR 20160097784A KR 20180014479 A KR20180014479 A KR 2018001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ase
locking
projec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502B1 (ko
Inventor
이윤행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16009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42B3/085Occipital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34Safety buckles with the sliding motion of the buckle providing the opening or clos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제1 버클부재(100), 및 돌출부(120)가 일단으로 삽입되는 케이스(210)를 포함하고, 돌출부(120)와 체결되도록, 돌출부(12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잠금부재(240)와 돌출부(12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잠금부재(250)를 포함하는 잠금부(230)가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케이스(210)의 일면에는 잠금부(2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가압부(220)가 형성된 제2 버클부재(200)를 포함하고,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부(220)에 밀려서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Description

헬멧용 원터치 버클{One-touch buckle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헬멧용 버클은 스키 헬멧, 오토바이 헬멧, 또는 자전거 헬멧 등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헬멧에 이용되는 것으로, 헬멧에 구비된 밴드의 체결/분리 등에 이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헬멧용 버클은 밴드의 체결시 견고하게 고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체결/분리 또는 길이조절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암버클(110)과 수버클(120)로 구성되고, 수버클(120)이 암버클(120)의 입구(112)를 통해서 내부로 삽입되어, 수버클(120)의 후크가 암버클(120)의 몸체(111)에 체결된다. 이후, 암버클(120)의 탄지부(114)를 가압하면, 수버클(120)의 후크가 암버클(120)의 몸체(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암버클(120)의 탄지부(114)는 암버클(1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손가락으로 가압하기 힘든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사용자가 스키 등 스포츠를 수행하면서, 암버클(120)로부터 수버클(120)을 분리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KR 10-1629928 B1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클의 체결을 해제하는 가압부를 케이스의 노출면에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쉽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버클부재, 및 상기 돌출부가 일단으로 삽입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잠금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버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부에 밀려서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말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본체의 말단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제1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는 제2 함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함몰부에는 상기 제1 후크형 말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부에는 상기 제3 후크형 말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힘이 상기 돌출부에 작용하면, 상기 제1 후크형 말단과 상기 제2 후크형 말단에 의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고, 상기 제3 후크형 말단과 상기 제4 후크형 말단에 의해서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민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일방향의 힘을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타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와 마주보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잠금부재와 마주보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3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4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말단을 밀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잠금부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말단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접촉하는 제5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 버클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 내측면과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말단과 연결되는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타 내측면과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말단과 연결되는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단에는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면에는 제3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3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면에는 제4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4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슬릿으로 인하여,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1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2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부재는 턱끈이 연결되는 제1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턱끈이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재와 상기 제2 연장부재는 상기 제2 장착부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클의 체결을 해제하는 가압부를 케이스의 노출면에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쉽게 누를 수 있으므로, 스키 등 스포츠를 수행하면서도 버클의 체결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일부분을 투명처리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일부분을 투명처리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일부분을 투명처리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일부분을 투명처리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서 제1 버클부재를 제거하고 일부분을 투명처리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에서 제1 버클부재를 제거하고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및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제1 버클부재(100), 및 돌출부(120)가 일단으로 삽입되는 케이스(210)를 포함하고, 돌출부(120)와 체결되도록, 돌출부(12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잠금부재(240)와 돌출부(12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잠금부재(250)를 포함하는 잠금부(230)가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케이스(210)의 일면에는 잠금부(2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가압부(220)가 형성된 제2 버클부재(200)를 포함하고,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부(220)에 밀려서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상기 제1 버클부재(100)는 제2 버클부재(200)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제1 장착부(110)와 돌출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착부(110)는 밴드나 벨트 등의 턱끈(300)이 연결된다. 또한, 돌출부(120)는 제1 장착부(110)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막대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는 잠금부(230, 제1,2 잠금부재(240, 250))와 체결되어 케이스(2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클부재(200)는 제1 버클부재(100)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케이스(210), 잠금부(230), 연결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일단으로 돌출부(120)가 삽입되고, 타단으로 연결부(26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60)는 밴드나 벨트 등의 턱끈(300)이 연결되는 제2 장착부(270), 및 제2 장착부(270)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1 연장부재(263)와 제2 연장부재(2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재(263)는 케이스(210)의 일 내측면과 접촉하고, 제2 연장부재(267)는 케이스(210)의 타 내측면과 접촉한다. 또한, 제1 연장부재(263)의 일단에는 제1 잠금부재(240)의 말단이 연결되고, 제2 연장부재(267)의 일단에는 제2 잠금부재(250)의 말단이 연결된다. 즉, 제1 연장부재(263)의 일단으로부터 제1 잠금부재(240)는 제2 장착부(27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부재(267)의 일단으로부터 제2 잠금부재(250)는 제2 장착부(27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2 잠금부재(240, 250)를 포함하는 잠금부(230)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버클부재(100)의 돌출부(120)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잠금부재(240)는 돌출부(120)의 일측면과 접촉하고, 제2 잠금부재(250)는 돌출부(120)의 타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와 제1,2 잠금부재(240, 250)는 제1,2 돌기(123, 125)와 제1,2 함몰부(243, 253)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도 4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돌출부(120)는 막대형으로 형성된 본체(121), 본체(121)의 말단 일측면으로부터 본체(121)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1 돌기(123), 및 본체(121)의 말단 타측면으로부터 본체(121)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된 제2 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의 제1,2 돌기(123, 125)와 체결되도록, 제1 잠금부재(240)에는 제1 돌기(123)에 대응하는 제1 함몰부(243)가 형성되며, 제2 잠금부재(250)에는 제2 돌기(125)에 대응하는 제2 함몰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의 일면에는 잠금부(2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가압부(22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압부(220)는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일단으로 삽입된다고 할 때, 케이스(210)의 일면에 케이스(21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평행한 2개의 슬릿(221)으로 인하여, 잠금부(2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다만, 슬릿(221)을 이용하여 가압부(220)를 형성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부(220)에 밀려서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가 탄성 변형되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즉, 가압부(220)의 이동에 의해서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가 서로 멀어지면, 제1 돌기(123)와 제1 함몰부(243)의 체결이 해제되고, 제2 돌기(125)와 제2 함몰부(253)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노출면(일면)에 형성된 가압부(220)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220)에는 잠금부(230)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22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돌기(225)는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225)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으로 돌출되어, 제1 잠금부재(240)와 마주보는 제1 경사면(227)과 제2 잠금부재(250)와 마주보는 제2 경사면(2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225)의 제1,2 경사면(227, 229)으로 인하여,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제1 방향의 힘(A)을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가 서로 멀어지는 제2 방향의 힘(B)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도 6b 참조). 즉, 가압돌기(225)의 제1,2 경사면(227, 229)으로 힘의 방향을 수직 변환시켜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가압돌기(225)가 더욱 용이하게 제1,2 잠금부재(240, 250)를 밀 수 있도록, 제1 잠금부재(240)에는 제1 경사면(227)에 대응하는 제3 경사면(245)이 형성되고, 제2 잠금부재(250)에는 제2 경사면(229)에 대응하는 제4 경사면(25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b 또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돌기(225)는 제1,2 잠금부재(240, 250)를 미는 동시에 돌출부(120)의 말단 역시 밀어, 돌출부(120)가 잠금부(2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의 말단에는 가압돌기(225)에 접촉하는 제5 경사면(126)이 형성될 수 있다(도 5a 내지 도 5b 참조). 이러한 돌출부(120)의 제5 경사면(126)으로 인하여,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제1 방향의 힘(A)을 돌출부(120)가 잠금부(230)에서 분리되는 제3 방향의 힘(C)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도 7b 참조).
결국, 사용자가 가압부(220)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압돌기(225)는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시에, 가압돌기(225)는 돌출부(120)의 말단을 밀어 돌출부(120)가 잠금부(2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압부(220)를 손가락 등으로 누리면, 돌출부(120)와 잠금부(23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돌출부(120)가 잠금부(230)로부터 밀려나와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23)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후크형 말단(123a)이 형성되고, 제1 함몰부(243)에는 제1 후크형 말단(123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후크형 말단(24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돌기(125)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후크형 말단(125a)이 형성되고, 제2 함몰부(253)에는 제3 후크형 말단(125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 후크형 말단(253a)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후크형 말단(123a)과 제2 후크형 말단(243a) 사이의 접촉면은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서 예각(α)을 이루고, 제3 후크형 말단(125a)과 제4 후크형 말단(253a) 사이의 접촉면 역시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서 예각(β)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힘(D)이 돌출부(120)에 작용하면, 제1 후크형 말단(123a)과 제2 후크형 말단(243a)에 의해서 제1 잠금부재(240)에는 돌출부(120) 방향으로 힘(E)이 발생하고, 제3 후크형 말단(125a)과 제4 후크형 말단(253a)에 의해서 제2 잠금부재(250)에는 돌출부(120) 방향으로 힘(F)이 발생한다. 결국, 돌출부(120)를 제1,2 잠금부재(240, 250)로부터 분리하려는 힘(D,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제1,2 잠금부재(240, 250)에는 돌출부(120) 방향으로 힘(E, F)이 작용하므로, 제1 돌기(123)와 제1 함몰부(243) 사이의 체결과 제2 돌기(125)와 제2 함몰부(253) 사이의 체결은 더욱 견고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와 마주보는 케이스(210)의 내면에는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방향(케이스(21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210)의 내면과 마주보는 돌출부(120)의 표면에는 가이드 돌기(219)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120)의 가이드 홈(127)은 케이스(210)의 가이드 돌기(219)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돌출부(120)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케이스(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부재(240)에는 케이스(21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돌출부(120)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1 가이드부재(247)가 형성되고, 제2 잠금부재(250)에는 케이스(21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돌출부(120)의 일면과 접톡하는 제2 가이드부재(25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잠금부재(240, 25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120)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1,2 가이드부재(247, 257)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120)의 일면은 제1,2 가이드부재(247, 257)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돌출부(120)는 상하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케이스(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에는 돌출부(1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제1 가이드부재(247)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128)가 형성되고, 돌출부(1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제2 가이드부재(257)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2 스토퍼(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스토퍼(128, 129)는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최종적으로 제1,2 가이드부재(247, 257)에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제1,2 스토퍼(128, 129)를 이용하여,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정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263)의 일단에는 제1 고정돌기(264)가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일단에는 제1 고정돌기(26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장부재(267)의 일단에는 제2 고정돌기(268)가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일단에는 제2 고정돌기(268)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 고정돌기(264, 268)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후크 형상의 제1,2 고정돌기(264, 268)가 각각 제1,2 고정홈(211, 213)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부(260)와 케이스(2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9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263)의 일면에는 제3 고정돌기(265)가 형성되고, 케이스(210)에는 제3 고정돌기(26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 고정홈(215)이 형성되며, 제2 연장부재(267)의 일면에는 제4 고정돌기(269)가 형성되고, 케이스(210)에는 제4 고정돌기(26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고정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4 고정돌기(265, 269)는 각각 제3,4 고정홈(215, 217)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부(260)와 케이스(2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클부재(100)와 제2 버클부재(200)를 체결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일단을 통해서 삽입되면, 돌출부(120)에 의해서 제1,2 잠금부재(240, 250)는 탄성 변형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제1 돌기(123)가 제1 잠금부재(240)의 제1 함몰부(243)에 체결되고, 돌출부(120)의 제2 돌기(125)가 제2 잠금부재(250)의 제2 함몰부(253)에 체결되면서, 제1,2 잠금부재(240, 250)는 탄성 복원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120)의 제1 돌기(123)가 제1 잠금부재(240)의 제1 함몰부(243)에 체결되고, 돌출부(120)의 제2 돌기(125)가 제2 잠금부재(250)의 제2 함몰부(253)에 체결되면, 돌출부(120)와 잠금부(23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클부재(100)와 제2 버클부재(200)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압부(220)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 가압부(220)가 잠금부(230)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돌기(225)로 인하여 제1 잠금부재(240)와 제2 잠금부재(250)는 탄성 변형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돌출부(120)의 제1 돌기(123)로부터 제1 잠금부재(240)의 제1 함몰부(243)가 분리되고, 돌출부(120)의 제2 돌기(125)로부터 제2 잠금부재(250)의 제2 함몰부(253)가 분리되므로, 돌출부(120)와 잠금부(230)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압부(220)의 가압돌기(225)는 돌출부(120)의 말단을 밀어서 돌출부(120)가 잠금부(2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0)는 잠금부(230)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케이스(210)의 내부로부터 소정거리 배출될 수 있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버클부재(100)의 제1 장착부(110) 등을 잡고 당기면, 돌출부(120)가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제1 버클부재(100)와 제2 버클부재(200)의 체결을 완전히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원터치 버클은 케이스(210)의 노출면(일면)에 가압부(220)를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가압부(220)를 쉽게 눌러 제1 버클부재(100)와 제2 버클부재(20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제1 버클부재 110: 제1 장착부
120: 돌출부 121: 본체
123: 제1 돌기 123a: 제1 후크형 말단
125: 제2 돌기 125a: 제3 후크형 말단
126: 제5 경사면 127: 가이드 홈
128: 제1 스토퍼 129: 제2 스토퍼
200: 제2 버클부재 ` 210: 케이스
211: 제1 고정홈 213: 제2 고정홈
215: 제3 고정홈 217: 제4 고정홈
219: 가이드 돌기 220: 가압부
221: 슬릿 225: 가압돌기
227: 제1 경사면 229: 제2 경사면
230: 잠금부 240: 제1 잠금부재
243: 제1 함몰부 243a: 제2 후크형 말단
245: 제3 경사면 247: 제1 가이드부재
250: 제2 잠금부재 253: 제2 함몰부
253a: 제4 후크형 말단 255: 제4 경사면
257: 제2 가이드부재 260: 연결부
263: 제1 연장부재 264: 제1 고정돌기
265: 제3 고정돌기 267: 제2 연장부재
268: 제2 고정돌기 269: 제4 고정돌기
270: 제2 장착부 300: 턱끈

Claims (17)

  1. 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버클부재; 및
    상기 돌출부가 일단으로 삽입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 잠금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버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부에 밀려서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잠금부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말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본체의 말단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제1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는 제2 함몰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함몰부에는 상기 제1 후크형 말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의 말단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부에는 상기 제3 후크형 말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4 후크형 말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힘이 상기 돌출부에 작용하면, 상기 제1 후크형 말단과 상기 제2 후크형 말단에 의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고, 상기 제3 후크형 말단과 상기 제4 후크형 말단에 의해서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일방향의 힘을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타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잠금부재와 마주보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잠금부재와 마주보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3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4 경사면이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말단을 밀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잠금부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말단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접촉하는 제5 경사면이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 버클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 내측면과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말단과 연결되는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타 내측면과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말단과 연결되는 제2 연장부재;
    를 포함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단에는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면에는 제3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3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재의 일면에는 제4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4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고정홈이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상기 케이스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슬릿으로 인하여,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잠금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가능한 헬멧용 원터치 버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1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2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말단과 접촉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부재는 턱끈이 연결되는 제1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부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턱끈이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재와 상기 제2 연장부재는 상기 제2 장착부로부터 돌출되는 헬멧용 원터치 버클.
KR1020160097784A 2016-08-01 2016-08-01 헬멧용 원터치 버클 KR10184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84A KR101843502B1 (ko) 2016-08-01 2016-08-01 헬멧용 원터치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84A KR101843502B1 (ko) 2016-08-01 2016-08-01 헬멧용 원터치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79A true KR20180014479A (ko) 2018-02-09
KR101843502B1 KR101843502B1 (ko) 2018-03-30

Family

ID=6119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84A KR101843502B1 (ko) 2016-08-01 2016-08-01 헬멧용 원터치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08B1 (ko) 2020-12-29 2021-03-26 우일무역(주) 원터치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314B1 (en) * 2000-08-09 2002-09-10 Joseph Anscher Push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KR100917165B1 (ko) * 2007-09-06 2009-09-15 황종오 결속장치
KR200476926Y1 (ko) * 2014-12-11 2015-04-14 유상수 착탈식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502B1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49B1 (ko) 버클
KR100713768B1 (ko) 끈 고정구
KR950004760Y1 (ko) 버클
KR100500215B1 (ko) 버클조립체
WO2010038308A1 (ja) バックル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US8667651B2 (en) Combined diving utensil
KR101843502B1 (ko) 헬멧용 원터치 버클
US7198498B2 (en) Card connector
EP1980171B1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CN108712869B (zh) 卡扣
JP6267827B2 (ja) 分離操作が容易なバックル
US10609991B2 (en) Clasp and timepiece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US20050076483A1 (en) Low-profile heavy-duty buckle
CN209931656U (zh) 扣具
CN110482004B (zh) 绳带紧固器
TWI527526B (zh) Front release buckle
CN107307497B (zh) 头盔扣
CN106606010B (zh) 带扣
JP6336907B2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CN111067205A (zh) 表带组件和穿戴设备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CN211048574U (zh) 表带组件和穿戴设备
US20190021456A1 (en)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