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04A - 차량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04A
KR20180011904A KR1020160094062A KR20160094062A KR20180011904A KR 20180011904 A KR20180011904 A KR 20180011904A KR 1020160094062 A KR1020160094062 A KR 1020160094062A KR 20160094062 A KR20160094062 A KR 20160094062A KR 20180011904 A KR20180011904 A KR 20180011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air conditioning
outlet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훈
김철희
김현규
한영흠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904A/ko
Priority to JP2017005878A priority patent/JP6592466B2/ja
Priority to EP21184139.0A priority patent/EP3936355A1/en
Priority to EP17151897.0A priority patent/EP3192682B1/en
Priority to CN201710033668.XA priority patent/CN106976375B/zh
Priority to US15/408,636 priority patent/US10611207B2/en
Publication of KR2018001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7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heated and cooled simultaneously, e.g. using parallel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와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로 흡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덕트의 입구를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내기흡입덕트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설치공간내에서 내기 흡입 면적이 증대되어 내기모드시 풍량 증대를 통해 냉방성능을 향상함은 물론 블로어의 내기 흡입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블로어의 흡입 정압이 감소하여 블로어의 소비 동력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와 내기흡입덕트의 입구 및 보조 내기흡입구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 대시패널에 1개의 관통부만 형성하면 되므로 대시패널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와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로 흡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덕트의 입구를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내기흡입덕트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설치공간내에서 내기 흡입 면적을 증대시킨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1), 압축기(1)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2), 응축기(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예컨대 팽창밸브(Expansion Valve)(3),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4) 등이 냉매 파이프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냉동사이클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방한다.
상기 에어컨시스템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가 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로 송출하고, 응축기(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로 보내어지고, 증발기(4)는 그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4)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1)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는 차실내측에 설치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방 역할을 하게 되는데, 즉,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4)를 거치면서 증발기(4)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차실내의 난방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미도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가열식히터(미도시)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2)는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방열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냉동사이클만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공조 시스템, 즉, 히트 펌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조케이스(10) 내부에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를 좌,우 구획되게 형성하고, 상기 냉풍통로(11)에는 냉방을 위한 증발기(4)를 설치하며, 상기 온풍통로(12)에는 난방을 위한 응축기(2)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출구측에는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5)와, 차실외로 공기를 방출하는 복수개의 공기방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의 각 입구측에는 개별작동하는 블로어(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한 공조 시스템에서 공조케이스(10)와 블로어(20)는, 차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시패널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설치된다.
이때, 엔진룸측에 설치된 블로어(20)측으로 차실내 내기를 흡입시키기 위해 상기 블로어(20)에는 내기흡입덕트(30)가 연결된다.
상기 내기흡입덕트(30)는 차실내와 블로어(20)를 연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이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상기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홀(Hole)과, 상기 내기흡입덕트(30)를 통해 차실내의 내기를 흡입하기 위한 홀을 상기 대시패널에 각각 형성해야 하므로 대시패널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대시패널의 강성 문제 및 차량에서 주어지는 제한된 설치 공간으로 인해 상기 내기흡입덕트(30)의 입구 크기를 증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로인해 상기 내기흡입덕트(30)의 입구 크기가 작아 내기모드시 풍량이 부족하고 냉방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블로어(20)의 내기 흡입 소음이 크고, 블로어의 흡입 정압이 상승하여 블로어(20)의 소비 동력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와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로 흡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덕트의 입구를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내기흡입덕트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설치공간내에서 내기 흡입 면적이 증대되어 내기모드시 풍량 증대를 통해 냉방성능을 향상함은 물론 블로어의 내기 흡입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블로어의 흡입 정압이 감소하여 블로어의 소비 동력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와 내기흡입덕트의 입구 및 보조 내기흡입구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 대시패널에 1개의 관통부만 형성하면 되므로 대시패널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냉풍통로와 온풍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온풍통로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와 온풍통로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공조케이스에 구비됨과 아울러 차실내와 상기 송풍장치를 연결하여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로 흡입시키는 내기흡입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와 상기 내기흡입덕트의 입구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와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로 흡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덕트의 입구를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내기흡입덕트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설치공간내에서 내기 흡입 면적이 증대되어 내기모드시 풍량 증대를 통해 냉방성능을 향상함은 물론 블로어의 내기 흡입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블로어의 흡입 정압이 감소하여 블로어의 소비 동력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출구와 내기흡입덕트의 입구 및 보조 내기흡입구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 대시패널에 1개의 관통부만 형성하면 되므로 대시패널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공조모듈과 분배덕트가 대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분배덕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공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공조케이스의 출구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믹스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미도시) -> 난방용 열교환기(102) -> 팽창수단(미도시) ->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냉매순환라인(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해 냉방을 수행하고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는 증발기이고,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는 응축기이다.
이때,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로는 증발기를 사용하고,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로는 냉매를 이용한 방식이 아닌 냉각수를 이용한 방식 즉 냉각수로 난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인 히터코어(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응축기나 히터코어 뿐만 아니라 전기가열식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냉방용 열교환기(104)로 증발기를 사용하고, 난방용 열교환기(102)로 응축기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냉방용 열교환기(104)로부터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어 난방용 열교환기(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매는 응축되고,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는, 냉매순화라인(냉매파이프)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한 후 방열핀(미도시)을 설치한 구조, 또는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복수개의 튜브(미도시)를 연결 설치하고 각 튜브의 사이에 방열핀을 설치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냉매순환라인 또는 복수개 튜브를 따라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이때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팽창수단(미도시)은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냉방용 열교환기(104)로 보내게 된다.
상기 팽창수단으로는 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는 상기 팽창수단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저압의 액상 냉매를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에서 증발하여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기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방용 열교환기(104)의 내부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후 분배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차량 실내의 난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난방용 열교환기(102)의 내부를 순환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의 방열로 가열되어 뜨거워진 후 분배덕트(200)를 통해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공조모듈(100)과, 분배덕트(20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조모듈(100)은,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가 설치되는 냉풍통로(111) 및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가 설치되는 온풍통로(112)가 구획 형성되고 상기 냉,온풍통로(111,112)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110b)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130)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덕트(20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연결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된 공기를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차실내의 특정위치로 분배하도록 모드도어(2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상기 공조모듈(100)과 분배덕트(200)가 나누어 구성된다.
즉, 상기 공조모듈(100)은 상기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덕트(200)는 상기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 및 난방용 열교환기(10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10)와 송풍장치(130)로 구성된 공조모듈(100)은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배치하고, 공기를 차실내로 분배하도록 모드도어(230)를 갖는 분배덕트(200)는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차실내측에 배치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소음을 유발하는 공조모듈(100)을 엔진룸측에 배치함에 따라 차실내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차실내측에는 분배덕트(200)만 배치하여 기존 시스템 대비 차실내 공간 확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시패널(300)에는 관통부(310)가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3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조모듈(100)과 분배덕트(200)를 결합하기 위해서 1개만 형성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관통부(310)의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구조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룸측에 배치된 공조모듈(100)과 상기 차실내측에 배치된 분배덕트(200)는 상기 관통부(310)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데, 즉, 상기 관통부(310) 위치에서 상기 공조모듈(100)과 분배덕트(200)가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대시패널(300)의 관통부(310)를 관통하는 상기 공조모듈(100)의 공조케이스(110) 출구(110b)와 상기 분배덕트(200)의 공기유입구(210)가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대시패널(300)에 형성된 관통부(310)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및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차실내와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온풍통로(111,11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를 구획하는 구획벽(1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벽(113)에 의해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가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가 상,하 적층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냉풍통로(111)는 상기 구획벽(1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는 상기 구획벽(113)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0a)에서부터 상기 구획벽(113)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에서 합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에서는 상기 구획벽(114)이 생략되어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가 합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온풍통로(112)와 냉풍통로(111)의 상,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와 냉방용 열교환기(104)도 상,하로 배치되게 된다.
다시말해, 후술하는 제1,2블로어(130a,130b)의 모터(133,137) 회전축이 향하는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와 냉방용 열교환기(104)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가 설치된 냉풍통로(111)에는 냉풍이 유동하고,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가 설치된 온풍통로(112)에는 온풍이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와 난방용 열교환기(102) 사이의 구획벽(113)에는,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통로(11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14)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도어(115)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는, 상기 냉풍통로(111)내의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냉풍 일부를 상기 온풍통로(112)측으로 바이패스시키게 되며, 상기 바이패스도어(115)는 냉방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하고,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면서 냉방용 열교환기(104)에 의해 냉각된 냉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하고 이때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며,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면서 난방용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하고 이때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난방모드시, 차실내 제습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개방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면서 냉방용 열교환기(104)에 의해 냉각 및 제습된 냉풍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온풍통로(112)측으로 바이패스된 후 차실내로 공급되어 제습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하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냉풍이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는, 상기 냉풍통로(111)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상류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일측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냉풍을 외부로 방출하는 냉풍방출구(119a)와, 상기 냉풍방출구(119a)와 냉풍통로(111)를 개폐하는 냉풍 모드도어(120)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일측에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온풍을 외부로 방출하는 온풍방출구(119b)와, 상기 온풍방출구(119b)와 온풍통로(112)를 개폐하는 온풍 모드도어(121)가 구비된다.
상기 냉풍방출구(119a)와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통로(111)에서 냉방용 열교환기(104)의 하류측에 구비되고, 상기 온풍방출구(119b)와 온풍 모드도어(121)는 상기 온풍통로(112)에서 난방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상기 냉풍방출구(119a)와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는 엔진룸을 거쳐 차량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냉풍통로(111)를 개방하고,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방출구(119b)를 개방하게 되어,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분배덕트(20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통로(112)를 개방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게 되어,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분배덕트(20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0a)측에는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토출구(134)가 연결되어 냉풍통로(111)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블로어(130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토출구(138)가 연결되어 온풍통로(112)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블로어(1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블로어(13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4)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2)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1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렛링(131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위치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블로어(130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8)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5)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6)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5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6)을 회전시키는 모터(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렛링(135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위치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모터(133,137) 회전축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인렛링(131a)과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인렛링(135a)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스크롤케이스(131,135)는, 각각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32,136)을 중심으로 스크롤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132,136) 둘레의 공기통로는 스크롤 시작지점에서부터 끝지점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토출구(134,138)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 형상 끝지점에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온풍통로(111,112)와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스크롤케이스(131)와 제2블로어(130b)의 스크롤케이스(135)는 스크롤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스크롤케이스(131)는 상기 구획벽(113)의 하부에 위치한 냉풍통로(1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스크롤케이스(135)는 상기 구획벽(113)의 상부에 위치한 온풍통로(1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테이크덕트(1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상기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각각 개별 작동하는 두 개의 블로어(130a,130b)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41)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42)와,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제1블로어(130a)에 대해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를 개폐하는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제2블로어(130b)에 대해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를 개폐하는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외기유입구(141)는 인테이크덕트(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기유입구(142)는 인테이크덕트(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도 돔형 도어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를 설치하여,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외기유입구(141,142)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에는, 각각 에어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외기유입구(141)는 차량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는 차실내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차실내와 상기 송풍장치(130)의 내기유입구(142)를 연결하는 내기흡입덕트(143)가 설치되어 차실내의 내기를 상기 송풍장치(130)로 흡입하게 된다.
즉, 상기 내기흡입덕트(143)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와 차실내를 연통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상기 대시패널(300)의 관통부(310)를 통해 차실내와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차실내를 향하는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즉, 대시패널(300)과 마주하는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 입구(143a)의 외측 사공간(Dead zone)에 형성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는 공조케이스(110)내 냉,온풍유로(111,112)에 따라 적정 크기(너비x높이)를 갖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가 상이하게 되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와의 차이로 인해 사공간(Dead zone)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를 제외한 사공간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대시패널(300)에 형성된 1개의 관통부(310)는, 관통부(310) 전체 영역 중에서 일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로 사용되고, 일부는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로 사용되며, 일부는 보조 내기흡입구(146)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와 보조 내기흡입구(146) 높이를 합한 높이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상기 내기흡입덕트(143)가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측의 냉,온풍통로(111,11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외측의 내기흡입덕트(143)는 서로 구획되며,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및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서로 격벽(145)에 의해 분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격벽(145)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로 유입되어 송풍장치(130)로 유동하는 내기가 완전히 분리되게 되며,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 역시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완전히 구획된다.
또한,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 사이의 격벽(145)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46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격벽(145)에 형성된 연통홀(146a)을 통해 서로 연통함으로써, 제1,2블로어(130a,130b)의 작동시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를 통해 내기가 흡입되므로 제한된 설치공간내에서 내기 흡입 면적이 증대되어 내기모드시 풍량 증대를 통해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내기 흡입 면적이 증대되므로 제1,2블로어(130a,130b)의 내기 흡입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제1,2블로어(130a,130b)의 흡입 정압이 감소하여 블로어의 소비 동력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및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 대시패널(300)에 1개의 관통부(310)만 형성하면 되므로 대시패널(300)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20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210)와, 상기 공기유입구(210)로 유입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로 분배하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220)와, 상기 복수개 공기토출구(220)의 개도를 조절하는 상기 모드도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220)는, 상기 분배덕트(200)의 상부에 서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디프로스트 벤트(221) 및 페이스 벤트(222)와, 상기 분배덕트(200)에서 상기 대시패널(300)과 인접한 쪽에 형성되는 플로어 벤트(22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221)는 차실내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222)는 차실내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플로어 벤트(223)는 차실내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230)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221)와 페이스 벤트(222) 및 플로어 벤트(223)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각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배덕트(200)의 내부에는 전기가열식히터(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냉매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로 유입된다.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로 유입된 기상 냉매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냉매가 냉각되면서 액상으로 상변화하게 된다.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102)에서 배출된 액상냉매는, 상기 팽창수단으로 유입되어 감압 팽창 된다.
상기 팽창수단에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저온 저압의 무화 상태가 되어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로 유입되고,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로 유입된 냉매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104)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유입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이하, 냉방모드, 난방모드, 믹스모드시의 공기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 냉방모드
냉방모드시에는, 도 9와 같이,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상기 냉풍통로(111)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는 상기 온풍방출구(119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내기모드시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를 통해 내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분배덕트(200)로 유동하고, 이후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230)에 의해 개방된 공기토출구(22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
나.난방모드
난방모드시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통로(112)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분배덕트(200)로 유동하고, 이후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230)에 의해 개방된 공기토출구(22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
다. 믹스모드
믹스모드시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상기 냉풍통로(111)를 개방하고,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는 온풍통로(112)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냉방용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분배덕트(200)로 유동하고,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난방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분배덕트(200)로 유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분배덕트(200)로 유동한 냉풍과 온풍은 서로 믹싱된 후,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230)에 의해 개방된 공기토출구(220)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100: 공조모듈
102: 난방용 열교환기 104: 냉방용 열교환기
110: 공조케이스 111: 냉풍통로
112: 온풍통로 113: 구획벽
114: 바이패스통로 115: 바이패스도어
119a: 냉풍방출구 119b: 온풍방출구
120: 냉풍 모드도어 121: 온풍 모드도어
130: 송풍장치 130a: 제1블로어
130b: 제2블로어 131,135: 스크롤케이스
132,136: 송풍팬 133,137: 모터
134,138: 토출구
140: 인테이크덕트 141: 외기유입구
142: 내기유입구 143: 내기흡입덕트
145: 격벽 146: 보조 내기흡입구
146a: 연통홀
147: 제1내외기전환도어 148: 제2내외기전환도어
200: 분배덕트 210: 공기유입구
220: 공기토출구 221: 디프로스트 벤트
222: 페이스 벤트 223: 플로어 벤트
230: 모드도어 300: 대시패널
310: 관통부

Claims (11)

  1.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가 형성되고, 상기 냉,온풍통로(111,112)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110b)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구비됨과 아울러 차실내와 상기 송풍장치(130)를 연결하여 차실내 내기를 송풍장치(130)로 흡입시키는 내기흡입덕트(143)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로 내기를 추가 흡입시키는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 입구(143a)의 외측 사공간(Dead zone)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 높이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높이와의 차이로 발생하는 사공간(Dead zone)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및 보조 내기흡입구(146)는 서로 격벽(145)에 의해 분리 구성되고,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 사이의 격벽(145)에는,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와 보조 내기흡입구(146)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4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상기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는, 차실내를 향하는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차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시패널(300)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와 내기흡입덕트(143)의 입구(143a) 및 보조 내기흡입구(146)가 차실내와 연통하도록 관통부(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110b)에서 토출된 냉,온풍을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차실내의 특정위치로 분배하는 분배덕트(2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상기 대시패널(300)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배덕트(200)는 차실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통로(111,11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를 구획하는 구획벽(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냉방용 열교환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난방용 열교환기(10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0160094062A 2016-01-18 2016-07-25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80011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62A KR20180011904A (ko) 2016-07-25 2016-07-25 차량용 공조 시스템
JP2017005878A JP6592466B2 (ja) 2016-01-18 2017-01-17 車両用空調システム
EP21184139.0A EP3936355A1 (en) 2016-01-18 2017-01-18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EP17151897.0A EP3192682B1 (en) 2016-01-18 2017-01-18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201710033668.XA CN106976375B (zh) 2016-01-18 2017-01-18 车载空调系统
US15/408,636 US10611207B2 (en) 2016-01-18 2017-01-18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62A KR20180011904A (ko) 2016-07-25 2016-07-25 차량용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04A true KR20180011904A (ko) 2018-02-05

Family

ID=6122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62A KR20180011904A (ko) 2016-01-18 2016-07-25 차량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9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888A (zh) * 2021-06-29 2021-10-15 豫新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前置式纯电动汽车空调箱结构
CN113811456A (zh) * 2019-05-10 2021-12-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空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1456A (zh) * 2019-05-10 2021-12-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空调
CN113811456B (zh) * 2019-05-10 2024-03-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空调
CN113500888A (zh) * 2021-06-29 2021-10-15 豫新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前置式纯电动汽车空调箱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76375B (zh) 车载空调系统
CN107848371B (zh) 车辆用空调系统
CN107848372B (zh) 车辆用空调系统
JP6298537B2 (ja) 車両用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245681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70086726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70018995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80011904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60121730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27527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86724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80008977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CN211617374U (zh) 车载空调系统
KR102456814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456822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533421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552117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53657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80011902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70015755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27526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86722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600148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15756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78408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