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64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642A
KR20180009642A KR1020160091637A KR20160091637A KR20180009642A KR 20180009642 A KR20180009642 A KR 20180009642A KR 1020160091637 A KR1020160091637 A KR 1020160091637A KR 20160091637 A KR20160091637 A KR 20160091637A KR 20180009642 A KR20180009642 A KR 20180009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duct
air
duct
ai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한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642A/ko
Priority to PCT/KR2017/007754 priority patent/WO2018016863A1/ko
Priority to EP17831336.7A priority patent/EP3489124A4/en
Priority to CN201780043673.7A priority patent/CN109476360B/zh
Publication of KR2018000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박은 선체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저장실; 내부에 설비배관을 수용하고 상기 공기저장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덕트; 및 상기 공기저장실과 상기 파이프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공기윤활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윤활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은 운항 시 여러 가지 저항을 받는다. 일 예로, 선박의 운항 시에는 수중에 잠기는 선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저항은 저속 선박에서는 전체저항의 약 80%를 차지하고, 고속 선박에서는 전체저항의 약 50%를 차지한다.
선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은 선체와 접촉하는 물입자의 점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물의 점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선체와 물 사이에 물의 비중보다 작은 물질층을 형성한다면, 위와 같은 마찰저항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마찰저항의 감소는 선박의 운항 속도를 향상시키고 선박의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체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선체의 표면에 기포층을 형성하는 공기윤활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윤활장치는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다른 장치의 설치를 방해하거나 또는 선체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KR 2015-010453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윤활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저장실; 내부에 설비배관을 수용하고 상기 공기저장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덕트; 및 상기 공기저장실과 상기 파이프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설비배관은 전기용 배관, 음수용 배관, 온수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설비배관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분할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설비배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제1파이프 덕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파이프 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설비배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파이프 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윤활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부분 절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B-B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B-B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B-B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B-B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10)은 선체(12)와 해수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박(10)은 공기윤활장치(20)를 포함한다. 공기윤활장치(20)는 선체(12)의 하부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공기윤활장치(20)는 선체(12)의 선수 하부에 배치되며, 미세한 기포를 분사하여 선체(12)의 표면과 해수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윤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공기윤활장치(20)는 공기저장실(210, 212, 214), 파이프 덕트(220), 연결배관(230)을 포함한다. 그러나 공기윤활장치(2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윤활장치(20)는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펌프, 펌프에 의해 생성된 공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탱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저장실(210, 212, 214)은 선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공기저장실(210), 제2공기저장실(212), 제3공기저장실(214)은 선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저장실(210, 212, 214)은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공기저장실(210), 제2공기저장실(212), 제3공기저장실(214)은 각각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저장실(210, 212, 214)은 선체(1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쌍의 공기저장실(210, 212, 214)은 선체(12)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공기저장실(210, 212, 214)의 선체 폭 방향 간격은 선체(12)의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기저장실(210) 간의 선체 폭 방향 간격은 제2공기저장실(212) 간의 선체 폭 방향 간격보다 작고, 제2공기저장실(212) 간의 선체 폭 방향 간격은 제3공기저장실(214) 간의 선체 폭 방향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공기윤활장치(20)가 3쌍의 공기저장실(210, 212, 21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윤활장치(20)를 구성하는 공기저장실(210, 212, 214)의 수가 3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윤활장치(20)는 4쌍 이상의 공기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윤활장치(20)는 파이프 덕트(220)를 포함한다. 파이프 덕트(220)는 선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공기저장실(210, 212, 214)로 공급되기 위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 덕트(220)는 기체 상태의 공기가 공기저장실(210, 212, 214)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기밀 부재들로 덮여지거나 기밀 부재들로 처리될 수 있다.
공기윤활장치(20)는 연결배관(230)을 포함한다. 연결배관(230)은 선체(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파이프 덕트(220)와 공기저장실(210, 212, 214)을 연결한다. 참고로, 연결배관(230)의 단면적은 파이프 덕트(22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파이프 덕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파이프 덕트(220)는 설비배관(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파이프 덕트(220)는 다수의 설비배관(3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설비배관(30)은 전기용 배관, 음수용 배관, 온수배관, 연료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덕트(220)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파이프 덕트(220)의 내부 공간 중 설비배관(30)이 차지하고 남는 공간은 공기 유로(60)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덕트(220)는 설비배관(30)과 공기 유로를 위한 공간을 일체로 제공하므로, 이들 부재들이 선체(12)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배관(30)과 공기 유로가 파이프 덕트(22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 부재의 설치에 필요한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2102는 공기저장실(210)로부터 선체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구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덕트의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파이프 덕트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파이프 덕트(220)는 칸막이 부재(4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형태와 구별된다.
파이프 덕트(220)는 설비배관(30)과 공기 유로를 공간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 덕트(220)의 내부에는 설비배관(30)이 설치되고 남는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덕트(220)의 대부분의 공간은 설비배관(30)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되나, 상부 측면 공간은 공기 유로(60)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파이프 덕트(220)를 구비한 선박(20)은 설비배관(30)에 의해 공기가 오염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파이프 덕트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파이프 덕트(222, 224)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술된 파이프 덕트(220)들과 구별된다. 부연 설명하면, 파이프 덕트는 제1파이프 덕트(222)와 제2파이프 덕트(224)를 포함한다.
제1파이프 덕트(222)는 제2파이프 덕트(224)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파이프 덕트(222)의 단면 크기는 제2파이프 덕트(224)의 단면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파이프 덕트(222)는 설비배관(30)을 수용하거나 또는 공기 유로(6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파이프 덕트(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로(60)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배관(3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2파이프 덕트(224)는 설비배관(30)을 수용하거나 또는 공기 유로(6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이프 덕트(2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배관(30)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로(60)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덕트(222, 224)는 설비배관(30)과 공기 유로(60)를 위한 공간을 각각 제공하므로, 설비배관(30)의 수리가 용이하고 공기 유로(60)의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선박
12 선체
20 공기윤활장치
210 공기저장실
220 파이프 덕트
222 제1파이프 덕트
224 제2파이프 덕트
230 연결배관
30 설비배관
40 분할 부재

Claims (5)

  1. 선체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공기저장실;
    내부에 설비배관을 수용하고 상기 공기저장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덕트; 및
    상기 공기저장실과 상기 파이프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배관은 전기용 배관, 음수용 배관, 온수배관을 포함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설비배관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분할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설비배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제1파이프 덕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파이프 덕트;
    를 포함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덕트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제1파이프 덕트 및 상기 설비배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파이프 덕트;
    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60091637A 2016-07-19 2016-07-19 선박 KR20180009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37A KR20180009642A (ko) 2016-07-19 2016-07-19 선박
PCT/KR2017/007754 WO2018016863A1 (ko) 2016-07-19 2017-07-19 마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17831336.7A EP3489124A4 (en) 2016-07-19 2017-07-19 FRICTION REDUCTION DEVICE AND VESSEL HAVING THE SAME
CN201780043673.7A CN109476360B (zh) 2016-07-19 2017-07-19 包括减摩装置的船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37A KR20180009642A (ko) 2016-07-19 2016-07-19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642A true KR20180009642A (ko) 2018-01-29

Family

ID=6102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637A KR20180009642A (ko) 2016-07-19 2016-07-1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6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9281T3 (es) Estructura de esquina de un depósito estanco y térmicamente aislante para almacenamiento de un fluido
KR101853223B1 (ko) 선박
JP4382111B2 (ja) 液体貨物船の貨物ポンプ装置
JP2007203980A (ja) 貨物船の凹部船底構造
JP6555593B2 (ja) 複数の燃料ラインを有する船舶
JP6049443B2 (ja) 摩擦抵抗低減型船舶
KR20180034998A (ko) 밸러스트수 조절 장치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20180009642A (ko) 선박
US20190261782A1 (en) Forced flow fluid circulation cooling for barges
JP2008030584A (ja) 船体損傷時の復原性改善方法及び船舶
KR102060587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시설
KR20210129435A (ko) 선박의 공기윤활시스템
CN108749998B (zh) 潜水月池及船舶
JPH10175588A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KR20200137953A (ko) 선박
KR20140091995A (ko) 선박 및 선박의 발라스트 워터 처리 방법
JP2016055677A (ja) 船舶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20170052718A (ko) 변동압력 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80009664A (ko) 선박
KR20210155140A (ko) 선박 공기윤활시스템의 공기공급시스템
KR20210123153A (ko) 연료탱크 서포터
KR20200137947A (ko) 선박
JP2013063673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