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125A -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125A
KR20180013125A KR1020160096322A KR20160096322A KR20180013125A KR 20180013125 A KR20180013125 A KR 20180013125A KR 1020160096322 A KR1020160096322 A KR 1020160096322A KR 20160096322 A KR20160096322 A KR 20160096322A KR 20180013125 A KR20180013125 A KR 2018001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yer
metal layer
household appliances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9727B1 (en
Inventor
박소희
김영우
정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27B1/en
Priority to PCT/KR2016/009953 priority patent/WO2017052110A1/en
Priority to CN201680055954.XA priority patent/CN108139141B/en
Priority to EP16848836.9A priority patent/EP3355011B1/en
Priority to US15/763,069 priority patent/US10641542B2/en
Publication of KR2018001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25A/en
Priority to US16/848,616 priority patent/US113003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plate for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hrough hole enabl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on a rear surface to be penetrat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urning of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y a film layer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a metal layer, luxury and an aesthetic with respect to appearance of a home appliance can be improved in the outer plate for a home appliance.

Description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0001] DESCRIPTION [0002]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0003]

본 발명은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가전 제품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작동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er member for an appliance for preventing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an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에는 가전 제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 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Generally, household appliances are provided with a display assembly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household appliances. The display assembly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usehold appliance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symbols, or pictures.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nd perform operations for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최근의 가전 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소재로 외장 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 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 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 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In recent household appliances, an exterior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is used to make the appearance more luxurious, or an exterior member made of a material coated with a steel material such as steel to make the exterior appearance is us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ppliance can be indicated.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금속재질 전면판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고, 전면판에 복수개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미세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에칭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21753 discloses a refrigerator having a display unit on a rear surface of a front surface of a metal material of a refrigerator door and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s disclose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through etching or laser drilling so as to be formed into a minute size.

하지만, 아무리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게 되더라도 외부로 관통홀이 식별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까이서 표시부를 볼 경우에는 광이 통과되지 않는 관통홀까지 보이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hole is processed to a small size, the through hole can be identified to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portion is viewed closely, the through hole where light does not pass through is visible.

특히,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더라도 홀 크기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 크기의 편차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even if a hole is machined with a small size, a variation in hole size may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user's dissatisfaction may be caused due to the deviation of the hole size.

또한, 관통홀의 내부에 홀메움 처리를 하게 되더라도 전면부에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뭍거나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Further, even if the hole filling process is per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a concavo-convex shap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portion,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may be adhered or contaminated.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을 구현하는 전면 패널용으로 사용되는 외장 부재에 금속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배치하며, 금속층의 전면에는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을 부착함으로써, 발광소자의 소등시 금속층에 배치된 관통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backgrou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a metal layer are disposed on an exterior member used for a front panel which realizes a front appearance of a home appli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ior member for an electric appliance in which a through hole disposed in a metal layer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urned off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attaching a film layer that realizes a tex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공정 오차 및 편차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관통홀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발광소자의 점등시 관통홀을 통해 표시되는 작동 정보의 품질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of a through hole that can reduce the effects of process errors and deviations when forming a through hole in a metal layer,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operation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through hole at the time of ligh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lm layer for realizing color or texture of a front surface of an electronic appliance; a display assembly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There is provided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including a metal layer to be covered.

이 때, 금속층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금속층을 관통하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metal layer passes through the metal layer in a predetermin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in the display assembly, and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a light-permeable ink layer filling the through-hole and the through-hole.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은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게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면 개구부의 형상과 상이한 형태로 광이 출사되거나 광이 불규칙적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metal layer is provided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so that the front opening and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do not exactly coincide with each other, Or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irregularly.

또한,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은 예를 들어,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짐으로써 관통홀의 메움시 잉크의 점도에 영향을 덜 받아 광 투과성의 잉크층이 관통홀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metal layer has a tapered shape or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back surface to the front side of the metal layer, for example, so that the light permeable ink layer is less affected by the viscosity of the ink upon filling of the through hole. It can be effectively filled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in the through ho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은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은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k layer may be pri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by a predetermined height.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ink layer may be printed so as to cover som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while filling the through holes.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층은 적어도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 내 불완전하게 충진된 잉크층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발광소자로부터 관통홀을 향해 조사되는 광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k layer is provided to protrude at least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transmission quality from being degraded by the incompletely filled ink layer in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uiding function of the light.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공정 오차 및 편차 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할 시 금속층의 후면으로 에칭액을 분사하여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through hole in a metal layer by spraying an etchant onto a back surface of a metal layer to reduce influences of process errors and deviations in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metal lay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이 때, 금속층의 후면으로 분사되는 에칭액의 분사 농도, 분사 속도 및 분사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금속층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예를 들어,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injection density, injection speed, injection time, etc. of the etching liquid spray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the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metal layer are formed in a tapered or stepped shape .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에 의해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의 전면이 커버된다. 여기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금속층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관통홀(특히,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은 필름층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surface of a metal layer covering a displa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e disposed is covered by a film layer that implements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ppliance. Her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articularly, the front openings of the through-hol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metal layer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can be covered by the film layer.

이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등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관통홀을 메우는 잉크층과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가전 제품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작동 정보를 나타내게 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에는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고급스럽고 심미감이 뛰어난 가전 제품의 외관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urned on sequentially transmits the ink layer filling the through hole and the film layer, thereby display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ousehold appliance on the front face of the home appliance. However, The front opening of the ho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appearance of a more luxurious and aesthetic consumer electronics produ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금속층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염화제이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층의 전면에 부착된 필름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금속층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필름층을 부착할 필요없이 필름층이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는 금속층에 곧바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film layer adher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layer by using an etching solution of a ferric chloride component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the metal layer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in the metal lay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cess of directly forming the through hole in the metal layer to which the film layer is adhered without forming the through hole in the metal layer and then attaching the film layer thereon.

또한,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로서 사용되기 위한 금속층은 전면에 필름층이 부착되고, 후면에는 금속층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백코팅층이 부착된 상태로 납품된다. 이 때, 금속층의 후면으로부터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을 수행할 때 백코팅층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위치를 마킹함으로써 별도의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 또는 현상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조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다. In general, a metal layer for use as an external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is provided with a film layer on the front side and a back coating layer on the rear side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such as corrosion of the metal layer. At this time, whe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 hole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metal layer is performed, the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back coating layer is marked,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a separate film laminating process or development. Accordingly,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소등(a) 및 점등(b)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 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절단선 12-12'를 따라 절단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8-8'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필름층의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금속층에 형성된 관통홀에 잉크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잉크층의 인쇄시 사용되는 제판의 메쉬와 금속층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1 is lighte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1 is turned off (a) and turned on (b).
4 is a rear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display assembly in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2.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touch sensor assembly, a display cover, a display assembly, a frame display, and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12-12 'of FIG. 2, and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ea A of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cutting line 8-8 'of FIG. 4, and FIGS. 12 and 13 are cross-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k layer is filled in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me appliance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shown in the figure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k layer is filled.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17 to 1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1 and 2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ilm layer of Fig.
23 and 24 show a procedur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5 to 27 show steps of printing an ink layer on through-holes formed in the metal layer.
2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h of the plate making used in printing the ink layer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metal layer.
29 and 30 show a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는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전면 패널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와 전면 패널을 혼용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here is a member which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ppliance and has the same meaning as the front panel.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a front panel may be used in combination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s needed, but this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the same member a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원에서 강판은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에 강성을 제공하는 금속판으로서, 이하에서 강판 또는 금속판으로서 지칭된다. 다만, 강판은 금속판의 전면에 필름층이 부착된 형태의 VCM 강판 또는 PCM 강판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Further, the steel sheet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metal sheet which provides rigidity to an oute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el sheet or a metal sheet. However, the steel sheet may be referred to as a VCM steel sheet or a PCM steel sheet in which a film layer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shee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또한, 이하에서 개시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외장 부재가 적용 가능한 다양한 가전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disclosed below will be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a door of a refrigerat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ances Applicable to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장착되어 내부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여기서, 냉장고 도어(10)는 냉장고(1)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외장 부재를 사용하여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 is formed by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refrigerator door 10 which is installed in a cabinet and opens and closes a storage space therein. Here, the refrigerator door 10 is provided using an exterior member that realizes the color or texture of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

내부 저장 공간은 필요에 따라 좌우 양 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ternal storage space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 or upper and lower portions as necessary. A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10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front of the storage space to open and close the respective spaces. The refrigerator door 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by sliding or rotating, and is configured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 in a closed state.

그리고, 복수(도 1에서 2개)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 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부(11)와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One of the refrigerator doors 10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s 10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portion 11 and the touch operation portion 12 at a height that facilitates user's operation and identification.

표시부(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운전 모드 등)를 외부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표시부(11)는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어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11 is an area for extern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1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operation mode, etc.). The display unit 11 transmits light radi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is displayed in symbols or numbers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는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즉, 표시부(11)가 임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 표시부(11)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치 냉장고 도어(10)에 표시부(11)와 같이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느낄 수 있는 외관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display portion 11 does not appear outside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display section 11 does not need to display an arbitrary operating state, the display section 11 is not observed with the naked eye. Therefore, the refrigerator door 10 has an appearance that can be felt as if the refrigerator 1 is not provided with an arbitrary structure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1, like the display unit 11.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운전 모드 등을 변경하기 위해 터치, 스위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조작하는 부분이다.The touch operation unit 12 is a touch operation, a switch operation, or a button operation for the us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 or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or the like.

터치 조작부(12)는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중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 처리되거나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The touch operation portion 12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sensed can be printed or displayed by a method such as surface processing such as etching.

또한, 터치 조작부(12)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표시부(11)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구비되거나,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캐비닛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touch operation unit 12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10 other than the refrigerator door 10 in which the display unit 11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10 is provid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또한, 터치 조작부(12)는 표시부(11)와 같이 냉장고 도어(10)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operation section 12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visually observed when light is not radiat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like the display section 11.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소등(a) 및 점등(b)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1 is lit,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1 is turned off (a) and turned on (b).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외장 부재(20)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refrigerator door 10 is entirely formed with a front surface by an exterior member 20.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의 외관(색상, 질감 등)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20),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와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 부재(40, 4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The refrigerator door 10 includes an exterior member 20 forming a front surface (color, texture, etc.), a door liner 30 forming a rear exterior appearance, and a decor member (not shown)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40, and 43,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외장 부재(20)는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는 물론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장 부재(20)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에는 지문방지 처리되거나, 특정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terior member 2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may further include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s well as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 front panel for forming the sheathing member 20 may be subjected to a fingerprint prevention process, a specific pattern or pattern may be expressed, and a hairline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texture.

표시부(11)는 외장 부재(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11)는 문자, 숫자, 도형 또는 기호(이하에서 "세그먼트"라 함)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복수의 관통홀(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21)들의 집합은 숫자 "4"의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문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The display portion 11 may be defin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formed in a part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display unit 11 may be composed of a set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punctur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o as to represent letters, numbers, figures or symbo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g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et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may be arranged in the shape of the number "4" And may be arranged to represent a specific symbol, a shape of a pattern, or a character.

표시부(11)는 외장 부재(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관통홀(21)을 투과함으로써 전술한 세그먼트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The display portion 11 is configur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member 20 toward the outsi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 to display the above-described segment.

복수의 관통홀(21)은 하나의 단위 집합을 이루며, 복수의 관통홀(21)을 포함하는 하나의 단위 집합은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하거나 복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예를 들어, 4개의 단위 집합이 사각형의 각 변을 형상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constitute one unit set, and one unit set includ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into a single segment, or a plurality of unit sets may be formed into a single segment (for example, , And a set of four units shapes each side of the rectangle).

또한,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21)들의 단위 집합을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집합을 이루는 복수의 관통홀(21)을 통해 광이 출사되도록 한다.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는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집합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발광소자의 점등에 의해 표시되는 세그먼트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inside the sheathing member 20 emits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constituting one unit set by irradiating light toward a unit set of through holes 21 corresponding thereto. .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sheathing member 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unit set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 As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disposed per one unit set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segment displayed by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improved.

또한,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전체적으로 형상화할 경우, 하나의 단위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는 세그먼트의 충분한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복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상화(예를 들어, 4개의 단위 집합이 사각형의 각 변을 형상화)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가 차지하는 영역은 하나의 단위 집합이 하나의세그먼트를 전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경우보다 작으므로, 하나의 단위집합당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수는 하나로도 충분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one unit set made up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forms one segment as a whole,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per one unit set is arranged in plural to realize a sufficient brightness of the segments Lt; / RTI > However, when a plurality of unit sets form one segment (for example, four unit sets form each side of a rectangle), an area occupied by one segment is a unit set that forms one segment as a whole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per one unit set may be sufficient.

관통홀(21)은 외장 부재(20)의 후면에서 에칭 가공되어 형성되되, 관통홀(21)의 개구된 전면(즉, 전면 개구부)는 외장 부재(20)의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에 의해 차폐된다.The through hole 21 is etched at the back of the sheathing member 20 so that the open front (i.e.,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by the film layer forming the surface of the sheathing member 20 Shielded.

여기서, 필름층은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 투과성을 가진다. 따라서,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외장 부재(20)의 내측이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어둡기 때문에 관통홀(21)은 가려지게 된다. 특히, 필름층의 색상이 다소 진하거나 필름층이 금속 박막층을 포함할 경우, 관통홀(21)은 효과적으로 가리워질 수 있다.Here, the film layer has light transmittance while realiz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inside the sheathing member 20 is turned off, the inside of the sheathing member 20 is relatively darker than the outside, so that the through hole 21 is obscured. In particular, if the hue of the film layer is somewhat darker or if the film layer comprises a metal foil layer, the through hole 21 can be effectively covered.

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의 소등시 표시부(11)를 형성하는 관통홀(21)은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치 외장 부재(20)에 관통홀(21)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느낄 수 있는 외관을 가지게 된다.3 (a), the through hole 21 forming the display portion 11 at the time of turning of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not visually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exterior member 20 has an appearance that allows the exterior member 20 to feel that the through hole 21 does not exis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거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어떤 동작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내측에 실장된 발광소자가 점등될 경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관통홀(2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operation section 12 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inside the exterior member 20 is turned on by an operation that has been set in adva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 때, 발광소자의 선택적인 점등 및 소등에 따라 점등된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세그먼트는 표시되며, 소등된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세그먼트는 비표시됨으로써 특정 세그먼트를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gment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emitting elements which are lit up according to the selective lighting and the light-off of the light-emitting elements are displayed, and the segment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의 선택적인 점등 및 소등에 의해 4, -12℃와 같은 세그먼트의 집합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세그먼트만이 냉장고 도어(10)에 표시되는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of segments such as 4, -12 ° C can be displayed by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a beautiful effect that only a specific segment is displayed on the refrigerator door 10 in a state where a separate display is not visi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obtain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4 is a rear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장 부재(20)는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부재(20)의 전면에는 가전 제품의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이 위치하며,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며, 냉장고 도어(10)의 강성을 제공하는 강판이 위치한다. 강판의 후면에는 강판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백코팅층(232)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exterior member 20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may be bent so as to implement at least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 Further, since the exterior member 2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ior member 20 is formed to have such a thickness that a sufficient strength can be ensured.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film layer for realiz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exterior of the applian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 steel plate that provides rigidity is located. The back surface of the steel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back coating layer 232 to prevent contamination such as corrosion of the steel sheet.

외장 부재(20)의 표시부(11)에는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되며,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는 잉크층(22)이 채워지게 된다. 잉크층(22)은 외장 부재(20)의 전면의 표시부(11)에 대응하는 후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백코팅층(232)이 구비된 경우, 표시부(11)에 대응하는 영역에 한하여 백코팅층(232)이 제거되고,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에 잉크층(22)이 인쇄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11 of the exterio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nd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through holes 21 is filled with the ink layer 22. [ The ink layer 2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11 by a screen printing method or the like. If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onl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11, Layer 22 may be printed.

잉크층(22)은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만을 채우도록 인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메움과 동시에 외장 부재(20)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k layer 22 may be printed so as to fill only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through holes 21, but is preferably pri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s 21 by a predetermined height. 4, the ink layer 22 may be provided to cove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ing member 20 at the same time as filling the through-hole 21. [

즉,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외장 부재(20)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잉크층(22)이 관통홀(21) 내 불완전하게 충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ink layer 22 protrudes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protrudes from the rear open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t the same time covers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yer 22 from being incompletely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

특히, 관통홀(21)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에서 관통홀(21)의 내주면 또는 후면 개구부 등이 매끄럽게 에칭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잉크층(22)을 과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불완전하게 메우는 잉크층(22)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even i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is not smoothly etched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21, since the ink layer 22 can be filled, the through hole 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ink layer 22 that imperfectly fills the ink layer 2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 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isplay assembly in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는 외장 부재(20)와 결합되며, 저장 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라이너(30)는 외장 부재(20)와 결합시 도어 라이너(30)와 외장 부재(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 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5 and 6, the door liner 3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coupled with the exterior member 20 and forms a surface facing inward of the storage space. The door liner 30 is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can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gasket can be placed along the periphery, or a basket or the like can be mounted. The door liner 30 forms a space between the door liner 30 and the sheathing member 20 when the door liner 30 is coupled with the sheathing member 20 and a foam member for form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is filled in the space .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및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frame 1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frame 100 provides a separat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where the foam liquid is not filled and the display cover 200, the display assembly 300,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nd the frame display 400, And the like.

데코 부재(40, 43)는 냉장고 도어(10)의 상부 및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장 부재(20)와 도어 라이너(30)의 결합 후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상단, 하단과 측면에 결합되어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The deco members 40 and 43 form the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upper and lower o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So as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데코 부재(40, 43) 중 냉장고 도어(10) 상단의 데코 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삽입구(41)는 데코 부재(40)를 관통하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또한,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구(41)를 통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삽입구(41)는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decor member 40 at the upper end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mong the decor members 40 and 43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 41 and an insertion port cover 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port 41. The insertion port 41 penetrates through the decor member 40 and communicates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100.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frame 100 through the insertion port 41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ame display 400 when the refrigerator door 10 is assembled. For this purpose, the insertion port 41 is formed to have a size allowing the frame display 400 to pass therethrough, and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display cover 200.

한편, 데코 부재(40)의 일 측에는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 홀을 통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hinge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cor member 40, on which a hinge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mounted. An electric wir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00 through a hinge hole is insert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nic part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 or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signals.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 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 부재(43)에는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냉장고 도어(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한다.The deco member 43 under the refrigerator door 1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handle 44. The door handle 44 is recessed in the form of a pocket so that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rotated. The decor member 43 under the refrigerator door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ever 4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latch assembly 31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45 So that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opened or closed.

외장 부재(2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층(25)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외장 부재(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장 부재(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A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display cover 200 is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display assembly 300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mounted and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by the adhesive layer 25. [ A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cover 200 to detect a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s exterior member 20. [ The display cover 2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xterior member 2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삽입구(4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발광소자의 점등에 의해 출사된 광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표시부(11)의 관통홀(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frame 100 through the insertion port 41 while being mounted on the frame display 400. [ The display assembly 300 is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cover 200 while the frame display 400 is fully inserted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through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unit 11 Passes through the hole (2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7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touch sensor assembly, the display cover, the display assembly, the frame display, and the frame.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외장 부재(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외장 부재(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한다.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프레임(100)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fram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are opened, and forms a space 110 having an opened top surface when attached to the case member 20. To this end, the periphery of the frame 100 except for the upper end thereof is bent toward the sheathing member 20, and the ends thereof are bent outward to form the frame bonding portion 120. The frame adhesive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so that the frame 100 can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heathing member 20.

프레임(100)은 외장 부재(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데코 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은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The frame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40 with the upper end thereof attached to the exterior member 20. [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port 41 and forms a separat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 Accordingly, even when the foamed liquid for form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foamed liquid does not flow into the space inside the frame 100.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의 양 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구비된다.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장 부재(20)을 후방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 plate supporting portion 140 on which the support plate 141 is mounted is provided. The support plate 1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cover 200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cover 200 is mounted to support the exterior member 20 from the rear.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sheathing memb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구비된다. 전선 출입구(15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들과 캐비닛 상의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전선 출입구(150)는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어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n electric wire entry / exit port 150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The wire entrance 15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connecting the electronic parts provided inside the frame 100 and the power supply unit on the cabinet enter and exit. The wire entrance 15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hing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adjacent the hinge hol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프레임(100)의 좌우 양 측에는 구속홈(160)이 구비된다. 구속홈(160)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으로부터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a restricting groove 160 is provided. The restricting groove 160 is provided to insert the restricting portion 230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구속홈(160)의 하부에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구비된다. 커버 지지부(170)는 프레임(100)의 좌우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하게 된다.A cover supporting portion 170 for supporting the display cover 20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play cover 200 is positioned below the restraining groove 160. [ The cover supporting portion 170 protrudes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to support both side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from behind.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외장 부재(20)에 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양 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를 더 포함한다.The display cover 200 is formed of a plate-shaped plastic material and is provided so as to be received in the frame 100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exterior member 20. A restricting portion 230 protruding outwardly and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groove 16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The display cover 200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10 to whic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홀(220)을 포함한다.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될 때 관통홀(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관통하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 또는 복수의 관통홀(21)로 이루어진 단위 집합(세그먼트)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220)이 배치된다.The display co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holes 2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11. The guide hole 22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1 when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That is, the display cover 200 penetrates the display cover 200 in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in the display assembly 300, and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rough the exterior member 20 A plurality of guide holes 220 for guiding a hole 21 or a unit set (segm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re arranged.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세그먼트로 가이드하도록 발광소자와 관통홀(21)을 연통하며, 가이드홀(220)은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le 220 communicates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through hole 21 so a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display assembly 300 into a segment and the guide hole 220 communicates with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gment Or the lik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실장된 기판(310)과 기판(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한다. 기판(310)에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가 실장된다. 센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외장 부재(20)의 조작 신호를 기판(310) 상에서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미도시)와 기판(310)은 케이블 커넥터(600) 등과 같은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된다.The display assembly 300 includes a substrate 310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mounted and a reflector 320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310. The substrate 310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nd a sensor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The sensor control unit process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exterior member 20 sensed throug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on the substrate 310. To this end, the sensor package (not shown) inside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nd the substrat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nection means such as a cable connector 600 or the like.

케이블 커넥터(60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커넥터(610) 및 기판(310)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커넥터(620)를 포함하며, 제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10)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2 케이블 커넥터(620)는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able connector 600 includes a first cable connector 610 connected to the sensor package inside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nd a second cable connector 620 connected to the board 310.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isplay assembly 300 on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overall length of the cable connector 60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to the insertion port 41 so that the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41 is increased in a state where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 So that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mounted.

기판(310)의 전면에는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리플렉터(320)는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리플렉터(320) 자체의 두께만큼 기판(310) 및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외장 부재(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기판(310)과 기판(310)에 실장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reflector 3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310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ward the guide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through hole 21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reflector 320 not only guid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but also allows the substrate 310 and the display terminal 311 to be separated from the sheathing member 20 by the thickness of the reflector 320 itself.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substrate 310 and the substrate 310 from being damaged by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outside.

특히, 외장 부재(20)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경우, 가전 제품의 사용 중 정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320)에 의해 기판(310)과 외장 부재(20)가 구조적으로 이격될 경우, 기판(310)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320)는 광 반사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내주면이 광 반사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발광소자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에 이르는 동안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exterior member 20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11, static electricity can easily occur during use of the household appliance. Therefore, when the substrate 310 and the exterior member 20 are structu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reflector 320, the substrate 310 can be protected. The reflector 320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or at lea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may be coa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to reflect light emitt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reflective element 320 to the guide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

리플렉터(320)에는 기판(310)에 실장된 발광소자의 위치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과 연통될 수 있는 보조 관통홀(321)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되며, 관통홀(21), 가이드홀(220) 및 보조 관통홀(321)은 모두 서로 이격되는 공간없이 밀착되어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외장 부재(20)의 내측에서 손실됨없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flector 320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on the substrate 310 and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through hole 342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guide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through hole 21 of the sheathing member 20 A hole 321 is provided. The frame display 400 is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with the display assembly 300 mounted thereon and the through hole 21, the guide hole 220 and the auxiliary through hole 321 are al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lost inside the sheathing member (2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는 기판(310)이 장착되기 위한 판상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기판(31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양 측단에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다.The frame display 400 has a plate-like structure for mounting the substrate 310 and a frame 410 that is bent fron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ame display 400 is forme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substrate 310 . In addition, sliding insert portions 415 which are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display 400 an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s 240 provided on the display cover 200. Accordingly, the frame display 400 is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by the sliding insertion portion 415. [

또한,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프레임 핸들(420)은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적절한 길이를 가진다.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삽입구 커버(42)는 프레임 핸들(420)과 접하게 된다.In addition, a frame handle 42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display 40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frame handle 420 is a portion for the user to hold and operate when the frame display 400 is coupled to the display cover 200 and has a suitable length for the user to grasp. When the insertion opening cover 42 is closed with the frame display 400 fully inserted, the insertion opening cover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ame handle 420.

도 8은 도 2의 절단선 12-12'를 따라 절단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door taken along a cutting line 12-12 'of FIG. 2,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A of FIG. 8,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접착 부재(25)에 의해 외장 부재(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관통홀(21)과 가이드홀(220)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가이드홀(220)은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을 관통홀(21)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관통홀(21)의 크기는 가이드홀(2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관통홀(21)들은 하나의 가이드홀(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하나의 가이드홀(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21)은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홀(220)의 후면에 배치된 발광소자(313)가 점등할 경우, 가이드홀(220)은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을 하나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홀(21)로 균일하게 가이드함으로써 외장 부재(20)에 표시되는 세그먼트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8 to 10, the through hole 21 and the guide hole 2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by the adhesive member 25, . Here, the guide hole 220 serve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to the through hole 21. Th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guide holes 220 so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r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one guide hole 220,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21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through-hole 220 may form one segment. Accordingly,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hole 220 is lit, the guide hole 220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the segments displayed on the exterior member 20 can improve the display quality.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보조 관통홀(321)은 가이드홀(220)과 서로 일치하도록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홀(220)과 보조 관통홀(32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리플렉터(32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홀(220)과 보조 관통홀(321)이 서로 완전히 중첩된다.The auxiliary through hole 321 is communicated with the guide hole 220 in a state where the frame display 400 is fully inserted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cover 200. The guide hole 220 and the auxiliary through hole 321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the reflector 3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00 to form the guide hole 220 and the auxiliary through hole 321, Are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보조 관통홀(321), 가이드홀(220) 및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관통홀(21)은 모두 밀착된 상태로 연통되며,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 손실이 최소로 된 상태에서 보조 관통홀(321), 가이드홀(220) 및 관통홀(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방출된다.Accordingly, the auxiliary through-hole 321, the guide hole 220, and at least one, and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s 21 are all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he guide hole 220, and the through hole 2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this state.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리플렉터(320)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역할을 대체함으로써 리플렉터(320)의 전면에 외장 부재(20)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외장 부재(20)와 리플렉터(320) 사이에 정전기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외장 부재(20)와 리플렉터(320) 사이에 절연층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variant of the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exterior member 20 to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eflector 320 by replacing the role of the display cover 200 with the reflector 320 of the display assembly 300. At this time, an insulating lay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exterior member 20 and the reflector 320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exterior member 20 and the reflector 320.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8-8'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cutting line 8-8 'of FIG. 4, and FIGS. 12 and 13 are cross-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금속층(231)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된 강판(23)에서 금속층(231)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된다.11 to 13, a metal layer 231 is formed on the metal layer 231 in the steel sheet 23 having the film layer 235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이 때,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은 적어도 0.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0 mm로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층(231)의 두께(l1)는 관통홀(21)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공정에 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0.1 mm 내지 0.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of the two neighboring through holes 21 can be ensured to be at least 0.1 mm or more, preferably 0.2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3 mm to 1.0 mm. Here, the thickness 11 of the metal layer 231 is preferably 0.1 mm to 0.5 mm in view of accuracy and the like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hole 21.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0.2 mm 미만인 경우,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너무 가까워 외부에서 두 관통홀(21)을 통해 광이 방출될 경우 두 관통홀(21)간 구분이 불명확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두 관통홀(21)이 서로 연결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1)이 0.7 mm를 초과할 경우, 두 관통홀(21)간 거리가 너무 멀어 관통홀(21)에 의해 표시되는 세그먼트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of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21 is less than 0.2 mm, 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is too close to allow light to be e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2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hrough holes 21 becomes unclear.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is too narrow, a defect may occur that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rough holes 2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of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21 exceeds 0.7 mm,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hrough holes 21 is too large, There is a fear that the quality is deteriorated.

또한,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은 적어도 0.0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mm 이상 내지 0.5 mm로 확보될 수 있다.Further, the distance d2 between the rear openings of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21 can be ensured to be at least 0.01 mm or more, preferably 0.05 mm or more to 0.5 mm or so.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0.05 mm 미만인 경우,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두 관통홀(21)이 서로 연결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서로 이웃한 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d2)이 0.5 mm를 초과할 경우, 두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적정 간격(d1)을 확보하기 위해 관통홀(21)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rear openings of the neighboring two through holes 21 is less than 0.05 mm, the distance d2 between the rear openings is too narrow. Therefor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rough holes 21, The through holes 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cure the proper distance d1 between the front openings of the two through holes 21 whe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rear openings of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21 exceeds 0.5 m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optical fiber 21 becomes unnecessarily lar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과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이 상이하도록 금속층(23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through the metal layer 231 such that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is different from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

이 때,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d3)이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d4)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d3)은 0.2 mm 내지 0.6 mm일 수 있으며,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d4)은 0.3 mm 내지 0.7 mm일 수 있다.The through hole 21 preferably has a width d3 of the fron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smaller than a width d4 of the rear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 The width d3 of the fron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may be 0.2 mm to 0.6 mm and the width d4 of the rear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may be 0.3 mm to 0.7 mm. have.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은 전면 개구부의 폭(d3)이 후면 개구부의 폭(d4)보다 작게 구비됨에 따라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와 후면 개구부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전면 개구부의 형상과 상이한 형태로 광이 출사되거나 광이 불규칙적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1 penetrating through the metal layer 231 is formed to have the width d3 of the front opening smaller than the width d4 of the rear opening so that the front opening and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do not exactly coincid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light can be emit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ont opening, and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rregularly emitted.

또한,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은 예를 들어, 금속층(231)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관통홀(21)은 금속층(231)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필름층(235)과 인접한 영역에서 관통홀(21)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금속층(23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21)의 폭이 금속층(23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않고, 금속층(231)의 후면보다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폭이 작도록 함으로써 관통홀(21)의 메움시 잉크의 점도에 따른 영향을 덜 받아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이 관통홀(21)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1)이 금속층(23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경우에 비해 관통홀(21)의 내주면과 잉크층(2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관통홀(21)과 잉크층(2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관통홀(21)로부터 잉크층(22)이 누설 내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hrough hole 21 passing through the metal layer 231 may have a tapered shape or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for examp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the through hole 21 vertically penetrates the metal layer 231, and as a result, as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21 becomes narrower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film layer 235,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21 is not constan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layer 231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ear surface, Permeable ink layer 22 can be effectively filled without forming a void space in the through-hole 21, because the ink layer 22 is less influenced by the viscosity of the ink layer 22.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k layer 22 is increased so that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k layer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hrough hole 21 and the metal layer 2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ink layer 22 is leaked or separated from the through-hole 21.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잉크층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k layer is filled in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me appliance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shown in the figure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k layer is filled.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l2)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될 수 있다. 이 때,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으로부터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잉크층(22)과 다른 부재의 접촉 또는 마찰 등에 의해 잉크층(22)이 관통홀(21)로부터 누설 내지 이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금속층(231)과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써 관통홀(21) 내 잉크층(2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14 and 15, the ink layer 22 may be pri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by a predetermined height 12.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ink layer 22 may be print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while filling the through-hole 21. The ink layer 22 has a convex shap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so that the ink layer 22 is leaked from the through hole 21 by contact or friction between the ink layer 22 and another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ation. The ink layer 22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metal layer 231 is increased so that the ink layer 22 in the through hole 21 is stably supported .

즉,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됨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도 동시에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잉크층(22)이 관통홀(21) 내 불완전하게 충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관통홀(21)을 향해 조사되는 광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ink layer 22 protrudes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protrudes from the rear open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t the same time covers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mplete filling of the through-holes 21 in the through-holes 21. In addition, it can serve as a guide fo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ward the through hole 21. [

특히, 관통홀(21)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에서 관통홀(21)의 내주면 또는 후면 개구부 등이 매끄럽게 에칭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잉크층(22)을 과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홀(21)을 불완전하게 메우는 잉크층(22)에 의해 광 투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even i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is not smoothly etched in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21, since the ink layer 22 can be filled, the through hole 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ink layer 22 that imperfectly fills the ink layer 22.

또한, 잉크층(22)이 관통홀(21)을 채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을 커버함으로써 금속층(231)의 후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부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backside of the metal layer 231 from being corroded by contact with the air or moisture by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while filling the through hole 21 with the ink layer 22. [

이러한 잉크층(22)이 돌출되는 높이(l2)는 강판(23)의 후면으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과도한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0.1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12 at which the ink layer 22 protrudes is preferably at least 0.1 mm or less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separation from occurring with the display cove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plate 23. [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며,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커버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S. 17 to 19 are views showing an external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cover, and a display assembly.

우선, 도 16을 참조하면, 발광소자(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221)를 통해 서로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접착 부재(221)에 의해 생긴 틈새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사이의 간격은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이다.16, a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a display assembly 300 on which a light emitting device 313 is mounted.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member 221 such as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The display cover 200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from leaking through a gap created by the adhesive member 221. [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0.5 mm or less, preferably 0.3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1 mm or less.

도 17을 참조하면, 금속층(231)의 전면에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금속층(231)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313)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된다. 복수의 관통홀(21)에는 각각 잉크층(22)이 충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와 디스플레이 커버(200) 및 외장 부재(20)를 구조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리플렉터(320)는 광 반사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내주면이 광 반사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발광소자(313)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에 이르는 동안 광이 손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플렉터(320)는 발광소자(313)의 실장 위치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가이드홀(220)과 외장 부재(20)의 관통홀(21)과 연통될 수 있는 보조 관통홀(321)을 포함한다.17, a film layer 23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to realize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appliances. A display assembly 23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r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3 mounted on the substrate 300.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is filled with an ink layer 22. The display assembly 300 is also provided with a reflector 320 for structurally separating the display assembly 300 from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sheathing member 20. The reflector 320 is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or at lea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oa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to reflect light emitt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reflective element 313 to reach at least the guide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The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For this, the reflector 320 corresponds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and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through hole 341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guide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through hole 21 of the exterior member 20 Hole < / RTI >

금속층(231)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에는 정전기 방지뿐만 아니라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확산되어 복수의 관통홀(21)에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는 광 경로의 확보 등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의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개재된다.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리플렉터(320)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사이의 간격은 0.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이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is diffused between the metal layer 231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and to secure a light path that can uniformly reac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 A plastic display cover 200 is interposed. The metal layer 231 and the display cover 200,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or the reflector 320 of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from leaking through the metal layer 231 and the display cover 200 and between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The distance between the cover 200,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0.5 mm or less, preferably 0.3 mm or less, more preferably 0.1 mm or less.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전면으로는 복수의 관통홀(21), 후면으로는 발광소자(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홀(220)이 구비된다. 가이드홀(22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실장된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복수의 관통홀(21)에 채워진 인쇄층(22)을 투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play cov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t the front surface and a guide hole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313 at the rear surface. The guide hole 220 serve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313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300 to pass through the print layer 22 fill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

이 때, 가이드홀(220)의 내주면은 반사성 소재로 코팅됨으로써 가이드홀(220)을 다양한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을 반사시켜 광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220 is coated with the reflective material, thereby allow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220 to pass in various directions, thereby reducing light loss.

여기서, 가이드홀(220)은 가이드홀(220)을 통과하는 광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홀(220)의 전면 개구부의 폭(d5)은 후면 개구부의 폭(d6)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홀(220)의 후면 개구부측에서 광이 불필요하게 반사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hole 220 vertically penetrates at least the display cover 200 to reduce the los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220. The width d5 of the front opening of the guide hole 220 is greater than the width d6 of the rear opening so that unnecessary reflection or loss of light at the rear opening of the guide hole 220 can be prevented .

도 18을 참조하면,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 사이에는 광 확산 시트(28)가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 light diffusion sheet 28 may be attached between the metal layer 231 and the display cover 200.

광 확산 시트(28)는 발광소자(313)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관통홀(21)를 통과하는 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표시되는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 등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 확산 시트(28)를 구비함으로써 광 경로가 짧은 경우에도 충분한 광 확산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광 확산 시트(28)는 금속층(231)과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사이를 통해 발광소자(313)로부터 출사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diffusion sheet 28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and disperse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 evenly so as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displayed numbers, characters, figures, . Further, by providing the light diffusion sheet 28,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 light diffusion effect even when the light path is short, so tha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cover 200 can be made thinner. The light diffusion sheet 28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5 mm or less in order to prev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3 from leak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etal layer 231 and the display cover 200. [

나아가, 도 19를 참조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예보다 리플렉터(320)를 두껍게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생략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생략함으로써 짧아진 광 경로는 광 확산 시트(28)에 의해 충분히 보상될 수 있다.19, it is possible to form the reflector 320 thicker than the example shown in FIGS. 17 and 18, and to omit the display cover 200. FIG. The shortened light path can be sufficiently compensated by the light diffusing sheet 28 by omitting the display cover 200.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의 절개 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된 외장 부재에 사용된 강판(23)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필름층을 사용하는 VCM 타입 또는 도료층을 사용하는 PCM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steel sheet 23 used in the exterior member shown in Fig. 20 can be provided in a PCM type using a VCM type or a paint layer using a film layer to realize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household appliance.

이하에서는, VCM 타입의 강판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VCM type steel sheet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부재(20)는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 투과성의 필름층(235)과 필름층(235)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313)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커버하는 강판(23)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light-transmissive film layer 235 and the film layer 235 while simultaneously realiz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ppliance, And a steel plate 23 covering the display assembly 300 in which the display panels 300 and 313 are disposed.

여기서, 강판(23)은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그 자체를 의미하거나,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에 해당하는 금속층(231)을 기준으로 전면에 화학적 세척(산 또는 염기 처리)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 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234) 및 필름층(235)을 포함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eel sheet 23 refers to a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GI or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EGI or a metal layer 231 corresponding to a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GI or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EGI, (Acid or base treatment) or coating treatment on the entire surface on the basis of the primer layer 234 and the primer layer 234 and the film layer 235 as an adhesive layer.

프라이머층(234)의 전면으로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금속층(231)의 후면으로 금속층(231)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코팅층(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백코팅층(232)은 외장 부재(20)의 후면을 형성하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함으로써 금속층(231)이 수분 또는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A film layer 23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rimer layer 234 to realize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is covered with a back layer 231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such as corrosion of the metal layer 231 A coating layer 232 is formed.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20 and contact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fi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0 to prevent the metal layer 231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moisture or air.

이에 따라, 금속층(231)에 관통홀(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층(231)의 후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제거하여 금속층(231)의 후면을 노출시킨 후 소정의 영역에서 에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form the through hole 21 in the metal layer 231, a part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is removed to expose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

이어서,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이 완료되어 관통홀(21)이 형성된 경우, 관통홀(21)이 배치된 금속층(231)의 후면으로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을 인쇄하여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내측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통홀(21)의 내측면의 오염을 방지하며,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를 차폐하는 필름층(235)을 후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n, when the etching of the metal layer 231 is completed and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the light transmitting ink layer 22 is pri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on which the through hole 21 is disposed, 21). The ink layer 22 prevent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from being in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thereby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from being contaminated, Layer 235 from the backside.

또한, 잉크층(22)은 금속층(231)의 후면으로부터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함으로써 백코팅층(232)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k layer 22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by printing so as to cover the area where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VCM 타입으로 제공되는 외장 부재(20)에는 PVC 타입과 PVC-free 타입의 필름층(235)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VC-type and PVC-free type film layers 235 may be used for the covering member 20 provided in the VCM type.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VCM 타입으로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에 사용된 필름층의 단면도이다.Figs. 21 and 22 are sectional views of a film layer used in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the VCM type of Fig.

도 21은 PVC-free 타입의 필름층(235)으로서, 금속층(231) 또는 선택적으로 전처리층(233) 또는 프라이머층(234)과 접하는 제1 접착제층(235a),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는 도료층(235b), 금속 박막층(235d)과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질감을 결정하는 패턴층(235f)이 순차적으로 증착 또는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21 shows a PVC-free type film layer 235 which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235a contacting the metal layer 231 or optionally the pretreatment layer 233 or the primer layer 234, And a pattern layer 235f for determining the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appliance are sequentially deposited or adhered to the metal foil layer 235d and the metal foil layer 235d.

필름층(235)은 프라이머층(234) 또는 접착제층(235a)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두 층 모두 금속층(231)과 필름층(235)의 나머지 층들을 견고히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접착제층(235a)로는 다양한 열 또는 광 경화성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lm layer 235 optionally includes a primer layer 234 or an adhesive layer 235a and both layers serve to securely adhere the metal layer 231 and the remaining layers of the film layer 235. As the first adhesive layer 235a, various heat or photocurable resin adhesives may be used.

도료층(235b)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도료가 선택적으로 포함된 수지층으로서, 도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은 금속 박막층(235d)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필름층(235)은 금속 박막층(235d)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 박막층(235d)이 포함된 경우, 금속 박막층(235d)과 다른 층들 사이의 견고한 접착을 위해 도료층(235b)과 금속 박막층(235d) 사이 또는 금속 박막층(235d)과 패턴층 사이(235f)에는 접착제층(235c, 235e)이 배치될 수 있다.The paint layer 235b is a resin layer optionally containing a paint to determine the hu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ppliance. If the paint is not included, the colo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ppliance will be determined by the metal thin layer 235d . The film layer 235 may selectively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235d and may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235d and a metal layer 235b for solid adhesion between the metal thin film layer 235d and other layers. Adhesive layers 235c and 235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n film layer 235d or between the metal thin film layer 235d and the pattern layer 235f.

추가적으로,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에 특정 질감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 금속 박막층(235d)의 전면에 사피아노, 헤어라인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이 임프린팅된 패턴층(235f)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f a specific texture is desired to b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ehold appliance, a pattern layer 235f im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such as a piano, a hair line, and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235d.

패턴층(235f)은 PET 필름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패턴을 임프린팅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에 모두 패턴이 임프린팅될 경우, 전면과 후면에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패턴을 임프린팅할 수 있다.The pattern layer 235f may be provided by imprinting a pattern on at least one side select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ET film. When the pattern is imprinted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he pattern can be imprinted.

예를 들어, 전면에는 가죽과 같은 촉감을 제공하는 사피아노 패턴을 임프린팅하고 후면에는 헤어라인 패턴을 임프린팅함으로써 다양한 감각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고급스러움과 심미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itate a piano pattern that provides a touch like leather on the front side and imprint the hairline pattern on the rear side to achieve a sense of luxury and aesthetic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various senses.

도 22는 PVC 타입의 필름층(235)으로서, 금속층(231) 또는 선택적으로 전처리층(233) 또는 프라이머층(234)과 접하는 PVC층(235g), 금속 박막층(235d)과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질감을 결정하는 패턴층(235f)이 순차적으로 증착 또는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22 shows a PVC-type film layer 235 which includes a PVC layer 235g in contact with a metal layer 231 or optionally a pretreatment layer 233 or primer layer 234, a metal foil layer 235d, And a pattern layer 235f for determining the texture of the substrate 235 are sequentially deposited or attached.

PVC층(235g)은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도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도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은 금속 박막층(235d)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The PVC layer 235g may optionally include a paint to determine the color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appliance, and if the paint is not included, the color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appliance may be determined by the metal foil layer 235d.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용 외장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23 and 24 show a procedur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우선, 전면에는 가전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235)이 부착되며, 후면에는 금속층의 부식 등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코팅층(232)이 부착된 강판(23)을 포함하는 외장 부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S110).23 and 24, a film layer 235 for realiz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and a back coating layer 232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such as corrosion of the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 Is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supplied (S110).

강판(23)은 표면의 이물질 제거 및 평탄화 등을 위해 산 또는 염기성 용액으로 전처리될 수 있다.The steel sheet 23 can be pretreated with an acidic or basic solu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planarizing the surface.

이어서, 강판(23)의 후면에 부착된 백코팅층(232)의 일부 영역(즉, 관통홀(21)이 형성될 영역)은 레이저 조사 장치(2)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를 통해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23)의 후면 중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부분은 금속층(231)이 노출된 상태로 존재한다(S120).Subsequently, a part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that is, a region where the through hole 21 is to be formed) is irradiated with laser light from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Can be removed from the rear surface. Accordingly, the metal layer 231 is exposed in a portion where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S120).

이어서, 백코팅층(232)이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에 감광성 수지(26)를 라미네이팅한 후 선택적 경화를 위해 감광성 수지(26) 위로 복수의 홀이 패터닝된 마스킹 필름(27)을 위치시킨다(S130, S140). 이어서, 마스킹 필름의 홀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이 조사된 감광성 수지(26)를 선택적으로 경화시킨다.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then removed to laminate the photosensitive resin 26 on the exposed metal layer 231 and the masking film 27 having a plurality of holes patterned thereon is placed on the photosensitive resin 26 for selective curing (S130, S140). T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hrough the holes of the masking film to selectively cure the photosensitive resin 26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노광에 의해 감광성 수지(26)의 경화가 완료된 후, 마스킹 필름(27)을 제거하고, 미경화된 감광성 수지는 현상 처리를 통해 제거한다(S150). 이에 따라, 백코팅층(232)이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의 전면에는 감광성 수지(26)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도록 경화된 상태로 존재한다. After the curing of the photosensitive resin 26 is completed by exposure, the masking film 27 is removed, and the uncured photosensitive resin is removed through development processing (S150). Thus,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so that the photosensitive resin 26 is cur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xposed metal layer 231.

또한, 감광성 수지(26)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여전히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는 금속층(231)은 관통홀(2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된다(S150). 현상이 완료된 후, 감광성 수지(26) 내 미세 기포를 제거하거나, 감광성 수지(26)와 금속층(231)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metal layer 231, which is still exposed in the absenc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26,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S150). After the development is completed, heat treatm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to remove fine bubbles in the photosensitive resin 26 or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26 and the metal layer 231. [

이어서, 감광성 수지(26)의 부분 현상 후, 감광성 수지(26), 필름층(235), 백코팅층(232)과의 미반응성인 에칭액을 분사함으로써 감광성 수지(26)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을 수행한다(S160). 이러한, 에칭액으로는 염화제이철(FeCl3) 등이 사용될 수 있다.Subsequently, after the partial development of the photosensitive resin 26, an etching solution which is not reactive with the photosensitive resin 26, the film layer 235, and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sprayed to form a metal layer (not covered by the photosensitive resin 26) 231 are etched (S160). As the etching solution, ferric chloride (FeCl 3 ) or the like may be use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은 금속층(231)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금속층(231)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층(231)의 전면에 부착된 필름층(235)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tchant such as ferric chloride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by using an etchant such as ferric chloride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the metal layer 231 during an etching process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metal layer 2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attached film layer 235.

예를 들어, 필름층(235)이 PVC-free 타입의 필름층인 경우, 프라이머층(234) 및 제1 접착제층(235a)은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에 대하여 반응성이 없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금속층(231)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에칭 공정시 에칭액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층(235)이 PVC 타입의 필름층인 경우, 프라이머층(234) 및 PVC층(235g)은 염화제이철 등과 같은 에칭액에 대하여 반응성이 없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에칭 공정시 에칭액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lm layer 235 is a PVC-free type film layer, the primer layer 234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35a are formed of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not reactive with an etchant such as ferric chlorid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tching liquid during the etching process of forming the through hole in the through hole 231. In the case where the film layer 235 is a PVC type film layer, the primer layer 234 and the PVC layer 235g are formed of a resin composition which is not reactive with an etching solution such as ferric chloride or the like, .

이 때, 에칭에 사용되는 에칭액의 농도, 에칭액의 분사 속도 또는 에칭액에 대한 노출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금속층(231)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노출된 금속층(231)의 크기보다 작은 마스크를 덧대어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의 폭이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tching liquid used for etching, the jetting rate of the etching liquid, or the exposure time for the etching liquid,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passing through the metal layer 231 is mad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 Alternatively, a mask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xposed metal layer 231 may be deposited and etched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에칭이 완료된 후, 금속층(231)으로부터 감광성 수지(26)를 제거하고,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메우도록 잉크층(22)을 인쇄하는 공정이 수행된다(S170).After the etching is completed, a step of removing the photosensitive resin 26 from the metal layer 231 and printing the ink layer 22 so as to fill the void formed by the through hole 21 is performed (S170).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홀(21)은 적어도 강판(23) 또는 금속층(231)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 또는 계단 형상을 가지므로, 스크린 인쇄를 통해 관통홀(21)로 잉크를 흘려보낼 경우, 중력에 의해 필름층(235)과 맞닿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부터 충분히 채워질 수 있다. 특히, 관통홀(21)의 충진을 위해 사용되는 잉크의 경우, 소정의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통홀(21)이 수직으로 관통된 경우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내에 균일하게 충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21)은 경사진 형태를 취함으로써, 스크린 인쇄를 통한 잉크의 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ough hole 21 has a tapered shape or a stepp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t least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or the metal layer 231, 21, the ink can be sufficiently fill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which abuts the film layer 235 by gravit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ink used for filling the through hole 21, since the ink has a predetermined viscosity, when the through hole 21 is vertically penetrated, the ink is uniformly filled in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through hole 21 It can happen.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21 has an advantage in that filling efficiency of ink through screen printing can be improved by adopting an inclined shape.

잉크층(22)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로는 아크릴 수지계 잉크 등과 같이 열 건조 방식의 인쇄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ink used for forming the ink layer 22, a thermal drying type printing ink such as an acrylic resin type ink may be used.

또한, 스크린 인쇄에 의한 잉크층(22)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는 20,000 cps 내지 4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20,000 cps 보다 작을 경우, 정상 조건에서 잉크의 충분한 점도가 확보되기 어려워 공정 중 관통홀(21)로부터 잉크가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잉크이 누설되어 관통홀(21)이 충분히 메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속 공정이 진행된 경우, 관통홀(21)의 부식 또는 관통홀(21)을 투과하는 광의 표시 품질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점도가 40,000 cps 보다 클 경우, 미세한 크기의 관통홀(21)의 내부에 잉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Further, the ink used for forming the ink layer 22 by screen printing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20,000 cps to 40,000 cps. If it is smaller than 20,000 cps of the ink used for screen print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k will leak from the through hole 21 during the proces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viscosity of the ink under normal conditions. Accordingly, when the subsequent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ink is leaked and the through hole 21 is not sufficiently fill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 or the through hole 21 is lowered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cosity of the ink used for screen printing is larger than 40,000 cp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k is not sufficiently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of a minute size.

추가적으로,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전체 잉크의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잉크가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관통홀(21)에 채워진 잉크층(22) 내 고르게 분산되어 광이 잉크층(22)을 통과할 경우 광 산란 효과를 부여하여 관통홀(21)을 통해 방출된 광의 휘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used for screen printing further contains 1 to 5% by weight of silica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total ink. The silica is dispersed evenly in the ink layer 22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so that the light has a light scattering effect when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ink layer 22 so that the through hole 21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layer.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를 통해 필름층(235)과 맞닿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잉크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관통홀(21)의 내주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통홀(21)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1)에 채워진 잉크층(22)에 의해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를 차폐하는 필름층(235)은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The ink is filled from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m layer 235 through the screen printing using the ink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is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by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hole 21. The film layer 235 which shields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by the ink layer 22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can be supported from behind.

또한, 잉크층(22)은 관통홀(21)을 완전히 메움과 동시에 금속층(231)의 후면 중 일부 영역(즉,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관통홀(21)에 잉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음으로써 관통홀(21)을 투과하는 광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22)이 제거된 백코팅층(232)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노출된 금속층(231)의 후면이 공기 또는 수분과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k layer 22 is preferably printed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through hole 21 and to cove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that is, the area where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Do. Accordingly, since the ink is not sufficiently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rom deteriorating. Further, the back layer of the exposed metal layer 2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and being corroded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with the ink layer 22 removed.

도 25 내지 도 27은 강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잉크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25 to 27 show steps of printing an ink layer on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steel sheet.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관통홀(21)이 형성된 강판(23)은 필름층(235)에 의해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이며, 후면 개구부는 개방된 상태를 취함으로써, 후면 개구부를 통해 잉크층(22)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가 수용될 수 있다.25 to 27, the steel sheet 23 having the through holes 21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penings of the through holes 21 are shielded by the film layer 235 and the rear openings are opened The ink for forming the ink layer 22 through the rear opening can be received.

이 때, 스크린 인쇄 전 관통홀(21)의 형성된 강판(23)을 예열한 후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71, S172). 강판이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경우, 금속층(231)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되어 인쇄되는 잉크에 대한 표면 장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바, 관통홀(21)의 전면 개구부부터 잉크를 충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금속층(231)으로 잉크를 인쇄할 경우, 잉크의 점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지게 됨으로써 금속층(231)의 표면과 관통홀(21) 내에서의 잉크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creen printing after preheating the steel plate 23 formed in the through-hole 21 before the screen printing (S171, S172). When the steel sheet is pre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surface energy of the metal layer 231 is reduced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ink to be printed, so that the ink can be sufficiently filled from the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 When the ink is printed with the metal layer 231 pre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viscosity of the ink temporarily decreases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ink i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231 and the through hole 21 It is possible.

스크린 인쇄가 완료된 후 열 건조를 하면 잉크의 점도가 다시 회복되어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경화된 잉크층(22)을 형성하게 된다.If the drying is performed after the screen printing is completed, the viscosity of the ink is recovered again to deteriorate the fluidity, resulting in a stable cured ink layer 22.

도 27을 참조하면, 관통홀(21)이 형성된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스크린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process of screen print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having the through-holes 21 can be confirmed in detail.

예열된 강판(23)은 필름층(235)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어서, 관통홀(21)이 모두 제판(51)의 메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메쉬를 통해 잉크를 흘러내리게 하여 관통홀(21)에 잉크를 채워넣게 된다.The preheated steel sheet 23 is disposed such that the film layer 235 faces downward, so that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faces upward. Then, the ink is filled in the through hole 21 by letting the ink flow down through the mesh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holes 21 are all located under the mesh of the plate 51.

또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층(22)은 관통홀(21)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거나 강판(23)의 후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잉크층(2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잉크층(22)의 두께는 잉크층(22)을 통해 광이 측면 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k layer 22 formed by screen printing is filled with the through hole 21 and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pening of the rea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or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plate 23 The ink layer 22 may be further formed.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ink layer 22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is preferably such that light does not leak through the ink layer 22 in the lateral direction.

도 28은 잉크층의 인쇄시 사용되는 제판의 메쉬와 강판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2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mesh of a plate making used in printing an ink layer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eel plate.

스크린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제판(51)은 패턴의 인쇄를 위한 스크린 인쇄시와 달리 관통홀(21) 내에 잉크을 채우는 것이 관건이므로, 관통홀(21) 하나에 대한 메쉬수가 일반적인 스크린 제판에 비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도록 45°견장각을 가지는 제판(5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Unlike the screen printing for printing a pattern, the plate 51 used for screen printing is important to fill ink in the through hole 21, so that the number of meshes for one through hole 21 is larger than that of a general screen plate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te 51 having a 45 ° string angle.

도 28을 참조하면, 제판(51)에 형성된 메쉬(55)의 견장각은 45°로서, 관통홀(21) 하나에 총 13칸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비하여 관통홀(21) 내부에 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다.28, the string 55 formed on the plate 51 has a string angle of 45 degrees, which allows a total of 13 squares of the mesh 55 to be arranged in one of the through holes 2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ill the ink inside the through hole 21.

또한, 제판(51)은 강판(23)의 후면과 약 5 mm 이내로 인접하도록 안착시킴으로써 스크린 인쇄시 제판(51)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인쇄시 강판(23)의 후면과 벌어지는 틈을 최소화함으로써 관통홀(21) 내부에 잉크를 균일하게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ate 51 is seat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plate 23 within about 5 mm, thereby preventing the plate 51 from being heard during screen print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iformly fill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21 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plate 23 and the screen during printing.

스크린 인쇄시 제판(51)의 상부로는 물리적인 힘으로 관통홀(21) 내부로 잉크를 채워넣기 위한 스퀴즈(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판(51)에 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스퀴즈(52)는 제판(51)을 가압하면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잉크는 제판(51)의 메쉬(55)를 통과하여 관통홀(21) 내로 충진된다. 이 때, 제판(51)과 접촉하는 스퀴즈(52)의 단부(53)는 라운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판(51)의 메쉬(55)를 통한 잉크의 내림량을 증가시켜 관통홀(21) 내부에 스크린 인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squeeze 52 for filling ink into the through hole 21 with a physical for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51 at the time of screen printing. The squeeze 52 moves while pressing the plate 51 while the ink is supplied to the plate 51 so that the ink passes through the mesh 55 of the plate 51 and is filled into the through hole 21 .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53 of the squeeze 5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51, has a round shape to increase the amount of ink falling through the mesh 55 of the plate 51, The efficiency of screen printing can be improved.

또한, 스퀴즈(52)는 지지 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54)는 스퀴즈(52)의 일 측에 부착되며, 스퀴즈(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지지 부재(54)는 탄성 소재의 스퀴즈(52)가 물리적인 힘을 가한 상태로 제판(51)의 상부에서 이동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스퀴즈(5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 인쇄의 신뢰성 및 재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54)는 필요에 따라 스퀴즈(5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고강도의 철판이 아닌 다른 소재 또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squeezing member 52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54. The support member 54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queeze 52 and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queeze 52. The support member 54 serves to support the squeeze 52 to prevent deformation that may occur when the squeeze 52 of the elastic material is mov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51 with physical force applied thereto, Thereby preventing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printing from being lowered. Further, the support member 54 may be inserted into the squeeze 52 as required, or may be provided in a material or shape other than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추가적으로, 강판(23)의 후면에 잉크층(22)을 인쇄한 후, 잉크층(22)의 둘레를 따라 추가적인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인쇄되는 인쇄층은 잉크층(22)과 달리 광 비투과성으로 형성됨으로써 잉크층(22)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ink layer 22 is pri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an additional printed layer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k layer 22, and the additional printed layer may be different from the ink layer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to a region other than the ink layer 22 by being formed into a light-impermeable form.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29 and 30 show a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순서와 달리, 강판(23)의 후면으로부터 백코팅층(232)을 제거할 때, 백코팅층(232)을 하나의 관통홀(2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거함으로써 감광성 수지의 라미네이팅, 노광 및 현상 등과 같은 부가적인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29 and 30, unlike the procedure shown in FIGS. 23 and 24, when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formed in one through hole 21 ),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teps such as laminating, exposure and development of the photosensitive resin.

레이저 조사 장치(2)를 이용한 홀 마킹을 통해 백코팅층(232)을 하나의 관통홀(2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홀 마킹에 의해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의 직경 또는 폭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의 직경 또는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20).The back coating layer 232 can be remov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one through hole 21 through hole marking using the laser irradiation apparatus 2 and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hole formed in the back coating layer 232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coincides with the diameter or the width of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S220).

이에 따라, 후순위 에칭 공정이 수행될 경우,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층(231)에 대한 에칭이 수행되며, 금속층(231)에 형성되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의 크기는 백코팅층(232)에 형성된 홀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게 된다(S230).Accordingly, when a subordinat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the metal layer 231 is etch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back coating layer 232, and the size of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s 21 formed in the metal layer 231 is And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size of the holes formed in the back coating layer 232 (S230).

이어서, 스크린 인쇄를 통해 관통홀(21)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22)이 형성되며, 이 때, 잉크층(22)은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1)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잉크층(22)의 두께는 백코팅층(232)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강판(23) 후면의 단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The ink layer 22 is then printed by screen printing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by a predetermined height, do.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ink layer 22 protruding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21 is made to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thickness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thereby reducing the step height of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23.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케이스는 베이스(61), 베이스(61)의 후방부의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 및 베이스(61)의 전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하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 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indoor unit 60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by the case. The case includes a base 61, a rear cabinet 62 dispos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61, and a front cabinet 63 disposed above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61, An exterior member 6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 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또한, 베이스(61),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복수로 구비된다.The base 61, the rear cabinet 62, and the front cabinet 6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blowing fan and a flow path for air suction and discharge are provided, and a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the intake air, a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of the intake air, and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refrigeration cycle are accommodated. The base 61, the rear cabinet 62, and the front cabinet 63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 discharging the heat exchanged air and an air inlet for sucking outside air.

외장 부재(64)는 전방 캐비닛(63)에 장착된다. 외장 부재(64) 또는 외장 부재(64)가 장착된 구성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외장 부재(64)는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exterior member 64 is mounted to the front cabinet 63. [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63 can be opened by pivoting or detach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terior member 64 or the exterior member 64 is mounted and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mponent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front cabinet 63 Maintenance is possible. The exterior member 64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s a part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60. [

외장 부재(64)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5)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단위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ior member 64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65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display portion 65 may be formed as a unit set of fine through 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표시부(6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and can be formed in the same way. If necessary, a touch operation portion 6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65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표시부(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표시부(65)로 광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A display assembly 67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65 and a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67 illuminates the display unit 65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display assembly 67 is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light emitting elements to display opera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figures or symbols.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6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6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assembly 67 is turned on, opera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64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s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However,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is not visually observed by the film layer of the member 64.

터치 조작부(66)와 대응되는 외장 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64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unit 6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closely contacts the touch operation unit 66 to recognize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를 참조하면,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 및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2, the washing machine 70 includes a washing machine main body 71 for forming an outer tube, a tub for storing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tub for receiving laundry, A driving device, a washing water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72)는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71 is opened so that the laundry can be inserted into the drum, and the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body 7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72. To this end, the door 7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71.

도어(72)를 제외한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외장 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부(74)와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ior member 7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washer main body 71 except for the door 72. The display unit 74 and the touch operation unit 75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exterior member 73.

표시부(74)는 세탁기(7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단위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세탁기(70)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74 indicat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70 and may be formed as a unit set of fine through-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and can be formed in the same way. The touch operation unit 75 is provided to operate the washing machine 70 by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dial type knob 76 for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70.

표시부(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실장된 발광소자는 디스플레이 창(74)으로 광을 조사하여 세탁기(7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작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A display assembly 77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unit 74 and a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77 illuminates the display window 74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70. The display assembly 77 is configured of a combination of light emitting elements to display opera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figures or symbols.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73)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73)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 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assembly 77 is turn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73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is not visually observed.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73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unit 75.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closely contacts the touch operation unit 75 to recognize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33, the dishwasher 80 hav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uter shape by the dish washer main body 8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식기세척기(80)는 본체(81), 본체(81)의 내부에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및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한다.The dishwasher 80 includes a main body 81, a cavity in which a tableware for washing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81, a rack member which is drawn out from the cavity and on which the tableware is seated, A water supply device,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washed water, and the like.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되며, 도어(82)는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The main body 81 is provided with a door 82. The door 82 selectively shields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main body 81 and forms the front face of the dishwasher 8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82 is closed. do.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82 is composed of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and can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lower door is operated. In addition, the lower door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8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82.

도어(82)의 전면 즉,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84)가 부착되거나 외장 부재(84)가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그 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 외장 부재(84)는 도어(82)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외장 부재(84)에는 식기세척기(8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5)가 구비된다.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82,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door may be attached with an exterior member 84, or the exterior member 84 may form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itself. The exterior member 84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82 and the exterior member 84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85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80.

표시부(85)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85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표시부(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실장된 발광소자에 의해 표시부(85)로 광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A display assembly 87 is provided behind the display unit 85 and illuminates the display unit 85 with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87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hwasher 80. The display assembly 87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is displayed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figures or symbols.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8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8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assembly 87 is turned on, opera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84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s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However,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is not observed with the naked eye because it is shielded by the film layer of the member 84. [

표시부(8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한다.On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85, a touch operation portion 86 can be formed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ing member 84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unit 8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bonded by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is closely attached to the touch operation unit to recognize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전면 패널)가 사용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조리기기는 오븐 또는 전자레인지 등일 수 있다.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using an exterior member (front panel) fo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oking apparatus may be an oven,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도 3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Referring to FIG. 34, the cooking device 90 provided wit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formed in an outer shape by the cooking device body 9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조리기기(90)는 본체(91), 본체(91)의 내부에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및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 어셈블리 등을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90 includes a main body 91, a cavity in which food for cooking is contained in the main body 91, a heating means or magnetron for cooking the food inside the cavity, and a fan assembly for convection inside the cavity .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되며, 도어(92)는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The main body 91 is provided with a door 92. The door 92 selectively shields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main body 91 and forms the front 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9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92 is closed. do.

도어(92)는 본체(9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92)에는 도어(92)의 개폐 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The door 92 is hing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91 and is rotatable. The door 92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cooking device 90. The door 92 is provided with a handle 9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92.

도어(92)의 전면에는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외장 부재(94)는 반드시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 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92 may be provided with a covering member 94 which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92. The exterior member 9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oor 92 and may form one 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main body 91. [

외장 부재(94)에는 조리기기(9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95)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95)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홀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은 전술한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ior member 94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95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aratus 90. The display portion 95 may be formed as a collection of fine through-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and can be formed in the same way.

표시부(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실장된 발광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창(95)으로 광이 조사됨으로써 조리기기(90)의 작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문자, 도형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A display assembly 97 is provided behind the display unit 95.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90 can be displayed by irradiating the display window 95 with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97 have. The display assembly 97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light emitting elements to display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figures or symbols.

냉장고와 관련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 외장 부재(94)의 전면으로 작동 정보가 표시되나, 발광소자의 소등시 관통홀들은 외장 부재(94)의 필름층에 의해 차폐되어 표시부는 물론 관통홀의 존재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assembly 97 is turned on, opera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94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s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However,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is not visually observed by the film layer of the member 94.

또한, 표시부(95)의 일 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외장 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게 된다.Further, on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95, a touch operation portion 96 may be formed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94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unit 9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operation unit 96 to recognize the touch operation of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21)

가전 제품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금속층;
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금속층을 관통하며,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광 투과성의 잉크층;
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관통홀을 메우는 상기 잉크층 및 상기 필름층을 투과하여 가전 제품의 전면에 작동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필름층은 상기 발광소자의 소등시 상기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A film layer that implements the color or texture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appliance; And
A metal layer which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and covers a displa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arranged;
/ RTI >
The metal layer may include,
Wherein a width of a front opening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is smaller than a width of a rear opening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hall; And
A light-transmitting ink layer filling the through-hole;
≪ / RTI >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lit passes through the ink layer and the film layer filling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film layer does not expose a fron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urned off,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section of the through-hole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a width thereof decreases from a rear surface to a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 형상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hole has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은 0.05 mm 이상 0.5 mm 이하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rear openings of adjacent through holes is 0.05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관통홀의 전면 개구부 사이의 간격은 0.3 mm 이상 1.0 mm 이하인,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front openings of neighboring through holes is 0.3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layer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by a predetermined height,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상기 금속층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layer is formed to cover the through hole and to cove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료층;
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layer comprises:
A primer lay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A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mer layer;
/ RTI >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도료층의 전면에 위치하는 금속 박막층; 및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임프린팅 패턴이 존재하는 패턴층;
을 더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lm layer comprises:
A metal thin film layer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And
A pattern layer having an imprinting pattern on at least one side select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 / RTI >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실리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layer comprises silica,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와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실장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관통홀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배치된,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cover to which the display assembly is receive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The display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s which penetrate the display cover in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in the display assembly and guid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s mounted on the display assembly to the through holes Holes,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개재된 광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light diffusion sheet interposed between a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the display cover,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가이드홀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복수의 관통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관통홀을 연통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2. The method of claim 11,
One guide hole communicates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through hole so a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큰,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uide hole has a width of a front opening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is larger than a width of a rear opening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Exterior members for household appliances.
색상 또는 질감을 구현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후면에 부착된 금속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감광성 수지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수지의 후면에 복수의 홀이 패터닝된 마스킹 필름을 위치시킨 후 상기 마스킹 필름의 홀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킹 필름과 미경화된 상기 감광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의 후면으로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폭이 상기 강판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홀에 광 투광성의 잉크층을 주입하는 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Providing a film layer that implements color or texture and a metal layer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lm layer;
Laminating a photosensitive resi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Placing a masking film pattern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and curing the photosensitive resin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holes of the masking film;
Removing the masking film and the uncured photosensitive resin;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aving a width of a front opening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smaller than a width of a rear opening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teel sheet by spraying an etchant onto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Injecting a light-transmitting ink layer into the through-hole;
Lt; / RTI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관통홀의 단면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식각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al layer is etched to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through-hole is narrowed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관통홀의 단면이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식각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al layer is etched to have a stepped shape in which a width of the through hole is narrowed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금속층의 후면에 잉크를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k layer is formed by screen-printing ink on a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인쇄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nk layer is pri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pening of the through hole by a predetermined heigh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관통홀을 메움과 동시에 상기 금속층의 후면 중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인쇄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nk layer is print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layer while filling the through ho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의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nk comprises silica,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household appliances.
KR1020160096322A 2015-09-25 2016-07-28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509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en) 2016-07-28 2016-07-28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16/009953 WO2017052110A1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680055954.XA CN108139141B (en) 2015-09-25 2016-09-06 Exterior part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6848836.9A EP3355011B1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5/763,069 US10641542B2 (en) 2015-09-25 2016-09-06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6/848,616 US11300352B2 (en) 2015-09-25 2020-04-14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en) 2016-07-28 2016-07-28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25A true KR20180013125A (en) 2018-02-07
KR102509727B1 KR102509727B1 (en) 2023-03-13

Family

ID=6120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322A KR102509727B1 (en) 2015-09-25 2016-07-28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en)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Display member, timepie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0113348A (en) * 2008-10-08 2010-05-20 Toppa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21753A (en)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en)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Display member, timepie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0113348A (en) * 2008-10-08 2010-05-20 Toppan Printing Co Ltd Inform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21753A (en)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727B1 (en)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5011B1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68922B1 (en) Home appliance display assembly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06996674B (en) External component and refrigerator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KR101659180B1 (en)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AU2019203689B2 (en) Refrigerator
KR101659181B1 (en)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CN104562558B (en) Guidance panel and washing machine
KR100730248B1 (en) Display device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using the same
CN110382981A (en) Refrigerator
KR20160078194A (en) Tuch sensor assembly and manufacture method of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CN105051474A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215688A1 (en) Built-in dishwasher
KR101731724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20220252778A1 (en) Illumin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48395A (en) Washing machine
KR102194300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70040710A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80013125A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5083063A (en) Operation panel and washing machine
KR102265292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70037467A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273104B1 (en) Manufacture method for outplate for home appliance
KR20150069385A (en) Home appliance
KR101810561B1 (en) Home appliance
CN110965853A (en) Handle and kitche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