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21A -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21A
KR20180014421A KR1020177034752A KR20177034752A KR20180014421A KR 20180014421 A KR20180014421 A KR 20180014421A KR 1020177034752 A KR1020177034752 A KR 1020177034752A KR 20177034752 A KR20177034752 A KR 20177034752A KR 20180014421 A KR20180014421 A KR 2018001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relay
mcpt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864B1 (ko
Inventor
백영교
김성훈
이호연
정상수
박성진
고현목
백윤선
조성연
에릭 쿠트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1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4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corresponding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단말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Se)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서비스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connection)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릴레이 단말(Relay UE)의 PDN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ProSe)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하 ProSe 단말과 혼용 가능하다) 중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하 릴레이 단말)이 리모트(Remote) 단말을 위한 PDN 연결을 생성하고자 할 때 릴레이 단말이 릴레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단말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Se)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서비스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로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단말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Se)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서비스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단말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Se)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서비스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단말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Se)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서비스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 단말은 PDN 연결을 생성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Attach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PDN 연결 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Service request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Bearer Resource Allo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단말간의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를 통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한 ProSe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을 제공받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릴레이 UE가 레이어 2 그룹 ID를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릴레이 UE가 레이어 2 그룹 ID를 제공받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그룹 콜을 개설할 단말이 그룹 콜에 사용할 미디어 전송 관련 항목을 임의로 선택하고 이를 다른 멤버 단말들에게 공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간 직접 통신 기반의 MCPT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은 MCPTT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b는 MCPTT 단말의 또다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해 그룹 콜에 참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가 능동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참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능동적인 MCPTT 클라이언트와 수동적인 MCPTT 클라이언트가 공존할 경우 두 MCPTT 클라이언트를 모두 그룹 콜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SAP 의 Packet Format(패킷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 기반 서비스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처리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의 서비스 처리를 위한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값을 기반으로 한 발언권 제어(floor control)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및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서 QoS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SIP MESSAGE 메소드를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SIP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SIP SUBSCRIBE 및 NOTIFY 메소드를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alert 메시지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그룹 콜을 응급 상황 그룹 콜 호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다른 서비스 중 응급 상황 그룹 콜 호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그룹 콜 요청 메시지에 alert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그룹 콜 중 alert 메시지를 받고 응급 상황 그룹 콜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따른 MCPTT 서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제1실시예>
현재까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주로 사용자와 기지국 혹은 네트워크 장비와의 연결 및 통신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하기 위한 기기 대 기기 통신(Device-to-device, D2D)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s, ProSe)라고 칭할 수 있다.
ProSe 사용자는 단말(user equipment(사용자 장비), UE, terminal 등과 혼용 가능하다) 간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관심 있는 사용자를 찾기 위하여 탐색(Discovery)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심 있는 사용자와 통신(Communication)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roSe 는 상업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공공 안전 서비스(Public Safety)를 위하여 사용 될 수도 있다.
ProSe 사용자는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ProSe 서비스는 기지국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도움을 받아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및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ProSe 단말은 ProSe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이라는 네트워크 장치(Network Entity)와 LTE망을 통해 연결된다. ProSe Function은 ProSe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직접 탐색(Direct Discovery),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등)를 제공하기 위한 교섭 및 파라미터를 관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Se Function에는 기지국(향상된 노드 B, evolved Node B, eNB와 혼용 가능하다) 및 핵심망(Core Network, 코어 네트워크와 혼용될 수 있다)와 연결된 인터페이스가 없으며 ProSe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Profile)은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교섭하여 획득하거나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ProSe Function은 ProSe 단말이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자원(Radio resource) 정보, 특정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대하여 ProS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Authorization)에 대한 정보, ProSe Function과 연결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 등이 있다.
ProSe에서 ProSe 제어부를 의미하는 ProSe Function은 프로세 가능(ProSe-enable) 단말과의 교섭을 통하여 ProSe-enable 단말이 ProSe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ProSe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ProSe Function과 교섭하거나 기지국이 제공해주는 무선 자원을 통하여 ProSe 단말끼리 직접 탐색 혹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은 근처의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할 경우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리모트(Remote) UE)에게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해줄 수 있다.
ProSe에서는 공공 안전 서비스를 위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이하 리모트 UE)과 릴레이(Relay)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은 커버리지 밖으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단말을 잠재적 리모트 UE로 여길 수 있으며, 단말이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측정(measurement) 정보로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리모트 UE는 탐색 동작을 통하여 릴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이하 릴레이 UE)를 탐색하게 되고, 릴레이 UE와 직접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릴레이 UE는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대리인(Delegate)역할을 수행하여 리모트 UE에게 IP 주소를 할당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와의 연결은 1대1 직접 통신(one-to-one direct communica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리모트 UE는 상기 연결을 통하여 릴레이 UE를 거쳐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리모트 UE는 패킷을 릴레이 UE에 전달하고, 릴레이 UE는 릴레이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패킷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또한 릴레이 UE는 네트워크로부터 리모트 UE에게 전달되는 패킷을 릴레이 연결을 수립한 직접 통신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전반에서 ProSe는 단말 대 단말 탐색 및 통신 서비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3GPP에서 정의한 장기간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WLAN),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 통신 전반에서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공 안전 서비스를 위한 ProSe 기능 중 하나인 단말-망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간 릴레이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기지국에서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무선 접속망, 코어 네트워크인 LTE와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실시예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실시예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다루고 있는 D2D 서비스는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총칭하며, 3GPP 표준 기술의 ProSe 등이 그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술한 D2D 시스템은 ProSe라 칭한다.
도 1은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Attach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ProSe 단말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망에 릴레이임을 알리면서 Attach 절차를 수행하고, 그 절차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는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릴레이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커버리지 밖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단말에게 릴레이를 탐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ProSe 이용 단말인 UE2(1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 중 이동성 관리 장치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30)로 Attach Request를 전송한다(s100). 상기 단말은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해 자신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혹은 릴레이 동작이 가능한 단말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첫 번째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Type 정보 영역에 자신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지시자(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APN 정보 영역에 릴레이용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위한 APN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용 PDN Connection을 위한 APN은 ProSe 단말이 ProSe 동작을 위하여 ProSe Function과 서비스 인증(Service Authorization) 절차를 수행할 때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ProSe 단말의 UICC(Universal IC Card)에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세 번째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UE network Capability 정보 영역에 릴레이 능력(Relay Capability)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설정할 수 있다. 네 번째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Device Property 정보 영역에 ProSe 릴레이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설정할 수 있다. UE2는 상기 네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자신이 ProSe 릴레이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의 네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MME(130)는 상기의 네 가지 방법에 대한 정보 영역을 기반으로 Attach Request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 있다. MME는 Attach Request 메시지를 보고 릴레이용 PDN 연결을 위한 APN 값이 APN 정보 영역에 설정되었을 경우, 해당 단말이 릴레이용 베어러(Bearer)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Type이 릴레이를 나타내면, 그 단말에게 릴레이 동작을 위한 베어러 컨텍스트(Bearer context)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ttach request 메시지의 UE network Capability에 단말의 Relay capability가 표시되어 있거나, Device Property에 릴레이 단말임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단말이 ProSe 릴레이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에 대비하여 ProSe 릴레이 트래픽 전송에 적합한 베어러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MME(130)는 Attach Request를 전송한 UE2(110)가 릴레이를 수행해도 되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SS와 교섭하여 UE의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확인하고, 릴레이 기능을 위한 단말 컨텍스트(Context)를 획득할 수 있다(s105). 단말 컨텍스트는 UE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릴레이 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할 때 사용되는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QCI(QoS Class Identifier), UE-AMBR(Aggregate Maximum Bit Rate), 릴레이용 APN에 대한 APN-AMB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ME가 Attach Request를 전송한 UE2가 릴레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HSS와의 교섭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MME(130)는 Attach Request를 전송한 단말에게 베어러 연결을 제공해주기 위하여 S-GW(Serving Gateway)/P-GW(PDN Gateway)(140)로 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한다(s110). 추가적으로 상기 Create Session Request 전송 시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 수립을 다른 베어러 연결 수립 보다 우선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GW/P-GW에서 해당 요청을 빨리 처리할 수 있도록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의 Indication Flag 혹은 Signaling Priority Indication 혹은 베어러 컨텍스트의 QoS 값에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값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S-GW/P-GW는 Indication flag 혹은 Signaling Priority Indication을 확인하여 다른 단말 또는 MME로부터의 요청보다 더 우선적으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베어러 정보에 담긴 QoS 값을 확인하여 릴레이 서비스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QCI 또는 ARP 값을 갖는다면 상기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S-GW/P-GW(140)는 Create Session Response로 상기 Create Session Request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고(s115), 이를 수신한 MME(130)는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Attach Accept 메시지와 베어러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eNB에게 전달한다(s120).
상기 120단계에 따라 MME(130)는 상기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의 ProSe authorized 정보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값을 설정하여 해당 UE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eNB(12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MME는 E-TRAB to be setup list 정보 영역의 E-RAB level QoS parameter에 릴레이용 QCI값 혹은 ARP값을 설정하여 eNB가 해당 UE가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eNB는 UE2(110)가 ProSe UE to Network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인지한다.
eNB(120)는 UE2(110)에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로 Attach Accept를 전달하고(s125),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있는 베어러 컨텍스트 대로 단말과 eNB간 베어러 연결을 수립하게 된다(s130). 단말과 eNB간 베어러 연결이 수립되면 eNB는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MME(130)에게 보내서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알리고(s135), MME는 S-GW/P-GW(140)에게 Modify Bearer Request를 전송해 eNB와 S-GW/P-GW 간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 UE2는 Attach Complete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하여 Attach 절차를 종료한다(s140).
상기 140단계에 따른 결과로 ProSe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eNB(120)는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를 저장한다(s150). 상기 정보는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Authorization) 정보 혹은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라는 지시(Indication)일 수 있다.
eNB(120)는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릴레이 UE를 선택할 수 있다(s155). eNB는 상기 155단계를 통해 MME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UE에 대한 릴레이 수행 허가 혹은 릴레이 수행 지시에 기반하여 특정 UE를 릴레이 UE로 선택할 수 있다. eNB는 릴레이 UE를 선택하는 동작을 위하여 전용(Dedicated)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이용하거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브로드캐스트(broadcast)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eNB는 UE2(110)에게 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해 릴레이 UE임을 알릴 수 있다.
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할 경우 eNB(120)는 특정 단말에 대한 RRC 메시지를 셀 무선망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로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다. eNB는 이 RRC 메시지에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 정보를 포함하거나,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 RRC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해서 사용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을 전달해줄 수 있으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릴레이용 자원 풀에 관련된 정보가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면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지시받았다고 판단하거나, 릴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eNB(120)가 SIB broadcast를 이용하여 릴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SIB 메시지에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의 C-RNTI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혹은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한 자원 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릴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E는 상기 자원 풀 정보를 보고 릴레이 동작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릴레이 자원 풀이 명시된 경우 동작상 절차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eNB(12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cell)에 위치한 단말에게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threshold) 이하임을 알게 되면, 해당 단말이 곧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상 이 UE를 잠재적 리모트 UE(Potential Remote UE)라고 칭한다.
이 경우, eNB(120)는 상기 측정 보고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릴레이 탐색 동작을 수행할 것임을 트리거할 수 있다(s160). 일례로, eNB는 측정 보고를 전송한 UE1(100)의 신호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 이하라면 릴레이 탐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 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UE 중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가 받은 UE가 있는지 확인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UE가 상기 확인 절차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 절차를 시작하라고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릴레이 가능 단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을 시작하게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기 위함이다. 단말은 eNB로부터 문턱값을 수신하는 대신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전달받은 문턱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탐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eNB가 잠재적 리모트 UE가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거나 두 번째로 SIB을 통하여 Broadcast하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상기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12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signaling의 신호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Sidelink)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혹은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라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잠재적 리모트 UE는 릴레이 탐색을 수행한다. eNB가 SIB을 통하여 릴레이 탐색을 트리거하는 경우,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SIB 정보로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상기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signaling의 신호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문턱값은 미리 정해져 있거나 또는 eNB 또는 ProSe Function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PDN 연결 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ProSe 단말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 릴레이임을 알리면서 릴레이용 PDN 연결 수립 절차를 수행하고, 그 절차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는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릴레이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커버리지 밖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단말에게 릴레이를 탐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ProSe 이용 단말인 UE2(110)는 네트워크에 PDN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 중 이동성 관리 장치인 MME(130)에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200). 상기 단말은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해 자신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혹은 릴레이 동작이 가능한 단말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첫 번째로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의 APN 정보 영역에 릴레이용 PDN 연결을 위한 APN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용 PDN 연결을 위한 APN은 ProSe 단말이 ProSe 동작을 위하여 ProSe Function과 서비스 인증(Service Authorization) 절차를 수행할 때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ProSe 단말의 UICC(Universal IC Card)에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해 설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은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의 Device Property 정보 영역에 ProSe 릴레이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ion)를 설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단말은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의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정보 영역의 Additional parameter 부분에 릴레이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다. UE2는 상기 세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자신이 ProSe 릴레이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의 세 가지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MME(130)는 상기의 방법에 따른 정보 영역을 기반으로 PDN connectivity request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 있다. MME는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를 기반으로 릴레이용 PDN 연결을 위한 APN 값이 APN 정보 영역에 설정되었을 경우, 해당 단말이 릴레이용 베어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Device Property에 릴레이 단말임이 설정되어 있거나 혹은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정보 영역에 릴레이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있으면 그 단말의 ProSe 릴레이 트래픽 전송에 적합한 베어러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MME는 PDN connectivity request를 전송한 UE2(110)가 릴레이를 수행해도 되는 서브스크립션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SS와 교섭하여 UE의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확인하고, 릴레이 기능을 위한 단말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s205). 단말 컨텍스트는 UE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할 때 사용되는 ARP, QCI, UE-AMBR, 릴레이용 APN에 대한 APN-AMB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ME가 PDN connectivity request를 전송한 UE2가 릴레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HSS와의 교섭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MME(130)는 PDN connectivity request 를 전송한 단말에게 Bearer 연결을 제공해주기 위하여 S-GW/P-GW(140)로 Create Session Request를 전송한다(s210). 추가적으로 상기 Create Session Request 전송 시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 수립을 다른 베어러 연결 수립보다 우선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GW/P-GW에서 해당 요청을 빨리 처리할 수 있도록 MME는 ㄴ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의 Indication Flag 혹은 Signaling Priority Indication 혹은 Bearer Context의 QoS 값에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값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S-GW/P-GW는 Indication flag 혹은 Signaling Priority Indication을 확인하여 다른 단말 또는 MME로부터의 요청보다 더 우선적으로 상기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베어러 정보에 담긴 QoS 값을 확인하여 릴레이 서비스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QCI 또는 ARP 값을 갖는다면 상기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S-GW/P-GW(140)는 Create Session Response로 상기 Create Session Request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고(s215), 이를 수신한 MME(130)는 Bearer Setup Request 메시지에 Bearer Context 정보를 포함하여 eNB(120)에게 전달한다(s220). 상기 220단계에 따라 MME는 상기 Bearer Setup Request의 ProSe 관련 정보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값을 설정하여 해당 UE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eNB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MME는 E-TRAB to be setup list 정보 영역의 E-RAB level QoS parameter에 릴레이용 QCI값 혹은 ARP값을 나타내어 eNB가 해당 UE가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Bearer Setup Request를 수신한 eNB는 UE2(110)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인지한다.
eNB(120)는 단말과 RRC 메시지를 통하여 무선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s225). 이 때 eNB는 UE2가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UE2가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음을 허가하는 지시자를 포함하거나 릴레이로 동작하도록 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UE2(110)는 eNB가 전송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의 상기 지시를 식별하여 릴레이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과 eNB(120)간 베어러 연결이 수립되면 eNB는 Bearer Setup response를 MME(130)에게 전송해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알리고(s230), MME는 S-GW/P-GW(140)에게 Modify Bearer Request를 전송해 eNB와 S-GW/P-GW 간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s235). 상기 각 단계에 따른 결과로 ProSe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eNB는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를 저장한다(s240). 상기 정보는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Authorization)에 대한 지시 혹은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라는 지시일 수 있다.
eNB(120)는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릴레이 UE를 선택할 수 있다(s245). eNB는 상기 245단계를 통해 MME(130)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UE에 대한 릴레이 수행 허가 혹은 릴레이 수행 지시에 기반하여 특정 UE를 릴레이 UE로 선택할 수 있다. eNB는 릴레이 UE를 선택하는 동작을 위하여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하거나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할 경우 eNB는 특정 단말에 대한 RRC 메시지를 C-RNTI로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 정보를 포함하거나,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 RRC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해서 사용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을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릴레이용 자원 풀 관련 정보가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면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지시를 받았다고 판단하거나, 릴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eNB가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릴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SIB 메시지에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의 C-RNTI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혹은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한 자원 풀 관련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릴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E는 상기 자원 풀 정보를 보고 릴레이 동작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릴레이 자원 풀이 명시된 경우 동작상 절차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eNB(12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에 위치한 단말에게서 측정 보고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eNB가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 이하임을 알게 되면, 해당 단말이 곧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상 이 UE를 잠재적 리모트 UE라고 칭한다.
이 경우, eNB(120)는 상기 측정 보고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릴레이 탐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s250). 상기 트리거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UE 중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가 받은 UE가 있는지 확인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UE가 상기 확인 절차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 절차를 시작하라고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릴레이 가능 단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을 시작하게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기 위함이다. 또한 단말은 eNB로부터 문턱값을 수신하는 대신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전달받은 문턱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탐색 절차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eNB(120)가 잠재적 리모트 UE(이 경우 UE1(100)이 잠재적 리모트 UE가 될 수 있다)가 릴레이 D탐색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거나 두 번째로 SIB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eNB는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Sidelink)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또는 eNB는 SIB에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라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잠재적 리모트 UE는 릴레이 탐색을 수행한다. eNB가 SIB을 통하여 릴레이 탐색 절차를 트리거하는 경우,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SIB 정보로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문턱값은 미리 정해져 있거나 또는 eNB 또는 ProSe Function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Service request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 릴레이임을 알리면서 Service Request 절차를 수행하고 그 절차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릴레이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기지국이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커버리지 밖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단말에게 릴레이를 탐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ProSe 이용 단말인 UE2(110)는 네트워크에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 중 이동성 관리 장치인 MME(130)에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또는 UE2는 MME에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해 자신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혹은 릴레이 동작이 가능한 단말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은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의 Service Type Field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은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의 Device Property field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이용 단말임을 명시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상기의 방법에 따른 정보 영역을 기반으로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 있다.
MME(130)는 Service request 또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전송한 UE2(110)가 릴레이를 수행해도 되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SS(150)와 교섭하여 UE의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확인하고, 릴레이 기능을 위한 단말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컨텍스트는 UE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할 때 사용되는 ARP, QCI, UE-AMBR, 릴레이용 APN에 대한 APN-AMB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ME가 Service request를 전송한 UE2가 릴레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다면 상기 HSS와의 교섭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s305).
MME(130)는 Service request 또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전송한 단말에게 베어러 연결을 제공해주기 위하여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베어러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eNB(120)에게 전달한다(s310). 상기 310단계에 따라 MME는 상기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의 ProSe authorized 정보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값을 설정하여 해당 UE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eNB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MME는 E-TRAB to be setup list 정보 영역의 E-RAB level QoS parameter에 릴레이용 QCI 값 혹은 ARP 값을 포함시켜 이를 통해 eNB가 해당 UE가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eNB는 UE2(110)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인지한다.
eNB(120)는 단말(이 경우 UE2(110)가 될 수 있다)과 RRC 메시지를 통하여 무선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s315). 이 때 eNB는 UE2가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UE2가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음을 허가하는 지시(또는 지시자)를 포함하거나 릴레이로 동작하도록 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UE2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의 상기 지시를 식별하여 릴레이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UE2(110)과 eNB(120)간 베어러 연결이 수립되면 eNB는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MME(130)에게 전송해 베어러가 설정되었음을 알리고(s320), MME는 S-GW/P-GW(140)에게 Modify Bearer Request를 전송해 eNB와 S-GW/P-GW 간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s325).
상기 기술한 단계에 따른 결과로 ProSe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eNB(120)는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를 저장한다(s330). 상기 정보는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Authorization)에 대한 지시 혹은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라는 지시일 수 있다.
eNB(120)는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릴레이 UE를 선택할 수 있다(s335). eNB는 상기 335단계를 통해 MME(130)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UE에 대한 릴레이 수행 허가 혹은 릴레이 수행 지시에 기반하여 특정 UE를 릴레이 UE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eNB는 UE2(110)을 릴레이 UE로 선택할 수 있다. eNB는 릴레이 UE를 선택하는 동작을 위하여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하거나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할 경우 eNB는 특정 단말에 대한 RRC 메시지를 C-RNTI로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 정보를 포함하거나,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 RRC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해서 사용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 관련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릴레이용 자원 풀 관련 정보가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면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지시받았다고 판단하거나, 릴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eNB가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릴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의 C-RNTI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또는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한 자원 풀 관련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릴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E는 상기 자원 풀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동작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릴레이 자원 풀 정보가 포함된 경우 동작상 절차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eNB(12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에 위치한 단말에게 측정 보고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 이하임을 알게 되면, 해당 단말이 곧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상 이 UE를 잠재적 리모트 UE라고 칭한다. 이 경우 UE1(100)이 잠재적 리모트 UE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eNB(120)는 상기 측정 보고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릴레이 탐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s340). 상기 트리거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UE 중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가 받은 UE가 있는지 확인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UE가 상기 확인 절차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 절차를 시작하라고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릴레이 가능 단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을 시작하게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기 위함이다. 단말은 eNB로부터 문턱값을 수신하는 대신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전달받은 문턱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탐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eNB(120)가 잠재적 리모트 UE가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거나 두 번째로 SIB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eNB는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Sidelink)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혹은 dedicated RRC 메시지에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라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잠재적 리모트 UE는 릴레이 탐색을 수행한다. eNB가 SIB을 통하여 릴레이 탐색을 트리거하는 경우,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SIB 정보로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broadcast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문턱값은 미리 정해져 있거나 또는 eNB 또는 ProSe Function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ProSe 단말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Bearer Resource Allo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ProSe 단말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 릴레이임을 알리면서 Bearer Resource Allocation 절차를 수행하고, 그 절차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가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릴레이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단말을 선택하고 커버리지 밖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단말에게 릴레이를 탐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ProSe 이용 단말인 UE2(110)는 네트워크에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 중 이동성 관리 장치인 MME(130)에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400). 상기 단말은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해 자신이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혹은 릴레이 동작이 가능한 단말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은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의 Required traffic flow QoS Field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에 해당하는 QCI 또는 ARP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은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의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 field의 additional paramater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이용 단말임을 명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단말은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의 Device Properties 정보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이용 단말임을 명시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상기의 방법에 따른 정보 영역을 기반으로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 있다.
MME(130)는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UE2(110)가 릴레이를 수행해도 되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SS(150)와 교섭하여 UE의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확인하고, 릴레이 기능을 위한 단말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컨텍스트는 UE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릴레이용 베어러 연결을 수립할 때 사용되는 ARP, QCI, UE-AMBR, 릴레이용 APN에 대한 APN-AMBR 등을 포함할6 수 있다. MME가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를 전송한 UE2가 릴레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브스크립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HSS와의 교섭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s405).
MME(130)는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게 베어러 연결을 제공해주기 위하여 E-RAB Setup request 메시지에 베어러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eNB에게 전달한다(s425). 상기 425단계에 따라 MME는 상기 E-RAB Setup request의 ProSe 관련 정보 영역에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값을 설정하여 해당 UE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eNB(12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E-TRAB to be setup list 정보 영역의 E-RAB level QoS parameter에 릴레이용 QCI값 혹은 ARP값을 포함시켜 eNB가 해당 UE가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E-RAB Setup Request를 수신한 eNB는 UE2(110)가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사용하는 단말임을 인지할 수 있다.
eNB(120)는 단말과 RRC 메시지를 통하여 무선 베어러 연결을 수립한다(s430, s435). 이 때 eNB는 UE2(110)가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UE2가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음을 허가하는 지시(또는 지시자)를 포함하거나 릴레이로 동작하도록 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UE2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의 상기 지시를 식별하여 릴레이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과 eNB(120)간 베어러 연결이 수립되면 eNB는 E-RAB Setup response를 MME(130)에게 전송해 Bearer가 설정되었음을 알린다(s445). 상기 기술한 단계에 따른 결과로 ProSe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eNB는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를 저장한다(s440). 상기 정보는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Authorization)에 대한 지시 혹은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라는 지시일 수 있다.
eNB(120)는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릴레이 UE를 선택할 수 있다(s455). eNB는 상기 단계 X를 통해 MME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UE에 대한 릴레이 수행 허가 혹은 릴레이 수행 지시에 기반하여 eNB가 특정 UE를 릴레이 UE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UE는 UE2(110)이 될 수 있다. eNB는 릴레이 UE를 선택하는 동작을 위하여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하거나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Dedicated RRC Signaling을 이용할 경우 eNB는 특정 단말에 대한 RRC 메시지를 C-RNTI로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eNB는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허가 정보를 포함하거나, 해당 UE가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 RRC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해서 사용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 관련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릴레이용 자원 풀 관련 정보가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면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지시받았다고 판단하거나, 릴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eNB(120)가 SIB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릴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의 C-RNTI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혹은 eNB는 SIB 메시지에 릴레이를 위한 자원 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릴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UE는 상기 자원 풀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 동작 여부를 결정하거나 혹은 릴레이 자원 풀 정보가 명시된 경우 동작상 절차로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eNB(12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에 위치한 단말에게 측정 보고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측정 보고를 보고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특정 문턱값 이하임을 알게 되면, 해당 단말이 곧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상 이 UE를 잠재적 리모트 UE라고 칭한다. 이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는 UE1(10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eNB는 상기 측정 보고를 전송한 단말이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릴레이 탐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s460). 상기 트리거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UE 중 릴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가 받은 UE가 있는지 확인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UE가 상기 확인 절차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 절차를 시작하라고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릴레이 가능 단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릴레이 탐색을 시작하게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기 위함이다. 단말은 eNB로부터 threshold 값을 수신하는 대신 ProSe Function으로부터 전달받은 문턱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탐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eNB가 잠재적 리모트 UE가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거나 두 번째로 SIB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dedicated RRC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eNB는 잠재적 리모트 UE에게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Cell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Sidelink)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혹은 eNB는 dedicated RRC 메시지에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라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잠재적 리모트 UE는 릴레이 탐색을 수행한다. eNB가 SIB을 통하여 릴레이 탐색을 트리거하는 경우, eNB는 셀 신호 세기에 대한 문턱값을 SIB 정보로 제공하여 잠재적 리모트 UE가 수행한 셀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문턱값 이하이면 릴레이 탐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셀 신호는 e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IB 시그널링의 세기이거나 혹은 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릴레이 UE 또는 리모트 UE(100, 110), eNB(120), MME(130), S-GW 또는 P-GW(140) 및 HSS(150) 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부(500), 제어부(510) 및 저장부(520)으로 구성되며, 송수신부는 각 장치가 다른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저장부는 각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는 송수신부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부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는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해서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릴레이 서비스 코드(relay service code) 관련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해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트래픽을 전달하는 경우 사용하게 되는 Layer 2 Group ID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roSe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한 ProSe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UE(user equipment, 사용자 장치, 단말(terminal) 등과 혼용 가능하다)(610)는 eNB(evolved Node B, 향상된 노드 B, 기지국(base station) 등과 혼용 가능하다)(620)의 커버리지 안에 있으면서 셀룰라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PC5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커버리지 바깥에 위치하는 리모트(remote) UE에게 전달하는 릴레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에는 ProSe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ProSe Function(660), 호 처리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650),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S-GW(Serving Gateway), P-GW(PDH-Gateway)를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웨이(640)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네트워크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UE(이하 릴레이 UE)는 EPS 네트워크를 통해서 릴레이임을 등록하고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거나, 리모트 UE에게 IP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생성하는 등의 릴레이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이후, 릴레이 서비스가 준비된 경우에는 탐색(discovery) 방법에 따라 릴레이 UE가 직접 자신이 릴레이임을 알리기 위한 방송(announcement) 메시지를 방송하거나, 인근의 리모트 UE가 릴레이를 찾을 때 전송하는 탐색 유도(discovery solicit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탐색 유도 메시지에 따라 해당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탐색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발견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발견된 릴레이 UE 중에서 원하는 릴레이 UE를 선택하여 해당 릴레이 UE와 리모트 UE간에 연결을 설정(setup)하고, 상기 연결을 통해서 리모트 UE는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트 UE와 릴레이 UE간의 탐색 과정에서 필요하게 되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려주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과 리모트 UE가 릴레이 UE에게 요청해서 MBMS 트래픽을 전송받을 때 MBMS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레이어 2 그룹(Layer 2 Group)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릴레이 서비스 코드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단말-네트워크 릴레이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인증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코드이고 레이어 2 그룹 ID는 리모트 UE에게 MBMS 트래픽을 전송할 때 사용된다.
도 7은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을 제공받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ProSe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때, 서비스 인증(service authorization) 과정을 통해서 ProSe서비스를 받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물론, 단말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해 ProSe Function등 EPS 네트워크에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 단말 내부에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설정값을 통해서 ProSe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ProSe 단말 중 리모트 UE(700)은 서비스 인증 과정을 위해서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서비스 인증 요청) 메시지를 ProSe Function(720)에게 전송하고(s701), ProSe Function은 필요에 따라 HSS(740)으로부터 리모트 UE(200)에 대한 ProSe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단계 721 및 741을 통해서 받아오게 된다. ProSe Function(720)은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값에 따라서 또는 s241의 메시지를 통해서 HSS(74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리모트 UE에게 릴레이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과 해당 릴레이 서비스 코드를 통해서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용례(usage)(일례로, 소방관 네트워크 서비스, 경찰관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를 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s722)를 통해서 전달하게 된다.
한편,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단말(710)은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메시지(s711)를 전송할 때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임을 나타내기 위한 릴레이 지시(indication, 또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ProSe Function(720)은 해당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해도 되는 단말인지를 자신의 정보(상기 정보는 단말 컨텍스트가 될 수 있다)에 기반하여 또는 HSS(740)에게 문의하여 723 및 742 단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HSS(740)은 723/742 단계를 통해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정보를 ProSe Function(7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ProSe Function(720)은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값에 따라서 또는 s742메시지를 통해서 HSS(74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릴레이 UE(710)가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때 제공할 수 있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과 해당 릴레이 서비스 코드를 통해서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용례(일례로, 소방관 네트워크 서비스, 경찰관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서비스를 위해서 릴레이 UE(710)가 PDN 연결을 요청할 때 사용해야 할 APN(Access Point Name) 정보, 및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릴레이 서비스 코드를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즉, 수명(lifetime, 또는 유효 기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메시지(s724)를 통해서 릴레이 UE(71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과 용례 관련 정보와 해당 APN값을 수신한 릴레이 UE(710)는 UE requested PDN connectivity request(단말 요청 PDN 연결 요청)(s712) 메시지를 상기 수신한 APN정보를 포함해 MME(730)에게 전송하고, 릴레이 UE(710)는 알맞은 P-GW를 선택해서 PDN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단계 s731 및 s713의 default EPS bearer activation(EPS 베어러 활성화) 과정을 통해서 수행한다.
PDN 연결이 설정되고 EPS 베어러가 활성화되면 이 때부터 릴레이 UE(710)는 릴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단계 s714와 같이 릴레이 서비스 코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통해서 탐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후에 릴레이 UE(710)가 자신의 릴레이 서비스 코드 중에서 일부를 사용하지 않거나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211단계와 같이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메시지를 ProSe Function(720)에 보내면서 상기 메시지에 해제(release)하길 원하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을 포함시키거나, 수명(lifetime)에 대한 연장을 요청하기 위해서 상기 메시지에 릴레이 서비스 코드와 함께 연장 요청 지시(indica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ProSe Function(720)은 s723 및 s742단계와 같이 HSS(740)에게 요청해 수신한 정보 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값을 s724단계와 같이 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메시지를 통해서 릴레이 UE(710)에게 전달하여 변경된 값을 기반으로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roSe Function(720)이 해당 릴레이 서비스 코드값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려(push) 메시지(일례로 SMS)를 릴레이 UE(710)혹은 리모트 UE(700)에게 전송해 ProSe Function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일례로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들에게 새롭게 변경된 값을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8은 릴레이 UE가 레이어 2 그룹 ID를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리모트 UE(800)이 릴레이 UE(810)에게 접속한 이후에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모니터링(monitoring)을 요청해 MBMS 트래픽 전송을 요청했을 때 사용하게 되는 레이어 2 그룹 ID(Layer 2(L2) Group ID)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UE(810)이 ProSe Function(820)으로부터 서비스 인증(service authorization)을 받는 과정에서 해당 값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따르면, 리모트 UE(800)는 서비스 인증을 위해 Service Authroziation request 메시지를 ProSe Function(820)으로 전송하며(s801), ProSe Function(820)은 SH request를 HSS로 s821 단계에서 전송하고, SH response를 s831단계에서 수신한다. 상기 ProSe Function(820)은 리모트 UE(800)으로 Service Authroziation response 메시지를 s822 단계에서 전송한다. 릴레이 UE(810)는 Service Authrozi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811 단계에서 자신이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임을 나타내기 위한 릴레이 지시(indication, 지시자로도 이해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ProSe Function(820)은 해당 단말이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해도 되는 단말인지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 또는 HSS(830)에게 s823 및 s832단계를 통해서 문의해 획득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roSe Function(820)은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값 또는 832단계의 메시지를 통해서 HSS(830)로부터 수신한 값을 따라서 상기 릴레이 UE(824)가 MBMS 트래픽을 릴레이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레이어 2 그룹 ID의 풀(pool) 즉 레이어 2 그룹 ID의 리스트 혹은 범위(range)값을 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릴레이 UE(810)에게 제공하게 된다(s824). 이 때 ProSe Function(820)은 레이어 2 그룹 ID의 풀 사용에 대한 수명(lifetime)을 상기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802단계와 같이 리모트 UE(800)와 릴레이 UE(810) 사이의 연결이 설정되어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리모트 UE(800)가 TMGI monitoring request(TMGI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릴레이 UE(810)에게 전송하고(s803) 릴레이 UE(810)가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TMGI에 대한 릴레이 서비스를 허락하는 경우, 릴레이 UE(810)은 상기 824단계에서 획득한 레이어 2 그룹 ID풀에서 하나의 레이어 2 그룹 ID값을 선택해 해당 TMGI값에 대한 MBMS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그룹 값으로 결정하고(s812) 813단계와 같이 TMGI monitoring response(TMGI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에 해당 TMGI에 해당하는 레이어 2 그룹 ID값을 포함시켜 리모트 UE(8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후에 릴레이 UE(810)가 자신에게 할당받은 레이어 2 그룹 ID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811단계와 같이 릴레이 UE(810)는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메시지를 ProSe Function(820)에 전송하면서 상기 메시지에 해제하길 원하는 레이어 2 그룹 ID값을 포함시키거나, 특정 레이어2 그룹 ID의 수명 에 대한 연장을 요청하기 위해서 레이어 2 그룹 ID와 함께 연장 요청 지시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ProSe Function(820)은 823 및 832단계를 이용해 HSS(830)에게 요청해 획득하거나 혹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값을 824단계와 같이 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메시지를 통해서 릴레이 UE(810)에게 전달하여 변경된 값으로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roSe Function(820)이 해당 레이어 2 그룹 ID 풀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려(push) 메시지(일례로 SMS)를 릴레이 UE(810)에게 전송해 ProSe Function(8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일례로 Service Authorization request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새로 변경된 값을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9는 릴레이 UE가 레이어 2 그룹 ID를 제공받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리모트 UE(900)가 릴레이 UE(910)에게 접속한 이후에 TMGI 모니터링을 요청해 MBMS 트래픽 전송을 요청했을 때 사용하게 되는 레이어 2 그룹 ID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UE(910)이 리모트 UE(900)으로부터 TMGI 모니터링 요청을 받을 때 ProSe Function(920)으로부터 해당 값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릴레이 UE(910)가 902단계와 같이 리모트 UE(900)와의 연결 후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리모트 UE(900)가 TMGI monitoring request메시지를 전송하고(s903), 릴레이 UE(910)가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TMGI에 대한 릴레이 서비스를 허락하는 경우에, 릴레이 UE(910)는 ProSe Function(920)에게 Group ID assignment request (그룹 ID 할당 요청) 메시지를 통해 해당 TMGI에 대한 MBMB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레이어 2 그룹 ID 값을 요청한다(s912). 상기 단계에서 ProSe Function(920)은 HSS(930)으로부터 921 및 931 단계를 통해 문의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릴레이 UE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룹 ID 할당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ProSe Function(920)으로부터 922단계의 Group ID assignment response (그룹 ID 할당 응답) 메시지를 통해 레이어 2 그룹 ID를 할당받은 릴레이 UE(910)는 913단계와 같이 상기 그룹 ID 할당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TMGI에 해당하는 레이어 2 그룹 ID값을 포함하는 TMGI monitoring response 메시지를 리모트 UE(900)에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릴레이 UE(910)가 더 이상 레이어2 그룹 I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 UE(910)은 Group ID release request(그룹 ID 해제 요청) 메시지를 ProSe Function(920)으로 전송해 해당 레이어 2 그룹 ID에 대한 사용 중단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ProSe Function(920)이 Group ID release ack (그룹 ID 해제 수신확인) 메시지를 릴리즈 UE(910)으로 전송해 요청이 처리됐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릴레이 UE, 리모트 UE, ProSe Function 및 HSS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부(1000), 제어부(1010) 및 저장부(1020)으로 구성되며, 송수신부는 각 장치가 다른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저장부는 각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는 송수신부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부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3실시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Term Evolution)에 기반한 재난 안전망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이하 MCPTT) 서비스는 기존 워키토키 서비스와 비슷하게 어플리케이션 단에서의 그룹 통신을 정의한다. 특히 재난 상황에서 기지국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그룹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3GPP에서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요구사항에 포함하고 있다. 그룹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미리 생성되어야 할 필요가(이하 Call Setup(콜 설정)이라 한다) 있다. 메시지 공지를 통해 세션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음성, 이미지 혹은 영상 등의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미디어의 타입, 코덱, 포트번호 등의 대한 정보가 그룹에 속한 단말간에 공유된다. 콜 설정이 완료된 이후, 임의의 사용자가 발언을 하기 위해서는 Push Button(푸시 버튼)을 누르고 발언권을 획득해야 한다.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는 그룹 멤버에게 음성 및 기 공지된 미디어 유형(Media type)에 한하여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다.
MC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으로 기지국 및 네트워크에 연결된(On-Network) 환경에서 MCPTT 서버와 이에 연결된 MCPTT 클라이언트(client, 이하 단말, 사용자 장치 등과 혼용 가능하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On-Network 환경에서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이 콜 설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세션을 생성하고자 하는 단말이 SIP 서버에게 INVITE(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면 SIP 서버는 해당 세션과 관련 있는 단말(들)에게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200 OK 메시지로 응답한다. 보안을 위한 통신 비밀 키 교환 및 미디어 타입, 코덱, 포트에 대한 정보는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고, 이후 단말 내 MCPTT 클라이언트들이 MCPTT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 때 On-Network 환경에서 발언권 제어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Binary Floor Control Protocol (BFCP)와 Media Burst Control Protocol (MBCP)로, 이는 중앙에 항상 존재하는(Always On) 서버에서 발언권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서버에 전송한 Request(요청)에 대한 Grant(허여) 메시지를 받은 단말은 발언권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On-Network 상황에서는 중앙 집중적인 방식으로 모든 단말이 모든 요청을 서버에게 보낸 후 서버가 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와 달리 MCPTT 서비스를 기지국 및 네트워크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Off-Network) 재난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과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앙 제어 서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각 단말은 분산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룹 멤버 간 음성을 송수신 할 수 있으려면 Group Call Setup(그룹 콜 설정)을 통해 콜에서 사용할 미디어 전송에 관련된 설정 정보, 즉 미디어 파라미터와 그 값들을 멤버간에 서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미디어 파라미터는 Media type(미디어 유형), codec(코덱), bandwidth(대역폭), Media 전송을 위한 Multicast port(멀티캐스트 포트), Floor Control(발언권 제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전송 port(포트), Media Encryption(미디어 암호화)을 위한 Group Key(그룹 키) 등이 포함된다. 미디어 파라미터와 해당 값들을 공유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을 아래에서 기술한다.
첫 번째 방법은 단말이 그룹 콜에서 사용할 미디어 전송에 관련된 항목들과 그 값들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단말에 미리 설정한 후, 임의의 단말이 그룹 콜을 시작한다고 공지하고 미리 설정된 Media type, 전송 port 및 코덱을 이용하여 멤버 단말들에게 미디어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response(응답)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빠른 설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룹 콜 미디어 전송 설정 정보가 참여하는 단말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어야 하므로, 생성될 수 있는 그룹 콜의 자원을 서비스 사업자가 정한 설정을 벗어나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그룹 콜을 개설할 단말이 그룹 콜에 사용할 미디어 전송 관련 항목을 임의로 선택하고 이를 다른 멤버 단말들에게 공지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Group Call Announcement(그룹 콜 방송) 공지를 하는 이유는 그룹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로 하여금 음성과 같은 미디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만드는 것이다.
도 11은 그룹 콜을 개설할 단말이 그룹 콜에 사용할 미디어 전송 관련 항목을 임의로 선택하고 이를 다른 멤버 단말들에게 공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그룹 콜을 시작하는 MCPTT 클라이언트 1(1100)은 그룹 콜에서 사용할 미디어에 대한 복수의 파라미터 값을 결정하여 이를 그룹 콜 방송 메시지에 포함시켜 근처의 MCPTT 클라이언트(1110, 1120)에게 전송한다(s1100).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클라이언트(1110, 1120)는 전송된 미디어 파라미터들을 설정하여 그룹 콜내 전달될 미디어를 수신하기 위해 준비하고(s1110),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룹 내 다른 MCPTT 클라이언트로 송신함으로써 자신이 그룹에 참가하였음을 알려준다(s1120). 상기 응답 메시지는 참여 여부를 알려주는 메시지이므로 미디어 파라미터 정보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응답 메시지는 모든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매번 전송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MCPTT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Group ID에 대한 방송 메시지에 대해서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1130). 그룹 콜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들은 그룹 콜 방송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들로 인해 그룹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s1140).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MCPTT 클라이언트는 MCPTT Off-Network 그룹 콜 절차를 통해 미디어(일례로, 음성)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런데 최초 그룹 콜 방송 메시지 송신 시 메시지 전달 범위 내에 없었다가 그룹 콜 범위 내에 들어왔거나, 방송 메시지 전송 이후 MCPTT 클라이언트를 활성화시킨 경우 해당 MCPTT 클라이언트를 기존의 그룹 콜에 참여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콜 서비스 범위에 뒤늦게 나타난 MCPTT 클라이언트에 그룹 콜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 파라미터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MCPTT 클라이언트가 전달받은 미디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송수신을 위한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그룹 콜에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를 참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직접 통신을 통한 Push to Talk(PTT) 솔루션에서 기 생성된 그룹 콜에 뒤늦게 나타난 MCPTT 클라이언트를 참여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그룹 콜을 즉시 생성하기 위해 Group Announcement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기 생성된 동일 ID의 그룹 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Group Announcemen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그룹 콜에 참여하는 수동적 참여의 경우, 그리고 위의 두 경우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12는 단말간 직접 통신 기반의 MCPT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단말간 직접 통신 기반의 MCPTT 시스템에는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각각의 MCPTT 단말 1(1200), 단말 2(1210) 및 단말 3(1220)은 자신의 직접 통신 범위에 있는 타 단말과 통신 가능하다.
도 13a은 MCPTT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a에 따르면, MCPTT 단말은 MCPTT 발언을 위한 푸시 버튼(1300)과 볼륨 Up/Down 버튼(1302), 그룹 정보를 표시해주는 화면(디스플레이, 1304), 음성 입/출력을 위한 스피커(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등의 주변 장치를 포함하며, 탑재된 MCPTT 시스템이 주변 장치와 모뎀(1320)을 이용하여 단말간 MCPTT 동작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한다. MCPTT 단말은 PTT UNIT(PTT부)(1310)를 포함하며, 상기 PTT 부는 그룹 콜 생성을 위한 Call Setup UNIT(호 설정부)(1312), 발언권 제어를 위한 Floor Control UNIT(발언권 제어부)(1314), 음성 송수신을 위한 Media Tx/Rx UNIT(미디어 송수신부)(1316)으로 구성되며 직접 통신을 위해 이를 지원하는 모뎀(1320)을 사용한다. 미도시되었으나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레이어(layer)를 담당하는 ProSe(Proximity-based Service) UNIT(ProSe부)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b는 MCPTT 단말의 또다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b에 따르면, MCPTT 단말은 송수신부(1350), 제어부(1360) 및 저장부(1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는 다른 단말과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저장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와 저장부를 본 실시예의 내용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3a의 PTT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도 13b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MCPTT 단말의 콜 설정부을 이용하여 그룹 콜 방송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MCPTT 단말 간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새로운 MCPTT 단말을 참여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그룹 콜은 그룹 ID로 구분하고 그룹 콜별로 사용하는 미디어 파라미터는 최초 그룹 콜을 개시하는 MCPTT 클라이언트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룹 콜별로 미디어 파라미터는 다를 수 있으나 같은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를 참여시키는 방법으로,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가 능동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참여하는 방법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참여하게 되는 수동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해 그룹 콜에 참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따르면, MCPTT 클라이언트 1(1400), 2(1410), 3(1420) 간에는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그룹 콜 이 기 생성되어 있다(s1400). 그룹 콜에 참여한 MCPTT 클라이언트들은 콜이 생성된 후 새로 나타난 MCPTT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파라미터 정보를 설정하여 이 그룹 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 파라미터 정보를 공지한다(s1410). 새로 나타난 MCPTT 클라이언트 4(1430)(s1420)는 일정 시간 동안 기다려 기 생성된 그룹 콜 멤버 클라이언트(도 14에서는 MCPTT 클라이언트 2(1410))가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로 전송하는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고(s1430) 해당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의 내용대로 그룹 콜에 사용하는 미디어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미디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s1440) 자신이 그룹 콜에 참여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그룹 내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한다(s1450). 이 응답 메시지에는 미디어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MCPTT 클라이언트 1(1400), 2(1410), 3(1420)은 MCPTT 클라이언트가 그룹 콜에 참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에도 그룹 콜 멤버들은 주기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는 RFC 2974 Session Announcement Protocol(SAP)을 사용하는 경우 300초와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 * 방송 메시지 크기를 설정된 대역폭(bit/sec)로 나누어 구한 값 중 큰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SAP에서 서비스 제공시 따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대역폭은 4000 bits/sec이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일례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기가 300초라 가정하고, 우연히 MCPTT 클라이언트가 방송 메시지 전송 직후에 그룹에 들어왔다면 이 경우 299 초를 기다려야 그룹 콜에 참여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긴다. 이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고 3GPP의 MCPTT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능동적으로 기 생성된 그룹 콜 에 참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5는 새로운 MCPTT 클라이언트가 능동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참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따르면 이 경우에도 MCPTT 클라이언트 1(1500), 2(1510), 3(1520) 간에는 그룹 콜이 기 생성되어 있다(s1500). 또한 기 생성된 그룹 내에서 주기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1510). MCPTT 클라이언트 4(1530)는 활성화된 후(s1520) 그룹 콜 방송 메시지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직접 그룹 콜을 생성하기 위해 자신이 그룹 콜을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을 선택하여 미디어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미디어 파라미터를 포함시킨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생성해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s1530). 상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클라이언트들 1(1500), 2(1510), 3(1520)은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ID가 기 생성된 그룹 콜의 그룹 ID와 비교하여 두 ID가 동일하면, MCPTT 클라이언트 4(1530)가 새롭게 그룹 콜에 참여한다는 것을 인지한다. 또한 MCPTT 클라이언트 4(1530)가 전송한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를 이용해 그룹 콜을 설정하지 않고, 대신 응답 메시지에 기 생성된 그룹 콜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540).
이 때 모든 MCPTT 클라이언트들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 MCPTT 클라이언트는 MCPTT 클라이언트 4(153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0, 최대값] 중 하나의 숫자를 임의적으로 선택한 후 그 숫자에 해당하는 전송 슬롯(slot)만큼 기다린 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최대값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콜 그룹 생성시 결정될 수 있다. 각 MCPTT 클라이언트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MCPTT 클라이언트(도 15에서는 MCPTT 클라이언트 2(1510))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를 제외한 다른 MCPTT 클라이언트들(도 15에서는 MCPTT 클라이언트 1(1500), 3(1520))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MCPTT 클라이언트 2(1510)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클라이언트 4(1530)는 그룹 ID 및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 콜이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자신이 설정한 미디어 파라미터의 값들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의 값으로 변경하여(s1550) 해당 그룹 콜 에서 전송되는 미디어(음성)를 수신한다. 이후 주기적인 그룹 콜 방송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1560).
기 생성된 그룹 콜 커버리지에 두 MCPTT 클라이언트가 새로 나타나 한 클라이언트는 능동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의 클라이언트는 수동적으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해서 그룹 콜에 참여할 경우, 후자의 수동적인 MCPTT 클라이언트는 방송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 미디어 파라미터가 달라 동일 그룹 ID의 콜임에도 그룹 콜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기 생성된 그룹 콜에서 사용되는 미디어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새로 나타난 MCPTT 클라이언트들은 기 설정된 미디어 파라미터 값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로 변경해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능동적인 MCPTT 클라이언트와 수동적인 MCPTT 클라이언트가 공존할 경우 두 MCPTT 클라이언트를 모두 그룹 콜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따르면, MCPTT 클라이언트 1(1600), 2(1610)는 이미 그룹 콜을 생성하여 통신을 하고 있고(s1600), 주기적인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다(s1610). 이 때 MCPTT 클라이언트 3(1620), 4(1630)가 새로 나타난 상황에서 MCPTT 클라이언트 3(1620)이 그룹 콜을 생성하기 위해 MCPTT 클라이언트 1(1600), 2(1610)가 이미 생성한 그룹 콜의 그룹 ID를 포함한 그룹 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한다(s1630). 이를 수신한 MCPTT 클라이언트 4(1630)는 MCPTT 클라이언트 3(1620)이 전송한 그룹 콜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룹 콜에 참여하겠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640).
이 때 MCPTT 클라이언트 1(1600), 2(1610) 는 MCPTT 클라이언트 3(1620)이 보낸 그룹 볼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ID 에 해당하는 그룹 콜이 생성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응답 메시지에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s1650). 도 16의 경우 MCPTT 클라이언트 2(1610)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클라이언트 3(1620), 4(1630)는 기 생성된 그룹 콜이 존재함을 인지하여 기 설정되어 있던 미디어 파라미터를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라미터의 값으로 변경 설정하여 미디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660). 이후 주기적인 그룹 콜 방송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s1670).
위와 같은 절차에서 MCPTT 클라이언트 4(1630)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MCPTT 클라이언트 1(1600) 혹은 2(1610)가 MCPTT 클라이언트 3(1620)의 방송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기 생성된 그룹 콜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를 전송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 4(1630)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기 생성된 그룹 콜에 속한 MCPTT 클라이언트들은 MCPTT 클라이언트 3(1620)이 보낸 그룹 콜 방송 메시지와 MCPTT 클라이언트 4(1630)가 보낸 응답 메시지에 의해 두 MCPTT 클라이언트가 그룹 콜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MCPTT 그룹 콜 설정 및 그룹 콜에 참가하는 방안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SAP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7은 SAP 의 Packet Format(패킷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각각의 Header(헤더)의 의미와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기 공지된 기술로써 본 발명에서 상술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그룹 콜 방송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구현하기 위해서 패킷 포맷의 R 비트(1700)와 T 비트(1710)를 활용하여 구분하고자 한다. R 비트는 RFC 상에서 추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 비트이고 T 비트는 SAP의 메시지 유형을 정의하는 bit 이다. SAP 에서는 T 비트의 값이 0 이면 방송 메시지이고 1이면 세션을 종료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표 1과 같이 응답 메시지를 특정하기 위해 R 비트의 값을 1로 설정하고 T 비트를 0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R 비트 T 비트 메시지 유형
0 0 그룹 콜 방송 메시지
1 0 응답 메시지
본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기 생성된 그룹 콜에 멤버가 아닌 MCPTT 클라이언트를 참여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공공 안전 망(Public Safety-LTE: PS-LTE)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over LTE)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난 상황에서 공공 안전을 위한 통신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응급 상황 발생 시 단말은 다른 단말에게 자신이 응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어야 한다. 상기 MCPTT 기술을 이용하여 MCPTT 사용자는 응급 상황에 대한 구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MC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그룹 및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선순위 기반으로 단말 및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필요한 절차 및 장치와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선순위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시지 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응급 상황에서 단말이 다른 단말에게 응급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과 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및 처리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우선순위 서비스 제공을 통해 QoS (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상황에서 단말이 다른 단말에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과 호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이 수집한 미디어를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한 구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무선 IMS 및 UE(User Equipment)와 IETF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실시예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그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MCPTT 사용자, 그룹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설정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한 단말 및 서버 동작 과정을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MCPTT 사용자와 MCPTT 서버 간에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시지 플로우 과정을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한다.
재난 안전망(Public Safety LTE, PS-LTE)은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over LTE)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난 상황 혹은 공공 안전을 위한 통신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MCPTT는 3GPP에서 정의한 기술 중 하나이며, 사용자 간 그룹 통신, 일 대 일 통신, 긴급 통화, 재난 알림, 그리고 주변음 청취 등을 포함한 기능을 제공한다.
MCPTT 서비스는 단말과 EPS(Evolved Packet 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re, 그리고 MCPTT Application Server로 구성된다. EPS는 LTE 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SIP Core는 SIP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며 IMS를 의미할 수 있다. MCPTT 서비스는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MCPTT 사업자가 EPS와 SIP Core, 그리고 MCPTT Application Server까지 운영할 수 있으며, MCPTT 사업자가 SIP Core와 MCPTT Application Server를 운영하며 다른 사업자의 EPS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CPTT 사업자가 MCPTT Application Server만 운영하고 다른 사업자의 EPS와 SIP Core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CPTT 서비스는 크게 그룹 관리, 세션 제어, 미디어 제어로 기능적 요소를 구분할 수 있다. 그룹관리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대한 가입 정보, 그룹의 우선순위, 그룹 내 허용된 역할, 그룹 내 사용할 수 있는 콜 유형(Call type) 등을 관리한다. 세션 제어는 사용자의 MCPTT 서비스에 등록 및 그룹 통화를 개시 혹은 변경 혹은 종료 하는 등의 통화 세션을 위한 신호를 제어한다. MCPTT 사용자가 보내는 세션 관리 신호는 모두 MCPTT Application Server를 통하여 제어/관리된다.
미디어 제어는 사용자가 MCPTT 서비스가 제공하는 그룹 통화, 일 대 일 통화, 혹은 재난 알림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보내는 미디어에 대한 송/수신 허가 및 자원 제어를 담당한다. MCPTT 사용자가 보내는 모든 미디어 정보는 MCPTT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룹 관리를 위한 그룹 관리 서버(Group Management Server)는 MCPTT Application Server와 함께 위치할 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별된다. 미디어 제어를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는 SIP Core를 거치지 않고 단말과 EPS 그리고 MCPTT Application Server에 연결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는 사용자의 송/수신 권한을 제어하게 되며, 이를 발언권 제어(Floor control)이라 부를 수 있다. Media Gateway는 MCPTT Application Server와 함께 위치할 수 있으며, 논리적으로 구별 된 기능을 나타낸다.
MCPTT 서비스는 크게 그룹 통화와 일 대 일 통화, 그리고 긴급 알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룹 통화는 공공 안전을 위하여 그룹 통신이 필요한 일반 그룹 통화, 긴급/응급 상황이 발생 했을 경우에 대하여 최우선 순위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긴급 콜(Emergency Call), 그리고 긴급 콜(Emergency Call) 보다 우선순위는 낮지만 임박한 긴급/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그룹 통신을 할 수 있는 긴급 위험 콜(Imminent Peril Call)을 지원할 수 있다. 일 대 일 통화는 일반 통화와 긴급 콜(Emergency Call), 그리고 상대방의 주변 음을 청취할 수 있는 주변 청취(Ambient Listen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MCPTT 사용자는 여러 카테고리로 나뉠 수 있다. (공인되지 않은) 일반 MCPTT 사용자, 공인된 MCPTT 사용자, 공인된 MCPTT 서비스 제공자가 그 것이다.
MCPTT 사용자는 여러 개의 MCPT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MCPTT 사용자의 주요 MCPTT 서비스 제공자 이외에 파트너십(Partnership)을 가지고 있는 MCPTT 서비스 제공자와 연동하여 파트너십(Partnership)의 MCPTT 사용자와 그룹 통신 및 일 대 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MCPTT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MCPT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식별자, 그룹 식별자, 그룹 내 역할 및 그룹 내 허가된 Call type, 일 대 일 통화 가능 여부, 배치 Type, MCPTT Server에 보고해야 할 Report 정보, 그리고 다양한 배치 Type을 지원하기 위한 EPS, SIP Core, MCPTT Application Server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MCPTT 서비스 제공자는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 및 제어 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를 제어 할 수 있다.
현재의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subscription, fixed differentiation, 제한적인 사업자 제공 서비스 기반의 Priority 및 QoS Level로는 MCPTT Priority service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세분화된 레벨의 Priority 설정 및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아래 실시예는 MC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그룹 및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안한다. 또한, 우선순위 기반으로 단말 및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필요한 절차 및 장치와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및 우선순위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시지 플로우를 제안한다.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대상은 3가지이다. 사용자 별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그룹별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서비스 별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해당 우선순위는 MC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공인된 MCPTT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우선순위 값은 MCPTT 사용자와 MCPTT 서버 간에 공유 될 수 있다. 공유되는 방법은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공유될 수도 있고, 서비스 요청과 함께 공유될 수 있다.
설정된 우선순위 값을 사용하는 개체는 MCPTT 서버, MCPTT 사용자 및 SIP core 가 있다.
우선순위 사용은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값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MCPTT 서버는 MCPTT 사용자에게 서비스 요청이 왔을 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데 우선순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CPTT 사용자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언권 제어(floor control)에 사용될 수 있다. MCPTT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이 왔을 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데 우선순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SIP core는 네트워크 자원 관리를 위해 우선순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우선순위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지 않은 우선순위 값 기반의 서비스 처리가 달라진다. 또한, 서비스에 필요한 미디어 종류(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에 따라 서비스 처리가 달라진다. 미디어 종류는 추가의 분류 체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한 미디어(미디어 타입 A)와 동시에 서비스가 불가능한 미디어(미디어 타입 B)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의 경우,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하므로(미디어 타입 A),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와 우선순위가 낮은 서비스가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하다. 반면, 동시에 서비스가 불가능한 오디오의 경우(미디어 타입 B),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의 오디오를 먼저 들려준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단말을 보유할 시,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할 지 달라진다. 또한, 네트워크가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수 이상의 사용자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있을 시, QoS 보장을 위해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 기반 서비스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1805동작에서 MCPTT 단말은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은 새로운(신규) 서비스 요청일 수 있다.
1810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는 MCPTT 서비스 일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1815 동작으로 진행하고,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1820 동작으로 진행한다.
1820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1805 동작에서 요청 받은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181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신규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지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경우 1823 동작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경우 1830 동작으로 진행한다. 한편, 1823 동작은 생략 가능하고, 1823 동작이 생략되는 경우 182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오디오인 경우, 오디오 서비스는 동시에 제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인 경우 양 서비스는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의 서비스는 오디오를 제공하고 하나의 서비스는 텍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의 성능에 따라 각 서비스의 미디어는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지 여부는 서비스의 유형 및 단말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1823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와 신규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된 우선순위는 1825 동작에서 사용될 수 있다.
182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신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때 1823 동작에서 판단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동시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도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 제공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의 텍스트를 MCPTT 단말의 상단에 표시하고, 우선 순위가 더 낮은 서비스의 텍스트를 MCPTT 단말의 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기 더 높은 서비스에 대해서 텍스트 크기 또는 이미지 크기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1825 동작에서 반드시 현지 진행 중인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시에 양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MCPTT 단말은 하나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한 후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1823 동작에서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1835 동작에서 설명할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1830 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MCPTT 단말은 우선 순위를 판단한다.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183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를 먼저 처리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후 순위 서비스를 드랍(drop)하거나, 홀드(hold)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로 전환하여 제공하거나, MCPTT 단말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1835 동작은 아래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MCPTT 단말은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 중 우선순위가 더 낮은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가 더 낮은 서비스를 후 순위 서비스로 지칭한다. MCPTT 단말은 후 순위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후 순위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 경우, MCPTT 단말은 이를 MCPTT 서버 또는 상대방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MCPTT 단말은 후 순위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MCPTT 단말 또는 서버에 저장 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후 순위 서비스 요청을 홀드 한 후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 순위 서비스에서 일부 미디어가 먼저 종료되는 경우, 홀드된 후 순위 서비스 중 선 순위 서비스의 미디어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 순위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에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 순위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 순위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하여 선 순위 서비스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로 변환하여 제공하거나, 선 순위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경우 텍스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후 순위 서비스에서 복수의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미디어 중 선 순위 서비스가 제공하고 있는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는 함께 제공하고,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미디어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후 순위 서비스를 MCPTT 단말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같은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같은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단말의 장치 성능(device capability)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8의 동작은 MCPTT 단말뿐만 아니라 MCPTT 서버에도 적용 가능하다. MCPTT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제2 단말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한다. 상기 도 18에서 설명한 내용은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의 동작이다. 하지만, 상기 도 18의 내용은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MCPTT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기 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MCPTT 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요청 받은 서비스를 바로 전달하고,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현재 제2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새로운 서비스 요청과 동시에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에 따라 양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거나,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양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여,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제2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처리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190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새로운 신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1910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서비스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1920 동작으로 진행하고,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1915 동작으로 진행한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1915 동작으로 진행한 MCPTT 단말은 서비스 요청을 수락한다. MCPTT 단말은 요청 받은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1920 동작으로 진행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에는 1925 동작으로 진행하고,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에는 1950 동작으로 진행한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 1925 동작으로 진행한 MCPTT 단말은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한다. MCPTT 단말은 해당 서비스의 미디어 타입을 비교하여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1930 동작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1935 동작으로 진행한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MCPTT 단말은 1930 동작으로 진행하여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미디어인 경우 1935 동작으로 진행한 단말은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하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35 동작에서 현재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의 미디어가 모두 중복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정은 MCPTT 서버 또는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상대방 단말과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가 현재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와 중복되는 경우 1940 동작으로 진행한다. 1940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이므로 MCPTT 단말은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신규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신규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 경우, 이를 MCPTT 서버 또는 상대방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MCPTT 단말 또는 서버에 저장 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신규 서비스 요청을 홀드 한 후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에서 일부 미디어가 먼저 종료되는 경우, 홀드된 신규 서비스 중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미디어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에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하여 현지 진행 중인 서비스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로 변환하여 제공하거나, 현재 진행 중인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경우 텍스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를 MCPTT 단말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같은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같은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단말의 장치 성능(device capability)이 고려될 수 있다.
신규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가 현재 서비스의 미디어와 일부만 중복되는 경우 1945 동작으로 진행한다. 194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미디어 협의(negotiation)을 수행해 현재 서비스의 미디어와 중복되지 않는 미디어에 대해서만 신규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때 MCPTT 단말은 다른 단말로 콜 포워딩(call forwarding)을 하도록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1920 동작에서 신규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으면 1950 동작으로 진행한다. MCPTT 단말은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한다. MCPTT 단말은 해당 서비스의 미디어 타입을 비교하여 양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동일한 미디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로 다른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1955 동작으로 진행하고, 양 서비스가 동일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1960 동작으로 진행한다.
서로 다른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MCPTT 단말은 1955 동작으로 진행하여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양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동일한 경우, MCPTT 단말은 1960 동작으로 진행하여 미디어 타입을 판단한다. MCPTT 단말은 미디어 타입을 판단하여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각 미디어는 미디어 타입 A와 미디어 타입 B로 구분될 수 있다. 미디어 타입 A는 동시에 두 개의 미디어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타입이고, 미디어 타입 B는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미디어 타입이다.
양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1965 동작으로 진행하여 두 개의 미디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가 아닌 경우, 1970 동작으로 진행한다. 1970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조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920 동작에서 신규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이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조정될 수 있다.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서비스를 거절할 수 있다. 서비스를 거절한 경우, 이를 MCPTT 서버 또는 상대방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MCPTT 단말 또는 서버에 저장 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홀드 한 후 신규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서비스에서 일부 미디어가 먼저 종료되는 경우, 홀드된 서비스의 미디어 중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에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하여 신규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와 충돌하지 않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미디어를 신규 서비스의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경우 텍스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우선순위에 기반한 MC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기반의 서비스 처리를 위한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2005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신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MCPTT 사용자(제1 단말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신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요청은 MCPTT 서버를 통과하여 목적 단말(제2 단말)로 전달된다.
2010 동작에서, 신규 서비스 요청을 받은 MCPTT 서버는 해당 MCPTT 단말(제2 단말)에서 현재 다른 서비스가 진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없으면 2015 동작으로 진행하고,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잇는 경우 2020 동작으로 진행한다.
2015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제2 단말에서 실행 중인 MCPTT 서비스가 없으므로 해당 신규 서비스 요청을 제2 단말로 전달한다.
현재 진행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2020 동작으로 진행한다. 2020 동작으로 진행한 MCPTT 단말은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에는 2025 동작으로 진행하고,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에는 2050 동작으로 진행한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 2025 동작으로 진행한 MCPTT 서버는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한다. MCPTT 서버는 해당 서비스의 미디어 타입을 비교하여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2030 동작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2035 동작으로 진행한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MCPTT 단말은 2030 동작으로 진행하여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미디어인 경우 2035 동작으로 진행한 서버는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하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35 동작에서 현재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의 미디어가 모두 중복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정은 MCPTT 서버 또는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상대방 단말과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가 현재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와 중복되는 경우 2040 동작으로 진행한다. 2040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이므로 MCPTT 서버는 새롭게 요청 받은 서비스(신규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신규 서비스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 경우, 이를 서비스 관련 단말에 알려 줄 수 있다.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MCPTT 서버에 저장 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신규 서비스 요청을 홀드 한 후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에서 일부 미디어가 먼저 종료되는 경우, 홀드된 신규 서비스 중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미디어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에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MCPTT 서버는 신규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하여 현지 진행 중인 서비스와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로 변환하여 제공하거나, 현재 진행 중인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경우 텍스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MCPTT 서버는 신규 서비스를 MCPTT 단말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해당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를 같은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같은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단말의 장치 성능(device capability)이 고려될 수 있다.
신규 서비스의 모든 미디어가 현재 서비스의 미디어와 일부만 중복되는 경우 2045 동작으로 진행한다. 2045 동작에서 MCPTT 단말은 미디어 협의(negotiation)을 수행해 현재 서비스의 미디어와 중복되지 않는 미디어에 대해서만 신규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때 MCPTT 단말은 미리 등록된 다른 단말로 콜 포워딩(call forwarding)을 하도록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2020 동작에서 신규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더 높으면 2050 동작으로 진행한다. MCPTT 서버는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비교한다. MCPTT 서버는 해당 서비스의 미디어 타입을 비교하여 양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동일한 미디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로 다른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2055 동작으로 진행하고, 양 서비스가 동일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2060 동작으로 진행한다.
서로 다른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동시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MCPTT 서버는 2055 동작으로 진행하여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양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가 동일한 경우, MCPTT 서버는 2060 동작으로 진행하여 미디어 타입을 판단한다. MCPTT 서버는 미디어 타입을 판단하여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각 미디어는 미디어 타입 A와 미디어 타입 B로 구분될 수 있다. 미디어 타입 A는 동시에 두 개의 미디어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타입이고, 미디어 타입 B는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미디어 타입이다.
양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를 제공하는 경우, 2065 동작으로 진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가 아닌 경우, 2070 동작으로 진행한다. 2070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조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020 동작에서 신규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이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가 조정될 수 있다.
MCPTT 서버는 현재 진행중인 서비스를 거절할 수 있다. 서비스를 거절한 경우, 이를 MCPTT 서비스 관련 단말로 알려 줄 수 있다.
MCPTT 서버는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저장 후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를 홀드 한 후 신규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서비스에서 일부 미디어가 먼저 종료되는 경우, 홀드된 서비스의 미디어 중 충돌하지 않는 미디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CPTT 서버는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해당 미디어 타입을 변환하여 신규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와 충돌하지 않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의 미디어를 신규 서비스의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미디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경우 텍스트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MCPTT 서버는 제2 단말에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필요한 경우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미디어를 조정하여 MC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받은 SIP core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데 우선순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 값을 기반으로 한 발언권 제어(floor control)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MCPTT 서버(2110)는 MCPTT Client 1(2120) 및 MCPTT Client 2(2130)로부터 floor request(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상황은 그룹 통신 상황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룹 통신은 그룹 콜(group call)일 수 있다.
그룹 콜에서는 복수의 Client(2120, 2130)가 참여할 수 있다. 복수의 Client가 그룹 콜에 참여하는 경우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통신 충돌을 막기 위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은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MCPTT 서버(2110)로 전송한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서버(2110)는 floor grant(발언권 허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언권 허여 메시지를 수신한 client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CPTT 서버(2110)가 발언권 허여 메시지를 전송할 때, 복수의 단말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단말에게 우선 적으로 발언권 허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의 실시 예에서 MCPTT client 2(2130)는 MCPTT Client 1(2120)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MCPTT 서버(2110)는 MCPTT Client 1(2120)과 MCPTT Client 2(213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MCPTT Client2(430)에게 floor grant를 전송할 수 있다.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floor request가 수신된 순서 등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및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서 QoS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MCPTT 서버가 그룹 통신(예를 들어, 그룹 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그룹에 속한 각 사용자에게 그룹 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고, 그룹 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때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는 순서를 각 그룹 콜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수 및/또는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2205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은 그룹 통신 요청, 그룹 콜 서비스 일 수 있다.
2210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요청 받은 서비스가 그룹 서비스 요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룹 서비스는 그룹 통신 요청, 그룹 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 요청이 아닌 경우 2215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룹 서비스 요청인 경우 2220 동작으로 진행한다.
2215 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MCPTT 서버는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요청 받은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2220 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 서비스인 경우에도 도 18 내지 도 20을 통해 설명한 실시 예의 적용은 가능하다.
2220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에 대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MCPTT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MCPTT 서버에 등록할 때, 현재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의 ID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움직이며 접속한 네트워크를 바꿀 때마다 접속한 네트워크 ID 정보를 업데이트 리포팅한다. 두 번째 방법은 MCPTT 서버가 그룹 콜 서비스 요청을 받을 시, 망에게 단말의 위치 정보를 물어봐서 알 수 있다. 망은 해당 정보를 알고 있을 시, MCPTT 서버에게 알려줄 수 있다. 망이 해당 정보를 모를 시, idle(아이들) 상태인 단말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네트워크 ID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의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실시간 사용자 수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다. MCPTT 서버는 그룹 콜 서비스 요청을 수신 후, 그룹 콜 서비스 대상 단말에 SIP invite 를 전송할 수 있다. 각 그룹 콜 서비스 대상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응답 메시에는 각 그룹 콜 서비스 대상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룹 콜 서비스를 요청 한 단말의 위치 정보는 서비스 MCPTT 서버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때,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콜 서비스 요청에서 위치 정보가 갈 수도 있다. IMS 기반의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그룹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은 SIP request의 헤더(header) 안에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Group call request invite를 보낼 때, 요청 메시지의 헤더 안에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넣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이 접속한 셀의 셀 아이디 일 수 있다. 그룹 콜 request의 위치 정보가 없거나 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위치 정보 획득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룹 콜을 요청한 그룹 대상자의 정보는 SIP request에서 얻을 수 있지만, 다른 대상자의 정보는 추후에 얻어질 수 있다. 서버는 SIP invite를 보낸다. 단말은 Response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 response에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MCPTT 서버는 위치 정보 획득 이후 222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2225 동작에서 MCPTT 서버는 그룹 콜 서비스 대상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조건은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때, 멀티 캐스트로 제공할지, 유니캐스트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 조건이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단말이 그룹 콜 서비스 대상 단말인 경우 멀티 캐스트로 그룹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 서비스는 복수의 대상자에게 동일한 미디어가 전송되기 때문에, 일정 수 이상의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자원 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2230 동작으로 진행한다.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를 멀티 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는 멀티 캐스트 방식으로 제공하나, 시그널링의 경우 여전히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그널링을 전송할 때,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서비스를 위한 셀의 수용력이 200명이라고 가정하고,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수가 250인 경우, 50 개의 단말에 대해서는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위 200개의 단말에만 시그널링하여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223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그룹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MCPTT 서버는 미디어 제공 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에 순차적으로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그널링을 전송할 때,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MCPTT 서버는 특정 네트워크에 단말이 집중하여 모여있을 시, 만약 네트워크 지원 사용자 수보다 그 수가 많으면 사용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사용자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응급상황 그룹 콜은 MCPTT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한 예이다. MCPTT 시스템은 단말 및 여러 개체를 거쳐 MCPTT 단말에게 MCPTT 우선순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23 내지 도 31은 우선순위 서비스의 한 예인 응급상황 그룹 콜 서비스가 MCPTT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과정의 메시지 플로우를 도시한다.
MCPTT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over LTE) 단말은 MCPTT망을 통해 Aler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Alert 메시지는 단말 위치 정보, 사용자 ID, 그룹 ID, 소속단체 정보를 포함한다.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MCPTT 서버는 Alert 메시지를 보내는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한다. Alert 메시지에 충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포함되어 있더라도 Alert 메시지에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에에서 클라이언트는 단말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응급 상황 발생 시 단말은 다른 단말에게 자신이 응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어야 한다. 하기의 각 실시 예를 이용하여, MCPTT 사용자는 응급 상황에 대한 구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 Aler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Alert 메시지는 MCPTT 서비스에서 예를 들어, emergency call을 invite 하기 전에 전송될 수 있다. Alert message 관련 절차는 MCPTT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옵션일 수 있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SIP MESSAGE 메소드를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MCPTT Client1 (2305), SIP core (2310), MCPTT server (23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2325), MCPTT Client3 (2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CPTT client는 MCPTT 단말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MCPTT alert는 단말 또는 단말의 사용자가 응급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2341 과정에서 MCPTT Client1 (2305)는 MCPTT Alert 동작을 개시한다. 2343 과정에서 MCPTT Client1 (2305)은 SIP core(2310)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사용자 ID, 그룹 ID, 소속 단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IP core (2310)는 상기 SIP 메시지를 MCPTT server (2315)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위치 정보는 MCPTT client 1의 위치를 지시할 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전송할 특정 대상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2347 과정에서 MCPTT server (2315)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사용자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23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3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TPP 서버(2315)는 alert 메시지를 보내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이 필요한 경우 alert 메시지의 정보를 수정,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2349 과정에서 MCPTT server (23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23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23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2351 과정에서 SIP core (2310)는, 2349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2 (2325)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2353 과정에서 MCPTT server (23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23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23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2355 과정에서 SIP core (2310)는, 2353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3 (2330)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2357 과정에서 MCPTT client 2 (2325)는 SIP core (23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359 과정에서 SIP core (2310)는, 2357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315)로 전송한다.
2361 과정에서 MCPTT client 3 (2330)은 SIP core (23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363 과정에서 SIP core (2310)는, 2361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315)로 전송한다.
2367 과정에서 MCPTT server (2315)는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SIP core (2310)로 전송한다. 2369 과정에서 SIP core (2310)는 MCPTT server (2315)로부터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client1 (2305)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SIP 메시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SIP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Client1 (2405), SIP core (2410), MCPTT server (24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2425), MCPTT Client3 (2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서 단말은 HTTP request/response, SM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441 과정에서 Client1 (2405)은 MCPTT Alert 동작을 개시한다.
2443 과정에서 client1 (2405)은 MCPTT server (2415)로 MCPTT alert SMS를 전송한다. 또는 2445 과정에서 client1 (2405)은 MCPTT server (2415)로 MCPTT alert HTTP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CPTT alert SMS 및 MCPTT alert HTTP request는 단말의 위치 정보, 사용자 ID, 그룹 ID, 소속 단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447 과정에서 MCPTT server (2415)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사용자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24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4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TPP 서버(2415)는 MCPTT alert SMS 또는 MCPTT alert HTTP request를 보내는 사용자의 사용자 권한 및/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이 필요한 경우 alert 메시지의 정보를 수정,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MCPTT 사용자가 아닌 경우, SIP 이외의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번호로 SMS를 전송하거나, HTTP request/response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MCPTT server (2415)는 임시 사용자 ID 및 그룹을 할당하고, MCPTT 메시지를 구성하여 해당 그룹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2449 과정에서 MCPTT server (2415)는 client 1에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응답은 MCPTT alert HTTP response 또는 SMS로 전송할 수 있다.
2451 과정에서 MCPTT server (24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24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24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2453 과정에서 SIP core (2410)는, 2451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2 (2425)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2455 과정에서 MCPTT server (24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24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24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2457 과정에서 SIP core (2410)는, 2455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3 (2430)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2459 과정에서 MCPTT client 2 (2425)는 SIP core (7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461 과정에서 SIP core (2410)는, 2459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415)로 전송한다.
2463 과정에서 MCPTT client 3 (2430)은 SIP core (24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465 과정에서 SIP core (2410)는, 2463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415)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SIP 메시지 프로토콜이 아닌, SMS 및/또는 HTTP를 이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SIP SUBSCRIBE 메소드를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 상황에 대해 미리 등록해 두고, MCPTT 서버는 해당 이벤트가 발생 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이벤트에 등록한 단말들에게 SIP NOTIFY로 알려준다. 이벤트가 발생한 단말은 MCPTT 서버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Alert 메시지를 전송하여 알린다. Alert 메시지 전송 방법은 SIP 메소드를 사용하거나, SIP 이외의 프로토콜(HTTP, SM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Client1 (2505), SIP core (2510), MCPTT server (25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2525), MCPTT Client3 (2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541 과정 내지 2555 과정은 SIP subscribe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2541 과정에서 MCPTT client2 (2525)는 SIP core (2510)로 SIP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한다. MCPTT client2 (2525)는 SIP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하여 특정 이벤트 상황을 등록한다. 2543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SIP subscribe 메시지를 MCPTT server (2515)로 전송한다. MCPTT server (2515)는 MCPTT client 2 (2525)에 대한 특정 이벤트를 등록한다. 2545 과정에서 MCPTT server (2515)는 SIP 200 OK를 SIP core (2510)로 전송한다. 2547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MCPTT client2 (2525)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상기 과정으로 MCPTT client2에 대한 특정 이벤트를 등록한다.
2549 과정에서 MCPTT client3 (2530)은 SIP core (2510)로 SIP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한다. MCPTT client3 (2530)는 SIP subscribe 메시지를 이용하여 특정 이벤트 상황을 등록한다. 2551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SIP subscribe 메시지를 MCPTT server (2515)로 전송한다. MCPTT server (2515)는 MCPTT client3 (2530)에 대한 특정 이벤트를 등록한다. 2553 과정에서 MCPTT server (2515)는 SIP 200 OK를 SIP core (2510)로 전송한다. 2555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MCPTT client3 (253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상기 과정으로 MCPTT client2 (2525)에 대한 특정 이벤트를 등록한다.
2557 과정에서 MCPTT Client1 (2505)는 MCPTT Alert 동작을 개시한다. 도 25의 도면에서는 Alert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lert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SIP 메시지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서 설명한 HTTP, SMS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2559 과정에서 MCPTT Client1 (2505)은 SIP core(2510)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사용자 ID, 그룹 ID, 소속 단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561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상기 SIP 메시지를 MCPTT server (2515)로 전달할 수 있다.
2563 과정에서 MCPTT server (815)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사용자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25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5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2515)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MCPTT server는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특정 이벤트 상황을 미리 등록한 클라이언트에게 SIP NOTIFY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2565 과정에서 MCPTT server (2515)는 SIP core (2510)로 SIP NOTIFY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IP NOTIFY 메시지는 특정 이벤트 상황을 지시할 수 있다. 2567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MCPTT client2 (2525)로 SIP NOTIFY를 전송할 수 있다.
2569 과정에서 MCPTT server (2515)는 SIP core (2510)로 SIP NOTIFY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IP NOTIFY 메시지는 특정 이벤트 상황을 지시할 수 있다. 2571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MCPTT client3 (2530)로 SIP NOTIFY를 전송할 수 있다.
2573 과정에서 MCPTT client2 (2525)는 SIP core (25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575 동작에서 SIP core (2510)는, 2577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515)로 전송한다.
2579 동작에서 MCPTT client3 (2530)은 SIP core (25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2581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2583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2515)로 전송한다.
2583 과정에서 MCPTT server (2515)는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20OK를 SIP core (2510)로 전송한다. 2585 과정에서 SIP core (2510)는 MCPTT server (2515)로부터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client1 (2505)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SIP NOTIFY 방법을 이용하여 ale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alert 메시지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이 보내는 Alert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위치 정보를 Alert 메시지에 삽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은 Alert 메시지에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em) 위치 정보를 포함해서 보낼 수 있다. 만일 GPS 기능이 꺼져있으면, 킬 수 잇다. Alert 메시지를 받은 SIP Core는 SIP Core 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Alert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Alert 메시지를 받은 MCPTT 서버는 SIP core 또는 망으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Alert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MCPTT client1 (2605), SIP core (261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2615), MCPTT server (2620),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625) 및 HSS (home subscriber server, 2630)를 포함할 수 있다.
2641 과정에서 MCPTT client1 (2605)는 MCPTT alert 동작을 개시한다.
2643 과정에서 MCPTT client1 (2605)는 위치 정보 확인 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 확인 기기는 GPS를 포함할 수 있다. MCPTT client 1 (2605)은 GPS가 turn off 상태 인 경우 GPS의 상태를 turn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2645 과정에서 SIP client 1 (2605)는 SIP core (2610)로 SI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IP 메시지는 단말의 GP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647 과정에서 SIP core(2610)는 PCRF(2615)로 사용자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잇다. 2649 과정에서 PCRF(2615)는 SIP core(2610)로 사용자 정보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2647과정 및 2649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2651 과정에서 SIP core (2610)는 SIP client 1 (2605) 및/또는 PCRF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2653 과정에서 SIP core (2605)는 MCPTT server (2620)로 SI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IP 메시지에는 사용자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2655 과정에서 MCPTT server (2620)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사용자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2620)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625)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TPP 서버(2620)는 alert 메시지를 보내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이 필요한 경우 alert 메시지의 정보를 수정,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2657 과정에서 MCPTT server (2620)는 HSS(2630)로 사용자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2659 과정에서 HSS (2630)는 MCPTT server (2620)로 사용자 위치 정보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2657 과정 및 2659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2661 과정에서 MCPTT server (262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GPS 정보, PCRF로부터 획득된 정보, HSS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MCPTSS server (2620)는 MCPTT alert 메시지를 그룹 멤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2663 과정에서 MCPTT server (2620)는 SIP 200 OK를 SIP core(2610)로 전송한다. 2665 과정에서 SIP core (2610)는 MCPTT client 1(2605)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alert 메시지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1에서 MCPTT 단말 또는 MCOPTT 서버는 MCPTT 우선순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1에서 MCPTT 단말 또는 MCPTT 서버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도 18 내지 도 22에서 설명한 단말 또는 서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MCPTT 단말은 MCPTT 망을 통해 긴급(Emergency) 그룹 콜 호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그룹 콜 요청을 받은 서버는 해당 사용자가 그룹 콜 요청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그룹 콜 요청을 받은 SIP core는 그룹 콜에 맞는 자원을 할당해 준다.
도 27을 참조하면, 2741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705)는 MCPTT 우선순위 서비스(priority service)를 개시한다. 1043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705)는 SIP INVITE 를 SIP core (2710)로 전송한다. 2745 과정에서 SIP core(2710)는 MCPTT server (2715)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2747 과정에서 MCPTT server (2715)는 사용자 권한을 체크한다. 또한, MCPTT server (2715)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MCPTT server (27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7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서비스 우선 순위를 체크할 수 있다. 2749 과정에서 MCPTT server(27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2710)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2751 과정에서 SIP core (2710)는 SIP INVITE를 MCPTT client 2 (2725)로 전송할 수 있다.
2753 과정에서 MCPTT server(27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2710)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2755 과정에서 SIP core (2710)는 SIP INVITE를 MCPTT client 3 (2730)로 전송할 수 있다.
2757 과정에서 MCPTT client 2 (2725)는 SIP core (2710)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2759 과정에서 SIP core (2710)는 MCPTT server (271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2761 과정에서 MCPTT client 3 (2730)는 SIP core (2710)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2763 과정에서 SIP core (2710)는 MCPTT server (271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2765 과정에서 MCPTT server (2715)는 SIP core (2710)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767 과정에서 SIP core(2710)는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PCRF (2735)로 전송할 수 있다. SIP core(2710)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 2769 과정에서 PCRF(2735)는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 일 수 있으며, 전용 베어러 일 수 있다. 2771 과정에서 PCRF(2735)는 SIP core(2710)로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773 과정에서 SIP core(2710)는 MCPTT client 1(270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응급 상황 그룹 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그룹 콜을 응급 상황 그룹 콜 호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현재 그룹 콜 중 해당 그룹 콜 호를 응급상황 그룹 콜로 변경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가 해당 요청을 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SIP core는 응급상황 그룹 콜에 맞게 자원을 변경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Client1 (2805), SIP core (2810), MCPTT server (28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2825), MCPTT Client3 (2830), PCRF(28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841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805)는 그룹 콜을 수행 중이다. MCPTT client 1(2805)는 MCPTT client 2(2825) 및 MCPTT client 3(2830)와 그룹 콜을 수행 중이다.
2843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805)는 MCPTT 우선순위 서비스(priority service)를 개시한다. 우선순위 서비스(Priority service)는 MCPTT priority group call 서비스 인 것으로 가정한다. 2845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805)는 SIP re-INVITE 를 SIP core (2810)로 전송한다. 2847 과정에서 SIP core(2810)는 MCPTT server (2815)로 SIP re-INVITE 를 전송한다.
2849 과정에서 MCPTT server (2815)는 사용자 권한을 체크한다. 또한, MCPTT server (2815)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MCPTT server (28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8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서비스 우선 순위를 체크할 수 있다. 2851 과정에서 MCPTT server(28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2810)로 SIP re-INVITE 를 전송한다. 2853 과정에서 SIP core (2810)는 SIP re-INVITE를 MCPTT client 2 (2825)로 전송할 수 있다. 2855 과정에서 MCPTT server(28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2810)로 SIP re-INVITE 를 전송한다. 2857 과정에서 SIP core (2810)는 SIP re-INVITE를 MCPTT client 2 (2825)로 전송할 수 있다.
2859 과정에서 MCPTT client 2(2825)는 SIP 200 OK를 SIP core (2810)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861 과정에서 SIP core(2810)는 MCPTT server (2815)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863 과정에서 MCPTT client 3(2830)는 SIP 200 OK를 SIP core (2810)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865 과정에서 SIP core(2810)는 MCPTT server (2815)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867 과정에서 MCPTT server (2815)는 SIP 200 OK를 SIP core(2810)로 전송한다.
2869 과정에서 SIP core(2810)는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PCRF (2835)로 전송할 수 있다. SIP core(2810)는 응급 상황 콜을 위한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 2871 과정에서 PCRF(2835)는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 일 수 있으며, 전용 베어러 일 수 있다. 2873 과정에서 PCRF(2835)는 SIP core(2810)로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875 과정에서 SIP core(2810)는 MCPTT client 1(280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반 그룹 콜을 응급 상황 그룹 콜 호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다른 서비스 중 응급 상황 그룹 콜 호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급상황 그룹 콜 요청을 받은 단말은 해당 요청을 무시하고 기존의 서비스를 계속하거나, 기존 서비스를 멈추고 응급상황 그룹 콜을 시작하거나 현재 서비스와 응급상황 그룹 콜 서비스 중 한 개 이상의 서비스의 미디어를 수정 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Client1 (2905), SIP core (2910), MCPTT server (29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9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2925), MCPTT Client3 (2930), PCRF(29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941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905)는 MCPTT priority service를 개시한다. 2943 과정에서 MCPTT client 1 (2905)는 SIP INVITE 를 SIP core (2910)로 전송한다. 2945 과정에서 SIP core(2910)는 MCPTT server (2915)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2947 과정에서 MCPTT server (2915)는 사용자 권한을 체크한다. 또한, MCPTT server (2915)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MCPTT server (29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29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서비스 우선 순위를 체크할 수 있다. 2951 과정에서 MCPTT server(29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2910)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2953 과정에서 SIP core (2910)는 SIP INVITE를 MCPTT client 2 (292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2949 과정에서 MCPTT client 2(2925)와 MCPTT client 3(2930)는 private call을 수행 중이다. SIP core(2910)로부터 SIP INVITE를 수신한 MCPTT client 2(2925)는, 2955 과정에서 MCPTT client 3(2930)으로 SIP- re INVITE를 전송한다. 2957 과정에서 MCPTT client 3(2930)은 SIP 200 OK를 MCPTT client 2 (2925)로 전송한다. 2959 과정에서 MCPTT client 2(2925)와 MCPTT client 3(2930)의 private call은 홀드 상태가 된다.
2961 과정에서 MCPTT client 2 (2925)는 SIP core(2910)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963 과정에서 SIP core(2910)는 MCPTT server (2915)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2965 과정에서 MCPTT server (2915)는 SIP 200 OK를 SIP core(2910)로 전송한다.
2967 과정에서 SIP core(2910)는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PCRF (2935)로 전송할 수 있다. SIP core(2910)는 응급 상황 콜을 위한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 2969 과정에서 PCRF(2935)는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 일 수 있으며, 전용 베어러 일 수 있다. 2971 과정에서 PCRF(2935)는 SIP core(2910)로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973 과정에서 SIP core(2910)는 MCPTT client 1(290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서비스 주 응급 상황 그룹 콜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단말은 응급상황 그룹 콜 서비스를 요청하기 전에 해당 그룹 멤버에게 Ale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도 23 내지 도 26에서 기술한 방법 중 하나로 Alert 메시지를 보내고, 도 27 내지 도 29에서 기술한 방법 중 하나로 응급상황 그룹 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그룹 콜 요청 메시지에 alert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MCPTT Client1 (3005), SIP core (3010), MCPTT server (30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3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3025), MCPTT Client3 (30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041 과정에서 MCPTT Client1 (3005)는 MCPTT priority groupt call 동작을 개시한다. 3043과정에서 MCPTT Client1 (3005)은 SIP core(3010)으로 SIP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 MCPTT client 1 (3005)는 SIP INVITE 메시지에 alert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Alert 메시지가 포함된 SIP INVITE 메시지를 SIP INVITE w/Alert로 표기한다.
3045과정에서 SIP core (3010)는 상기 SIP INVITE w/Alert를 MCPTT server (3015)로 전송할 수 있다. 3047 과정에서 MCPTT server (3015)는 사용자 권한을 체크한다. 또한, MCPTT server (3015)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MCPTT server (30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30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서비스 우선 순위를 체크할 수 있다. 3049 과정에서 MCPTT server(30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3010)로 SIP INVITE w/Alert 를 전송한다.
3051 과정에서 SIP core (3010)는 SIP INVITE w/Alert를 MCPTT client 2 (3025)로 전송할 수 있다. 3053 과정에서 MCPTT server(3015)는 체크 결과에 기반하여 SIP core(3010)로 SIP INVITE 를 전송한다. 3055 과정에서 SIP core (3010)는 SIP INVITE w/Alert를 MCPTT client 3 (3030)로 전송할 수 있다.
3057 과정에서 MCPTT client 2 (3025)는 SIP core (3010)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3059 과정에서 SIP core (3010)는 MCPTT server (301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3061 과정에서 MCPTT client 3 (3030)는 SIP core (3010)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3063 과정에서 SIP core (3010)는 MCPTT server (301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3065 과정에서 MCPTT server (3015)는 SIP core (3010)로 SIP 200 OK를 전송한다. 3067 과정에서 SIP core(3010)는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PCRF (3035)로 전송할 수 있다. SIP core(3010)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 3069 과정에서 PCRF(3035)는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 일 수 있으며, 전용 베어러 일 수 있다. 3071 과정에서 PCRF(3035)는 SIP core(3010)로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073 과정에서 SIP core(3010)는 MCPTT client 1(300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그룹 콜 중 alert 메시지를 받고 응급 상황 그룹 콜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lert 메시지는 SIP 메소드(SIP MESSAGE, SUBSCRIBE/NOTIFY 등) 및 SIP 이외의 프로토콜(HTTP, SMS 등)이 가능하다. 해당 Alert 메시지를 받은 SIP core는 일반 그룹 콜에 할당된 자원을 응급상황 그룹 콜에 맞게 수정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MCPTT Client1 (3105), SIP core (3110), MCPTT server (3115),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3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PTT Client2 (3125), MCPTT Client3 (3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141 과정에서 통신 시스템의 엔티티는 일반 그룹 콜을 수행 중이다.
3143 과정에서 MCPTT Client1 (3105)는 MCPTT Alert 동작을 개시한다. 3145 과정에서 MCPTT Client1 (3105)은 SIP core(3110)으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사용자 ID, 그룹 ID, 소속 단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147 과정에서 SIP core (3110)는 상기 SIP 메시지를 MCPTT server (3115)로 전달할 수 있다.
3149 과정에서 MCPTT server (3115)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사용자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PTT server (3115)는 MCPTT group management server (3120)와 통신하여 사용자 권한 및 위치를 체크할 수 있다. MCTPP 서버(3115)는 alert 메시지를 보내는 사용자 권한 및/또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이 필요한 경우 alert 메시지의 정보를 수정,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3151 과정에서 MCPTT server (31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31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31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3153 과정에서 SIP core (3110)는, 3151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2 (3125)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3155 과정에서 MCPTT server (3115)는 SIP 메시지를 SIP core (3110)로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는 MCPTT server(3115)에서 일부 정보가 수정, 추가, 삭제 된 메시지 일 수 있다. 3157 과정에서 SIP core (3110)는, 3155 과정에서 수신한 SIP 메시지에 기반하여 MCPTT client2 (3125)로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3159 과정에서 MCPTT client 2 (3125)는 SIP core (31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3161 과정에서 SIP core (3110)는, 3159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3115)로 전송한다.
3163 과정에서 MCPTT client 3 (3130)은 SIP core (3110)로 SIP 200 OK 를 전송한다. 3165 과정에서 SIP core (3110)는, 3163 과정에서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MCPTT server (3115)로 전송한다.
3167 동작에서 MCPTT server (3115)는 수신한 SIP 200 OK에 기반하여 SIP 200 OK를 SIP core (3110)로 전송한다. 3169 과정에서 SIP core(3110)는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PCRF (3135)로 전송할 수 있다. SIP core(3110)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 3171 과정에서 PCRF(3135)는 베어러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베어러는 높은 우선 순위의 베어러 일 수 있으며, 전용 베어러 일 수 있다. 3173 과정에서 PCRF(3135)는 SIP core(3110)로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175 과정에서 SIP core(3110)는 MCPTT client 1(3105)로 SIP 200 OK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3177 과정에서 일반 그룹 콜 중인 엔티티들은 응급 상황 그룹 콜로 전환된다. 각 엔티티들은 MCPTT priority group call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반 그룹 콜 중인 단말 들이 alert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응급 상황 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3200)는 송수신부(3210) 및 제어부(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210)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 및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3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3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230)로 출력하고, 제어부(3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30)는 MCPTT 서버로부터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와 현재 실행 중인 제2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각 서비스와 관련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각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30)는 상기 각 서비스 중 후 순위 서비스에 대한 미디어를 조정하여 상기 각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정은 상기 후 순위 서비스를 종료, 거절, 선 순위 서비스의 종료 시까지 홀드, 선 순위 서비스의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로 변환, 또는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포워딩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 별 우선순위, 그룹별 우선순위 또는 서비스 별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3200) 및 제어부(3230)의 동작 및 기능은 도 32에서 언급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32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320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따른 MCPTT 서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MCPTT 서버(3300)는 송수신부(3310) 및 제어부(33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330)는 상기 MCPTT 서버(3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330)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에 대한 제1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와 현재 제2 단말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동시에 제공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각 서비스와 관련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각 서비스의 처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30)는 상기 각 서비스 중 후 순위 서비스에 대한 미디어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상기 후 순위 서비스를 종료, 거절, 선 순위 서비스의 종료 시까지 홀드, 선 순위 서비스의 미디어와 동시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로 변환, 또는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포워딩하도록 처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사용자 별 우선순위, 그룹별 우선순위 또는 서비스 별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30)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발언권 요청(floo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선 순위 단말에 상기 발언권 승인(floor grant)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30)는 상기 서비스 요청이 그룹 서비스를 요청인 경우,
상기 그룹 서비스에 대한 그룹 서비스 대상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임계 조건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 서비스를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법으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MCPTT 서버(3300) 및 제어부(3330)의 동작 및 기능은 도 33에서 언급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6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CPTT 서버(16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3 내지 도 31에서 각 엔티티들은 각 엔티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각 엔티티들이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제1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ProSe) 기능을 포함함;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포인트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가지고 있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말과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및
    상기 제1 단말로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포인트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과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ProSe)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포인트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가지고 있는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단말과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연결을 설정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1.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단말로부터 서비스 인증 요청(service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은 단말-네트워크 릴레이(UE-to-network 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로 서비스 인증 응답(service authoriz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 펑션(ProSe fun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는 릴레이 서비스 코드, 엑세스 포인트 네임(APN) 및 서비스 인증에 관련된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서비스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과 단말-네트워크 릴레이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태치(attach)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KR1020177034752A 2015-06-29 2016-06-28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1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85771P 2015-06-29 2015-06-29
US62/185,771 2015-06-29
PCT/KR2016/006917 WO2017003161A1 (en) 2015-06-29 2016-06-28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21A true KR20180014421A (ko) 2018-02-08
KR102591864B1 KR102591864B1 (ko) 2023-10-20

Family

ID=5760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52A KR102591864B1 (ko) 2015-06-29 2016-06-28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455406B2 (ko)
EP (1) EP3314978B1 (ko)
JP (1) JP6791885B2 (ko)
KR (1) KR102591864B1 (ko)
CN (1) CN107852591B (ko)
WO (1) WO201700316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563B2 (en) * 2014-12-22 2019-06-25 Zte Corporation Method for realiz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lay selection, network control node and user equipment
WO2019216738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66452A1 (ko) * 2019-10-04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5g 사용자 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271638B1 (ko) * 2020-07-07 2021-07-02 (주) 큰사람커넥트 대용량 ptt를 위한 sip 기반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8833B (zh) * 2011-08-01 2017-10-03 英特尔公司 对于网络接入控制的方法和系统
JP2018093252A (ja) * 2015-04-07 2018-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pgw、及び通信制御方法
JP6573288B2 (ja) * 2015-05-15 2019-09-1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発見方法および装置
EP3316653B1 (en) * 2015-06-29 2023-05-10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DEVICE PROVIDED WITH ProSe FUNC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VICE PROVIDED WITH ProSe FUNCTION
KR102568265B1 (ko) * 2015-07-23 2023-08-18 애플 인크. 레이어 2 릴레이 프로토콜 및 이동성 릴레이 방법
WO2017024453A1 (zh) * 2015-08-07 2017-02-16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控制装置及方法
KR101763471B1 (ko) * 2015-08-12 2017-08-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콜 발생자 및 발언권 중재자 다중화에 의한 ptt 제어 방법
KR102094485B1 (ko) * 2015-11-09 2020-03-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신호 강도 측정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40311B1 (ko) * 2015-12-08 202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97921B2 (ja) 2015-12-31 2021-07-07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3614710B1 (en) * 2015-12-31 2020-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ccessing network by user equipment, core network entity, base station, and first ue
EP3675579B1 (en) * 2016-01-07 2022-01-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scheduling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US10271370B2 (en) 2016-02-12 2019-04-23 Ofinno Technologies, Llc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US20170257751A1 (en) * 2016-03-05 2017-09-07 Ofinno Technologies, Llc Off-Network Wireless Mission Critical Session Initiation
KR102484306B1 (ko) * 2016-03-10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49225B1 (en) * 2016-03-28 2018-12-04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excluding relay nodes from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U-MIMO) pairing
US11096086B2 (en) * 2016-04-14 2021-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FED2D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EP3745676B1 (en) * 2016-07-15 2022-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dio cut-in policy in mcptt communication
WO2018109986A1 (ja) * 2016-12-13 2018-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選択のための装置
BR112019013162A2 (pt) * 2016-12-27 2019-12-10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transmitir informações de sistema e dispositivo de terminal
CA3066349A1 (en) * 2017-01-09 2018-07-12 Idac Holdings, Inc. Relay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0661B2 (en) 2017-02-03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curely communicating a data packet via at least one relay user equipment
WO2018176264A1 (en) * 2017-03-29 2018-10-04 Motorola Mobility Llc Transmitting a message in response to receiving a message
US10299185B1 (en) * 2017-04-24 2019-05-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relay quality-of-service based on relay-delivered media services
US10827558B2 (en) 2017-06-26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on relay discovery
CN109379171A (zh) * 2017-08-10 2019-02-22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存储介质
RU2020111322A (ru) 2017-09-29 2021-09-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KR102438683B1 (ko) * 2017-12-18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Mcptt 서비스에 기초하여 설정된 그룹 콜에 참여하는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159935B2 (en) * 2018-05-16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licing on a sidelink interface
US10701539B2 (en) 2018-07-02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ublic warning system
CN109100944B (zh) * 2018-08-24 2021-11-09 福建星网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ims的数据采集与处理系统
KR102456859B1 (ko) * 2018-10-05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5g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파라미터를 단말과 네트워크에 프로비져닝하는 방법
US10743205B2 (en) * 2018-11-01 2020-08-11 Nokia Technologies Oy Isolating false base st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20091281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엑세스 허가를 위한 단말의 대행 인증 방법 및 장치
CN111294821A (zh) * 2018-12-10 2020-06-16 索尼公司 用于回传网的电子设备、方法以及介质
US11026061B2 (en) * 2019-02-05 2021-06-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real-time talk-group creation within a push to talk for an Internet of Things system
CN110177344B (zh) * 2019-04-15 2021-12-2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组附着方法、客户端和服务器端
CN112040424B (zh) * 2019-06-04 2022-04-0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抢占话权的方法和系统
US11647383B2 (en) * 2019-06-11 2023-05-09 Qualcomm Incorporated UE capability signaling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ith relays
US11238866B2 (en) * 2019-06-17 2022-02-01 Motorola Solutions, Inc. Intelligent alerting of individuals in a public-safety communication system
CN113498615B (zh) * 2019-08-16 2022-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TWI761720B (zh) * 2019-10-24 2022-04-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自適應設定存取點名稱的方法
US11632665B2 (en) * 2019-11-06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services session authorization and provisioning support over a 5G system
CN112822644B (zh) * 2019-11-18 2022-04-26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群组建立方法及设备
CN111311873B (zh) * 2020-02-24 2021-08-20 赣州光通电子有限公司 用于智能家庭的实时传输安防报警信息的方法及系统
CN113438652B (zh) * 2020-03-04 2022-1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授权和策略参数配置方法、终端及网络功能
US11825330B2 (en) * 2020-03-13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sidelink communications
US11689957B2 (en) 2020-03-13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support for sidelink relay service
CN111417102A (zh) * 2020-03-31 2020-07-14 倪航标 用于实时传输智能家居安防报警信息的方法及系统
CN113518319B (zh) * 2020-04-09 2023-03-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临近服务的业务处理方法、设备及系统
US20230142231A1 (en) * 2020-04-27 2023-05-11 Ntt Docomo, Inc.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477848B2 (en) * 2020-06-29 2022-10-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seminating alerts or other notifications using ProSe direct discovery signaling
WO2022021371A1 (zh) * 2020-07-31 2022-0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会话建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669212A (zh) * 2020-07-31 2023-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会话的建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706764B2 (en) * 2020-11-25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election with sidelink receiver sensing
US11997668B2 (en) 2020-11-25 2024-05-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election with transmitter sensing
CN112752228B (zh) * 2020-12-11 2022-05-20 武汉信科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组呼下行承载建立方法及系统
EP4255090A4 (en) * 2021-01-28 2023-12-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S AND NETWORK DEVICE
US20220263605A1 (en) * 2021-02-18 2022-08-18 Qualcomm Incorporated Harq procedure for cooperative relay in sidelink networks
US11743065B2 (en) 2021-06-14 2023-08-2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that visually monitors hand and mouth movements captured by a muted device of a remote participant in a video communication session
US11507342B1 (en) * 2021-06-14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prioritization and scheduling of speakers in a multiple participant communication session
US11509493B1 (en) 2021-06-14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host toggling of presenters from among multiple remote participants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1604623B2 (en) 2021-06-14 2023-03-14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imaging based mu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9930B (zh) * 2011-11-22 201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和用户设备
KR20150120348A (ko) * 2013-02-28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484838B2 (en) 2013-02-28 2019-11-19 Lg Electronics Inc. Group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512022B2 (en) * 2013-11-05 2019-12-1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relay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609680B2 (en) * 2014-03-18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lows and buffer status report for a group in device-to-device broadcast communication
US10142847B2 (en) * 2014-05-23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relay of discovery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US9338627B1 (en) * 2015-01-28 2016-05-10 Arati P Singh Portable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even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33366* *
3GPP S2-133642*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563B2 (en) * 2014-12-22 2019-06-25 Zte Corporation Method for realiz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lay selection, network control node and user equipment
WO2019216738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523255B2 (en) 2018-05-11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WO2021066452A1 (ko) * 2019-10-04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5g 사용자 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271638B1 (ko) * 2020-07-07 2021-07-02 (주) 큰사람커넥트 대용량 ptt를 위한 sip 기반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4978A4 (en) 2018-05-02
US10455406B2 (en) 2019-10-22
US20200053547A1 (en) 2020-02-13
CN107852591A (zh) 2018-03-27
WO2017003161A1 (en) 2017-01-05
KR102591864B1 (ko) 2023-10-20
CN107852591B (zh) 2021-10-26
EP3314978B1 (en) 2021-01-27
EP3314978A1 (en) 2018-05-02
JP6791885B2 (ja) 2020-11-25
US20160381720A1 (en) 2016-12-29
JP2018524883A (ja)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864B1 (ko)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5803B1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952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s in 5G system
US10382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01430B (zh) D2d资源的配置、分配方法及装置
US20180103454A1 (en) Communication system
US10588160B2 (en) Method for handling an ID collision for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30354144A1 (en) Path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NR Network
CN104837108B (zh) 一种设备到设备广播通信的方法和用户设备
CA2890030C (en) Scalable broadband group call via unicast downlink traffic consolidation and local re-broadcast
EP3571891A1 (e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localiz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US9750066B2 (en) Method and a network structure for providing device connectivity to a radio access network
EP4085727A1 (en) Relay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595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rvice poli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149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68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정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Bindaj et a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UNDER LTE NETWORKS USING HYBRID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