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17A -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17A
KR20180011617A KR1020160094225A KR20160094225A KR20180011617A KR 20180011617 A KR20180011617 A KR 20180011617A KR 1020160094225 A KR1020160094225 A KR 1020160094225A KR 20160094225 A KR20160094225 A KR 20160094225A KR 20180011617 A KR20180011617 A KR 2018001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xter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gps
gp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Priority to KR102016009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17A/ko
Priority to PCT/KR2016/008150 priority patent/WO201802158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는,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데이터를 획득하는 GPS수신부;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GPS연결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차량에 설치된 가존 차량용 장치(예를 들어, 블랙박스, 네비게이션)의 GPS모듈 기능을 개선 또는 제공하거나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THE EXTERIOR GPS MODULE APPARATU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이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을 부착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고 발생 시의 증거를 획득하기 위해 블랙박스를 설치하고, 복잡한 도로의 통행의 편의를 위해 네비게이션을 설치한다.
그러나, 기존의 블랙박스와 네비게이션은 설치한지 오래될수록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블랙박스의 시간 세팅을 수동으로 사용자가 하여야 하는 경우, 촬영시간이 정확하지 않아 사고 발생 시에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의 GPS모듈이 획득하는 신호세기가 약한 경우, 현재 위치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경로 안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국가에 따라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외부서버로 발송하여야 할 수 있는데, 기존 차량 내에 설치된 장치들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모듈 자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GPS모듈을 구비하더라도 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아 외부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차량용 장치들을 개선하지 위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듈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 설치된 가존 차량용 장치(예를 들어, 블랙박스, 네비게이션)의 GPS모듈 기능을 개선 또는 제공하거나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서버로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는 국가에서 GPS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는,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데이터를 획득하는 GPS수신부;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GPS연결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의 핀조건과 상기 연결단자의 핀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핀조건으로 변환하는 변환젠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며,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외장GPS모듈장치에 부합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장GPS모듈장치 내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제2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GPS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에서 획득된 제1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단자가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설정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GPS수신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블랙박스인 경우, 상기 GPS수신부는 NMEA포맷데이터를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생성하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NMEA포맷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시간정보 또는 촬영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네비게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상기 네비게이션의 외장GPS모듈장치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 활용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GPS수신부에 의해 생성될 상기 위치정보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된 네비게이션이 상기 외장GPS모듈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내장GPS수신기로 전달하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비정제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결된 네비게이션이 상기 외장GPS모듈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정제된 NMEA포맷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특정세기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등록된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가존 차량용 장치(예를 들어, 블랙박스, 네비게이션)의 GPS모듈 기능을 개선 또는 제공하거나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외부장치가 블랙박스인 경우, 시간을 자동으로 세팅(Setting)하여 현재시간과 오차시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사고시 불필요한 오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영상을 촬영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사고지점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에 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외장GPS모듈장치의 무선통신기능을 활용함에 따라, 실시간 도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어서 최적의 경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기존 외부장치(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에 연결함에 따라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 외부장치 제조업체들은 차량의 위치전송이 의무화된 국가를 위한 모델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이 기존 모델을 판매하고, 외장GPS모듈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장GPS모듈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10)는, 하우징; GPS수신부(100); 무선통신부(200); 연결단자(300); 및 제어부(400);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GPS수신부(100); 무선통신부(200) 등의 구성을 설치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부(100)는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GPS수신부(100)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GPS수신부(100)는 GPS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위치 계산(즉, 위도, 경도 등을 계산)하는지 여부에 따라 외부장치(20)로 전달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할 위치정보데이터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GPS수신부(100)가 전달하는 위치정보데이터의 일실시예로, GPS위성으로부터 획득된 신호 자체인 비정제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외부장치(20)에서 GPS위성신호로부터 획득된 신호값을 바탕으로 자체 위치산출을 수행하는 경우, 외장GPS모듈장치(10)의 GPS수신부(100)는 비정제데이터 자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GPS수신부(100)가 전달하는 위치정보데이터의 다른 일실시예로, GPS위성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위치, 방위 등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인 NMEA포맷데이터를 외부장치(20) 또는 외부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0)는 외부로 외장GPS모듈장치(10)가 획득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장치(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또는 외부장치(20)로 전달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00)는 무선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외장GPS모듈장치(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GSM, WCDM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00)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0)가 수행하는 기능의 일실시예로, 무선통신부(200)는 GPS수신부(100)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의무인 국가 또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 무선통신부(200)는 GPS수신부(100)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예를 들어, 국가에서 운영하는 위치정보관리서버)로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무선통신부(200)는 외부장치(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이하, 제1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고, 외부장치(20)로 전달할 데이터(이하, 제2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0)는 외장GPS모듈장치(10)의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제1데이터 송신 또는 제2데이터 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외장GPS모듈장치(10)에 부합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외부장치(20)의 내장메모리 또는 외장메모리에 외장GPS모듈장치(10)용 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이 외장GPS모듈장치(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장치(20) 제어 및 외장GPS모듈장치(10)로의 제어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장치(20)는 외장GPS모듈장치(10) 내의 무선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제1데이터의 전송 및 제2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가 블랙박스장치인 경우, 외부장치(20)는 촬영된 영상을 외장GPS모듈장치(10)의 무선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른 단말장치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장치(20)가 네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외부장치(20)는 외장GPS모듈장치(10)의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지도 업데이트 데이터를 외부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장치(20)가 네비게이션인 경우, 외부장치(20)는 외부서버로부터 외장GPS모듈장치(10)의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단자(300)는 외부장치(20)의 GPS연결포트에 연결되는 단자이다.
상기 외부장치(20)는 GPS신호 획득이 필요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20)는 내부에 GPS모듈이 포함되지 않은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내부의 GPS모듈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외부장치(20)는 블랙박스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블랙박스 장치는 정확한 시간 설정 또는 촬영된 위치 인식을 위해 GPS신호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GPS연결포트에 외장GPS모듈장치(10)의 연결단자(3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단자(300)는 외장GPS모듈장치(10)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외부장치(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단자(300)는 외부장치(20)로부터 외장GPS모듈장치(10)로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단자(3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장치(20)로 전달하거나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데이터를 외부장치(20)로부터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무선통신부(200) 또는 GPS수신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장치(20)의 유형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단자(300)가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20)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20)에 상응하는 설정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200) 또는 상기 GPS수신부(100)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가 블랙박스인지 네비게이션 장치인지에 따라 외장GPS모듈장치(10)가 수행하는 기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외장GPS모듈장치(10)는 외부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장치(20)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가 외장GPS모듈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필요한 위치정보데이터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GPS수신부(100)가 획득할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연결된 외부장치(20)의 유형 또는 사용자의 설정(예를 들어, 외부장치(20)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에 따라 GPS수신부(100)가 획득할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외부장치(20)가 블랙박스인 경우, 제어부(400)는 GPS수신부(100)에 NMEA포맷데이터를 위치정보데이터로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외부장치(20)인 차량용 블랙박스는 GPS수신부(100)에서 획득한 NMEA포맷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시간정보 또는 촬영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외부장치(20)가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제어부(400)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가 외장GPS모듈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GPS수신부(100)에 의해 생성되어 전달될 상기 위치정보데이터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외장GPS모듈장치(10)가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가 외장GPS모듈장치(1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내장GPS수신기로 전달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비정제데이터(즉,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 자체)를 전송하도록 GPS수신부(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된 네비게이션이 상기 외장GPS모듈장치(1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정제된 NMEA포맷데이터를 전송하도록 GPS수신부(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각 구성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어디로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GPS수신부(100)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외부장치(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외부장치(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즉, 제1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부(2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외부장치(20)에서 획득된 제1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외부서버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의무적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GPS수신부(100)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부(2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GPS수신부(100)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변환젠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젠더는 외장GPS모듈장치(10)의 연결단자(300)에 결합되어 외부장치(20)에 연결가능한 단자 형태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변환젠더는 외부장치(20)의 핀조건과 상기 연결단자(300)의 핀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20)에 상응하는 핀조건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승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주차 또는 정차 후 운전자 미탑승 상황의 경우)에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충격감지센서는 충격이 감지된 사실을 제어부(400)에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특정세기 이상의 충격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신하도록 무선통신부(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구동하기 위해 외장GPS모듈장치(10) 또는 외부장치(20)는 별도의 외장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외장배터리는 차량 주행 시에 충전이 완료된 후 차량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에서 외장GPS모듈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가존 차량용 장치(예를 들어, 블랙박스, 네비게이션)의 GPS모듈 기능을 개선 또는 제공하거나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외부장치가 블랙박스인 경우, 시간을 자동으로 세팅(Setting)하여 현재시간과 오차시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사고시 불필요한 오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영상을 촬영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사고지점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에 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외장GPS모듈장치의 무선통신기능을 활용함에 따라, 실시간 도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어서 최적의 경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기존 외부장치(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에 연결함에 따라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 외부장치 제조업체들은 차량의 위치전송이 의무화된 국가를 위한 모델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이 기존 모델을 판매하고, 외장GPS모듈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외장GPS모듈장치
20 : 외부장치
100 : GPS수신부
200 : 무선통신부
300 : 연결단자
400 :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장치에 연결되어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외장GPS모듈장치에 있어서,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데이터를 획득하는 GPS수신부;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외부장치의 GPS연결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의 핀조건과 상기 연결단자의 핀조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핀조건으로 변환하는 변환젠더;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며,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외장GPS모듈장치에 부합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장GPS모듈장치 내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제2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GPS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에서 획득된 제1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단자가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상응하는 설정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GPS수신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블랙박스인 경우,
    상기 GPS수신부는 NMEA포맷데이터를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생성하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NMEA포맷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시간정보 또는 촬영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네비게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상기 네비게이션의 외장GPS모듈장치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데이터 활용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GPS수신부에 의해 생성될 상기 위치정보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네비게이션이 상기 외장GPS모듈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내장GPS수신기로 전달하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비정제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결된 네비게이션이 상기 외장GPS모듈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면,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 정제된 NMEA포맷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특정세기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등록된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KR1020160094225A 2016-07-25 2016-07-25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KR2018001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25A KR20180011617A (ko) 2016-07-25 2016-07-25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PCT/KR2016/008150 WO2018021588A1 (ko) 2016-07-25 2016-07-26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25A KR20180011617A (ko) 2016-07-25 2016-07-25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26A Division KR102059931B1 (ko) 2019-03-07 2019-03-07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7A true KR20180011617A (ko) 2018-02-02

Family

ID=6101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25A KR20180011617A (ko) 2016-07-25 2016-07-25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17A (ko)
WO (1) WO2018021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5060A (zh) * 2019-12-25 2020-04-21 中电科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飞行器位置的地面监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64A (ko) * 2004-03-03 2005-09-07 (주)싸이버뱅크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내장형 및 외장형 지피에스 수신안테나를 이용한 지피에스 장치
KR20050105920A (ko) * 2004-05-03 2005-11-08 조연상 외장형 gps 수신기를 가진 휴대폰
KR20060075326A (ko)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외장형 지피에스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11808B1 (ko) * 2008-10-16 2011-02-07 주식회사 글로비젠 부가 통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지피에스 장치
KR101215865B1 (ko) * 2009-11-18 2012-12-31 주식회사 에스지이노테크 개인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외장형 무선 지피에스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588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4064B2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inter-vehicle distance using driving image
KR102111784B1 (ko) 차량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US1161994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for aligning a vehicle to a wireless charger
US20170249792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a first function of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CN108347691B (zh) 一种定位方法及设备
KR101779767B1 (ko) 신호 분석을 통한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1034286B (zh) 用于报告定位数据的方法
US20180003792A1 (en) Multi-operational orientation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smart infrastructure
CN109923598B (zh) 车辆用物体检测装置及车辆用物体检测系统
WO2022103494A1 (en) Context-adaptive rssi-based misbehavior detection
JP2010276411A (ja) 移動端末装置
KR20180011617A (ko)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KR102059931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KR101560984B1 (ko) 자동 주차 시스템
US11647366B2 (en) Adaptive RSSI adjustment
JP5176346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中間装置及び位置特定方法
KR101592592B1 (ko)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키
JPH0675036A (ja) 位置検出装置
US20230202324A1 (en) Macroscopic alignment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111258307A (zh) 无人驾驶辅助定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6610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on-demand roadside AI service
CN110956424B (zh) 库存跟踪标签、用于延长电池寿命的系统和方法
CN112714399B (zh) 一种车辆无线信号异常时的信息传递方法及装置
JP2017173222A (ja) 受信装置
CN110896519A (zh) 一种基于短距离无线通信的车载终端及位置采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