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940A -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940A
KR20180012940A KR1020160095822A KR20160095822A KR20180012940A KR 20180012940 A KR20180012940 A KR 20180012940A KR 1020160095822 A KR1020160095822 A KR 1020160095822A KR 20160095822 A KR20160095822 A KR 20160095822A KR 20180012940 A KR20180012940 A KR 2018001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race
inner race
taper
constant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재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940A/ko
Publication of KR201800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 B60B35/127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 B60B35/128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of the homokinetic or constant velocit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03Details of ball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아우터레이스가 변속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베어링으로 전달하여 이너레이스를 회전시키되, 상기 아우터레이스와 이너레이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홀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이너레이스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경의 단부가 상기 이너레이스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CAGE FOR CONS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차량의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볼베어링이 지지되어 아우터레이스와 이너레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등속조인트는 차량의 엔진에서 변속기로 전달된 동력을 휠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등속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차량 서스펜션의 변위변화와 휠측 조향각 변화에 따라 변속기측의 슬라이드형 조인트(Plunge Joint)는 휠측의 조향각만큼 회전하여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고정형 조인트(Fixed Joint)의 사양은 볼베어링의 수와 최대 절각량에 따라 구분된다. 외륜과 내륜의 트랙이 곡선으로만 이루어져 최대 절각이 47도인 볼조인트와 외륜과 내륜의 트랙이 곡선과 직선으로 이루어져 최대 절각이 50도인 언더컷 볼조인트(Under-Cut Ball Joint)로 나뉜다.
특히,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Cross Groove Joint)에 다이어프램 부트 적용 사양으로 이루어진 CVJ ASSY의 경우, 다이어프램부트의 적용 시 리워크 중 정비순서 미준수로 디프(종감속기) 처짐이 발생되어 크로스 그루브 과절각에 의한 볼베어링의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생산공정 중 부트 미체결 상태에서 샤프트와 이너레이스의 가조립 확인 공정 중 과절각이 발생되는 경우, 볼베어링의 이탈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3694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케이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과슬라이딩 방지 및 조립성이 개선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속조인트용 케이지는 아우터레이스가 변속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베어링으로 전달하여 이너레이스를 회전시키되, 상기 아우터레이스와 이너레이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홀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이너레이스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경의 단부가 상기 이너레이스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레이스가 삽입되는 바디의 입구측 외경의 단부에는 중심측에서 단부측을 갈수록 각도가 커지는 형상의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는 중심측의 내측테이퍼와 단부측의 외측테이퍼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테이퍼와 외측테이퍼가 구분되는 절곡부는 상기 베어링홀의 외측과 상기 바디의 단부 사이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는 중심측의 내측테이퍼와 단부측의 외측테이퍼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테이퍼 보다 상기 외측테이퍼의 절곡된 각도가 더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따르면, 케이지의 바디에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이너레이스의 과슬라이딩으로 인해 이너레이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태킹 공정을 수행하던 것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공정이 축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지의 바디 외경에 복수의 테이퍼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시 케이지와 아우터레이스 내경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등속조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용 케이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와 아우터레이스, 이너레이스 및 볼베어링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조립시를 걸림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통상적인 등속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용 케이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케이지(100)와 아우터레이스(300), 이너레이스(500) 및 볼베어링(700)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조립시를 걸림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 중에서도 특히 종래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Cross Groove Joint)에 다이아프램부트 적용사양으로 이루어진 등속조인트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용 케이지는 아우터레이스(300)가 변속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베어링(700)으로 전달하여 이너레이스(500)를 회전시키되, 상기 아우터레이스(300)와 이너레이스(5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베어링(700)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홀(111)이 형성된 바디(110); 및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110)의 입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110)의 내경의 단부가 상기 이너레이스(500)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한다.
등속조인트는 차량의 엔진에서 변속기로 전달된 동력을 휠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변속기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상기 아우터레이스(300)로 전달되고, 상기 아우터레이스(300)로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아우터레이스(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그루브(310)를 통해 상기 볼베어링(700)에 전달되며, 상기 볼베어링(700)에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이너레이스(500)의 볼트랙(510)에 전달되어 상기 이너레이스(5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볼베어링(700)은 상기 베어링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바디(110)는 상기 아우터레이스(300)에 먼저 삽입되는 휠측과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삽입되는 입구측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삽입되는 입구측에는 상기 바디(110)의 내경의 단부가 상기 이너레이스(500)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상기 돌출부(130)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휠측의 내경보다 더 반지름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레이스(500)의 과슬라이딩 발생 시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상기 돌출부(130)가 차단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너레이스(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삽입되는 바디(110)의 입구측 외경의 단부에는 중심측에서 단부측을 갈수록 각도가 커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150)는 중심측의 내측테이퍼(151)와 단부측의 외측테이퍼(153)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테이퍼(151)는 종래에도 구비되었으나, 상기 외측테이퍼(153)는 본 발명에서만 구비되는 본 발명만의 독특한 구성이다. 상기 내측테이퍼(151)와 외측테이퍼(153)가 구분되는 절곡부(155)는 상기 베어링홀(111)의 외측과 상기 바디(110)의 단부 사이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레이스(300)에 상기 바디(110)의 삽입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바디(110)의 외경은 상기 이너레이스(500)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된 후 또 다시 절곡되는 복수의 테이퍼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측테이퍼(151) 보다 상기 외측테이퍼(153)의 절곡된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생산공정에서 부품의 조립 시 상기 바디(110)와 아우터레이스(300)의 내경 간의 접촉에 의하여 걸림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따르면, 케이지(100)의 바디(110)에 돌출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이너레이스(500)의 과슬라이딩으로 인해 이너레이스(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태킹 공정을 수행하던 것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공정이 축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지(100)의 바디(110) 외경에 복수의 테이퍼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시 케이지(100)와 아우터레이스(300) 내경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케이지 110 : 바디
111 : 베어링홀 130 : 돌출부
150 : 테이퍼부 151 : 내측테이퍼
153 : 외측테이퍼 155 : 절곡부
300 : 아우터레이스 310 : 볼그루브
500 : 이너레이스 510 : 볼트랙
700 : 볼베어링

Claims (4)

  1. 아우터레이스가 변속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베어링으로 전달하여 이너레이스를 회전시키되, 상기 아우터레이스와 이너레이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홀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이너레이스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경의 단부가 상기 이너레이스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레이스가 삽입되는 바디의 입구측 외경의 단부에는 중심측에서 단부측을 갈수록 각도가 커지는 형상의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중심측의 내측테이퍼와 단부측의 외측테이퍼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테이퍼와 외측테이퍼가 구분되는 절곡부는 상기 베어링홀의 외측과 상기 바디의 단부 사이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중심측의 내측테이퍼와 단부측의 외측테이퍼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테이퍼 보다 상기 외측테이퍼의 절곡된 각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KR1020160095822A 2016-07-28 2016-07-28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KR20180012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22A KR20180012940A (ko) 2016-07-28 2016-07-28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22A KR20180012940A (ko) 2016-07-28 2016-07-28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940A true KR20180012940A (ko) 2018-02-07

Family

ID=6120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22A KR20180012940A (ko) 2016-07-28 2016-07-28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61B1 (ko) * 2019-01-02 2019-07-01 서한산업(주)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및 그 케이지 및 슬리브 일체형 내륜을 갖는 등속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61B1 (ko) * 2019-01-02 2019-07-01 서한산업(주)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및 그 케이지 및 슬리브 일체형 내륜을 갖는 등속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7379B1 (en) Fixe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2716925B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3168490B1 (en) Tripod-type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JP5167903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8284919A (ja) 車輪用軸受装置、車輪用軸受装置の組立方法、アセンブリ体、およびアセンブリ体の組立方法
CN104074875A (zh) 一种等速万向节驱动轴总成
US8210952B2 (en) Universal joint
KR20180012940A (ko)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EP3067582A1 (en) Stationary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20190257362A1 (en) Tripod roller for a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2007198399A (ja) 動力伝達シャフト
KR20150049182A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
CN106555824B (zh) 一种球笼式万向节、万向节传动装置及汽车
JP2007032645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US20190024723A1 (en) Stationary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JP2007162874A (ja) 等速自在継手及びその内方部材
KR101891135B1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CN108930724B (zh) 万向接头或恒速接头扭矩传输接口
JP2007170423A (ja) 等速自在継手及びその内方部材
JP5372364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7071854B2 (ja) 等速自在継手
JP2008051190A (ja) 固定式等速自在継手
WO2017195552A1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22429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JP2014020414A (ja) 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