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369A -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369A
KR20180010369A KR1020160091971A KR20160091971A KR20180010369A KR 20180010369 A KR20180010369 A KR 20180010369A KR 1020160091971 A KR1020160091971 A KR 1020160091971A KR 20160091971 A KR20160091971 A KR 20160091971A KR 20180010369 A KR20180010369 A KR 2018001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biopsy
lung biopsy
percutaneous lung
percuta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136B1 (ko
Inventor
김남국
박창민
전상훈
황의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6009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DICFING RISK OF PERCUTANEOUS PULMONARY BIOPSY}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조직 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체에 발생한 결절 혹은 종괴가 암이 의심되는 경우, 조직 생검이라는 조직 채취 및 채취된 조직의 병리적 검사를 통해 질병을 확진하게 된다. 조직 생검은 크게, 수술을 통해 인체를 개복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과 최신 영상유도 장비 유도하에 이루어지는 최소 침습 방식인 경피적 생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술적 생검은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환자의 회복 기간, 병원 재원 기간이 길고, 통증 및 합병증, 나아가 사망의 위험도가 높아 최근에는 영상 유도하 경피적 생검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영상 유도하 생검은, 세포만을 얻는 흡인 생검과 보다 많은 조직을 얻는 코어 생검으로 구분할 수 있다.
흡인 생검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미국특허 제3,938,505호, 제4,314,565호, 제5,199,441호, 제5,469,860, 제6,872,185호 등 다수의 특허가 있다. 코어 생검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미국특허 제3,477,423호, 제4,600,014호, 제5,161,542호, 제5,236,334호, 제7,914,463호 등 다수의 특허가 있다. 흡인 생검은 생검 현장에 병리과 의사가 있는 경우, 암의 가능성이 매우 높고 면역학적 검사나 유전학적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종양 내에 광범위한 괴사를 동반하는 경우, 합병증의 위험이 매우 큰 경우에 주로 사용하며 코어 생검의 경우는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필요로 하거나, 암의 유전학적 정보를 획득하거나, 양성 종양의 가능성이 상당한 경우, 혹은 병리과 의사의 현상 진단이 어려울 때, 흡인 생검으로 진단할 수 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생검을 위한 생검 바늘에는 생검 방법에 따라 코어 생검 바늘과 흡인 생검 바늘이 있다.
도 1은 코어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에 기재된 코어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는 미국특허 제5,236,334호에 기재된 것이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코어 생검 바늘은 이너 스타일렛(Inner stylet, 10)과 시스(Sheath, 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스타일렛(10)은 허브(hub, 11), 몸통(12), 노치(notch, 13), 말단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노치(13)는 말단부(14)와 몸통(1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단된 조직이 보관되는 공간이다. 말단부(14)는 생체를 뚫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위해 뾰족한 형상을 갖고 있다. 시스(20)는 허브(21), 캐뉼러(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코어 생검 바늘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 준다. 도 2에 기재된 코어 생검 바늘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는 미국특허 제5,161,542에 기재된 것이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먼저 채취가 필요한 조직(30) 근처까지 이너 스타일렛과 시스를 삽입한다(40 참조). 이 후 이너 스타일렛의 말단부(14)를 이용하여 노치(13)를 조직(30)에 삽입한다(41 참조). 이 후 노치(13)에 들어간 조직을 절단하기 위해 시스의 캐뉼러(22)를 조직(30) 안으로 삽입한다(42 참조). 이 후 도면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절단된 조직이 노치(13)에 있는 상태로 코어 생검 바늘을 생체에서 빼낸 후 노치(13)에 들어있는 조직을 검사에 사용하게 된다. 코어 생검 바늘에서 시스와 이너 스타일렛을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는 경우도 있지만 스프링이나 모터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스프링이나 모터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코어 생검을 할 수 있는 코어 생검 바늘을 생검총이라고 한다. 생검총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978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2392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65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4-197898호 및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841,990호 등 다수의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도 3은 흡인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에 기재된 흡인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치바 바늘(Chiba needle)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치바 바늘은 시스(50), 이너 스타일렛(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50)는 허브(51)와 캐뉼러(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너 스타일렛(60)은 허브(61), 몸통(62), 말단부(63)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생검 바늘에서의 이너 스타일렛(10)과 크게 다른 점은 조직을 채취한 후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인 노치(13)를 갖고 있지 않다.
도 4는 흡인 생검 바늘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 준다. 먼저 이너 스타일렛(60)과 시스(50)를 결합(81 참조)한 후 채취가 필요한 조직(30)까지 삽입한다(82 참조). 이 후 이너 스타일렛(60)을 시스(50)에서 분리한다(82 참조). 이 후 시스(50)의 허브(51)에 주사기(70)를 결합한다(83 참조). 이 후 주사기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조직(30)의 일부를 채취한다. 흡인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주사기(70)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 기계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흡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50)의 내경은 작을수록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흡인 생검 바늘의 시스(50)의 외경 크기는 코어 생검 바늘의 시스(20)의 외경 크기보다 작다.
도 5는 코어 생검을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코엑시얼 바늘(Coaxial needle)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코엑시얼 바늘은 시스(90)와 이너 스타일렛(91)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90)는 캐뉼러(92)와 허브(93)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너 스타일렛(91)은 몸통(94), 허브(95), 말단부(96)로 구성되어 있다. 말단부(96)는 조직을 뚫고 지나갈 수 있기 위해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다. 코엑시얼 바늘은 시스(90)와 이너 스타일렛(91)이 결합된 형태(97)로 생체에 삽입되어 채취가 필요한 조직 근처까지 삽입된 후 이너 스타일렛(91)을 빼내고 이너 스타일렛(91) 자리에 코어 생검 바늘을 삽입하여 사용한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서 결합된 형태(97)에서는 이너 스타일렛(91)이 시스(90)에서 많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돌출은 적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엑시얼 바늘은 주로 동일 조직에 대하여 여러 차례 코어 생검이 필요할 때 코엑시얼 바늘을 생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너 스타일렛(91)을 빼낸 후 시스(90)를 코어 생검 바늘을 생체에 삽입하는 통로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코어 생검 바늘을 매번 환자에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코엑시얼 바늘은 흡인 생검 바늘을 생체에 삽입할 때 통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경피적 폐생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영상 유도하에서 생검 바늘(100)을 사용하여 폐(110)의 이상부위(111) 조직을 채취하는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도 6과 같은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을 실시하기 전에 의사는 환자의 이상부위를 포함한 의료영상을 기초로 폐생검에 대한 시술계획을 수립하여 생검 바늘이 삽입되는 경로를 미리 설정한다. 미리 삽입 경로를 설정하는 이유는 생검 바늘이 환자의 이상부위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혈관이나 장기 등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등 미리 생검에 따른 위험을 예측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영상을 보면서 시술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의사가 의료영상을 보면서 생검 바늘이 삽입되는 경로의 문제만을 알 수 있으며, 생검에 따른 합병증 예를 들어 폐생검의 경우 생검에 따른 기흉(Pneumothorax) 이나 객혈(Hemoptysis)과 같은 위험도를 예측하기는 어려웠다.
본 개시는 경피적 폐생검에 있어서, 시술자에게 시술계획을 세울 때 경피적 폐생검에 따른 환자의 기흉이나 객혈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1 추출부; 제1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확률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2 추출부;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부; 저장부에 저장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코어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코어 생검 바늘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흡인 생검 바늘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흡인 생검 바늘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코어 생검을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코엑시얼 바늘(Coaxial needle)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경피적 폐생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시술경로 상의 정보를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의 일 예 및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 인자에 따른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도가 표시된 것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은 먼저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한다(S1). 4000여 건 이상의 다양한 환자에 대하여 이전에 실시된 경피적 폐생검의 시술례에서 각혈이나 기흉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추출한다.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는 환자 정보, 생검 정보 및 시술경로 상의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다. 생검 정보는 병변의 위치, 폐결절의 크기, 폐기종여부, 폐엽위치 및 폐결절 성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결절 성상은 폐결절이 소프트(Soft) 타입인지 솔리드(Solid) 타입인지에 대한 것이다. 시술경로 상의 정보는 생검 바늘이 삽입되는 경로 상의 혈관 구조, 혈관 위치, 흉막통과여부, 수포 존재 여부, 수포 크기, 생검바늘통과거리, 생검바늘폐엽통과여부, 종양 존재 여부 및 종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시술경로 상의 정보는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설명한다. 이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한다(S2).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확률 모델 생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베이시안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또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은 지속적으로 수정된다. 예를 들어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는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기 이전에 실시된 경피적 폐생검의 시술례뿐 아니라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한 후 이를 사용하여 실시된 경피적 폐생검의 시술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 포함되어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은 지속적으로 수정된다. 이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한다(S3). 즉 실재 경피적 폐생검을 시술할 환자에 대한 위험 인자를 추출한다.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는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의 범위에서 추출한다. 다만 본 개시는 시술계획 단계에서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의 위험 인자인 시술경로 상의 정보는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로 대체된다. 즉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는 생검 바늘의 삽입이 예상되는 경로 상의 혈관 구조, 혈관 위치, 흉막통과여부, 수포 존재 여부, 수포 크기, 생검바늘통과거리, 생검바늘폐엽통과여부, 종양 존재 여부 및 종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다(S4). 도 9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후 S2 단계에서 얻은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한다(S5). 이후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S6). 도 9에서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 인자에 따라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도가 표시된 것의 일 예를 보여준다. 시술자는 시술계획 단계에서 시술자가 설정한 시술계획에 따라 경피적 폐생검을 시술하는 경우 환자의 기흉이나 객혈의 위험도를 수치로 보면서 시술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시술경로 상의 정보를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시술경로 상의 정보를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은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를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생검 바늘이 삽입되는 경로가 실재 생검 바늘이 삽입된 경우와 가상의 생검 바늘이 삽입된 경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시술경로 상의 정보를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8(a)와 같은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공지된 자동분할 방법을 사용하여 도 8(b)와 같이 혈관(200)만을 분할한 후 혈관(200)의 위치나 구조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생검 바늘(210)이 이상부위(220)에 삽입되는 경로(211)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생검바늘통과거리(212)나 생검바늘(210)이 폐엽을 통과하는지 여부, 흉막을 통과하는지 여부 등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의 일 예 및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 인자에 따른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위험도가 표시된 것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300)와 입력된 환자의 위험 인자(300)에 따른 계산된 기흉 및 객혈의 위험도(310)를 보여준다. 하나의 화면(320)을 통해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300)와 입력된 환자의 위험 인자(300)에 따른 계산된 기흉 및 객혈의 위험도(310)를 시술자가 볼 수 있어 시술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400)은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1 추출부(410), 제1 추출부(410)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420),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430),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2 추출부(440), 제2 추출부(440)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부(450), 저장부(430)에 저장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계산부(460) 및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470)를 포함한다.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으로 입력부는 마우스나 키보드일 수 있으며, 표시부는 모니터일 수 있다. 표시부(470)는 제2 추출부(440)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와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가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2)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의 생성은 베이시안 기법을 통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3)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는 환자 정보, 생검 정보 및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4) 환자 정보는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생검 정보는 병변의 위치, 폐결절 크기, 폐기종여부, 폐엽위치 및 폐결절 성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5)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는 시술계획경로 상의 혈관 구조, 혈관 위치, 흉막통과여부, 수포 존재 여부, 수포 크기, 생검바늘통과거리, 생검바늘폐엽통과여부, 종양 존재 여부 및 종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6)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는 환자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7)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는 기흉 및 객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8)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경피적 폐생검 시술을 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시술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9)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1 추출부; 제1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2 추출부;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부; 저장부에 저장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10) 표시부는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와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11) 제1 추출부 및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는 환자 정보로서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생검 정보로서 병변의 위치, 폐결절 크기, 폐기종여부, 폐엽위치 및 폐결절 성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본 개시에 따르면, 시술자에게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에 대한 시술계획을 하는 과정에서 경피적 폐생검에 따른 기흉 및 객혈의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여 시술자가 편리하게 경피적 폐생검에 따른 기흉 및 객혈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생검 바늘 : 100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입력된 위험 인자 : 300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계산된 위험도 표시 : 310

Claims (11)

  1.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의 생성은 베이시안 기법을 통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는 환자 정보, 생검 정보 및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환자 정보는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생검 정보는 병변의 위치, 폐결절 크기, 폐기종여부, 폐엽위치 및 폐결절 성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는 시술계획경로 상의 혈관 구조, 혈관 위치, 흉막통과여부, 수포 존재 여부, 수포 크기, 생검바늘통과거리, 생검바늘폐엽통과여부, 종양 존재 여부 및 종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시술계획경로 상의 정보는 환자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는 기흉 및 객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경피적 폐생검 시술을 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 시술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9.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1 추출부;
    제1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제2 추출부;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부;
    저장부에 저장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표시부는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와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추출부 및 제2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험 인자는 환자 정보로서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생검 정보로서 병변의 위치, 폐결절 크기, 폐기종여부, 폐엽위치 및 폐결절 성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KR1020160091971A 2016-07-20 2016-07-20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6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71A KR101862136B1 (ko) 2016-07-20 2016-07-20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71A KR101862136B1 (ko) 2016-07-20 2016-07-20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69A true KR20180010369A (ko) 2018-01-31
KR101862136B1 KR101862136B1 (ko) 2018-06-05

Family

ID=6108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71A KR101862136B1 (ko) 2016-07-20 2016-07-20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83B1 (ko) * 2008-12-02 2011-01-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발생 위험예측 베이지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98695A (ko) * 2013-01-31 2014-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암 발병 위험도 및 확률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83B1 (ko) * 2008-12-02 2011-01-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발생 위험예측 베이지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98695A (ko) * 2013-01-31 2014-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암 발병 위험도 및 확률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136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7851B1 (en) User-steered path planning for image guided endscopy
CN110811835B (zh) 计算机断层扫描增强的荧光透视系统、装置及其使用方法
US20090292175A1 (en) Medical device
Mahoney et al. Breast intervention: how I do it
US11213270B2 (en) Fissural assessment and surgical and interventional planning
CN107865692B (zh) 外科手术和介入计划中用于检测胸膜受侵的系统和方法
EP3399936B1 (en) Methods for planning medical procedures
US20200205791A1 (en) Cytology sampling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US20160000415A1 (en) Multiple-tissue fna sampling
EP2556797A1 (en) Puncture aspiration method and puncture aspiration device
Hamamoto et al. A new navigation system of renal puncture for endoscopic combined intrarenal surgery: real-time virtual sonography-guided renal access
Wegner et al. Evaluation and extension of a navigation system for bronchoscopy inside human lungs
KR101862136B1 (ko)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7564A (ko) 생검 바늘 어셈블리
CN115998429A (zh) 用于规划和导航管腔网络的系统和方法
EP2989993A1 (en) Biopsy needle
Bowling et al. Updates in advanced diagnostic bronchoscopy: electromagnetic navigational bronchoscopy chasing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JP4487055B2 (ja) 組織穿孔用具、及び生検システム
WO2016071778A1 (en) Electrophysiological diagnostic catheter especially for obtaining of endomyocardial biopsy of heart tissue
KR101541855B1 (ko) 생검 바늘
Pardolesi et al. Four arms robotic-assisted pulmonary resection—right lower/middle lobectomy: how to do it
KR101513228B1 (ko) 생검 바늘
Gompelmann MS16. 01 Getting to the Target: Transparenchimal Approaches
CN113940737A (zh) 一种可视穿刺活检套件
Akulian et al. Medical thorac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