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673A -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673A
KR20180008673A KR1020177036138A KR20177036138A KR20180008673A KR 20180008673 A KR20180008673 A KR 20180008673A KR 1020177036138 A KR1020177036138 A KR 1020177036138A KR 20177036138 A KR20177036138 A KR 20177036138A KR 20180008673 A KR20180008673 A KR 2018000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client
voice
onlin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535B1 (ko
Inventor
리웨이 예
톄밍 황
위 천
빈 리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3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using or handling presenc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성-채팅 모드 적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은, 서버가 채팅 인터페이스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에서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음성 메시지가 소스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클라이언트 사이에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 남기기 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소스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실시간 인터컴이 수행되는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5년 7월 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voice chat mode SELF-adapting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395112.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은 사람들에게 큰 편의를 가져다주었다. 사람들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정보를 브라우징하고, 쇼핑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등을 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도구가 사용되는 채팅 시나리오에서, 메시지 전송자가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전송자는 보통 먼저 메시지 내용을 준비하고(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를 편집하거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그 후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친구들 간의 통신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을 제공한다: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서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 장치는 지령 모듈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지령 모듈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요청 수신 모듈 -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태 체크 모듈;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서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거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모드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을 제공한다: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는 단계 -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는 설정을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서버로부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설정을 수신하고,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단계.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 장치는 지령 모듈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지령 모듈들은,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요청 전송 모듈 -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는 설정을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서버로부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설정을 수신하고,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드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을 수행할 때, 서버는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가 온라인 인지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팅 방식이 상대적으로 유연해지고 친구들 간의 통신이 더 편리해지고 빠르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단말과 서버 사이의 상호 작용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이 적용되는 서버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의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음성 채팅 요청을 트리거하기 위해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된 후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된 후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명세서 및 특정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단지 사용되었지만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IM) 도구가 사용되는 기존 채팅 프로세스에서, 수신자가 온라인 인지에 관계없이 전송자가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전송자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 다음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수신자는 음성 메시지의 수신을 완료한 다음 음성 메시지를 재생한다. 사실, 수신자가 온라인일 때 직접 실시간 채팅은 확실히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음성 채팅 방식은 충분히 유연하지 못하며,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솔루션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을 수행할 때, 서버는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가 온라인 인지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성 채팅이 보다 유연해지고 친구들 간의 통신이 더욱 편리해지고 빠르게 된다.
전술한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솔루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도구(QQ, WeChat, MOMO 및 Laiwang)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들 간에 수행되는 음성 메시징에 적용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는 웹 페이지의 형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단말과 서버 사이의 상호 작용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a) 상의 인스턴트 메시징(IM) 클라이언트 A 및 단말(200b) 상의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는 친구들이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서버(100)를 사용하여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대한 음성 채팅 요청을 개시한다.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B)가 온라인 인지를 체크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온라인일 때,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온라인이 아닐 때,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음성을 녹음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의해 업로드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버(100)는 먼저 서버(100)에 음성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예를 들어, 로그인)한 후, 서버(100)는 자동으로 음성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전송한다.
따라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징을 확립할 필요가 있을 때, 서버(100)는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가 온라인 인지에 따라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채팅 방식이 보다 유연해지고 친구들 간의 통신이 보다 편리해지고 빠르게 된다. 서버(100)는 단일 기능을 갖는 서버일 수 있거나,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며,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은 서버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사용자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104), 메시징 모듈(105), 및 통신 버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버스(106)는 서버(100) 내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사용자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10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01)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프로세서(101)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의 음성 디스플레이와 같은 대응하는 포맷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메시징 모듈(105)은 서버(10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메시징을 위해 구성된다. 외부 디바이스는 단말,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모듈(105)은 유선 메시징 유닛(108) 또는 무선 메시징 유닛(107)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서버(100), 모드 자기 적응 장치(1000), 사용자 상호 작용 데이터 등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109)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02)는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또는 외부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프로세싱 센터로서, 프로세서(101)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동작할 다른 컴포넌트를 호출하는 등을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구현을 위한 메모리(102) 내의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기능을 구현한다.
메모리(102)는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멀티미디어 카드, 카드 타입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DX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프로세싱 유닛, ASIC, 로직 유닛,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는 중앙 처리 유닛(CPU)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서버(100) 상에 있는 모드 자기 적응 장치(1000)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을 제공한다.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110: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고,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있는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는 상이한 단말들 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단말은 스마트폰, 지능형 전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AD(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PMP(portable 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워치)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음성 채팅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단말의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를 가능하게 하고,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400)는 "포크(poke)" 버튼(401), "채팅" 버튼(402) 및 "메시지" 버튼(403)과 같은 여러 대응하는 버튼 타입 제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아바타(Atuzheng)(40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채팅" 버튼(402)을 클릭한 후,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405)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친구를 선택하기 위해 팝업된다. 사용자가 친구, 예를 들어 Alice(406)를 선택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사용자의 트리거링에 따라 서버(100)를 사용하여 Alice에게 음성 채팅 요청을 전송한다.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가 먼저 표시되고,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가 이후에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500) 상에서, 사용자가 친구인 Alice(501)와 음성 채팅을 수행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친구를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계층(502)이 팝업된다. 제어 계층(502)은 "포크" 버튼(503), "채팅" 버튼(504) 및 "메시지" 버튼(505)과 같은 여러 버튼 타입 제어를 포함한다. 제어 계층(502) 상의 "채팅" 버튼(504)이 트리거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사용자의 트리거링에 따라,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채팅 요청을 Alice에게 전송한다.
단계 S120: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검출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 즉 친구 Alice의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체크한다.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집하고 저장함으로써, 서버(100)가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 후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30: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한다.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면, 방법은 S140으로 진행하고,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니면, 방법은 S1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다.
즉,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두 당사자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에 직접 진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동 적응 방법에서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된 후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채팅 모드에서, "나"와 "Alice"는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506)를 표시하고, "나"에 의해 전송된 음성 신호를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송신한다.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는,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Alice"에 의해 전송된 음성 신호를 수집하고,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제시간에 송신한다.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S150: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서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에서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된 후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목적지 클라이언트(즉, 친구 Alice의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도록 통지한다. 음성 녹음 플로팅 계층(voice-recording floating layer)(507)은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팝업되어 현재 환경에서 음성 메시지를 자동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음성 메시지가 서버(100)에 의해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되게 한다.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수집 장치는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는 단말 상에 설정된다. 음성 녹음이 구현될 필요가 있을 때, 음성 신호 수집 장치는 자동으로 가능하게 되어 음성을 자동으로 녹음한다.
전송되는 전술한 음성 채팅 요청은 도 5의 "채팅" 버튼(504)을 길게 터치함으로써 추가로 트리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100)는 음성 채팅 요청에 따라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한다.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면,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506)에 직접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니면,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를 제어함으로써, 음성 녹음 플로팅 계층(507)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의 현재 페이지 상에 팝업되어 현재 환경에서 음성 메시지를 자동으로 녹음하게 하고,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메시지가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될 때, 음성 메시지 모드로 디폴트로 진입한다. 동작 중에,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라고 결정될 때 실시간 채팅 모드로 전환되고,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니라고 결정될 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직접 진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을 수행할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가 온라인 인지에 따라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팅 방식이 보다 유연해지고, 친구들 간의 통신이 더 편리해지고 빠르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출원에서의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방법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S140 또는 S150 이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단계 S160: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소스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클라이언트 간에 음성 채팅이 확립된 후, 서버(100)는 각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단계 S170: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음성 메시지 모드와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한다.
음성 채팅 동안, 소스 클라이언트가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때, 서버(100)가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 서버(100)는 음성 메시지를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소스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를 추가로 전송할 때, 실시간 채팅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채팅을 수행할 때, 서버(100)가 소스 클라이언트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면, 음성 채팅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이 실시예에서,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은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될 때 수행된다. 또한,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한 후,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는 두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된다.
또한, 서버(100)는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즉, 서버(100)는 각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heartbeat packet)을 수신하고, 소위 하트비트 패킷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서버에 통지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규칙적으로 전송되는 단순한 정보이다. 하트비트 패킷은, 예를 들어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미리 설정된 수의 연속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들이 수신될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온라인 상태를 저장하며;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수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트비트 패킷의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Online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룸 식별자는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를 위해 생성된 채팅 룸의 식별자이며, 이는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를 바인딩하는 데 사용된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igure pct00001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에 대해서는, Bool 값이 1일 때 온라인 식별자를 나타내거나 Bool 값이 0일 때 오프라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는 미리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2초)에서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콘텐츠의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1)를 포함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채팅 인터페이스를 떠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는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전송한다. 전송되는 콘텐츠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하트비트 패킷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한다. 하트비트 패킷 내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0일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하트비트 패킷 내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1일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음성 채팅 메시징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 서버(100)에 의해 수신된 미리 설정된 수(예들 들어, 5)의 연속 하트비트 패킷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1이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안전한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서버(100)가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임의의 하트비트 패킷을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0초) 내에 수신하지 않으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는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100)는 각 클라이언트에 의해 업로드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하여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서버(100)는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 요청을 개시할 때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룸 식별자 roomid에 따라 친구들 사이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상태 정보의 포맷은 하기 표 2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2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표 2에 따라, roomid A에 대응하는 고유 상대방 식별자(즉, Pariuuid)를 검색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 모두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에 따라 온라인 인지를 체크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140 이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S180: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들 중 어느 하나가 오프라인일 때, 오프라인이 아닌 클라이언트에게 오프라인 통지를 전달한다.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 후, 서버(100)는 두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추가로 체크한다. 두 당사자가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 실시간 채팅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두 당사자 중 어느 하나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으면, 음성 메시지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고, 오프라인 통지는 오프라인이 아닌 클라이언트로 전달된다.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모두 온라인일 때, 서버(100)는 온라인 상태를 다른 클라이언트에 추가로 전송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소스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소스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온라인 상태를 수신한 후, 서버는 그 상태를 저장한다.
이에 대응하여,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성-채팅 모드 자동 적응 장치는 요청 수신 모듈(110), 상태 체크 모듈(120) 및 모드 제어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 모듈(110)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있는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태 체크 모듈(120)은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제어 모듈(130)은,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서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요청 수신 모듈(110)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다. 음성 채팅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후에 생성된다. 클라이언트는 단말 상에 있다. 단말은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예로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단말의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를 가능하게 하고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400)는 "포크" 버튼(401), "채팅" 버튼(402) 및 "메시지" 버튼(403)과 같은 여러 대응하는 버튼-타입 제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아바타(Atuzheng)(40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채팅" 버튼(402)을 클릭한 후,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405)는 사용자가 채팅할 친구를 선택하기 위해 팝업된다. 사용자가 친구인 Alice(406)를 선택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사용자의 트리거링에 따라, 서버(100)를 사용하여 Alice에게 음성 채팅 요청을 전송한다.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히려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를 먼저 표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친구 목록 인터페이스(500) 상에서, 사용자가 친구인 Alice(501)와 음성 채팅을 수행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친구를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계층(502)이 팝업된다. 제어 계층(502)은 "포크" 버튼(503), "채팅" 버튼(504) 및 "메시지" 버튼(505)과 같은 여러 버튼 타입 제어를 포함한다. 제어 계층(502) 상의 "채팅" 버튼(504)이 트리거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사용자의 트리거링에 따라,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채팅 요청을 Alice에게 전송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 후, 상태 체크 모듈(120)은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 즉 친구 Alice의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체크한다.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집하고 저장함으로써, 서버(100)가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한 후 서버(100)가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모드 제어 모듈(130)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채팅 인터페이스에 직접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당사자가 실시간 채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실시간 채팅 모드에서, "나"와 "앨리스"는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실시간 채팅 인터페이스(506)를 표시하고, "나"에 의해 전송된 음성 신호를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제시간에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송신한다.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는,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Alice"에 의해 전송된 음성 신호를 수집하고, 서버(100)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제시간에 송신한다.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는 단말 상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목적지 클라이언트(즉, 친구인 Alice의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모드 제어 모듈(130)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서버(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도록 통지한다. 음성 녹음 플로팅 계층(507)은 음성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팝업되어 현재 환경에서 음성을 자동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음성이 서버(100)에 의해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되게 한다.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수집 장치는 단말 상에 설정된다. 음성 녹음이 구현될 필요가 있을 때, 음성 신호 수집 장치는 자동으로 가능하게 되어 음성을 자동으로 녹음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을 수행할 때, 서버는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가 온라인 인지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팅 방식이 보다 유연해지고, 친구들 간의 통신이 더 편리해지고 빠르게 된다.
또한, 상태 체크 모듈(120)은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모드 제어 모듈(130)은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음성 메시지 모드와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음성 채팅 동안, 소스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클라이언트 간에 음성 채팅이 확립된 후, 상태 체크 모듈(120)은 각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소스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를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때, 상태 체크 모듈(120)이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음을 발견하면, 모드 제어 모듈(130)은 음성 메시지를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소스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를 추가로 전송할 때, 모드 제어 모듈(130)은 자동으로 실시간 채팅 모드로 전환된다.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채팅을 수행할 때, 상태 체크 모듈(120)이 소스 클라이언트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님을 발견하면, 모드 제어 모듈(130)은 자동으로 음성 채팅 모드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은 음성 채팅 요청이 트리거될 때 수행된다. 또한,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한 후,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는 두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제시간에 전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팅 방식은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된다.
또한,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는 상태 업데이트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업데이트 모듈(140)은 각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신하고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태 업데이트 모듈(140)은 하트비트 패킷 수신 유닛(141) 및 상태 결정 유닛(142)을 포함한다.
하트비트 패킷 수신 유닛(141)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한다.
상태 결정 유닛(142)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미리 설정된 수의 연속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이 수신될 때,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온라인 상태를 저장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수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하트비트 패킷의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OnlineFlag)를 포함한다. 룸 식별자는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를 위해 생성된 채팅 룸의 식별자이며, 이는 채팅을 수행하는 두 당사자를 바인딩하는 데 사용된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igure pct00003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에 대해서는, Bool 값이 1일 때 온라인 식별자를 나타내거나 Bool 값이 0일 때 오프라인 식별자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는 미리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2초)에서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콘텐츠의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1)를 포함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채팅 인터페이스를 떠날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는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전송한다. 전송되는 콘텐츠 포맷은 룸 식별자(roomid), 고유 자기 식별자 id, 및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하트비트 패킷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한다. 하트비트 패킷 내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0일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하트비트 패킷 내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1일 때,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음성 채팅 메시징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 서버(100)에 의해 수신된 미리 설정된 양(예들 들어, 5)의 연속 하트비트 패킷의 온라인/오프라인 식별자가 1이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안전한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 서버(100)가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임의의 하트비트 패킷을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0초) 내에 수신하지 않으면,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100)는 각 클라이언트에 의해 업로드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하여 각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서버(100)는 클라이언트가 음성 채팅 요청을 개시할 때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음성 채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업데이트 모듈(140)은 룸 식별자 roomid에 따라 친구들 사이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추가로 확립할 수 있다. 정보의 포맷은 하기 표 4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4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한 후, 서버(100)는 표 4에 따라, roomid A에 대응하는 고유 상대방 식별자(즉, Pariuuid)를 검색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 모두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A 및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B에 의해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에 따라 온라인 인지를 체크한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는,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중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일 때, 오프라인이 아닌 클라이언트에게 오프라인 통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태 통지 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 후, 상태 체크 모듈(120)은 두 당사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추가로 체크한다. 두 당사자가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 실시간 채팅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두 당사자 중 어느 하나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 경우, 모드 제어 모듈(130)은 자동으로 음성 메시지 모드로 전환되고, 상태 통지 모듈(150)은 오프라인이 아닌 클라이언트에게 오프라인 통지를 전달한다.
소스 클라이언트 및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모두 온라인일 때, 상태 통지 모듈(150)은 온라인 상태를 다른 클라이언트에 추가로 전송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소스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소스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온라인 상태를 수신한 후, 서버는 그 상태를 저장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의 모드 자기 적응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모드 자기 적응 장치(1000)일 수 있으며, 모드 자기 적응 장치 내의 모듈들은 프로세서(10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지령 모듈일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은 소스 클라이언트에 적용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S210: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고,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있는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220: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니라고 결정될 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S230: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라고 결정될 때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3에 기초하면,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 모드 또는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 후,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S240: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서버에 보고하고, 서버에 의해 제공된 설정에 따라 음성 메시지 모드와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서버에 보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한 후 하트비트 패킷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과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수의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이 보고될 때, 이는 보고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이는 보고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기능 모듈의 개략도이다.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2000)는 소스 클라이언트에 적용되며, 요청 전송 모듈(210) 및 모드 제어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전송 모듈(210)은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채팅 요청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있는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모드 제어 모듈(220)은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통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통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에 기초하면,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2000)는 소스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서버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상태 업데이트 모듈(23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업데이트 모듈(230)은 채팅 인터페이스에 진입한 후 하트비트 패킷을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수의 연속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이 보고될 때, 이는 보고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이는 보고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의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2000)는 단말 디바이스 상에 위치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지능형 전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AD(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PMP(portable 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고정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모드 자기 적응 장치(2000) 내의 모듈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지령 모듈일 수 있다.
전술한 예의 설명에 따르면, 본 출원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에 추가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2개의 클라이언트의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사용자가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채팅 요청을 개시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사용을 위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내용에 기초한 구조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등가의 수정은 또한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방법(voice-chat-mode self-adapting method)으로서,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상기 소스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를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상기 소스 클라이언트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또는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상기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상기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 모드와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의해 보고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신하고, 음성 채팅 요청이 수신될 때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의해 보고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기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함 - ;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미리 설정된 수의 연속 하트비트 패킷들이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들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온라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상기 수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후에,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는 제1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일 때,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 상기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는 온라인 제2 클라이언트에게 오프라인 통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지령 모듈들을 저장하고, 상기 지령 모듈들은,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서 소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음성 채팅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요청 수신 모듈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있는 대응하는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의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태 체크 모듈;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상기 소스 클라이언트가 음성 메시지를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상기 소스 클라이언트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모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모듈은 음성 채팅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들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드 제어 모듈은 상기 음성 채팅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상기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 모드와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의해 보고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수신하고, 음성 채팅 요청이 수신될 때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상태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트비트 패킷 수신 유닛 - 상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함 - ;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미리 설정된 수의 수신된 연속 하트비트 패킷들이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들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온라인 상태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된 상기 수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오프라인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상태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팅 모드 적응 장치는,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는 제1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일 때,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고 있는 온라인 제2 클라이언트에게 오프라인 통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태 통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11. 음성-채팅-모드 자기-적응 방법으로서,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음성 메시지를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상기 서버로부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또는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상기 서버에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 모드와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상기 서버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로 진입한 후 하트비트 패킷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수의 보고된 연속 하트비트 패킷들이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들일 때, 온라인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오프라인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14. 음성-채팅-모드 자기 적응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지령 모듈들을 저장하며, 상기 지령 모듈들은,
    음성 채팅 요청을 채팅 인터페이스 상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요청 전송 모듈(210) - 상기 음성 채팅 요청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상의 목적지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이 아닐 때,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가 온라인일 때, 서버로부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채팅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목적지 클라이언트와 실시간 음성 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드 제어 모듈(220)
    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 모듈들은,
    상기 음성-채팅 모드 자기 적응 장치가 위치하는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상기 서버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상태 업데이트 모듈(230)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팅 모드 적응 장치가 위치하는 클라이언트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를 상기 서버에 보고하는 것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로 진입한 후 하트비트 패킷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트비트 패킷은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 및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수의 보고된 연속 하트비트 패킷들이 온라인 하트비트 패킷들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온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보고된 하트비트 패킷이 오프라인 하트비트 패킷일 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음을 표시하는, 장치.
KR1020177036138A 2015-07-07 2016-05-26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KR101979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395112.6 2015-07-07
CN201510395112.6A CN105162678B (zh) 2015-07-07 2015-07-07 语音聊天的模式自适应方法及装置
PCT/CN2016/083404 WO2017005060A1 (zh) 2015-07-07 2016-05-26 语音聊天的模式自适应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673A true KR20180008673A (ko) 2018-01-24
KR101979535B1 KR101979535B1 (ko) 2019-05-16

Family

ID=5480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138A KR101979535B1 (ko) 2015-07-07 2016-05-26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0716B2 (ko)
JP (1) JP6501919B2 (ko)
KR (1) KR101979535B1 (ko)
CN (1) CN105162678B (ko)
WO (1) WO2017005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2678B (zh) * 2015-07-07 2022-03-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聊天的模式自适应方法及装置
CN106126080B (zh) * 2016-06-22 2019-08-16 北京云知声信息技术有限公司 语音管理方法及装置
CN111630556A (zh) * 2018-02-08 2020-09-04 连普乐士株式会社 以三维形态提供聊天室的方法和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0300216A (zh) * 2018-03-23 2019-10-01 鸿富锦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网络语音通话优化方法、电子装置及存储介质
US11076009B2 (en) 2018-04-23 2021-07-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i-jitter mechanism for monitoring online availability
CN108854062B (zh) * 2018-06-24 2019-08-09 广州银汉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游戏的语音聊天模块
CN109299249A (zh) * 2018-09-18 2019-02-01 广州神马移动信息科技有限公司 问答社区交互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286559B (zh) * 2018-11-14 2021-08-31 深圳市云歌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信息发送的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0324157A (zh) * 2019-08-08 2019-10-11 北京佑仁天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多人语音聊天系统
CN111162992B (zh) * 2019-12-25 2022-07-01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互动模式切换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709020B (zh) * 2020-05-20 2024-02-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消息接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035202B (zh) * 2020-08-25 2021-11-2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好友活跃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30103014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카카오 메시지 채팅방에 종속되는 음성 채팅방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6327A (zh) * 2004-09-16 2005-04-13 深圳市沃通通信服务有限公司 基于因特网网址技术实现统一通信的方法及其应用
KR20060036831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상태정보 체크 및 통화 수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04200A (en) * 1999-05-11 2000-11-21 Visitalk.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over a distributed electronic network
US6393017B1 (en) * 1999-11-17 2002-05-21 Worldcom, Inc. Virtual PBX system
US20040047303A1 (en) * 2002-09-10 2004-03-11 Fernandez Christopher Lawre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reques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US7225226B2 (en) * 2002-09-27 2007-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t messaging channel redirection
US7602895B2 (en) * 2003-10-01 2009-10-13 Aol Llc Dynamic call response system
CN1961565A (zh) * 2004-05-26 2007-05-09 高通股份有限公司 使用分组数据消息系统中的存在状态提供语音邮件服务的装置、系统和方法
CN100518068C (zh) * 2006-06-02 2009-07-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通过浏览器实现即时通信的方法及系统
CN101079835A (zh) * 2006-12-21 2007-11-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即时通信软件实现离线多媒体留言的方法及系统
US7817584B2 (en) * 2007-02-28 2010-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imultaneous electronic communications
US20080261630A1 (en) * 2007-04-23 2008-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dicating user presence on a messaging network
US8782274B2 (en) * 2007-10-19 2014-07-15 Voxer Ip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gressively transmitting a voice message from sender to recipients across a distributed services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002685A1 (en) * 2008-06-30 2010-01-07 Shaham Eliez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O2010092492A1 (en) * 2009-02-12 2010-08-19 Amivox Ehf. Instant messaging and telephony value added services
US20120246226A1 (en) * 2011-03-23 2012-09-27 Tappin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from a local network to a remote device
CN102196384B (zh) * 2011-05-18 2014-08-13 陈善真 基于蜂窝移动通讯网络和ip网络的自动切换系统及方法
CN102238284B (zh) * 2011-06-28 2014-07-23 北京神州泰岳软件股份有限公司 手机即时通讯方法
JP5325953B2 (ja) * 2011-08-25 2013-10-23 株式会社ネクソ 通信システム
CN102546646B (zh) * 2012-01-17 2015-06-24 深圳市乐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对讲功能的系统及方法
CN103384295A (zh) * 2012-05-04 2013-11-06 上海鱼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呼叫即时聊天好友的方法及系统
US10164929B2 (en) * 2012-09-28 2018-12-25 Avaya Inc. Intelligent notification of requests for real-time online interaction via real-time communications and/or markup protocols, and rel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US9419935B2 (en) * 2013-08-02 2016-08-16 Whatsapp Inc. Voice communications with real-time status notifications
CN103647867B (zh) * 2013-12-06 2016-11-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留言方法和系统
CN105162678B (zh) * 2015-07-07 2022-03-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聊天的模式自适应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6327A (zh) * 2004-09-16 2005-04-13 深圳市沃通通信服务有限公司 基于因特网网址技术实现统一通信的方法及其应用
KR20060036831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상태정보 체크 및 통화 수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5060A1 (zh) 2017-01-12
CN105162678A (zh) 2015-12-16
US20180006976A1 (en) 2018-01-04
JP6501919B2 (ja) 2019-04-17
KR101979535B1 (ko) 2019-05-16
US10530716B2 (en) 2020-01-07
CN105162678B (zh) 2022-03-11
JP2018519593A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535B1 (ko) 음성 채팅 모드 자기 적응 방법 및 장치
US10805257B2 (en)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call log data
US10484533B2 (en) Messaging interface based on caller of an incoming call
JP6577477B2 (ja) インスタント通信における未読メッセージの同期化
US10243891B2 (en) Cross-de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091717A1 (en) Auto extraction of tasks from unstructured communications such as emails and messages
US9083693B2 (en)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in instant messaging
US8886234B2 (en) Techniques for unified messaging
WO2009089707A1 (fr) Procédé d'affichage d'informations et son terminal utilisateur
US20160127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lling in message conversations across multiple devices
TWI496485B (zh) 一種即時通訊方法、終端和系統
CN114500432A (zh) 会话消息收发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US20230362115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W201839624A (zh) 信息發送方法、信息顯示方法、終端、伺服器、系統及儲存介質
US20170104698A1 (en) Instant Messaging
US10063648B2 (en) Relaying mobile communications
US100754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oice mail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environment
CN113329100B (zh) 消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CN104579901B (zh) 文件传输结果态的展示方法和装置
US8407726B2 (en) Collaboration in low bandwidth applications
CN103119892B (zh) 在通用型即插即用使能的电话装置和广域网装置之间进行会议消息传递的系统和方法
US20150288628A1 (en) Chat system
CN114297373A (zh) 一种用于呈现邮件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US20160028664A1 (en) Chat system, key telephone unit, and recording medium
CN115604212A (zh) 一种邮件发送的方法、相关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