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229A -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 Google Patents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229A
KR20180013229A KR1020160096629A KR20160096629A KR20180013229A KR 20180013229 A KR20180013229 A KR 20180013229A KR 1020160096629 A KR1020160096629 A KR 1020160096629A KR 20160096629 A KR20160096629 A KR 20160096629A KR 20180013229 A KR20180013229 A KR 2018001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ing box
disposed
support plat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229A/en
Publication of KR2018001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tructure of an electric working vehicle capable of removing possibility of rollover in the travel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 working vehicle having a loading box used in an orchard or a horticultural farm,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loa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with respect to all directions of a main frame, have a buffer module capable of being steered so as to eliminate a risk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rolled over as the load of a cargo, such as fruit trees or horticultural crops loaded on the loading box, is corner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while being delivered, thereby securing safety of a user and convenience of an operation.

Description

전동작업차{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진행방향의 전복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는 전동작업차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n electric powered vehicle capable of resolving the possibility of rollover in the traveling direction.

일반적으로 과수원과 같은 농가에서는 열매를 수확할 때, 수확한 열매를 실어 나르는 대차를 이용한다.Generally, farmhouses such as orchards use bogies to carry fruit harvested when harvesting the fruit.

경작지에는 보통 열매가 열린 나무나 줄기 사이로 작업자와 대차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로를 따라서 작업자가 대차를 이동시켜가면서 이동로의 양 가장자리의 수확물을 따서 대차에 담는다.The cultivated land usually has a transportation path through which the worker and the lorry can move between trees or stalks with open fruit. The worker moves the lorry along the lorry and collects the harvests on both sides of the lorry.

그런데 종래의 대차는 이송에 따른 운반력이 전적으로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gie has a problem in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argo can not be loaded because the carrying force of the bogie is made entirely by the force of the operator.

이에, 전동용 대차의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전동용 대차의 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87640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Accordingly, a structure of a motorized truck has been proposed. The structure of such a motorized truck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A and 1B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87640.

즉,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동용 대차의 구조는, 프레임 구조물(10)을 기준으로 프레임 상부(10)에 적재함(30)이 구비되며, 프레임의 하부에는 캐터필러 구조의 바퀴(20)를 구비하게 된다.1A and 1B,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torcycle includes a frame 30 mounted on the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frame structure 10, and a caterpillar- (20).

이상의 전동용 대차는 측면부에 운전을 위한 조향제어부(4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조향제어부(40) 하부에 배치되는 탑상판(45)에 올라타거나, 걸으며 운행을 하게 된다.The above-mentioned motor-driven bogi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control unit 40 for operation on the side portion, and the user rides on or runs on the top board 45 disposed under the steering control unit 40.

그러나 이러한 전동용 대차는, 적재함(30) 부분에 과도한 과수나 원예작물을 싣게 되는 경우, 경사지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전복 위험성이 커지게 되며, 나아가 진행방향(P)으로 진행하다 작업지의 경사나 돌출구조물 등에 걸리게 되는 경우, 전방향으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arrying an excessive number of fruit trees or horticultural crops on the part of the loading box 30, the risk of overturning is increased when the elevator car is raised on a slope, and further, Or a protrud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ident that overturns in all directions occurs.

즉, 과도한 하중이 실리게 되는 경우, 과수원 바닥의 불규칙한 경사나 돌, 나무뿌리 등에 의해 움직이는 방향에 과한 하중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쉽게 전복이 일어나는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That is, when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an inertial force due to an excessive load acts on irregular slopes at the bottom of the orchard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the stone, tree roots, etc., and the risk of overturning easily increases.

나아가, 작업자가 조향을 위해 조향제어부(40) 부분에 위치하여 전동차를 운전하기 때문에, 작업위치에서는 멈추고 작업을 한 후, 다시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is located in the steering control unit 40 for steering and operates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the operation is stopped because the vehicle stops at the working position and then moves again.

등록특허 제10-1587640호Patent No. 10-1587640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원이나 원예농장에서 사용되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전동작업차의 구조에서, 메인 프레임의 전방향에 전동작업차의 전진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며, 조향 가능한 완충모듈을 구비하여, 경사지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적재함에 과수가 많이 적재되는 경우, 전복될 위험성을 현저하게 저감하며, 적재함에 적재되는 과수나 원예작물 등의 화물의 하중이 이동 중에 진행방향으로 쏠려 전동작업차가 전복되는 위험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 및 운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동작업차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of a motorized working vehicle having a loading box used in an orchard or horticultural farm, The load is supported and a steerable buffer module is provided so that the risk of overturning can be remarkably reduced when a large number of fruit trees are loaded on the loading box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illing operation on the slope and the storage of fruit or horticultural crops The load of the motorized work vehicle is shifted to the traveling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so that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motorized work vehicle can be eliminated,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safety and operational convenien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캐터필러구조로 한 쌍이 배치되는 이송부재(120),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모듈(16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적재함(130) 및 상기 적재함의 일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120)의 이송 및 적재함(13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조향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제어부(140)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 하부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6)와 접촉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프레임(220)을 구비하여, 상기 전동작업차의 전방 이동 방향의 하중 이동을 지지하는 완충모듈(200)을 포함하는 전동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4, a main frame 110 for forming a horizontal supporting force, a caterpillar structure A loading box 130 disposed above the main frame and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an elevating and lowering module 160, And a steering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ember (12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ading box (130), wherein the steering control unit 1 supporting plate 114 and a pair of fixing plates 116 arranged to protrude below the first supporting plate 114 and exten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rame (220)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work vehicle including a shock absorbing module (200) for supporting a load movement in the for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work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수원이나 원예농장에서 사용되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전동작업차의 구조에서, 메인 프레임의 전방향에 전동작업차의 전진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며, 조향이 가능한 완충모듈을 구비하여, 경사지에서 고소작업을 할 때 적재함에 과수가 많이 적재되는 경우, 전복될 위험성이 매우 커지게 되는 데, 완충모듈로 인해 전복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ructure of a motorized work vehicle having a loading box used in an orchard or horticultural fa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hioning modul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in a forward direction of a motor- Therefore, the risk of overturning becomes very large when a lot of fruit is loaded in the loading box at the time of a complaint operation on a slop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isk of overturning can be solved by the buffer module.

나아가, 적재함에 적재되는 과수나 원예작물 등의 화물의 하중이 이동 중에 진행방향으로 쏠려 전동작업차가 전복되는 위험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 및 운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load of cargoes such as fruit trees or horticultural crops loaded on the cargo load is mov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of overturning the electric car, thereby maximizing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user .

나아가,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프레임부를 적재함에 결합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탑승자의 상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별도의 승강부재의 구성을 없애, 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완충모듈의 구비로 인해 적재함의 외측면에 장착하는 경우라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worker can mount a rideable frame part to a loading box, thereby elimin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elevating member for realizing up-and-down movement of an existing occupant, The module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even when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아울러, 탑승프레임부에 보조적인 전동작업차의 운행 제어를 구현하는 모듈을 부설하여 이용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dule for implementing operation control of an auxiliary electric work vehicle can be installed in the boarding frame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동작업차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작업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작업차의 구성 중 완충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작업차의 탑승프레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작업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a motorized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buffer module in a configuration of a power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configuration of a boarding frame member of an electric power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tructure of a motorized work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2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작업차(이하, '본 전동작업차'라 한다.)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전동작업차의 적재함을 상부로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motorized work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torized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전동작업차는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캐터필러구조로 한 쌍이 배치되는 이송부재(120),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모듈(16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적재함(130) 및 상기 적재함의 일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120)의 이송 및 적재함(13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조향제어부(14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power transmission work vehicle includes a main frame 110 forming a horizontal supporting force, a conveying member 12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pair of caterpillar structures, A loading box 13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an elevating and lowering module 160 and a conveyor 130 disposed outside the loading box in one direction, And a steering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up and down of the steering wheel.

나아가, 상기 메인 프레임 내측에는 상기 적재함(130)을 상부로 승강하거나 하부로 하강시키는 승강모듈(150)이 구비되며, 승강모듈(150)은 적재함 하부에 연결되는 교차형 구조로 구현되는 승강부재(160)이 마련된다.Further, the main frame has an elevating module 150 for elevating or lowering the loading box 130 up and down,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module 150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frame, 160 are provided.

특히, 본 전동작업차의 구조에서는, 상기 조향제어부(140)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 하부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6)와 접촉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프레임(220)을 구비하여, 상기 전동작업차의 전방 이동 방향의 하중 이동을 지지하는 완충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powe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late 114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is disposed, And a cushion frame (220) disposed in a contact structure with a pair of fixing plates (116) disposed in a structure protruding downward and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wherein a load And a buffer module 200 for supporting the movement.

즉, 상기 완충모듈(200)의 구조로, 전동작업차가 적재함에 과중한 화물(과일등)을 싣고 전진하는 경우, 진행방향의 하중에 따른 관성 작용으로 전동차가 전복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structure of the buffer module 200, when a heavy load (fruit or the like) is loaded on the load carrying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the problem of the overturning of the electric vehicle due to the inertial action depending on the load in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solv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향제어부(140)의 구조가 메인 프레임(110)의 말단(112)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부재(160)과 메인프레임의 말단(112)의 공간부 사이에 매립형으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어기능을 탑승프레임부재에 구현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is mounted on the end 112 of the main frame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12 in a space between the space portions. This is because the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mplemented in the boarding frame memb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즉, 상기 조향제어부(140)의 구성은 경우에 따라서, 적재함 아래 부분에 메인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이동시켜 배치하게 되면, 전동작업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도 3에서 상술한 완충모듈(200)의 구성을 반대쪽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탑승프레임부재(300) 역시 반대쪽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frame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case, the size of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can be reduced. In addition, 200 can be implement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board frame member 300 can also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which improves usability.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구조에서 완충모듈(200)의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buffer module 200 in the structure of FIG. 2 and FIG.

도 3을 기준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모듈(2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일단이 결합되는 완충프레임(220)과 상기 완충프레임(2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10),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횡방향의 완충력을 구현하는 탄성부재(S), 상기 완충프레임의 타단이 결합되는 구동플레이트(230) 및 상기 구동플레이트(230)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buffer module 200 includes a cushion frame 2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nd a cushion frame 220 disposed on the cushion frame 220 A second support plate 21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14 in a mutually opposing manner and a second support plate 210 disposed in a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1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20 A driving plate 23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buffer frame is coupled, and a pair of wheel members 245 provided below the driving plate 230. [ .

이 경우, 상기 바퀴부재(245)는, 상기 구동플레이트(230)의 양측 하부에 한 쌍이 마련되며, 조향이 자유로운 방향성 캐스터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heel member 245 may include a directional castor member 240 provided with a pair of lower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plate 230 and capable of steering.

본 전동작업차의 메인 프레임(110)의 전단부 부분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방향으로 용접되어 세워지는 구조로 구현되는 판형 구조물인 제1지지플레이트(114)가 배치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이트(114)의 하부에는 체결핀(F1)을 체결하여 완충프레임(22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고정플레이트(116)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frame 110 of the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a first support plate 114, which is a plate-shaped structure realized by welding in an upward direction, is disposed. At the same time, a pair of fixing plates 116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14 to fasten the buffer frame F1 to fasten the buffer frame 220.

상기 완충프레임(22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에 말단부가 내삽되는 구조로 진입하고, 상기 완충프레임(220)의 말단부는 체결핀(F1)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다.The cushioning frame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tal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late 116 and a distal end portion of the cushioning frame 2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pin F1 is inserted.

또한, 상기 완충프레임(220)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대향하는 방향에 세워지는 구조로 고정배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탄성부재(S)가 배치된다.The buffer frame 22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210 fixedly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late 114. An elastic member (S) is disposed in a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1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완충프레임(220)과 바퀴부재(245)에 의해 전동작업차의 전진방향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한 전복 움직임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elastic member S functions to buffer overturning movements due to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by the cushioning frame 220 and the wheel member 245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motor vehicle.

즉, 상기 완충프레임(220)의 타단이 결합되는 구동플레이트(230) 하부의 바퀴부재(245)가 지면에 맞닿게 되며, 경사지 등에 의해 전동작업차의 하중이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바퀴부재(245)가 일차적으로 강하게 지지하게 되며, 이를 완충프레임(220)이 뒤로 밀리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S)로 그 힘이 전달되게 되면, 전동작업차의 제1지지플레이트(114)를 역방향으로 밀며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작으로 인해 전동작업차는 전진시에 전복의 위험성을 일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wheel member 245 under the driving plate 23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frame 220 is engag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load of the power transmission work vehicle is moved forward by an inclined paper or the like, The cushion frame 220 is pushed backward an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lastic member S to push the first support plate 114 of the electric powered vehicle in the reverse direction . Such a mechanism can eliminate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electric work vehicle during forward movement.

상기 탄성부재(S)는 강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을 예시로 게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10)의 표면에 용접이나 결합돌기 구조를 마련하여 고정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S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a coil spring having a strong elastic restoring for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lastic members can be applied. The elastic member S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14 by providing a welding or coupling protrusion structure .

또한, 본 전동작업차의 경우, 상기 구동플레이트(230)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45)를 마련하여, 원활한 진행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바퀴의 구성을 조향이 자유로운 방향성 캐스터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방향전환이나 전진 및 후진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a pair of wheel members 245 provided under the driving plate 230 can be provided to smoothly move the wheel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s can be controlled by a directional castor member 240) so as to make it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r move forward and backward freely.

또한, 본 전동작업차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재함(1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승 및 하강시 함께 이동되는, 탑승프레임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3, and 5, the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is moun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box 130 and is moved together with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ading box 130. [ As shown in FIG.

상기 탑승프레임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향제어부(140)가 구비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장착을 하거나, 조향제어부(140) 방향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향제어부(140)를 적재함 하부로 매립형으로 배치하여 설치하여 공간이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2, the board frame member 300 may be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or may be disposed in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directio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can b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to be installed, thereby enhancing the space availability.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탑승프레임부재(300)는, 발판부(310)와, 상기 발판부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30) 및 상기 발판부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30)과 교차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340)을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130)의 장착 개소에 결착하는 결착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3 and 5, the board frame member 300 includes a foot plate 31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30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ot plat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40 intersecting with the vertical frame 330 and including a binding frame 320 to be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oading box 130.

즉, 본 전동작업차에 설치되는 탑승프레임부재(300)은 별도의 승강장치를 하부에 달지 않고, 적재함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게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기작을 수행하게 되는바,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승 및 하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별도의 승하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바,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the boarding frame member 300 installed in the electric working truck performs a mechanism of raising or lowering the loading / unload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up / down movement of the loading / unloading uni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descent,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since a separat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s not required.

아울러, 상기 탑승프레임부재(300)는, 상기 조향제어부(140)와 연동하여 상기 전동작업차의 적재함의 승하강이나 이송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향박스(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310) 상에 상기 조향제어부(140)과 연동하는 상기 이송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모듈(35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ard frame member 300 further includes a steering box B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oading tray of the motorized working vehicle or the driving of the feeding member 120 in cooperation with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And an auxiliary control module 3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eeding member 120 interlocked with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on the footing unit 310.

따라서, 기존의 전동작업차의 구조에서 메인 조향장치 쪽에서 운전과 작업을 병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여, 탑승프레임부재(300) 상에 탑승하여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전동 작업차의 전진 및 후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can not be concurrently performed on the main steering apparatus i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electric working vehicle, .

본 전동작업차의 조향박스(B)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전진 및 후진 및 좌우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조향키(J)를 마련할 수 있으며, 비상정지스위치(E)를 구비하여 돌발 상황시 급제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벨브(R)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The steering box B of this electric powered work vehicl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5, and can be provided with a steering key J for controlling forward, backward and leftward and rightward rotary movement,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E So that sudden braking can be realiz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And a control valve R for controlling the output.

또한, 작업자가 탑승프레임부재(300)에 탑승하여 서서 작업을 가거나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발판부에 전진과 후진을 발로 밟아 제어하는 보조제어모듈(350)을 구비하여 작업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orker is standing on the boarding frame member 300 and performing work or sitting, the auxiliary control module 35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foot portion to step forward and backward to thereby control the work efficiency. .

이상의 조향박스 및 보조제어모듈은 상술한 조향제어부(140)의 기능을 반대방향에도 연동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eering box and the auxiliary control module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by interlocking the functions of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enhancing the work efficiency.

또한, 본 전동작업차의 경우, 탑승프레임부재(300)가 전방향 부분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어 하중이 늘어나게 되면 전복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완충모듈(200)의 구성으로 인해 이러한 위험성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2 and 3, when the occupant is loaded and the load is increased, the risk of overturning may become even greater. However,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uffer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risk can be completely solved.

또한,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 상술한 탑승프레임부재(300)을 장착하는 대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승하강모듈(M)에 의해 가이드 레일(L)을 따라 상하 이동을 수행하는 작업대(Z) 구조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e of mounting the boarding frame member 3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boarding frame member 3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110, And a work table (Z) structure for performing up and down movement along the guide rail (L).

이 경우, 상기 작업대(Z)는 상기 적재함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윈치구조로 구현되는 승하강모듈(M)을 통해 상승 하강을 수행하는 한 쌍의 작업대(Z)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재함은 승하강이 구현되지 않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workbench (Z) includes a pair of workbenches (Z) for perform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through the up / down / downward module (M) implemented as a winch structure so that the workbench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ading / unloading is not realized.

물론,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완충모듈 구조를 하부에 장착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대 상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도 5에서 상술한 탑승프레임부재(300)을 더 부설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작업대의 구성은 작업자나 작업대만의 상승을 하게 되므로,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있게되어 고소 작업을 하는데 매우 유용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buffer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5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workbench so that the worker can ride the workbench or the workbench,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orkbench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very useful effect for complaint work.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10: 메인프레임
114: 제1지지플레이트
120: 이송부재
130: 적재함
140: 조향제어부
150: 승강모듈
160: 승강부재
200: 완충모듈
210: 제2지지플레이트
220: 완충프레임
230: 구동플레이트
240: 방향성 캐스터 부재
300: 탑승프레임부재
310: 발판부
320: 결착프레임
330: 수직프레임
340: 수평프레임
350: 보조제어모듈
110: main frame
114: first support plate
120:
130: Loader
140:
150: Lift module
160:
200: buffer module
210: second support plate
220: buffer frame
230: drive plate
240: directional castor member
300: boarding frame member
310:
320: Bonding frame
330: Vertical frame
340: Horizontal frame
350: auxiliary control module

Claims (6)

적재함을 구비하는 전동작업차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캐터필러구조로 한 쌍이 배치되는 이송부재(120);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모듈(16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적재함(130); 및
상기 적재함의 일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120)의 이송 및 적재함(13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조향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제어부(140)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 하부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6)와 접촉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프레임(220)을 구비하여,
상기 전동작업차의 전방 이동 방향의 하중 이동을 지지하는 완충모듈(200);
을 포함하는 전동작업차.
In an electric powered vehicle having a loading box,
A main frame 110 forming a horizontal supporting force;
A conveying member (12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pair of caterpillar structures;
A loading box 130 disposed above the main frame and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the elevating module 160; And
And a steering control unit (140) disposed outside the one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to control the conveyance of the conveying member (120) and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loading box (130)
A first support plate 114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is disposed,
And a cushion frame (220) disposed in contact with a pair of fixing plates (116) arranged to protrude below the first support plate (114) and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 shock absorbing module (200) for supporting a load movement in a for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electric powered vehicle;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2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6)의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일단이 결합되는 완충프레임(220);과
상기 완충프레임(2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호 대향하는 구조로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10);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14)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1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횡방향의 완충력을 구현하는 탄성부재(S);
상기 완충프레임의 타단이 결합되는 구동플레이트(230); 및
상기 구동플레이트(230)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퀴부재(245);
를 포함하는 전동작업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module (200)
A cushion frame 220 to which one end is coupled with a structur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lates 116;
A second support plate 210 disposed on the buffer frame 22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14 in a mutually opposing manner;
An elastic member (S) disposed in a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1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0) to implement lateral buffering force;
A driving plate 23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buffer frame is coupled; And
A pair of wheel members 245 provided under the driving plate 230;
And an electric powered vehic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245)는,
상기 구동플레이트(230)의 양측 하부에 한 쌍이 마련되며,
조향이 자유로운 방향성 캐스터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작업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wheel member (245)
A pair is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driving plate 230,
And a steering-free directional castor member (240).
Electric working ca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작업차는,
상기 적재함(1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승 및 하강시 함께 이동되는, 탑승프레임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탑승프레임부재(300)는,
발판부(310)와, 상기 발판부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30) 및 상기 발판부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30)과 교차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340)을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130)의 장착개소에 결착하는 결착프레임(320)을 포함하는,
전동작업차.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 work vehicle,
(300) moun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box (130) and moved together when the loading box is raised and lowered,
The board frame member (30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3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ot plat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40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oot plate and crossing the vertical frame 330 In addition,
And a binding frame (320) for binding to a mounting position of the loading box (130)
Electric working c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승프레임부재(300)는,
상기 조향제어부(140)과 연동하여 상기 전동작업차의 적재함의 승하강이나 이송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향박스(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310) 상에 상기 조향제어부(140)과 연동하는 상기 이송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모듈(350);
을 포함하는 전동작업차.
The method of claim 4,
The board frame member (300)
Further comprising a steering box (B) interlocked with the steering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ading box or the driving of the feeding member (120)
An auxiliary control module (3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member (120) interlocked with the steering control part (140) on the foot part (310);
≪ / RTI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작업차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승하강모듈(M)에 의해 가이드 레일(L)을 따라 상하 이동을 수행하는 작업대(Z);를 더 포함하는,
전동작업차.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 work vehicle,
A work table (Z)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110) and performing up and down movement along a guide rail (L) by an elevating and lowering module (M)
Electric working car.
KR1020160096629A 2016-07-29 2016-07-29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KR201800132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29A KR20180013229A (en) 2016-07-29 2016-07-29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29A KR20180013229A (en) 2016-07-29 2016-07-29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29A true KR20180013229A (en) 2018-02-07

Family

ID=6120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629A KR20180013229A (en) 2016-07-29 2016-07-29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22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219A (en) * 2018-09-25 2019-01-18 黄晓雷 A kind of hilly and mountainous land orchard crawler belt transport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20200008703A (en) 2018-07-17 2020-01-29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Working Vehicle
KR102158449B1 (en) *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Steering system for high place operation ca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703A (en) 2018-07-17 2020-01-29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Working Vehicle
CN109229219A (en) * 2018-09-25 2019-01-18 黄晓雷 A kind of hilly and mountainous land orchard crawler belt transport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09229219B (en) * 2018-09-25 2021-09-21 程小龙 Crawler conveyor for hilly and mountain orchard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158449B1 (en) *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Steering system for high place operation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324B2 (en) Access system for a moveable vehicle
KR20180013229A (en) 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WO2020050407A1 (en) Traveling robot
US20170369293A1 (en) Outrigger compris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s
KR20120123024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0591111B1 (en) Stacker crane
JP2006248746A (en) Device for moving at elevated spot on article shelf
KR101456337B1 (en) Vehicle for fruit tree cultivation having scissor lift
KR20130081854A (en) High place working vehicles for agriculture
KR102160210B1 (en) Electric operation vehicle with caterpillar
CN203793462U (en) Crawler walking mechanism and chassis
JPS62130908A (en) Chassis accommodating equipment
WO2016103787A1 (en) Transport cart
KR101791823B1 (en) Steering system having vehicle for agriculture
JP2010195069A (en) Cargo carriage
KR101003721B1 (en) Fitting-remov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loading box
JP2010195070A (en) Cargo carriage
JP7031183B2 (en) Lifting device and automated warehouse
KR100933921B1 (en) A maltipurpose trailer of having attachable hydraulic controller
KR101824323B1 (en) Mov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for steps
KR101547507B1 (en) High-Rise Working Vehicle Having Detachable Attachment
JP6287700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CN214689461U (en) Load receiving vehicle and load receiving system
CN108217114B (en) Plate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
KR102166354B1 (en)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