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035A -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035A
KR20180009035A KR1020167026294A KR20167026294A KR20180009035A KR 20180009035 A KR20180009035 A KR 20180009035A KR 1020167026294 A KR1020167026294 A KR 1020167026294A KR 20167026294 A KR20167026294 A KR 20167026294A KR 20180009035 A KR20180009035 A KR 2018000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symbol
key
input
instruction
inpu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엔후이 저우
Original Assignee
리엔후이 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후이 저우 filed Critical 리엔후이 저우
Publication of KR2018000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행 기술 중에서 신속하게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를 눌러,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고 입력 인테페이스에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지시 키 형상은 이에 대응하는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며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내의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의 대표 숫자 키와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에 따라 스크린에 나타내는 특수기호 입력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A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symbols and a system for IME}
본 발명은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 입력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경우 사람들은 항상 숫자 기호, 단위 기호 및 기타 기호와 같은 일부 특수기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키보드의 제한성으로 인하여 아주 적은 기호만이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되는 바,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없는 특수기호에 대하여 사람들은 흔히 사무용소프트웨어에 설치된 특수기호집합("word"와 같은 삽입 특수기호)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를 삽입하거나 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열어 특수기호 유형을 선택한 후 진일보로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는데 이 두가지 방법은 모두 비교적 많은 옵션에서 하나하나 검색하는 것이므로 만약 사용자가 이러한 특수문자를 모르고 그 유형도 모른다면 특수기호 집합 전체를 검색하여야 만이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책 이름표 "《"에서 사용자가 이의 읽는 방법을 모른다면 이 이름의 병음으로 입력할 수 없게 되고 중국어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에게 있어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입력 상태에서 오직 몇개의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중국어 입력법을 장착할 수도 없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어가 아닌 입력법 상태에서는 "word", "excel"에서만이 특수기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만약 텍스트나 웹 페이지에 입력하려면 통상적으로 하나의 "word"파일을 열어 "삽입→특수기호"를 통해 이러한 특수기호를 입력한 후 오브젝트 파일에 복사하여 붙여넣어야 한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방법, 동작은 복잡하고 효율이 낮으며 매우 큰 제한성이 있어 특수기호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간단하고 효율성이 높으며 만능적이고 교차 언어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기호를 입력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 기술 중에서 신속하게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를 눌러,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고 입력 인테페이스에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지시 키 형상은 이에 대응하는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며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내의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의 대표 숫자 키와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에 따라 스크린에 나타내는 특수기호 입력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진일보로, 상기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는 "Alt+지시키"이다.
본 발명은 동작 인터페이스, 시소러스 및 입력법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특수기호 입력법을 실현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시소러스는 특수기호 시소러스를 포함하고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특수기호 시소러스내에서 지시 키 형상이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고 상기 지시 키는 미국 표준 키보드의 기호 키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수기호는 서로 대응된다.
진일보로, 상기 입력법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한 후 입력 명령의 콘텐츠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법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인C++ 또는 Visual Basic언어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는 "Alt+지시키"이다.
진일보로, 상기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의 동작 인터페이스는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포함하되 상기 특수기호 입력 옵션은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특수기호가 서로 대응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선택하여 지시 키를 직접 누름으로써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자동적으로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시 키가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의 일부인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수기호의 종류와 밞음을 알 필요가 없이 키보드에서 특수기호 형상과 같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인 지시 키를 찾게 되면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에 따라 특수기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데 하나의 지시 키는 다수의 특수기호와 대응되어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대량의 특수기로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입력이 빠르고 정확하게 된다.
도 1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1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2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3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4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1: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지시 키 "Alt+-(즉 키보드의 마이너스 부호가 대응하는 키)”를 누르게 되면 입력법 프로그램은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는 바, 그 중 제3 옵션 특수기호 "ㅡ" 형상과 지시 키 "-" 동일하고 나머지 각 지시 키 "-" 형상은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며 사용자가 특수기호인 나눗셈표 "÷"을 입력하고자 하면 키보드의 "4"키를 눌러 나눗셈표 "÷"를 스크린에 나타낸다.
이때,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에서, 지시키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특수기호와 대응되도록 하고 하나의 지시 키는 다수의 특수기호와 대응되며 하나의 특수기호도 상이한 지시 키로 나타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인데 이는 "%"를 지시 키로 할 때 표시될 수도 있고 "/"를 지시 키로 할 때 표시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 규칙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2: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Alt+ =" (즉 키보드의 같음표가 대응되는 키)를 누르는데 사용자가 키보드의 "Alt"키를 누름과 동시에 같음표가 대응되는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는 바, 각 형상은 모두 지시 키 "=" 형상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
Figure pct00001
" 입력하고자 하면 키보드의 "4"키를 눌러 "
Figure pct00002
"를 스크린에 나타낸다.
이때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에서 "Alt+지시 키"를 사용하여 특수기호와 대응되도록 한다.
입력법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인 C++ 또는 Visual Basic 언어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바, 입력법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한 후 입력 명령의 콘텐츠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Alt+지시 키”와 특수기호가 대응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키보드에서 클릭할 경우 특수기호 옵션이 나타나지 않고 "Alt+지시 키”를 누를 경우만이 특수기호 옵션이 나타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Alt"와 기타 키의 조합은 사용이 적으므로 컴퓨터의 기타 입력기능과 서로 충돌하지 않게 된다. "Alt+ ="는 "Word"에서 "공식삽입"단축 키이고 "Alt+ ="는 "Excel"에서 공식의 합을 구하는 "Sum"의 단축 키인 것과 같이 "Alt"는 "word, excel" 등에서 단축 키 기능을 하는 바, 이 외에 그의 사용빈도는 매우 낮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마우스를 통하여 메뉴 명령을 클릭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데 "text" 또는 "http" 하이퍼 텍스트에서 "Alt"키는 거의 방치상태에 있는데 사용자에게 있어서 특수기호의 입력은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3: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의 동작 인터페이스는 특수기호 입력옵션을 포함하여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특수기호가 서로 대응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선택하여 지시 키를 직접 누름으로써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자동적으로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도록 사용된다.
만약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선택하면 지시 키 "/"(즉 키보드의 "/"과 대응되는 키)를 눌러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는 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특수기호를 입력하면 되고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에 의하여 조합 키에 따라 특수기호를 검색하는 동작을 완성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특수기호를 입력하면 되고 또 지시 키와 특수기호가 대응됨으로 인한 그 자체의 정상적인 입력이 충돌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4:
"\" 및 "│"에 대해 선택 가능한 두개의 지시 키가 키보드에서 하나의 버튼
Figure pct00003
을 공동으로 사용하는데 여기서 "│"은 시프트 키이고 이때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에서는 "Alt+
Figure pct00004
키”를 사용하여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대응시키며 "Alt+더블 클릭
Figure pct00005
키”를 사용하여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대응시키는데 사용자가 "Alt+더블 클릭
Figure pct00006
키”를 누르면 입력법 프로그램은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는 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이상 몇가지 실시예 외에 본 발명은 그 어떤 특수기호도 입력할 수 있는데 아래는 비교적 상세한 예이다.
1) "Alt+더블 클릭~`"입력: "~", ∽, ∞, ∝”;
2) "Alt+%"입력: "‰,
Figure pct00007
";
3) "Alt+^"입력: "
Figure pct00008
, △”;
4) "Alt+*"입력: "×"
5) "Alt+<"입력: "《, ≪, ∠, ≤,
Figure pct00009
,
Figure pct00010
”;
6) "Alt+>"입력: "》, ≫, ≥,
Figure pct00011
,
Figure pct00012
7) "Alt+."입력: "
Figure pct00013
, …, ∴, ∵”
이상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인 바, 응당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떠나지 않은 전제하에서 약간의 개선과 윤색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선과 윤색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를 눌러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고 입력 인테페이스에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지시 키 형상은 이에 대응하는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며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내의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의 대표 숫자 키와 입력하고자 하는 특수기호에 따라 스크린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는 "Alt+지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3. 동작 인터페이스, 시소러스 및 입력법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특수기호 입력법의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소러스는 특수기호 시소러스를 포함하고 지시 키 또는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특수기호 시소러스내에서 지시 키 형상이 특수기호 형상과 일치하거나 특수기호 형상의 일부이고 상기 지시 키는 미국 표준 키보드의 기호 키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수기호는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법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한 후 입력 명령의 콘텐츠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는 "Alt+지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의 동작 인터페이스는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포함하되 상기 특수기호 입력 옵션은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특수기호가 서로 대응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수기호 입력 옵션을 선택하여 지시 키를 직접 누름으로써 입력법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시소러스에서 자동적으로 지시 키를 포함하는 조합 키와 대응되는 특수기호를 검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내에 표시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기호 입력법 시스템.

KR1020167026294A 2015-06-11 2015-06-15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 KR20180009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319517.1A CN105425977A (zh) 2015-06-11 2015-06-11 一种特殊符号输入法及输入法系统
CN201510319517.1 2015-06-11
PCT/CN2015/000413 WO2016197271A1 (zh) 2015-06-11 2015-06-15 一种特殊符号输入法及输入法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35A true KR20180009035A (ko) 2018-01-25

Family

ID=5550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294A KR20180009035A (ko) 2015-06-11 2015-06-15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57412A1 (ko)
KR (1) KR20180009035A (ko)
CN (1) CN105425977A (ko)
WO (1) WO20161972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81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20190138175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9349B (zh) * 2016-03-25 2021-04-13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输入法的文字显示方法及装置
CN107463276A (zh) * 2017-08-23 2017-12-12 合肥龙图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输入法自定义快捷输入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2053B2 (en) *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CN100489744C (zh) * 2006-03-22 2009-05-20 李光耀 仅具简易按键组的电子装置的英文输入方法
CN101436125A (zh) * 2007-11-12 2009-05-20 吴多传 特殊符号输入法
CN101408806A (zh) * 2008-11-17 2009-04-15 张家港市赫图阿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中文键盘的输入标点符号的方法
CN101477441B (zh) * 2009-01-21 2010-11-03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中显示与输入符号的方法
CN101853083A (zh) * 2009-11-17 2010-10-06 周连惠 一种输入特殊符号的方法
CN104615265B (zh) * 2015-01-07 2019-03-26 深圳市致璞科技有限公司 一种输入字符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81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20190138175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7271A1 (zh) 2016-12-15
CN105425977A (zh) 2016-03-23
US20180157412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86205B (en)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RU2436146C2 (ru) Гибкий перевод отображения
KR101059631B1 (ko)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및 그 인터페이싱방법
US20150161246A1 (en) Letter inputt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20100086451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40068509A1 (en) Managing a Selection Mode for Presented Content
KR20180009035A (ko) 특수기호 입력법 및 입력법 시스템
US20110080409A1 (en) Formula input method using a computing medium
US8190421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KR20100046043A (ko) 키패드 텍스트 입력의 명확화
US20060064652A1 (en) Input of punctuation marks
CN108737634B (zh) 语音输入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1150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assisting language input mode indentification
JP6757115B2 (ja) 回答検索システム
US99160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A2647345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obtaining new language objects for a temporary dictionary used by a disambiguation routine on the device
US20120194438A1 (en) Electronic reader with chinese pinyin input function and chinese pinyin input method
WO2022143523A1 (zh) 词汇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345921B2 (en) Multi-mode keyboard
CN101526854B (zh) 一种计算机以及计算机显示信息的方法
Khamaj Towards an enhanced user experience with critical system interfaces in middle-eastern countries: a cas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of Saudi Arabia's weather interface system (Arsad)
KR20130016867A (ko)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JP6752705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iersdorfer Add International Keyboards on an iPhone.
CN112269476A (zh) 公式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