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35A -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135A
KR20180009135A KR1020160090648A KR20160090648A KR20180009135A KR 20180009135 A KR20180009135 A KR 20180009135A KR 1020160090648 A KR1020160090648 A KR 1020160090648A KR 20160090648 A KR20160090648 A KR 20160090648A KR 20180009135 A KR20180009135 A KR 2018000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light
outcoupling
zo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703B1 (ko
Inventor
장한빛
신은성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6009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03B1/ko
Priority to US15/650,845 priority patent/US10663756B2/en
Publication of KR2018000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4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02B27/229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6Optical waveguide, e.g. optical fibre, rod

Abstract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 소스와 우안 영상 소스를 제공하는 영상 소스 유닛; 상기 좌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우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우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1 인커플링 존과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과 우안 영상광을 각각 받아 아웃커플링 존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 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을 사람의 좌안에 상기 우안 영상광을 사람의 우안에 출력하는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3D display apparatus using waveguide}
본 발명은 홀로그램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편광 안경 없이도 영상을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을 이용한 양쪽 눈의 시각차를 통해 3D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편광 안경을 꼭 착용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패럴럭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사용하는 방식(도 1a 참조)와 렌티큘러(lenticular)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도 1b 참조)의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럴럭스 배리어를 사용하는 방식은 배리어가 이미지 및 영상을 막고 있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렌티큘러 필름을 사용한 방식은 인접 영상 간의 간섭으로 입체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고 제조 수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US 8,325,166 B2 (2012. 12. 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광 안경 없이 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으로 제공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전송에 홀로그램 도파관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패럴럭스 배리어 및 렌티큘러를 이용하는 기술의 문제점 없앤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장치는 좌안 영상 소스와 우안 영상 소스를 제공하는 영상 소스 유닛; 상기 좌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우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우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1 인커플링 존과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과 우안 영상광을 각각 받아 아웃커플링 존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 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을 사람의 좌안에 상기 우안 영상광을 사람의 우안에 출력하는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으로 입사된 좌안 영상광을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방향 지정하는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으로 입사된 우안 영상광을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방향 지정하는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광을 상기 도파관 외측의 사람 좌안을 향해 내보내도록 방향 지정하는 제1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광을 상기 도파관 외측의 사람 우안을 향해 내보내도록 방향 지정하는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웃커플링 존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과 상기 제2 인커플링 존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 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1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2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3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3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일 기판 상에서 2차원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홀로그램 광학계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각각은, 상기 제1 파장 영상광, 상기 제2 파장 영상광 및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을 회절시켜 상기 아웃커플링 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 각각에 배치된 제1 파장광 인커플링 HOE, 제2 파장광 인커플링 HOE 및 제3 파장광 인커플링 HO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와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는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도파관에 접하여 상하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 및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 각각은, 상기 제1 파장 영상광, 상기 제2 파장 영상광 및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파관 외측 사람의 양안 및 우안을 향하도록,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된 제1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 제2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 및 제3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개의 도파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도파관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1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1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1 도파관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2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2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2 도파관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3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3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1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3 파장 인커플링 HO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및 상기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1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2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3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파장 영상광은 적색 영상광이고, 상기 제2 파장 영상광은 녹색 영상광이며,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은 청색 영상광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단일 CMOS 백플레인과, 상기 단일 CMOS 백플레인과 결합되는 제1 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2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CMOS 백플레인은 제1 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2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구비된 LED 셀들을 개별 구동하기 위해 상기 LED 셀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CMOS 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상기 LED 셀들 각각과 상기 CMOS 셀들 각각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LED 셀들 각각과 상기 CMOS 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범프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로그램 도파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얇은 두께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리어가 없기 때문에 이미지 및 영상 모든 부분을 볼 수 있으며 양쪽 눈에 정교하게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 및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안경 없이 3차원으로 이미지 및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크기 제한이 거의 없입며, HMD HUD 등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으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결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좌안 영상 소스와 우안 영상 소스를 제공하는 영상 소스 유닛(1)과, 상기 영상 소스 유닛(1)로부터 받은 좌안 영상 소소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과, 상기 영상 소스 유닛(1)으로부터 받은 우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우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과, 도파관(20)을 이용하여 상기 좌안 영상광과 우안 영상광을 전송 및 결합하여, 3D 영상을 출력하는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소스 유닛(1)은 예컨대 듀얼 커메라를 이용하여 별도로 촬영된 좌안 영상 소스와 우안 영상 소스를 별도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은 상기 영상 소스 유닛(1)이 제공한 좌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 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은, 상기 영상 소스 유닛(1)이 제공한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 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은, 길이 방향 좌우 양측으로 제1 인커플링 존(I1) 및 제2 인커플링 존(I2)과 상기 제1 인커플링 존(I1)과 상기 제2 인커플링 존(I2) 사이에 위치하는 아웃커플링 존(OZ)을 갖는 도파관(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I1)에 배치된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I2)에 배치된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2)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OZ)에 배치된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 및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과 상기 제1 인커플링 존(I1) 사이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 영상의 디스플레이 광들을 평행광으로 만들기 위한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과 상기 제2 인커플링 존(I2) 사이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우안 영상의 디스플레이 광들을 평행광으로 만들기 위한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는 상기 도파관(20)의 상기 제1 인커플링 존(I1)에 입사된 좌안 영상광들을 평행한 상태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도파관(20)을 통해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좌안 영상광들의 진행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2)는 상기 도파관(20)의 상기 제2 인커플링 존(I2)에 입사된 우안 영상광들을 평행한 상태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도파관(20)을 통해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우안 영상광들의 진행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는 홀로그램화되어 내부 전반사에 의해 상기 도파관(20)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아웃커플링 존(OZ)에 도달한 좌안 영상광들을 방향 전환하여 상기 도파관(20)의 외측 사람의 좌안(e1)을 향해 내보낸다.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는 홀로그램화되어 내부 전반사에 의해 상기 도파관(20)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아웃커플링 존(OZ)에 도달한 우안 영상광들을 방향 전환하여 상기 도파관(20)의 외측, 사람의 우안(e2)을 향해 내보낸다.
상기 제1 인커플링 광학계(31) 및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에 의해 상기 도파관(20)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도파관(20)으로부터 사람의 좌안(e1)을 향하는 방향으로 좌안 영상광들의 진행 방향이 결정되므로, 상기 좌안 영상광들은 사람의 좌안에만 비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인커플링 광학계(32) 및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에 의해 상기 도파관(20)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도파관(20)으로부터 사람의 우안(e2)을 향하는 방향으로 좌안 영상광들의 진행 방향이 결정되므로, 상기 우안 영상광들은 사람의 우안(e2)에만 비치게 된다. 이에 따라, 사람은 양안(양쪽 눈)의 시각차에 의해 3D 입체 영상을 느끼게 된다.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2)에 출력되는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사람의 양안에 일치시키는 것은 예컨대 홍체 인식 기술 등과 같은 다양한 감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a, 12b; 통칭하여 12) 각각은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적색 LED셀들을 포함하여 적색 영상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100a, 1100b; 통칭하여 1100)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녹색 LED셀들을 포함하여 녹색 영상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a, 1200b; 통칭하여 1200)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청색 LED셀들을 포함하여 청색 영상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00a, 1300b; 통칭하여 1300)을 포함한다.
상기 적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100a, 1100b), 상기 녹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a, 1200b) 및 상기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00a, 1300b)은 단일 기판 상에서 2차원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도파관(20)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a, 1100b), (1200a, 1200b), (1300a, 1300b) 각각에 대응되게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a, 1100b), (1200a, 1200b), (1200a, 1200b)이 발생한 적색 영상광, 녹색 영상광, 및 청색 영상광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1 인커플링 존(I1)의 적색광 인커플링 존, 녹색광 인커플링 존 및 청색광 인커플링 존과 제2 인커플링 존(I2)의 적색광 인커플링 존, 녹색광 인커플링 존 및 청색광 인커플링 존 각각에서 받아 중앙의 아웃커플링 존(OZ)으로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인커플링 존(I1, I2) 각각의 적색광 인커플링 존, 녹색광 인커플링 존, 청색광 인커플링 존에 배치된 적색광 인커플링 HOE(311, 321)와, 녹색광 인커플링 HOE(312, 322)와, 청색광 인커플링 HOE(313, 323)를 포함한다.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에 있어서는, 적색광 인커플링 HOE(311)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의 적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100a)로부터 입사된 적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하고, 녹색광 인커플링 HOE(312)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의 녹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a)로부터 입사된 녹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하며, 청색광 인커플링 HOE(313)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12a)의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00a)로부터 입사된 청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한다.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2)에 있어서도, 적색광 인커플링 HOE(321)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의 적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100b)로부터 입사된 적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하고, 녹색광 인커플링 HOE(322)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의 녹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b)로부터 입사된 녹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하며, 청색광 인커플링 HOE(323)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b)의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00b)로부터 입사된 청색 디스플레이 광을 회절시켜 홀로그램화하여 방향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 및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는, 하나의 아웃커플링 존(OZ)에서 상기 도파관(20)의 배면에 접하여 상하로 적층 배치되되, 각각이 상하로 배치된 적색광 아웃커플링 HOE(411, 421), 녹색광 아웃커플링 HOE(412, 422), 청색광 아웃커플링 HOE(413, 423)를 포함한다.
상기 도파관(20)의 제1 인커플링 존(I1)에서 제1 인커플링 광학계(31)의 적색광 인커플링 HOE(311), 녹색광 인커플링 HOE(312) 및 청색광 인커플링 HOE(313)에 의해 도파관(20) 내 진행 방향이 정해진 적색 영상광, 녹색 영상광 및 청색 영상광은 상기 아웃커플링 존(OZ)에 도달한 후,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41)의 적색광 아웃커플링 HOE(411), 녹색광 아웃커플링 HOE(412), 청색광 아웃커플링 HOE(413)에 의해 회절되어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상기 도파관(20) 외부 사람의 좌안(e1)을 향해 나간다.
또한, 상기 도파관(20)의 제2 인커플링 존(I2)에서 제2 인커플링 광학계(32)의 적색광 인커플링 HOE(321), 녹색광 인커플링 HOE(322) 및 녹색광 인커플링 HOE(323)에 의해 상기 도파관(20) 내 진행 방향이 정해진 적색 영상광, 녹색 영상광 및 청색 영상광은 상기 아웃커플링 존(OZ)에 도달한 후,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42)의 적색광 아웃커플링 HOE(421), 녹색광 아웃커플링 HOE(422), 청색광 아웃커플링 HOE(42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도파관(20) 외부 사람의 우안(e2)을 향해 나간다.
도 4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은 패널 형태를 갖는 적색, 녹색 및 청색 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을 포함한다. 또한,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 각각은 2차원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LED 셀(130a, 130b, 130c)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 각각은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영상광을 발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색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은 적색 디스플레이광(즉, 적색 영상광), 녹색 LED 디스플레이 패널(1200)은 녹색 디스플레이 광(즉, 녹색 영상광), 그리고 청색 LED 디스플레이 패널(1300)은 청색 디스플레이 광(즉, 영상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풀 컬러 구현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 각각의 LED 셀(130a, 130b, 130c)들 각각을 개별 구동하기 위해, 단일 CMOS 백플레인(2000)을 포함한다. 단일 CMOS 백플레인(2000)은,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 각각의 LED 셀(130a, 130b, 130c)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CMOS 셀(230)들을 포함한다. 단일 CMOS 백플레인(2000)에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 각각에 대응하는 CMOS 셀 영역들(2100, 2200, 2300)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CMOS 셀 영역들(2100, 2200, 2300)에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 각각이 플립칩 본딩된다. 단일 CMOS 백플레인(2000)에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이 플립칩 본딩되어 CMOS 셀(230)들 각각과 LED 셀(130a, 130b 또는 130c)들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CMOS 셀 영역들(2100, 2200, 2300) 각각에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 각각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LED 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CMOS 셀(2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CMOS 셀(230)들과 LED 셀(130a, 130b 또는 130c)들 각각은 범프들(3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단일 CMOS 백플레인(2000) 상에는, CMOS 셀 영역들(2100, 2200, 2300) 각각에 공통 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통 셀(240)은 공통 범프(340)들을 통해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1100, 1200, 1300) 각각의 제1 도전형 메탈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LED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 상에 적색, 녹색, 청색 디스플레이 광을 발광하는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단일 CMOS 백플레인(20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고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광, 즉 적색, 녹색, 청색 광 각각을 발광하는 복수 개의 LED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플립칩 본딩시킨다.
상기 LED 디스플레이 소자 구동은, 구동 IC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 IC로부터의 제어신호는 CMOS 백플레인(2000)에 형성된 CMOS 셀(230)들, 즉 CMOS 집적회로에 의해 각각의 LED셀(130a, 130b 또는 130c)에 공급된다. 구동 IC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고,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5의 (a), (b) 및 (c)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들 각각은 투명기판(110a, 110b, 110c) 상에 차례대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 활성층(134a, 134b, 134c),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6a, 136b, 136c)을 성장시킨 후 식각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 상의 LED 셀들(130a, 130b, 130c)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개의 LED 셀(130a, 130b, 130c)의 수직구조는, 투명기판(110a, 110b, 110c) 위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 활성층(134a, 134b, 134c)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6a, 136b, 136c)을 포함한다.
투명기판(110a, 110b, 110c)은, 사파이어, SiC, Si, 유리,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은 n형 반도체층이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6a, 136b, 136c)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활성층(134a, 134b, 134c)은 전원의 인가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6a, 136b, 136c)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되는 영역이다.
상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 각각에서, 식각된 부분, 즉 LED 셀들(130a, 130b, 130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120a, 120b, 120c)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6a, 136b, 136c)과 활성층(134a, 134b, 134c)이 제거되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에서 LED 셀들(130a, 130b, 130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120a, 120b, 120c)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 상에는, LED 셀(130a, 130b, 130c)과 이격되게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이 형성된다.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32a, 132b, 132c) 상에서 LED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의 높이는 LED 셀들(130a, 130b, 130c)의 높이와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은 범프들(340)에 의해 CMOS 백플레인(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셀들(130a, 130b, 130c)의 공통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CMOS 백플레인(2000)은 마이크로 LED 셀들(130) 각각을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CMOS 셀(230)들을 포함한다. CMOS 셀(230)들 각각은 범프들(300)을 통해 대응되는 LED 셀(130a, 130b, 1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CMOS 셀(230)들 각각은 대응되는 LED 셀(130a, 130b, 130c)을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집적회로이다. CMOS 백플레인(2000)은, 예를 들어, AM(Active Matrix) 패널일 수 있고, 따라서, CMOS 셀(230)들 각각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픽셀 구동 회로일 수 있고, 범프들을 이용하여 CMOS 백플레인(2000)에 제1, 제2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을 플립칩 본딩하는 경우, 등가 회로상, 상기 픽셀 구동 회로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공통 접지 단자 사이에 개개의 마이크로 LED 셀이 배치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CMOS 백플레인(2000)은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공통 셀(240)을 포함하며, 제1 도전형 메탈층(140)과 공통 셀(240)은 공통 범프(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는, 복수 개의 CMOS 셀들 각각과 LED 셀(130a, 130b, 130c)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범프들(300)과, 제1 도전형 메탈층(140a, 140b, 140c)과 공통 셀(2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 범프(340)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범프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들(300) 및 공통 범프(340)가 CMOS 셀들(230)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의 CMOS 백플레인(200)과 LED 디스플레이 패널(1100, 1200, 1300)들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CMOS 셀들(230)과 LED 셀들(130a, 130b, 130c)을 일대일 대응시켜 밀착시킨 후 가열하게 되면, 범프들(300) 및 공통 범프(340)가 녹게 되고, 그에 따라 CMOS 셀(230)들 각각과 CMOS 셀(230)들 각각에 대응하는 LED 셀(130a, 130b, 130c)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a, 12b)의 적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100a, 1100b)로부터 나온 적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제1 및 제2 인커플링 존(I1, I2)에서 받고 중앙의 아웃커플링 존(OZ)으로 상기 적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1 도파관(21)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a, 12b)의 녹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a, 1200b)로부터 나온 녹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제1 및 제2 인커플링 존(I1, I2)에서 받고 중앙의 아웃커플링 존(OZ)으로 상기 녹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2 도파관(22)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12a, 12b)의 청색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00a, 1300b)로부터 나온 청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제1 및 제2 인커플링 존(I1, I2)에서 받고 중앙의 아웃커플링 존(OZ)으로 상기 청색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3 도파관(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의 적색광 인커플링 HOE(311, 321), 녹색광 인커플링 HOE(312, 322) 및 청색광 인커플링 HOE(313, 323)는 각각 제1 도파관(21)의 일측 및 타측 배면, 제2 도판관(22)의 일측 및 타측 배면 및 제3 도파관(23)의 일측 및 타측 배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 각각의 내에서 적색광 인커플링 HOE(311, 321), 녹색광 인커플링 HOE(312, 322) 및 청색광 인커플링 HOE(313, 3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의 두 적색광 아웃커플링 HOE(411, 421)들은 아웃커플링 존(OZ)에서 제1 도파관(21)의 배면에 적층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의 두 녹색광 아웃커플링 HOE(412, 422)들은 아웃커플링 존(OZ)에서 제2 도파관(22)의 배면에 적층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31, 32)의 두 청색광 아웃커플링 HOE(413, 423)들은 아웃커플링 존(OZ)에서 제3 도파관(23)의 배면에 적층형태로 배치된다.
나머지 구성이나 작용은 앞선 실시예들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영상 소스 유닛
12a....................................제1 디스플레이 유닛
12b....................................제2 디스플레이 유닛
2......................................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
20.....................................도파관
31, 32.................................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41, 42.................................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Claims (17)

  1. 좌안 영상 소스와 우안 영상 소스를 제공하는 영상 소스 유닛;
    상기 좌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우안 영상 소스를 이용하여 우안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1 인커플링 존과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과 우안 영상광을 각각 받아 아웃커플링 존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 커플링 존에서 상기 좌안 영상광을 사람의 좌안에 상기 우안 영상광을 사람의 우안에 출력하는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으로 입사된 좌안 영상광을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방향 지정하는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으로 입사된 우안 영상광을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방향 지정하는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광을 상기 도파관 외측의 사람 좌안을 향해 내보내도록 방향 지정하는 제1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광을 상기 도파관 외측의 사람 우안을 향해 내보내도록 방향 지정하는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커플링 존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과 상기 제2 인커플링 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 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1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2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3 파장 LED셀들을 포함하여 제3 파장 영상광을 발광하는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일 기판 상에서 2차원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로그램 광학계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각각은, 상기 제1 파장 영상광, 상기 제2 파장 영상광 및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을 회절시켜 상기 아웃커플링 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 각각에 배치된 제1 파장광 인커플링 HOE, 제2 파장광 인커플링 HOE 및 제3 파장광 인커플링 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와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는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도파관에 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커플링 광학계 및 상기 제2 아웃커플링 광학계 각각은, 상기 제1 파장 영상광, 상기 제2 파장 영상광 및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을 회절시켜 상기 도파관 외측 사람의 양안 및 우안을 향하도록,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 배치된 제1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 제2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 및 제3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개의 도파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파관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1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1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1 도파관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2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2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2 도파관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3 파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나온 제3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상기 제1 인커플링 존 및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받고 상기 아웃커플링 존으로 상기 제3 파장 디스플레이 광들을 가이드하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1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1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파장 인커플링 HOE와. 상기 제2 인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의 타측에 배치된 제3 파장 인커플링 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 및 상기 제2 아웃커플링 홀로그램 광학계는,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1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1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2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2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와, 상기 아웃커플링 존에서 상기 제3 도파관에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된 제3 파장광 아웃커플링 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영상광은 적색 영상광이고, 상기 제2 파장 영상광은 녹색 영상광이며, 상기 제3 파장 영상광은 청색 영상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단일 CMOS 백플레인과, 상기 단일 CMOS 백플레인과 결합되는 제1 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2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CMOS 백플레인은 제1 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2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3 LED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에 구비된 LED 셀들을 개별 구동하기 위해 상기 LED 셀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CMOS 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은 상기 LED 셀들 각각과 상기 CMOS 셀들 각각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LED 셀들 각각과 상기 CMOS 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범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90648A 2016-07-18 2016-07-18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48A KR102509703B1 (ko) 2016-07-18 2016-07-18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US15/650,845 US10663756B2 (en) 2016-07-18 2017-07-14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48A KR102509703B1 (ko) 2016-07-18 2016-07-18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35A true KR20180009135A (ko) 2018-01-26
KR102509703B1 KR102509703B1 (ko) 2023-03-15

Family

ID=6102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48A KR102509703B1 (ko) 2016-07-18 2016-07-18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337A (ko) * 2021-03-18 2022-09-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램 광학 소자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홀로그래픽 도파관 타입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4348A1 (en) * 2003-02-19 2004-09-09 Yair David Chromatic planar optic display system
JP2008262993A (ja) * 2007-04-10 2008-10-30 Nikon Corp 表示装置
JP2009133998A (ja) * 2007-11-29 2009-06-1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KR20110122815A (ko) * 2009-01-22 2011-11-11 데이비드 존 트레이너 무안경식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US8325166B2 (en) 2008-06-10 2012-12-04 Sony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volume hologram grating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4348A1 (en) * 2003-02-19 2004-09-09 Yair David Chromatic planar optic display system
JP2008262993A (ja) * 2007-04-10 2008-10-30 Nikon Corp 表示装置
JP2009133998A (ja) * 2007-11-29 2009-06-1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US8325166B2 (en) 2008-06-10 2012-12-04 Sony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volume hologram gratings
KR20110122815A (ko) * 2009-01-22 2011-11-11 데이비드 존 트레이너 무안경식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337A (ko) * 2021-03-18 2022-09-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램 광학 소자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홀로그래픽 도파관 타입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703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3756B2 (en) Display apparatus
US11762200B2 (en) Bonded optical devices
US11582440B2 (en)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2799021B (zh) 图像显示装置
WO2018072527A1 (zh) 三维显示装置
US11054661B2 (en) Near-eye display device and near-eye display method
US11211588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W201219835A (en) Two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with optical emission frequency control
US9316877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CN102364378B (zh) 一种基于液晶光阀幕装置的裸眼立体显示装置
JP2023155273A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456120B1 (ko) 표시장치
KR1025270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94809A (ko) 표시 장치
CN102213838A (zh) 立体显示装置
US10481407B2 (en) 3D glasses and 3D display system
KR20180009135A (ko) 도파관을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17825A1 (zh) 裸眼3d显示像素单元及具有2d或3d切换功能的装置
KR20210014816A (ko) 광학 장치
KR20180055122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8885377B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2174959B1 (ko)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JP2012181275A (ja) 立体表示装置及び液晶シャッタパネル
KR101765905B1 (ko) 발광 장치
KR20070096513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