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122A - 기능성 크리센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크리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122A
KR20180012122A KR1020160094980A KR20160094980A KR20180012122A KR 20180012122 A KR20180012122 A KR 20180012122A KR 1020160094980 A KR1020160094980 A KR 1020160094980A KR 20160094980 A KR20160094980 A KR 20160094980A KR 20180012122 A KR20180012122 A KR 2018001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andle
functional
sliding blo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군
Original Assignee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디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122A/ko
Publication of KR2018001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손잡이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린아이에 의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침입자에 의한 작동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크리센트가 소개된다. 이러한 기능성 크리센트는 창문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창문틀에 설치되는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작동을 하거나 잠금 해제 작동을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잠금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이 추가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잠금 해제 작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락 해제 기능이 추가되며, 상기 잠금 락 기능과 상기 잠금 락 해제 기능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에는 회전 단속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회전 단속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크리센트{FUNCTIONAL CRESCENT}
본 발명은 크리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락 기능이 추가된 기능성 크리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창문의 개폐를 통제하여 외부인이 창문을 통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잠금 장치인 크리센트(Crescent)가 사용된다.
창문용 크리센트는 창문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데, 손잡이부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에 의한 조작에 의해 다른 사람이 베란다 등에 갇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침입자가 외부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크리센트의 손잡이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본체부의 나사 결합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였기에 수분이 쉽게 침투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쉽게 녹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사 결합부의 노출로 인해 실내 공간에서의 미관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34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손잡이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린아이에 의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침입자에 의한 작동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부에 노출 방지 커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나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 침투로 인한 녹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 공간에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는, 창문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창문틀에 설치되는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작동을 하거나 잠금 해제 작동을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잠금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이 추가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잠금 해제 작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락 해제 기능이 추가되며, 상기 잠금 락 기능과 상기 잠금 락 해제 기능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에는 회전 단속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회전 단속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단속 기구는 상기 본체부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손잡이부의 일부 구성을 관통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과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락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축 부재와, 이 축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을 할 때,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이 제한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창문틀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중간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일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곡면 형상부를 일부 포함하는 손잡이 플레이트와, 이 손잡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결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소켓과, 상기 플레이트의 곡면 형상부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이 관통하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부 구성은 상기 회전 소켓이고,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에는 상기 회전 소켓의 외주면 이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멈춤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락 작동시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본체부의 결합 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소켓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락 작동시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에 의해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이동하는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된 멈춤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속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플레이트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이 커버 플레이트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해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가이드와, 이 커버 가이드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의 손잡이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손잡이와 결합된 뒤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 부재의 양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창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된 결합 블록이 형성되고, 이 결합 블록에는 결합된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성 크리센트에 따르면,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린아이에 의한 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외부 침입자에 의한 작동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에 노출 방지 커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나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 침투로 인한 녹 발생이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실내 공간에서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사용 상태도로서, 기능성 크리센트가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사용 상태도로서, 기능성 크리센트가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다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상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상방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하방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일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조의 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사용 상태도로서, 기능성 크리센트가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사용 상태도로서, 기능성 크리센트가 크리센트 브라켓에 대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일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다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상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상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를 나타낸 하방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일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본체부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은 이루어지되,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손잡이부에 잠금 작동이 이루어고, 커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되, 도 1 내지 도 4를 우선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는, 창문틀(2)에 고정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창문틀(1)에 설치되는 크리센트 브라켓(10)에 대해 잠금 작동을 하거나 잠금 해제 작동을 하는 손잡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부(200)에 대해 축 방향(X)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크리센트 브라켓(10)은 나사 결합으로 다른 창문틀(1)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1)와, 이 고정 부재(11)에 굴곡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12)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창문틀(2)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대략의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10)보다 더 작은 크기인 대략의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간 부재(12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중간 부재(12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1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창문틀(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홀(h)이 형성된 결합 블록(110a)이 형성되고, 이 결합 블록(110a)에는 결합된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부재(110b)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110b)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 블록(110a)에는 한 쌍의 결합 홈(110c)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110b)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 홈(110c)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의 베이스 부재(110)에 설치된 커버 부재(110b)로 인하여 나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수분 침투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리센트 브라켓(10)은 나사 결합으로 다른 창문틀(1)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1)와, 이 고정 부재(11)에 굴곡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12)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00)는 곡면 형상부를 일부 포함하는 손잡이 플레이트(210)와, 이 손잡이 플레이트(21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 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소켓(220)과, 상기 플레이트(210)의 곡면 형상부를 따라 상기 플레이트(210)에 대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쇠(230)와, 이 걸림쇠(23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240)를 포함한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플레이트(210)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310)와, 이 커버 플레이트(310)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커버 플레이트(310)에 대해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가이드(320)와, 이 커버 가이드(32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손잡이(240)에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300)의 손잡이 커버(330)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손잡이(240)와 결합된 뒤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돌기(33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40)에는 상기 고정 돌기(331)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 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크리센트 브라켓(10)에 대해 잠금 작동을 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크리센트 브라켓(10)에 대해 잠금 해제 작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 작동과 잠금 해제 작동시 절도감을 주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는 한 쌍의 판 스프링(14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 소켓(220)의 저부에는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14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돌기(2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돌기(220)의 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곡면부(222a)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평면부(222b)로 이루어지고, 잠금 작동과 잠금 해제 작동을 위해 손잡이부(200)를 회전시킬 때, 손잡이부(200)의 회전 소켓(220)에 구비된 회전 돌기(222)의 곡면부(222a)는 한 쌍의 판 스프링(140)에 접촉하면서 한 쌍의 판 스프링(140)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변형시키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소켓(220)이 일정 각도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222)의 평면부(222b)는 상기 한 쌍의 판 스프링(140)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변형되었던 한 쌍의 판 스프링(140)은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처럼 한 쌍의 판 스프링(140)의 형상이 변형되고 다시금 복원되면서 사용자는 잠금 작동과 잠금 해제 작동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잠금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잠금 해제 작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200)가 다시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락 해제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락 기능과 상기 잠금 락 해제 기능을 위해 도 9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회전 단속 기구(410,42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300)에는 상기 회전 단속 기구(410,420)를 작동시키는 작동 기구(50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단속 기구(410,4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베이스 부재(110)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S)를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과,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소켓(220)에 형성된 관통홀(223)을 관통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과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락 슬라이딩 블록(420)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기구(500)는 상기 커버부(300)의 커버 플레이트(310)에 구비되는 축 부재(510)와, 이 축 부재(510)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본체부(100) 방향으로 축 방향(X) 이동을 할 때,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을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이 상기 본체부(10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이 제한되는 잠금 락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 블록(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축 부재(510)는 상기 커버부(300)의 커버 플레이트(3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축(511)과, 이 제1 축(511)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축 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축(51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블록(520)은 상기 제2 축(512)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1 축(511)에는 가이드 돌기(511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소켓(22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511a)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2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축(511)이 상기 회전 소켓(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면서 축 방향(X)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 블록(520)에는 경사면(521)이 형성되고,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에도 경사면(4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 방향으로 축 방향(X)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 블록(520)의 경사면(521)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의 경사면(421)에 접촉하면서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을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은 탄성 부재(S)를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의 탄성 부재(S)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에는 한 쌍의 멈춤 돌기(4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베이스 부재(110)에는 상기 멈춤 돌기(411)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의 탄성 부재(S)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속 돌기(1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이 상기 가압 블록(52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일 경우,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은 탄성 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에 접촉되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을 상기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 이내로 밀어 넣는다.
이처럼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이 탄성 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 블록(520)을 상기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 이내로 밀어 넣는 경우,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이 상기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 이내로 진입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에 형성된 상기 멈춤 돌기(411)는 상기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의 회전 소켓(220)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의 구체적인 잠금 락 작동과 잠금 락 해제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200)의 걸림쇠(230)가 크리센트 브라켓(10)에 걸림되도록 잠금 작동을 한 후, 잠금 락 장동을 위해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 방향으로 축 방향(X)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부(300)에 연결된 가압 블록(520)의 경사면(521)이 락 슬라이딩 블록(420)의 경사면(421)에 접촉하면서 락 슬라이딩 블록(420)을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 블록(520)의 경사면(521)이 락 슬라이딩 블록(420)의 경사면(421)을 가압하기 전 상태가 도 13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다.
그러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은 상기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면서 본체부(100)의 결합 부재(130)에 형성된 걸림 홈(131) 내부로 진입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6과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일 때,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은 상기 결합 부재(130)와 상기 회전 소켓(220)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200)를 회전시키더라도 손잡이부(200)의 회전 소켓(220)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30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손잡이부(200)를 회전시켜 손잡이부(200)의 걸림쇠(230)가 크리센트 브라켓(1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 해제 작동[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00)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하고자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축 방향(X) 이동시키면 잠금 락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의 위치를 고정시켰던 상기 가압 블록(520)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은 탄성 부재(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 슬라이딩 블록(420)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 슬라이딩 블록(410)에 밀려서 다시금 회전 소켓(220)의 외주면 이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 상기 회전 소켓(220)은 결합 부재(13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손잡이부(200)의 회전을 통한 잠금 해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크리센트에 따르면,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린아이에 의한 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외부 침입자에 의한 작동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에 노출 방지 커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나사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 침투로 인한 녹 발생이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실내 공간에서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본체부
110 : 베이스 부재
120 : 중간 부재
130 : 결합 부재
200 : 손잡이부
210 : 손잡이 플레이트
220 : 회전 소켓
230 : 걸림쇠
240 : 손잡이
300 : 커버부
310 : 커버 플레이트
320 : 커버 가이드
330 : 손잡이 커버
410 : 탄성 슬라이딩 블록
420 : 락 슬라이딩 블록

Claims (1)

  1. 창문틀에 고정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창문틀에 설치되는 크리센트 브라켓(10)에 대해 잠금 작동을 하거나 잠금 해제 작동을 하는 손잡이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잠금 작동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 락 기능이 추가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잠금 해제 작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락 해제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크리센트.
KR1020160094980A 2016-07-26 2016-07-26 기능성 크리센트 KR20180012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80A KR20180012122A (ko) 2016-07-26 2016-07-26 기능성 크리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80A KR20180012122A (ko) 2016-07-26 2016-07-26 기능성 크리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22A true KR20180012122A (ko) 2018-02-05

Family

ID=6122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80A KR20180012122A (ko) 2016-07-26 2016-07-26 기능성 크리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6500B1 (en) Device for unlocking tubular-type door lock in conjunction with indoor handl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20080284180A1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96278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KR101375776B1 (ko)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US8250888B2 (en) Door knob assembly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200481502Y1 (ko) 기능성 크리센트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180012122A (ko) 기능성 크리센트
JP3214730U (ja) 家具用扉のロック装置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CA3057363C (en) Anti-ligature lever
JP5524732B2 (ja) レバーハンドル錠
KR200482418Y1 (ko)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KR101512327B1 (ko) 패닉 기능과 평면형 손잡이를 가지는 도어록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TWI663318B (zh) 滾動式之鎖栓結構
JP3709122B2 (ja) 窓サッシ等の換気用補助錠
TWI663319B (zh) 具緊急解鎖之鎖閘結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