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690A -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 Google Patents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690A
KR20180009690A KR1020170052821A KR20170052821A KR20180009690A KR 20180009690 A KR20180009690 A KR 20180009690A KR 1020170052821 A KR1020170052821 A KR 1020170052821A KR 20170052821 A KR20170052821 A KR 20170052821A KR 20180009690 A KR20180009690 A KR 2018000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signal
terminal
ban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175B1 (ko
Inventor
이협의
Original Assignee
한국비엔에스교육문화진흥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비엔에스교육문화진흥원(주) filed Critical 한국비엔에스교육문화진흥원(주)
Publication of KR2018000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1B5/048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감지단자가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뇌파를 머리 전체에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위 조절이 용이한 뇌파측정기에 의해 감지하면서 전문가가 사전에 원격으로 설정한 훈련 프로토콜에 의해 조절한 후, 조절된 뇌파를 이용하여 완구를 제어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보다 뇌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toy controlled brain wave able with remote protocal controlling}
본 발명은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뇌파감지단자가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뇌파를 머리 전체에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위 조절이 용이한 뇌파측정기에 의해 감지하면서 전문가가 사전에 원격으로 설정한 훈련 프로토콜에 의해 조절한 후, 조절된 뇌파를 이용하여 완구를 제어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보다 뇌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
뇌파는 뇌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전류 또는 그것을 도출 증폭하여 기록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두피 뇌파를 일컸는다.
뇌파는 뇌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전류 또는 그것을 도출 증폭하여 기록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두피 뇌파를 일컸는다.
뇌파는 1초당 진동수에 따라 δ파, θ파, α파, β파, γ파 등으로 나누고 그 중 α파는 8~12Hz의 주파수의 진동인데 전전두엽에서 폐안, 각성, 안정시에 5~10μV 크기의 파형을 갖는 것이 안정된 상태이며 이 α파는 특히 후두부에서 잘 관찰된다.
β파는 13~30Hz 주파수의 신호이고, 정신을 집중시키거나 뇌 활동이 증가되는 상태에서 전전두엽 및 측두부에서 잘 관찰되고,
θ파는 4~7Hz 의 주파수를 가지며, 어린이의 두정부와 측두부에서 관찰되고, 성인에게서는 낮은 단계의 수면 시나 명상을 할 때 혹은 뇌질환이 있을 때 관찰된다.
δ파는 0.1~3Hz의 주파수의 신호이고, 유아에게서도 관찰되며, 성인에게서는 깊은 수면 시나 심한 뇌질환 시에 나타날 수 있으며,
γ파는 31~50Hz의 주파수 신호이고, 불안 및 흥분의 강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뇌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적 특징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고, 두뇌의 활동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는 대표적인 생체신호로서 뇌사 판정의 근거가 된다.
이에 따라 뇌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뇌파 감지 기술들은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부피가 크고 작동이 어려워 개인이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보다 착용 및 휴대가 간편한 뇌파 장치 장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환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착용띠; 착용띠의 소정위치에 다수 개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에서 발생되는 뇌파신호를 감지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통해 인가되는 뇌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가 일체로 형성된 패치;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패치를 통해 인가되는 뇌파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착용띠에 설치되는 신호전송부; 및 신호전송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전송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인체의 이마에서 뒷머리 부분까지 커버하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원호 타입으로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배면에 복수 개의 측정전극이 배열 설치된 2개의 세로 프레임과; 2개의 세로프레임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인체의 머리 중앙 상부에서 좌우 양쪽 귀의 상측까지 커버하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원호 타입으로 형성되고 배면에 복수 개의 측정전극이 배열 설치된 하나의 가로 프레임과; 2개의 세로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인체의 머리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가로프레임에서 정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면에 2개씩의 측정전극이 배열 설치되는 2개의 보조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인체의 귓바퀴를 회피하여 귓바퀴 아래 포인트 배면에 하나의 측정전극이 설치된 귓바퀴 프레임과; 2개의 세로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측정전극들을 통해 뇌파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된 뇌파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뇌파 측정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뇌파 측정용 헤드캡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폰과, 사람의 두부 또는 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밴드의 내측에서 설치되고 두부에 밀착되어 뇌파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단자를 갖는 뇌파 검출부로 구성된 뇌파검출용 전극단자를 갖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헤드셋 형태의 뇌파 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뇌파 감지 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위치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지만, 뇌파를 감지하는 감지단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뇌파를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뇌파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고 그 일예로 로봇 제어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4가 있고, 완구 제어기술과 관련하여는 특허문헌 5가 있다.
특허문헌 4는 사용자에 의하여 움직임이 유도된 착용형 로봇 및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움직임이 유도될 때 감지된 사용자의 뇌파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뇌파신호를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움직임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뇌파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과 상관도가 높은 뇌파의 독립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독립 성분이 제거된 뇌파 신호의 특징 성분에 기초하여, 각 뇌파 신호를 움직임 커맨드별로 분류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5는 뇌파 센서로 탐지된 뇌파가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대역 필터에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를 제어기에서 완구에 전송하여 제어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뇌파를 이용한 다양한 제어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뇌파감지기에서 감되는 뇌파를 다양하게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대상물의 제어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80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11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4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739호 일본 공개특허 제1990-020341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뇌파감지단자가 설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뇌파를 머리 전체에서 측정할 수 있고, 이렇게 다양한 위치에서 뇌파를 감지하면서 전문가가 사전에 원격으로 설정한 훈련 프로토콜에 의해 훈련하고, 훈련을 통해 조절된 뇌파를 이용하여 완구를 제어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보다 뇌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는 뇌파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완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파를 감지하는 것으로, 뇌파감지단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고정편을 갖는 머리고정밴드와, 머리고정밴드에 탈착되고 뇌파감지단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고정편을 갖는 보조밴드를 포함하는 뇌파감지기; 상기 머리고정밴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신호선으로 연결된 상기 뇌파감지단자로부터 감지된 뇌파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하고, 변환된 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뇌파신호처리기; 및 상기 뇌파신호 처리기로 부터 수신된 뇌파 신호를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완구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제어하여 제어수단이 완구의 구동수단을 구동시키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뇌파신호처리기는 뇌파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측정된 뇌파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측정된 아날로그 뇌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변환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밴드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고정밴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조절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장공과 위치조절장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조임너트를 조여 보조밴드가 머리고정밴드에 고정되되, 보조밴드의 길이 및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밴드 안쪽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고정편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동식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단자고정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는 뇌파감지단자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뇌파를 감지하고, 감지된 뇌파를 훈련을 통해 조절한 후 조절된 뇌파를 이용하여 완구를 제어함에 따라 뇌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를 구성하는 보조밴드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를 구성하는 보조밴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를 구성하는 보조밴드 결합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를 구성하는 뇌파측정기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뇌파감지단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의 뇌파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뇌파를 이용하여 완구를 제어하면서 훈련을 할 수 있어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감지기(100), 감지된 뇌파신호를 필터링, 변환 및 송신하는 뇌파신호처리기(200), 및 뇌파신호처리기로부터 수신한 뇌파신호를 분석하여 완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300), 및 완구(400)에 설치되어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400d)을 제어하는 완구 제어수단(400c)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머리의 다양한 부분에서 뇌파를 감지하여 완구를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뇌파감지기(100)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뇌파감지단자가 착탈되는 단자고정편(11)이 설치된 머리고정밴드(10)와, 상기 머리고정밴드에 결합되고 다수의 단자고정편(21)이 설치된 보조밴드(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에 구비된 뇌파감지기(100)는 통상의 뇌파 감지용 헤드셋과 비슷하게 머리의 일부에 접촉되어 뇌파를 감지하는 다수의 뇌파감지단자(Ts)와, 뇌파 측정시 기준이 되는 기준 전위를 측정하는 기준단자(Tr)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뇌파감지단자(Ts)와 기준단자(Tr)는 통상의 뇌파감지수단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머리고정밴드(10)는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밴드로, 도 2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를 감쌀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같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보조밴드(20)를 고정시켰을 때 뒤틀리지 않게 하였다.
상기 머리고정밴드(10)에는 다수의 뇌파감지단자(Ts)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파감지단자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고정편(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고정편(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고정밴드(10) 안쪽의 머리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뇌파감지단자(Ts)가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뇌파감지단자(Ts)에는 상기 단자고정편(11)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결함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단자고정편(11)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뇌파감지단자에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단자고정편(11)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뇌파감지단자에 고정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자고정편(11)에 고정돌기를 형성할 경우, 뇌파감지단자가 설치되지 않은 단자고정편의 고정돌기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여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고정편(11)에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고정밴드(10)의 전방에는 뇌파감지단자(Ts)에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뇌파신호처리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는 상기 머리고정밴드의 전방이나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신호선으로 연결된 상기 뇌파감지단자로부터 감지된 뇌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뇌파 신호를 상기 제어기(300)로 무선 송신한다.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는 종래의 뇌파감지수단에 설치된 것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뇌파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200f)와, 측정된 뇌파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200a)와, 측정된 아날로그 뇌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00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에 의해 처리된 뇌파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으나, 유선일 경우 신호선이 걸릴 수 있으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분석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00m)을 더 구비하되 통신모듈은 무선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밴드(20)는 전두엽을 제외한 머리 부분의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감지단자가 머리에 밀착된 상태에 위치 고정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또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밴드(20)는 일단 또는 양단이 결합수단(22)에 의해 머리고정밴드(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수단(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직테이프이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길이조절장공(24)과 고정볼트(22b) 및 조임너트(22n)가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22)으로 매직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매직테이프가 설치된 길이와 폭을 넓게 하여 보조밴드가 머리고정밴드에 고정되는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매직테이프의 경우 머리 위를 지나도록 설치된 보조밴드가 흔들릴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장공(24)과 고정볼트(22b) 및 조임너트(22n)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으로 길이조절장공(24)과 고정볼트(22b) 및 조임너트(22n)을 사용할 경우, 길이조절장공(24)의 고정볼트(22b)와 대향되는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보조밴드(20)의 머리를 향한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머리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머리고정밴드(10)의 길이도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머리고정밴드의 양단부에는 고정접착부(10f)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접착부(10f)는 서로 접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머리고정밴드(10)의 길이가 달라지면, 보조밴드(20)가 고정되는 위치도 변경될 수 있어야 원하는 위치에 뇌파감지단자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머리고정밴드(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조절장공(10c)을 형성하여 보조밴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보조밴드의 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보조밴드(20)에는 도 2내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자고정편(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고정편(21)을 조밀하게 설치하고 그중 어느 일부에 뇌파감지단자를 설치할 수 있으나, 단자고정편(21)을 조밀하게 설치하면 자제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로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수만큼만 설치하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밴드(20)의 안쪽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고정편(21)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동식결합돌기(21d)를 형성하여 가이드홈을 따라 단자고정편(21)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밴드(20)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되, 가이드홈의 바깥쪽에 턱을 형성하고, 단자고정편(21)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이동식결합돌기(21d)를 형성하여 이동식결합돌기와 단자고정편 사이의 홈에 턱에 끼인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이동식결합돌기(21d)의 폭이 가이드홈(23) 양측 턱 사이의 폭보다 크므로 가이드홈의 일측 단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3i)를 형성하여 단자고정편을 가이드홈에 끼워 넣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뇌파감지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단자(Tr)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준단자(Tr)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귓바퀴에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파신호처리기에 의해 변환된 뇌파신호를 확인하고 분석하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완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기(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에서 송신된 뇌파신호를 수신하고 완구(4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00m)과, 뇌파신호를 분석하는 분석프로그램(200p) 및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어 만들어진 제어신호를 완구의 제어수단(400c)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해주는 신호변환부(300t)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기(300)를 도 2 및 도 3에는 노트북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에 분석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완구 제어 어플을 설치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에 구비된 변환부(200t)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분의 뇌파를 측정하고, EEG(수면뇌파)파라메터를 적용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한 뇌파데이터에 뉴로피드백 프로토콜을 적용해 필터링한 이후, 뇌파 신호를 완구에 전송해 동작하는 완구로 피드백을 해줌에 따라 사용자가 뉴로피드백 훈련을 함과 동시에 완구를 조작할 수 있어 뇌 훈련에 대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더해 두뇌 건강도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뇌파감지기
10: 머리고정밴드 10f: 고정접착부
10c: 위치조절장공
11: 단자고정편
20: 보조밴드
21: 단자고정편
21d: 이동식결합돌기 21h: 단자고정홀
22: 결합수단
22b: 고정볼트 22n: 조임너트
23: 가이드홈 23i: 삽입구
24: 길이조절장공
200: 뇌파신호처리기
200a: 증폭부 200f: 필터부 200t: 변환부
200m: 통신모듈
300: 제어기
300m: 통신모듈 300p: 분석프로그램 300t: 신호변환부
400: 완구
400c: 제어수단 400m: 통신모듈 400d: 구동수단

Claims (5)

  1. 뇌파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완구(400)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뇌파를 감지하는 것으로, 뇌파감지단자(Ts)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고정편(11)을 갖는 머리고정밴드와, 머리고정밴드에 탈착되고 뇌파감지단자(Ts)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탈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고정편(21)을 갖는 보조밴드(20)를 포함하는 뇌파감지기(100);
    상기 머리고정밴드(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신호선으로 연결된 상기 뇌파감지단자로부터 감지된 뇌파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하고, 변환된 뇌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뇌파신호처리기(200); 및
    상기 뇌파신호처리기(200)로부터 수신된 뇌파 신호를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완구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제어하여 제어수단이 완구의 구동수단을 구동시키게 하는 제어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신호처리기(30)는 뇌파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30f)와, 측정된 뇌파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30a)와, 측정된 아날로그 뇌파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30t), 및 변환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30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밴드(20)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장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고정밴드(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위치조절장공(10c)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장공(24)과 위치조절장공(10c)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2b)에 조임너트(22n)를 조여 보조밴드가 머리고정밴드에 고정되되, 보조밴드의 길이 및 위치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밴드 안쪽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고정편(21)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동식결합돌기(21d)가 형성되어 단자고정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30t)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KR1020170052821A 2016-07-19 2017-04-25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KR101857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1092 2016-07-19
KR1020160091092 2016-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690A true KR20180009690A (ko) 2018-01-29
KR101857175B1 KR101857175B1 (ko) 2018-06-20

Family

ID=6102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21A KR101857175B1 (ko) 2016-07-19 2017-04-25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17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189A (ja) 1988-07-22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玩具
JPH0798065B2 (ja) * 1985-07-16 1995-10-25 ト−マス・ジエフア−ソン・ユニバステイ カテーテル装置
KR20030017124A (ko) * 2001-08-24 2003-03-03 림스테크널러지주식회사 뇌-기계 인터페이스 작동을 위한 무선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
KR20030088081A (ko) 2002-05-11 2003-11-17 주식회사 이머시스 뇌파신호측정을 위한 전극, 앰프 일체형 전극시스템
JP2005278733A (ja) * 2004-03-29 2005-10-13 Nozaki Kenko Center:Kk 頭部装着ベルト
KR20110004428U (ko) 2009-10-28 2011-05-04 와이드텍인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뇌파검출용 전극단자를 갖는 헤드셋
KR101525450B1 (ko) * 2014-08-01 2015-06-03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KR101542115B1 (ko) 2014-06-13 2015-08-12 최정우 뇌파 측정용 헤드 캡
KR101656739B1 (ko) 2014-12-26 2016-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기반의 착용형 로봇의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495U (ja) * 1992-04-13 1993-11-09 幹司 指宿 サイキックムーブメント
US20080177197A1 (en) * 2007-01-22 2008-07-24 Lee Koohyoung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mental states based on brain wave signal processing system
CN202682792U (zh) * 2012-06-08 2013-01-23 南昌布理安信息技术有限公司 脑电波控制移动式玩具装置
KR101480536B1 (ko) * 2014-02-27 2015-01-12 주식회사 올비트앤 헤어밴드 타입의 휴대용 뇌파 측정 장치를 포함한 뇌파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면 관리 방법
KR101549336B1 (ko) * 2014-04-30 2015-09-11 이준상 목 꺾임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두부착용식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065B2 (ja) * 1985-07-16 1995-10-25 ト−マス・ジエフア−ソン・ユニバステイ カテーテル装置
JPH0234189A (ja) 1988-07-22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玩具
KR20030017124A (ko) * 2001-08-24 2003-03-03 림스테크널러지주식회사 뇌-기계 인터페이스 작동을 위한 무선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
KR20030088081A (ko) 2002-05-11 2003-11-17 주식회사 이머시스 뇌파신호측정을 위한 전극, 앰프 일체형 전극시스템
JP2005278733A (ja) * 2004-03-29 2005-10-13 Nozaki Kenko Center:Kk 頭部装着ベルト
KR20110004428U (ko) 2009-10-28 2011-05-04 와이드텍인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뇌파검출용 전극단자를 갖는 헤드셋
KR101542115B1 (ko) 2014-06-13 2015-08-12 최정우 뇌파 측정용 헤드 캡
KR101525450B1 (ko) * 2014-08-01 2015-06-03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KR101656739B1 (ko) 2014-12-26 2016-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기반의 착용형 로봇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175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7852B2 (ja) 脳波データを収集し解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647368B2 (en) Sensor pair for detecting changes within a human ear and produc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ought, movement, biological function and/or speech
JP5373631B2 (ja) 脳波信号処理システムに基づいて精神状態を定量的に評価するための装置
US10178952B2 (en) Bi-hemispheric brain wave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bi-hemispherical brain wave measurements
KR101238192B1 (ko) 귀-부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US10213156B2 (en) Headset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biosignal
KR101579364B1 (ko) 뇌파 모니터링 및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전도 전극과 취득 시스템을 내장한 무선 이어훅 이어셋
KR101218203B1 (ko) 인체 장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Looney et al. Ear-EEG: user-centered and wearable BCI
US11297448B2 (en) Portable system for gathering and processing data from EEG, EOG, and/or imaging sensors
WO2014074013A1 (ru) Наушник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функцией датчика фу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слушающего
US20180368718A1 (en) Smart Headphones
KR101246183B1 (ko) 밴드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09689A (ko) 뇌 전체부위로 측정부위 조절이 용이한 2채널 뇌파 측정 장치
KR20180119280A (ko) 뉴로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화 두뇌훈련 시스템
Looney et al. Ear-EEG: Continuous brain monitoring
KR101857175B1 (ko) 원격으로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한 뇌파로 제어되는 완구
WO2019225244A1 (ja) 生体信号取得用電極、生体信号取得用電極対及び生体信号測定システム
EP3396338B1 (en) Vibration sensor
JP2011161021A (ja) 耐振動脳波計
KR200314492Y1 (ko) 뉴로피드백 기반 무선 조종 장치를 이용한 집중력 증대장치
JP6796778B2 (ja) 生体信号計測装置、脳波計、及び、制御方法
KR100497133B1 (ko) 암기력 자가 증진 트레이닝 시스템
KR20150043019A (ko) 골전도 기술을 이용한 음파 출력기능을 포함하는 헤어밴드타입 뇌파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24410A (ko) 뉴로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화 두뇌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