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406A -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406A
KR20180010406A KR1020160092408A KR20160092408A KR20180010406A KR 20180010406 A KR20180010406 A KR 20180010406A KR 1020160092408 A KR1020160092408 A KR 1020160092408A KR 20160092408 A KR20160092408 A KR 20160092408A KR 20180010406 A KR20180010406 A KR 20180010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viewer
server
shopping broadcast
cou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158B1 (ko
Inventor
류영재
Original Assignee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1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15Access to distributed or replicated servers, e.g. using br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1에서 본 발명은 TV 쇼핑 방송 서버가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쇼핑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시스템 2에서 본 발명은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상기 TV 쇼핑 방송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상기 시스템 1에서 표시된 쿠폰식별자를 입력하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METHOD OF SCATTERING ORDER CALL FOR TV SHOPPING BY MOBILE APPLICATION ORDER}
본 발명은 티커머스를 포함한 TV 홈쇼핑 서비스 기술에 관한다.
쇼핑은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관계이다.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쇼핑과 달리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쇼핑은 그 관계에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온라인 쇼핑에서는 상품을 판매하는 자와 소비자 사이의 관계가 일대다로 이루어지며, 트래픽과 그 트래픽에 따른 데이터 처리의 부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TV홈쇼핑에서는 그런 병목현상이 시청자의 에 의해서 발생한다. 시청자는 통상 전화로 주문을 한다.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TV 홈쇼핑이건 VOD 형식으로 제공되는 티커머스 방송이든 방송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판매자는 제한된 시간 내에 더 많은 콜을 원한다. 여기서 오래된 문제가 발생한다. 그 콜을 수용하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주문 전화가 폭주하더라도 통화 중 상태로 대기해야 한다. 주문을 하려는 시청자에게도 상품을 판매하려는 판매자에게도 모두 괴롭다. 인내심 없는 주문자는 쉽게 이탈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통적인 방법이 ARS를 이용한 주문이었다. ARS를 이용하여 콜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9244호는 시청자가 ARS를 거는 것이 아니라 홈쇼핑 콜센터에서 시청자 전화번호론 ARS 전화를 거는 방법도 제안하고 있다.
이런 방식은 틀림없이 주문 콜을 분산하는 방법으로서 유효할 것이다. 그러나 ARS 방법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시청자의 행위가 결정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꺼리는 사람도 있다. 바로 주문/결제를 하려는 성격 급한 시청자, ARS에 불안감과 낯섦을 느끼는 시청자, 주문할 때 주체적으로 결정해야만 하는 성격의 시청자의 콜을 수용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고심한 끝에 책상을 탁치며 일어설만한 독창적인 방법을 창안하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고민해 보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본 발명의 단순성만 보일 뿐 혁신성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본 발명자의 근심이다. 그러나 숨겨진 것은 결국 보일 것이다. 복잡하고 난해한 구성이 더 기술적이라는 편견이 없다면 본 명세서를 통해서 감춰진 것이 드러날 것이다. TV 홈쇼핑 방송의 시청자 주문 콜은 효과적으로 분산될 것이다.
본 발명은 TV 홈쇼핑 방송에서 시청자의 주문 콜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방법을 제안함에 있어서 특히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주문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시청자가 보고 있는 TV 홈쇼핑 방송 채널과 이 방송과 연동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본 발명의 정신은 시청자로 하여금 TV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번호로 콜을 하지 말고 스마트폰으로 주문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콜을 분산하겠다는 것이다.
시청자로 하여금 모바일 앱을 실행해서 모바일 화면을 보도록 하기 위함인가 그것은 아니다. 파생적인 결과가 될 수 있을지언정 목적이 될 수 없다.
방송 쇼호스트가 <주문이 폭주하고 있습니다. 꼭 스마트폰으로 주문해주세요. >라고 말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시청자는 어린이가 아니며 그런 말을 듣더라도 무시해버린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청자로 하여금 적극적인 구매전환을 유도하면서 주문 콜을 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으로서,
제 1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쇼핑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상기 TV 쇼핑 방송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입력하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 다음에, TV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사용하는 모바일 주문이 안내되도록 하고,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상기 TV 쇼핑 방송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쿠폰식별자와 매칭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품가격 할인혜택이 적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쇼핑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TV 채널의 쇼핑 방송과 연동하여 표시되는 모바일 쇼핑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 상기 쿠폰식별자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그 쿠폰식별자에 매칭되는 할인혜택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V 쇼핑 상품에 대한 주문이 폭주할 때 주문 전화 콜을 모바일 주문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콜을 분산할 수 있다. 주문 전화에 응답하는 상담원에 관한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더 많은 시청자로 하여금 TV 쇼핑 채널과 연동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와 사용을 유됴할 수 있는 효과도 거둔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 시스템 1(100)과 시스템 2(200)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어떤 프로세스로 주문 콜이 분산되는지 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해결원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콜 분산 방법의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시스템이 존재해야 하며, 또한 그들 시스템이 서로 연동해야 한다.
제 1 시스템(100)은 방송망을 통해서 TV 쇼핑 방송을 제공하고 시청하는 시스템이다. 한편으로는 TV 쇼핑 방송 서버(110)가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청자가 TV를 통해서 그 방송 콘텐츠를 시청한다. 이런 시스템의 대강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구현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필수적인 사항을 위주로 설명한다.
TV 쇼핑 방송을 위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미도시)에 셋톱박스(101, 101…)가 설치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내장되어 설치되거나 소프트웨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TV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런 셋톱박스(101, 101…)를 통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가 TV 쇼핑 방송 서버(11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TV 전원은 켜 있으나 셋톱박스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또는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TV는 쇼핑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110)에 연결될 수 없다.
셋톱박스(101)에는 TV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방송 채널을 호출하며, 시청자의 리모콘과 통신하며 시청자와 방송사업자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매개하고, 미리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방송 및/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기능 모듈을 화면으로 가시화한다. TV가 특정 채널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는 셋톱박스(101)의 TV 애플리케이션이 그 채널을 호출하면서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셋톱박스(101)마다 고유한 아이디를 갖는다. 셋톱박스(101)가 채널을 호출하여 서버(110)에 접속될 때 서버(110)는 셋톱박스 아이디를 취득할 수 있다.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셋톱박스가 서버(110)에 연결되어 있다면, 서버(110)는 N개의 셋톱박스 아이디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그것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처럼 서버(110)가 N개의 채널 호출 개수를 카운팅하는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시스템 1에서는 특히 서버 측에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되는 쿠폰매니저(120)가 설치된다. 쿠폰매니저(120)는 쿠폰등록기(121), 채널 호출 카운터(123), 쿠콘 푸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등록기(121)는 모바일 쿠폰 정보를 시스템 1과 시스템 2에 연동하여 사전에 등록한다. 쿠폰식별자와 대상상품을 매칭하여 시스템 1의 서버와 시스템 2의 서버에 미리 등록한다. 어떤 상품에 관한 것이며, 어떤 금전적 혜택을 줄 것인지, 그리고 쿠폰을 보낼 기준이 되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 등이 정의될 것이다. 그런 혜택으로는 예컨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하면 P(P는 양수)% 할인혜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하면 사은품 증정 등이 있다.
채널 호출 카운터(123)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TV 쇼핑 방송 서버(110)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를 카운트한다. 쿠폰 매니저(120)는 채널 호출 카운터(123)가 실시간으로 카운트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쿠폰 푸셔(125)로 하여금 쿠폰식별자를 N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전송한도록 명령한다.
N≥N0 (식 1)
일시적으로 시청자가 늘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식 1을 만족하는 셋톱박스 채널 호출의 지속시간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쿠폰 푸셔(125)는 상기 쿠폰 등록기(121)를 통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쿠폰식별자를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쿠폰식별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으로 앱에서 입력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보통 문자 및/또는 숫자로 쿠폰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서 독출되기 쉬운 코드 이미지일 수 있다.
TV 쇼핑 방송 서버(110)는 미리 정해진 채널을 통해서 TV 쇼핑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사업자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를 포함하는 구성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TV 쇼핑 콘텐츠를 방송망을 통해서 대규모로 전송하고 다양한 이벤트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복수의 서버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쿠폰식별자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는 데 주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V 홈쇼핑(데이터방송 홈쇼핑을 포함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서버 기능, 즉 데이터 통신, 동영상 스트리밍, 보안, 조회, 인증, 결제, 매니지먼트, 데이터베이스 기능 등이 서버(110)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서버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예컨대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12)와 셋톱박스 아이디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서는 쿠폰 정보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과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쿠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그것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2)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정보, 광고, 로그, 과금 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제 시스템 2(200)에 대해서 설명하자. 시스템 2(200)는 네트워크 관점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고 디바이스 관점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프로세스가 전개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2(200)는 시스템 1(100)과 별개로 존재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도, 서버 측 구성도, 네트워크 플랫폼도 모두 다르다.
이 시스템 2(200)에서는 M(M은 1보다 큰 정수)개의 모바일 디바이스(201)가 위치한다. 각 모바일 디바이스(201)에는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바일 앱을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210)에 연결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2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TV 쇼핑 방송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를 열람하고, 주문하여 결제할 수 있다.
제 1 시스템(100)의 쿠폰 매니저(120)가 쿠폰발행을 결정하면 통신망을 통해서 그 사실이 제 2 시스템(200)의 애플리케이션 서버(210)로 통지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210)의 메모리에는 제 1 시스템(100)에서 시청자의 TV 화면을 통해 표시된 쿠폰식별자와 동일한, 혹은 매칭되는 쿠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제 1 시스템(100)에서 발행된 쿠폰은 제 2 시스템(200)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버(210)도 서버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갖게 된다. 가령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12)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서는 쿠폰 정보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과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도 2는 콜의 분산 관점에서 시스템 1(100)과 시스템 2(200)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식화했다. 사용자 관점으로 설명하자면, 시스템 1(100)에서 사용자는 TV를 통해서 쇼핑 방송을 시청한다. 시스템 2(200)에서는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쇼핑을 한다. 시스템 1(100)과 시스템 2(20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연동과 통신 규칙을 통해서 서로 연동되어 있다.
전술한 쿠폰 매니저(210)는 얼마나 많은 시청자들이 현재의 쇼핑 방송을 보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준치를 넘은 수의 시청자들이 TV 쇼핑 방송을 보고 있다고 판단한다면(전술한 식 1)(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쿠폰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②). 통지 루트는 2개가 될 것이다. 시스템 1을 통한 통지와 시스템 2를 통한 통지이다. 전자는 시청자의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이고, 후자는 그 시청자가 모바일 주문 시에 쿠폰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2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통지하는 것이다.
통상의 주문은 이러하다.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리모콘 결제 등도 여러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품의 주문은 TV 앞에 있는 시청자가 TV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주문전화를 건다. 그런데 모바일 앱을 이용한 주문 시에 혜택을 제공하는 쿠폰정보를 TV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주문전화를 걸기보다는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주문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콜을 유효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③).
도 3은 본 발명자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솔루션을 카툰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TV 쇼핑에 관한다. 실시간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TV 홈쇼핑 방송뿐만 아니라 VOD 형식으로 제공되는 양방향 데이터방송 홈쇼핑도 포함된다. 모든 TV 쇼핑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주문전화를 받을 상담원이 많더라도 주문전화가 드물 수 있다. 그런 경우 콜의 분산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TV 쇼핑이 성공하는 경우, 주문전화는 폭주한다. 도 3(a)에 나타난 것처럼, TV(1)의 쇼핑 화면을 통해 주문이 폭주하고 있다는 사실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카운트한 채널 호출 개수(N)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넘은 경우(같게 된 것을 포함한다), 쿠폰식별자를 화면에 표시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쇼호스트가 모바일 앱으로 결제하면 쿠폰을 받을 수 있다고 안내해 줄 수도 있으며(안내음성출력), 또한 그와 같은 안내를 자막이나 텍스트로 표시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쿠폰이 발행되어 쿠폰식별자가 TV 화면에 표시될 정도라면 주문이 많은 경우일 것이다. 그런 경우에 시청자가 주문전화를 하면, 도 3(b)와 같이 전화연결이 쉽지 않다. 대기해야 하거나 ARS 전화로 주문해야 한다. 번거로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은 시청자로 하여금 제 2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문하도록 함으로써 콜을 분산시키는 데 있다.
이로써 성격이 급한 시청자는 주문 콜을 하게 하고, ARS에 익숙한 사람은 ARS 주문을 하게 함과 동시에, 모바일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청자는 도 3(c)와 같이, 자연스럽게 모바일 주문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콜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다.
시청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201)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201a)를 선택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든 시청자가 모바일 앱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 앱플랫폼에서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는 것은 거의 일상생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쿠폰을 사용하려는 시청자의 디바이스에 해당 앱이 없다면, 그 모바일 앱을 자신의 디바이스에 먼저 다운로드 받게 될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콜의 분산뿐만 아니라, TV 쇼핑 사업자가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보급과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는 빼어난 장점을 거둔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하는 사용자는 도 3(d)에 표현되어 있는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의 주문화면(201b)에 포함되어 있는 쿠폰식별자 입력란(20)에 쿠폰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쿠폰식별자가 입력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쿠폰정보와 비교하여 그것이 주문대상 상품과 매칭되는지를 비교할 것이다. 매칭에 성공하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금전적인 혜택, 예컨대 상품가격 할인혜택을 결제 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원리와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밝혀졌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개괄적으로 예시하여 정리한다.
먼저 시스템을 구축하고 특히 시스템 1의 서버 측에 쿠폰 매니저를 설치하여 모바일 쿠폰 정보를 사전에 등록한다(S100). 이 S100 단계는 시스템 1에서 시청자들에게 통지한 쿠폰이 시스템 2에서 사용되는 데 문제가 없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쿠폰매니저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예시하여 설명했고, 그것은 시스템 1에 속한 서버 측에 설치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이 편의를 위하여 행위주체로서의 쿠폰매니저 대신에 간단히 서버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서버가 TV 쇼핑 방송의 채널 호출 개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카운팅한다(S110).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를 실시간으로 카운트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의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 인 조건을 만족한다면, 서버는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한다(S120). 셋톱박스로 전송된 쿠폰식별자는 TV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시청자가 알아채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화면에 쿠폰식별자를 알려준 다음에, TV 디바이스를 통해서 음성, 영상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쿠폰식별자를 사용하는 모바일 주문을 안내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지금 모바일 쿠폰이 발행되었으므로 TV 쇼핑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하면 혜택이 있다는 가이드가 되겠다.
상기 S110 단계 및 S120 단계는 시스템 1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이다. 시청자로 하여금 주문전화 콜을 시도하지 말고 시스템 2에서 주문하라고 유도하는 프로세스였다. 바람직하게 S120 단계는 시스템 2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쿠폰사용 개시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V 앞의 시청자는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30). 그런 다음에 TV 쇼핑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진행한다. 이때 TV 화면에 표시된 쿠폰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금전적 혜택을 받도록 한다(S140).
상기 S140 단계는 몇 가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쿠폰식별자를 키보드 방식으로 입력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d)가 묘사하고 있다. 입력수단은 키보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쿠폰식별자가 코드 이미지로 된 경우 그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기능모듈을 가진 스마트폰이 그 코드 이미지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변형 예를 제안한다.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해당 상품에 대한 모바일 쿠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쿠폰식별자에 대한 갖고 있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가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주문할 때에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쿠폰식별자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그 쿠폰식별자와 매칭되는 할인혜택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은, 모든 모바일 앱을 통한 주문결제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겠거니와, 방송 중인 TV(셋톱박스)와 페어링 된 스마트폰에서 실행된 앱에서만 쿠폰식별자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3)

  1.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쇼핑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상기 TV 쇼핑 방송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입력하여 단계를 포함하는,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2.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 다음에, TV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사용하는 모바일 주문이 안내되도록 하고,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이 상기 TV 쇼핑 방송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상기 쿠폰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쿠폰식별자와 매칭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품가격 할인혜택이 적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3. TV 쇼핑 방송 서버가 방송 중인 TV 쇼핑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숫자를 판정함에 있어서 시청자의 TV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TV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에 대한 채널 호출 개수(N)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 호출 기준 개수(N0)를 비교하여 N≥N0인 경우, 상기 TV 쇼핑 방송 서버가 N 개의 시청자 셋톱박스로 쿠폰식별자를 전송하여 시청자 TV 쇼핑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TV 쇼핑 방송과 연동하는 시청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TV 채널의 쇼핑 방송과 연동하여 표시되는 모바일 쇼핑 콘텐츠의 대상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 상기 쿠폰식별자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그 쿠폰식별자에 매칭되는 할인혜택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KR1020160092408A 2016-07-21 2016-07-21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KR10184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08A KR101845158B1 (ko) 2016-07-21 2016-07-21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08A KR101845158B1 (ko) 2016-07-21 2016-07-21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06A true KR20180010406A (ko) 2018-01-31
KR101845158B1 KR101845158B1 (ko) 2018-04-03

Family

ID=6108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08A KR101845158B1 (ko) 2016-07-21 2016-07-21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7619A (zh) * 2021-06-30 2021-10-15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数据显示、数据发送方法及装置、相关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7619A (zh) * 2021-06-30 2021-10-15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数据显示、数据发送方法及装置、相关设备
CN113507619B (zh) * 2021-06-30 2023-09-19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数据显示、数据发送方法及装置、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158B1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5718B2 (en) Advertis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8270578B2 (en) Mobile payment system
US20160063533A1 (en) Method of delivering an advertising message
KR20120100277A (ko) 통신망을 통한 위치 기반의 통합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CN112153402A (zh) 电子资源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894509B1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5007117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情報配布システム
KR100913440B1 (ko) 모바일방송 광고쿠폰 발행시스템
KR101845158B1 (ko) Tv 쇼핑 콜 분산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US20020046139A1 (en) Commerc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commerce information managing method
KR101502924B1 (ko) 광고 조건부 디바이스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7003219A1 (ko) 방송화면 연동 커머스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302752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KR20030083968A (ko) 홈서버와 개인정보단말을 이용한 홈쇼핑 시스템 및 방법
WO2009082048A1 (en) Generator of rfid tag
KR102026900B1 (ko)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타겟팅 광고 시스템
KR100452147B1 (ko) 홈쇼핑 광고 방송 단말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80071238A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2190867A (ja) 携帯電話への動画配信サービス方法
KR100944500B1 (ko) 멀티미디어 장치
KR20130089677A (ko) 지역기반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69880A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광고 정보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광고출력기능이 구비된 셋톱박스
KR102333813B1 (ko) 홈쇼핑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69511B1 (ko) 상품정보제공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제공시스템
US20110016481A1 (en) Electronic Information Request Card Generation and Transmitt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