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065A -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 Google Patents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065A
KR20180012065A KR1020160094840A KR20160094840A KR20180012065A KR 20180012065 A KR20180012065 A KR 20180012065A KR 1020160094840 A KR1020160094840 A KR 1020160094840A KR 20160094840 A KR20160094840 A KR 20160094840A KR 20180012065 A KR20180012065 A KR 2018001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lane departure
black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태
김재구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링크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링크
Priority to KR102016009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065A/en
Publication of KR2018001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0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box with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 black box system for a vehicle transceives data related to a driving state of a vehicle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nd comprises: a la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photograph a driving lane of the vehicle; a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to compare data included in satellite signals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s and driving lane data received from the la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determine a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a warning sound output module to generate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to warn a lane departure if control data for a lane departure are generated from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and a warning unit driven by the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warning sound output module to warn a lane departure in a voice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warning sound is outputted to the speaker embedded in the vehicle if the vehicle departs from a lane, a warning sound of a larger output in comparison to a case where a warning sound is outputted to a speaker embedded in a conventional black box to reliably warn a driver to allow the driver drive safely and prevent an accident.

Description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WITH LAKE LEAVE WARNING FUNCTION

본 발명은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랙박스(Black-box) 기능과 차선이탈경고(lane departure warning)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ack box capable of performing both a black-box function and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블랙박스(Black box) 장치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과 같은 차량에도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에 보존된 기록을 토대로 차량 사고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Black box devices are used not only in aircraft but also in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Such a vehicle black box device records information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n accident situation, thereby enabling a more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ccident based on the record stored in the black box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국내 특허 공개 제2005-0091849호는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전방 도로 영상을 감지하여 현재 달리고 있는 차선을 파악한 후,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운전 등으로 차선을 이탈하려고 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해주는 장치인 차선이탈경고 시스템(LDWS: 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91849 discloses a device that detects an image of a road ahead from a camera attached to a vehicle and grasps a currently running lane, and then makes an alarm sound when the driver attempts to leave the lane due to carelessness or sleepiness driving 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 (LDWS).

국내 특허 공개 제2007-0075789호는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고, 녹음된 방향 지시등 작동음과 일치하는 소리의 입력 여부로 방향 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7-0075789 discl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rection indicator is operated and generating a lane departure warn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irection indicator is operated by in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orded direction indicator operation sound, Discloses a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generates a departure alarm.

그러나 종래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차선 이탈은 경보해 줄 수 있으나, 사고 영상 기록이 불가능하고, 차량정보의 저장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can alarm the lane departure, but it is impossible to record the accident image and it is also impossible to store the vehicle information.

한편, 종래의 블랙박스는 차선 이탈에 대한 경보가 불가능하여, 소비자가 애프터 마켓을 통해 별도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블랙박스 장치를 차량의 대쉬보드 등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대시보드 상에 각종 전자기기가 거치되어 시야를 가리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black box, it is impossible to alert the lane departure, so that th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by the customer through the aftermarket. In addition, it is troublesome for a driver to install a black box device on a dashboard of a vehicle,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on the dashboard, which hinders visibility and damages the aestheti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랙박스의 한계 및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랙박스 기능과 차선이탈경고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black box limitation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ack box function and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Black box.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선이탈을 경고함에 있어서, 블랙박스에 내장된 스피커 보다 출력이 훨씬 큰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서 차선이탈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차선이탈을 경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departure warning sound by outputting a lane departure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built in a vehicle whose output is much larger than that of a speaker built in a black box, And to provide a black box that can prevent an accident and safely protect the driv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블랙박스에서 차선 이탈에 대한 경고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구비하는 데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고, 복수의 장치 설치에 따른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rning function for a lane departure in a black box,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roviding a separat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also to provide a black box that can solve the problem.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으로서, 1. A vehicle black box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lated to a running state of a vehicle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차량의 주행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정보 획득부; A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photographing a driving lane of a vehicle;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입력받은 주행 차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차선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부; A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data included in the satellit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driving lane data received from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departed from the lane;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로부터 차선 이탈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하면,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 출력모듈; 및 A warning sound output module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for warning the lane departure when control data for lane departure from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is generated; And

상기 경고음 출력모듈로부터 수신한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선 이탈을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And a warning unit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larm sound output module and alerts a lane departure to a voice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n-Board Diagnostics, OBD)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OBD)와의 인터페이스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The black box system is interfaced with an On-Board Diagnostic (OBD) of the vehicle, and the interface with the OBD is connected to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or K-Line Transmission is performed.

상기 블랙박스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랙박스 제어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The black box includes: a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a vehicle exterior taken by a plurality of cameras; A sensing unit for sensing vehicle information data on the position, mo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A black box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amera and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lack box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signal to the remot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는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회득한 차선의 위치에 대한 차선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차선정보를 상기 기준점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그 표준편차가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의 표준편차로 설정된 기준표준편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지 판단하여, 넘어서는 경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sets a reference point using the lane information for the position of the lane obtained from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compares the lane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poin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calculate a standard devi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viation exceeds a preset range from a reference standard deviation set as a standard deviation in the normal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nd when it exceeds the reference standard devi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deviated from the lane.

상기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실내등, 또는 핸들 또는 안전벨트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arning unit can be configured to warn a lane departure by vibration of audio, air conditioner, perfume generator, interior light, or steering wheel or seat belt in the vehicle other than the speaker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는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 블랙박스에 내장된 스피커 보다 훨씬 큰 출력의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로 바로 경고음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차선이탈을 경고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lack box having the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warning sound directly to a speaker built in a vehicle whose output is much larger than that of a speaker built in a black box when the vehicle leaves the lane, By w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the driver can carry out the safe driving and prevent the acciden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와는 별도의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설치하지 아니하여, GPS 수신부, 메모리 등의 중복 설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separate from the black box, redundant installation of a GPS receiver, a memory, and the like is un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cost 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의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black box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system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ppended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unless they are indicated on other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 and "block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의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black box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ack box system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black box having a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에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저장장치(200) 예컨대, 카메라가 탑재된 블랙박스(100)가 탈부착 형태로 거치된다. 이러한 블랙박스(100)는 운행정보 확인장치(120)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받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OBD 단말(12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해당된다. 1 to 3, an image storage device 200, for example, a black box 100 on which a camera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vehicle 10 in a detachable form. The black box 10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of the travel information verifying apparatus 120 to receiv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r may receive vehicl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OBD terminal 12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ere, examples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 Bluetooth, Wi-Fi, and the like.

또한 차량(10)에는 엔진제어부(ENGINE CONTROL UNIT: ECU)(110) 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탑재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기진단(On Board Diagnostics: 이하 'OBD') 단말(110)이 탑재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BD)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CAN 통신을 통해서 차량에 경고음을 재생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차선이탈 판단부 (108)에서 차선이탈로 판단하는 경우에,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OBD 제어부(113)에 차량의 스피커로 경고음을 재생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OBD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서 경고신호 출력부(114)는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한다. The vehicle 10 is also provided with an On Board Diagnostic (OBD) terminal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BD ") terminal 110 which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n- board device mounted on a vehicle from an engine control unit ) Is mounted. The black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faced with an OBD of a vehicle, and transmits a command to reproduce a warning soun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When the lane departure judging section 108 judges the lane departure, the OBD control section 113 of the travel information confirming apparatus 110 transmits a command to reproduce a warning sound with the speaker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OBD control unit 113, the warning signal output unit 114 generates a warning sound for warning of lane departure and outputs the warning sound to a speaker (not shown) built in the vehicle.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는 CAN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데이터의 전송은 ISO9141-2 또는 KWP2000의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AN 또는 K-Line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SO9141-2와 KWP2000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지정한 차량 고장진단 표준 프로토콜이며, CAN (Controller Area Network)은 소규모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차세대 차량용 진단 통신 방식으로 속도는 500 Kbps~1 Mbps로 기존 통신 속도에 비해 50배 이상 빠르며, K-Line은 OBD 법규에 의해 명명된 차량용 진단 통신라인으로 10.4 Kbps의 속도를 가진다. The travel information checking device 110 transmits data through CAN or K-Line. Data transmission is done via CAN or K-line using the ISO 9141-2 or KWP2000 vehicle fault diagnosis standard protocol. The ISO9141-2 and KWP2000 are standard protocols for vehicle fault diagnosis specified by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nd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is 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small range. The diagnostic communication method speeds from 500 Kbps to 1 Mbps, 50 times faster tha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peed, and the K-Line has a speed of 10.4 Kbps as the diagnostic communication line of the vehicle named by the OBD regul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랙박스(100)는 영상신호 처리부(101), 감지부(102), 블랙박스 제어부(103), 데이터 저장부(104), GPS 수신부(105) 및 무선통신 모듈(106)을 포함한다. 3, a black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a sensing unit 102, a black box control unit 103, a data storage unit 104, a GPS receiving unit 105,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6.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복수 개의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10)의 전방, 하방, 우측 및 좌측에 구비된 카메라(120)를 통하여 촬영된 4채널의 영상을 영상신호 처리부(101)로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 및 종류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예를 들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Image Signal Processor: ISP)일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20)는 예를 들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을 멀티채널 영상 신호로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01 processes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20. The black box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mages of four channel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s 120 provided at the front, the lower, the right, and the left of the vehicle 10 to the video signal processor 101 do. However, the number and types of the cameras 120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20 may be, for example, a lens, an image sensor, 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The camera 120 may include, for example, two or more lenses, two or more image sensors, and the like, and output the captured image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01 to generate a multi-channel image signal.

상기 감지부(102)는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02)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감지한 위치정보 감지 센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관성 센서, 외부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02 senses vehicle information data regarding the position, mo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The sensing unit 1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ition information sensor that sen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 inertia sensor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 shock sensor that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from outside. have.

상기 GPS 수신부(105)는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수신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관성 센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와 GPS 음영지역에서 차량 이동거리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차량이 사고 상황인지를 판별하거나, 사고 분석 시 사고 전후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관성 센서의 출력값이 사고 여부의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출력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고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 및 녹화하여 이를 원격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GPS receiver 105 receives satellite data and outputs one or more of the latitude, longitude, altitude, and time of the current receiving point. In addition, the inertial sensor may include a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or the like, and may be used for accurate calculation of information on movement of the vehicle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vehicle in a shadow area of the GPS. Using this information,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can also utilize it as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n accident situation or for determining a situation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in an accident analysis. For example,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inertial sens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r monitors the transition of the output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displays an accident situation And transmit it to a remote server (not shown).

또한,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차량의 운전 중 또는 주차 중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인식하여 이를 블랙박스 제어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충격 감지 센서는 수직, 수평, 좌우 센서가 받는 중력가속도를 수치로 나타내어 주행 시 또는 주차 시 차량의 주행방향과 회전방향, 충격시 충격량과 충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운전자가 차량에 없는 주차 후에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 충격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이를 사고 발생으 In addition, the impact sensor may detect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driving or parking of the vehicle, and may transmit the shock to the black box controller 103. That is, the impact sensor sense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received by the vertical, horizontal, and left and right sensors, and detects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ehicle when driving or parking. Using this information,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shock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even after the driver does not park in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causes the accident occurrence

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을 압축 및/또는 암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01 generate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0.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01 compresses and / or images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0

호화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미리 지정된 신호 포맷을 가지게 된다.It is treated as a luxurious process. At this time, the video signal processor 101 has a predetermined signal format.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상기 생성된 영상 신호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저장하거나 또는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한 후 데이터 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의 인코딩 처리, 디코딩 처리, 암호화 처리, 해독 처리 등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may store the generated video signal in the data storage unit 104 or in a temporary storage unit (not shown) in real time, and then store the generated video signal in the data storage unit 104. Here,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may perform at least one of encoding, decoding, encryption, decryption, and the like of a video signal, for example.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파일 내의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감지부(102)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정보 데이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may insert vehicle information data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102 in a user data area in a data file formed by integra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는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 파일, 상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감지 정보가 저장되거나,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임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에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 처리하기 위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독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104)는, 예를 들면, 차량용 블랙박스 (100)에 내장되는 메모리 장치 또는/및 착탈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감지부(102),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블랙박스 제어부(103)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104 may store the encrypted data file,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02, or may store arbitrary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sens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104 may further store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to decrypt the encrypted data file. The data storage unit 104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 memory device embedded in the vehicle black box 100 and / or a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 Software for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02,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and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상기 감지부(102)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120),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차선정보 획득부(107)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블랙박스 (100)의 각 구성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 제어부(103)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1) 및 차선정보 획득부(107) 등의 주변 구성요소와 물리적 및/또는 개념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controls driving of the camera 120,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and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7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102 do. That is,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o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black box 100 can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may be implemented in a physical and / or conceptual integrated manner with surrounding components such as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1 and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7.

또한,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108)는 차선정보 획득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차선 이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에 상기 정보를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상기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108 can determine whether a lane departure has occurred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7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104, Deletion of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04 for ensuring insertion of the information and storage of the information, or control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경고음 출력제어 모듈(109)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108)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저장·해석하며,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경고신호 출력부(114)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로 전송한다. The warning sound output control module 109 receives signals from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108, stores and analyzes the signals,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warning signal output unit 114 of the driving information confirmation device 1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firmation device 110.

또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의 차선이탈경고 기능은 FCW(Forward Collsion Warning) 기능, BCW(Backward Collsion Warning) 기능이 있다.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방 카메라 정보와 턴 시그널과 와이퍼 동작 시그널, 차량 CAN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브레이크 신호, 속도 신호를 받아 차선을 이탈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해주게 된다. 여기서 차선 이탈을 검출하는 방식은 종래 및 통상의 차량에 구비된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에서 차선 이탈을 검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차선이탈에 대한 경고 시 차선 이탈경고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사고 원인 규명에 활용하거나 안전 운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of the black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function and a backward collision warning (BCW) function. In order to perform the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the front camera information, the turn signal, the wiper operation signal, the vehicle brake signal through the vehicle CAN network, and the speed signal are received and a warning is given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lane departs. Her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lane departure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detecting the lane departure in the conventional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lane departure warning history information can be stored when warning of a lane departure, so that it can be used for identification of an accident cause or utilized as safe driving information.

FCW 기능은 전방의 물체를 전방 카메라가 물체 감지 로직을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차량과 가까워질 경우 경고음 출력모듈(104)을 통해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CAN 통신을 통해 운행정보 확인장치(110)로 전송하고, OBD 제어부(1130의 제어에 따라서 경고신호 출력부(114)에서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The FCW function generates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through the warning sound output module 104 when the forward camera approaches the vehicle by detecting the forward camera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logic and transmits the alarm sound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information confirmation device 110 via the CAN communication And send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warning signal output unit 114 through the speaker (not shown) built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BD control unit 1130,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accident.

무선통신 모듈(106)은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110)는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 (111),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112), OBD 제어부(113) 및 경고신호 출력부(114)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6 may transmit the black box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signal to a remote server (not shown) or a user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5, the OBD 110 includes a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1, a vehicle state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2, an OBD control unit 113, and a warning signal output unit 114. [ .

운행정보 확인장치(110)의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111)는 연비, 속도, 엔진오일 및 RPM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112)는 고장진단, 냉각수 온도 및 발전기 전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1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apparatus 110 collects information on fuel consumption, speed, engine oil, RPM, and the like, and the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112 identifies the trouble diagnosis, Collect information about.

OBD 제어부(113)는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111),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 (112) 및 경고신호 출력부(114)의 구동 및 상기 블랙박스(100)와의 CAN 통신을 제어한다. The OBD control unit 113 controls driving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1, the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2 and the warning signal output unit 114 and the CAN communication with the black box 100.

경고신호 출력부(114)는 상기 OBD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블랙박스 제어부(103)으로부터 차선 이탈이 감지되어 경고음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경고신호 출력부(114)에서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차량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lane departure is detected from the black box control unit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OBD control unit 113 and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114 receives the alarm sound control signal, (Not shown) built in the vehicle.

본 발명에서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실내등 점멸, 또는 핸들 또는 안전벨트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고를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해서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졸거나 운전 중 스마트 폰을 보거나 할 경우 차선 이탈을 더 확실하게 경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n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warn a lane departure due to vibration in the vehicle, audio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ragrance generator, interior lighting, or steering wheel or seat belt.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h warnings, it is possible to warn a lane departure more clearly when the driver is sleeping or watching a smartphone while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uch arbitrary software may be stored in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ROM or the like,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 Or stor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optical, or magnetically recordable, such as, for example,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mory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or programs contain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compris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any of the claims herein, and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Also, such a program may be electronically transferred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over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includes the same.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in a similar fash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100: 블랙박스 110: 운행정보 확인장치
111: 차량 운행정보 확인부 112: 차량 상태정보 확인부
113: OBD 제어부 104: 경고신호출력 스피커
101: 영상신호 처리부 102: 감지부
103: 블랙박스 제어부 104: 데이터 저장부
105: GPS 수신부 106: 무선통신 모듈
107: 차선정보 획득부 108: 차선이탈 판단부
109: 경고음 출력 제어모듈
100: Black box 110: Operation information check device
111: vehicle driving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2: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13: OBD control unit 104: Warning signal output speaker
101: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102:
103: black box control unit 104:
105: GPS receiver 106: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7: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8: lane departure determining unit
109: Beep sound output control module

Claims (6)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정보 획득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입력받은 주행 차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차선이탈여부를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부;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로부터 차선 이탈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하면, 차선 이탈을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음 출력모듈; 및
상기 경고음 출력모듈로부터 수신한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선 이탈을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1. A vehicle black box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lated to a running state of a vehicle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photographing a driving lane of a vehicle;
A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data included in the satellit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driving lane data received from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departed from the lane;
A warning sound output module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for warning the lane departure when control data for lane departure from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is generated; And
And a warning unit driven by a warning sou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warning sound output module to alert the lane departure to a voice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On-Board Diagnostics)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The black box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black box system is connected to an on-board diagnostic system of a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BD와의 인터페이스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K-Line을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The black box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terface with the OBD is data transmission through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or a K-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차량의 위치, 움직임 및 충격에 관한 차량정보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블랙박스 제어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포함된 블랙박스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ack box comprises: a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a vehicle exterior taken by a plurality of cameras; A sensing unit for sensing vehicle information data on the position, mo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A black box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amera and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lack box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signal to the remot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이탈 판단부는 상기 차선정보 획득부로부터 회득한 차선의 위치에 대한 차선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차선정보를 상기 기준점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그 표준편차가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의 표준편차로 설정된 기준표준편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는지 판단하여, 넘어서는 경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서오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sets a reference point using the lane information of the lan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ane information obtaining unit, compares the lane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poin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judges whether the standard devi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reference standard deviation set as a standard deviation in the normal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f the standard deviation exceeds the reference standard deviation, the vehicle judges that the vehicle has deviated from the lan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차량의 스피커 이외에 차량 내의 오디오, 에어컨, 향기 발생기 및 실내등, 또는 핸들의 진동으로 차선 이탈을 경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The black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rning unit is configured to warn the lane departure warning by vibration of audio, air conditioner, perfume generator, interior light, or steering wheel in the vehicle other than the speaker of the vehicle.
KR1020160094840A 2016-07-26 2016-07-26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KR201800120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40A KR20180012065A (en) 2016-07-26 2016-07-26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40A KR20180012065A (en) 2016-07-26 2016-07-26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065A true KR20180012065A (en) 2018-02-05

Family

ID=6122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840A KR20180012065A (en) 2016-07-26 2016-07-26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0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3154A (en) * 2020-09-22 2020-12-25 沈阳工业大学 Monocular vision-based advanced driv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CN112313134A (en) * 2018-07-03 2021-02-0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Method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lane situations of a lane traversed by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3134A (en) * 2018-07-03 2021-02-02 黑拉有限责任两合公司 Method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lane situations of a lane traversed by a vehicle
CN112133154A (en) * 2020-09-22 2020-12-25 沈阳工业大学 Monocular vision-based advanced driv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4482B1 (en) Acciden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accident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KR101947493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using obd information
US201702748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or backing up video data in a motor vehicle
US10474913B2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US10504302B1 (en) 360 degree vehicle camera accident monitoring system
KR100836073B1 (en) Video blackbox system for vehicle using conroller area network
CN108028008B (en) For running the method and motor vehicle of the sending urgent call of motor vehicle
JP2008186174A (en) Running state recording device
KR101696540B1 (en) Vehicle accident recoding system related to driving information of unintended acceleration
KR101455847B1 (en) Digital tachograph with black-box and lane departure warning
KR20150121529A (en) Method for Recording Event Video by Impact Detecting in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CN106056698B (en) Motor vehicle, state recording method and system, image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 device
KR101580567B1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1445370B1 (en) Multi black box mounted mdr module
KR20110076334A (en) Blackbox for vehicle, blackbox system and controlling methdo for the same
KR20180012065A (en) Black-box with lane departure warning capability
US20190071043A1 (en) Advanced collision detection and enhanced automotive crash notification
JP2019020859A (en) Recording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KR101311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Accident of Vehicles
KR102374563B1 (en) Automatic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KR1023897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from vehicle 's cameras
KR1010392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event using variable threshold
US11455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event related data
KR102101965B1 (en) Car black box with security function
KR20140050468A (en) Acciden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