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163A -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 Google Patents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163A
KR20180008163A KR1020160090103A KR20160090103A KR20180008163A KR 20180008163 A KR20180008163 A KR 20180008163A KR 1020160090103 A KR1020160090103 A KR 1020160090103A KR 20160090103 A KR20160090103 A KR 20160090103A KR 20180008163 A KR20180008163 A KR 2018000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ing
bag
main body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해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에디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트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디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163A/ko
Publication of KR2018000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포대(10)의 동물용 사료를 급이하는 기구에 있어서: 투입구(21)와 배출구(22)의 사이에 사료의 유동을 위한 급이대(24)를 지닌 본체(20); 상기 사료포대(10)와 급이대(24) 사이에 사료의 투입과 배출을 유발하도록 유도체(35)와 날개(36)를 구비하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걸림방지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종의 동물들의 급이 과정에서 사료봉지나 일반 용기를 그대로 적용하여 편의성과 위생성을 높이고, 전체적으로 경박단소의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사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급식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Device for feeding animal food}
본 발명은 사료 급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의 동물들의 사육 과정에서 사료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 닭, 돼지 등의 동물들에 사료를 급이하는 경우 전용의 보관용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용기의 세척 또는 파손시 추가로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사항이 있다. 더구나 장기간 경과후에 제조사에서 해당 용기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타사의 새로운 기기를 구입해야 하여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보관용기에 연결된 급이기의 사료투입구가 큰 경우에는 걸림의 문제가 없지만, 소형 급식기에서는 사료의 걸림으로 인하여 급식이 원활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251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5844호(선행문헌 2)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사료통; 상기 사료통의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공급장치케이스; 상기 공급장치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제1 기어이가 구비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상기 회전체의 제1 기어이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제2 기어이가 구비된 구동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에, 다양한 동물에 사용할 수 있고 청소의 필요성이 없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사료저장통의 개구부 선단에 상기 개구부보다 큰 직경의 사료공급부를 갖는 커플링을 끼워 장착하고, 상기 커플링의 사료공급부 내측으로는 하부에 감지레버가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사료받침판을 커플링의 걸이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가축이나 물고기의 생장발육을 도울 뿐만 아니라 사료저장통도 생수용기를 재활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의 경우에도 별도의 사료통이나 저장통을 구비해야 하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미흡하고 경박단소의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 사료의 걸림을 배제하기에 한계성을 보인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2511호 "자동 사료 공급장치" (공개일자 : 2012.09.18.)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5844호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공개일자 : 1998.11.1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의 동물들의 급이 과정에서 별도의 저장용기를 배제하고 사료봉지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경박단소의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사료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료포대의 동물용 사료를 급이하는 기구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 사료의 유동을 위한 급이대를 지닌 본체; 상기 사료포대와 급이대 사이에 사료의 투입과 배출을 유발하도록 유도체와 날개를 구비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걸림방지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사료포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대 또는 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의 회전력을 날개에 전달하는 기어트레인, 기어트레인의 회전력으로 유도체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본체의 투입구 및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솔레노이드로 요동하는 탄성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료의 유동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 본체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엔코더와 카메라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의 동물들의 급이 과정에서 사료봉지나 일반 용기를 그대로 적용하여 편의성과 위생성을 높이고, 전체적으로 경박단소의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사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급식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이 기구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이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료포대(10)의 동물용 사료를 급이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애완동물이나 반려동물에 대한 급식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료포대(10)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료를 급이하되, 전용의 저장용기를 배제함을 요지로 한다. 물론 사료포대(10)는 봉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타의 형태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투입구(21)와 배출구(22)의 사이에 사료의 유동을 위한 급이대(24)를 지닌 구조이다. 도 2에서 본체(20)는 외부의 케이싱과 내부의 하우징을 4부분으로 형성한 상태를 예시한다. 사료포대(10)와 연결되는 투입구(21)는 상면에 배치하고, 사료를 배출하여 급이하는 배출구(22)는 측면에 배치한다. 사료포대(10)는 일측의 모서리를 삼각형으로 절단한 다음에 투입구(21) 상으로 밀어 넣어 결합할 수 있다. 급이대(24)는 후술하는 날개(36)를 수용하도록 사료의 유동 경로 상에 원형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체(20)의 저면에 4개 이상의 지지대(26)를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급이 중에 안정적 자세를 유지한다. 각각의 지지대(26)는 길이 변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는 사료포대(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대(15) 또는 클램프(2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이대(15)는 사료포대(10)의 상단이나 중단에 맞물려 도립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범용제품을 사용하거나 본체(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한 수 있다. 클램프(27)는 사료포대(10)의 하단에 맞물려 이탈을 구속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범용제품을 사용하거나 투입구(21)에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걸이대(15)와 클램프(27)는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수단(30)이 상기 사료포대(10)와 급이대(24) 사이에 사료의 투입과 배출을 유발하도록 유도체(35)와 날개(36)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구동수단(30)은 전기력을 이용하여 사료가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원활하게 투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유도체(35)는 사료포대(10)의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투입구(21)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도 1에서 유도체(35)는 원추형으로 예시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날개(36)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를 일체화시키 구조이고 급이대(24)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30)은 모터(31)의 회전력을 날개(36)에 전달하는 기어트레인(32), 기어트레인(32)의 회전력으로 유도체(35)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슬라이더(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모터(31)에 3개의 기어가 감속 구조로 연결되어 기어트레인(32)을 형성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기어트레인(32) 중에서 상측 기어는 날개(36)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결합되고 외면에서 편심된 위치에 편심축(32a)을 구비한다. 슬라이더(33)는 본체(20)의 내부에서 투입구(2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하단에서 편심축(3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에, 모터(31)의 회전에 따라 날개(36)가 감속된 상태로 급이대(24) 상의 사료를 배출구(22)로 밀어내는 동시에 사료포대(10)의 하단에서 사료가 막히지 않도록 슬라이더(33)에 연결된 유도체(35)로 상하방향 요동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구동수단(30)은 본체(20)의 투입구(21) 및 배출구(22) 중 적어도 하나에 솔레노이드(38)로 요동하는 탄성판(2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투입구(21)의 탄성판(28)은 투입 경로를 축소하여 사료의 유동을 막고, 배출구(22)의 탄성판(28)은 배출 경로를 확대하여 사료의 유동성을 높인다. 후자의 탄성판(28)은 배출구(22) 중에서 "ㅅ"자형 꺾임이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솔레노이드(38)는 후술하는 제어기(46)의 출력에 의하여 탄성판(28)의 전후진 운동을 유발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40)이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걸림방지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제어수단(40)은 본체(20)의 일측면 내부에서 안테나(48)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구동수단(30)의 작동 상태는 사료가 설정된 경로 상으로 유동하는 상태를 예측하는 요소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사료의 유동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42), 본체(20)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44), 엔코더(42)와 카메라(44)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코더(42)는 날개(36)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설치하지만, 모터(31) 상에 일체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44)는 급이 상황을 촬영하도록 배출구(22) 부근에 설치되지만, 급이대(24)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기(46)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 구성한다. 제어기(46)는 안테나(48)를 통하여 원격지에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제어수단(40)의 걸립방지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갱신된다. 이외에 도시에는 생략하나 배출구(22)의 주변에 급이 요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작동의 일예로서, 제어기(46)는 전술한 스위치나 카메라(44)를 통하여 급이 조건으로 판단되면 모터(31)를 가동하여 유도체(35)와 날개(36)를 구동하고, 사료의 막힘으로 날개(36)의 회전이 감속 또는 정지되면 설정된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서브루틴 프로그램에 의하면 1단계로 모터(31)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회 반복하고, 2단계로 일측 솔레노이드(38)를 가동하여 배출구(22)의 탄성판(28)을 요동시키고, 3단계로 타측 솔레노이드(38)를 가동하여 투입구(21)의 탄성판(28)을 전진 또는 요동시킨다. 이와 같은 순차적 구동은 예시에 불과하며 서브루틴 프로그램의 배제하고 제어기(46) 상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원격에서 스마트폰이나 PC로 상황을 판단하거나 각 단계별로 수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사료포대 15: 걸이대
20: 본체 21: 투입구
22: 배출구 24: 급이대
26: 지지대 27: 클램프
28: 탄성판 30: 구동수단
31: 모터 32: 기어트레인
33: 슬라이더 35: 유도체
36: 날개 38: 솔레노이드
40: 제어수단 42: 엔코더
44: 카메라 46: 제어기
48: 안테나

Claims (5)

  1. 사료포대(10)의 동물용 사료를 급이하는 기구에 있어서:
    투입구(21)와 배출구(22)의 사이에 사료의 유동을 위한 급이대(24)를 지닌 본체(20);
    상기 사료포대(10)와 급이대(24) 사이에 사료의 투입과 배출을 유발하도록 유도체(35)와 날개(36)를 구비하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걸림방지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사료포대(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대(15) 또는 클램프(2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모터(31)의 회전력을 날개(36)에 전달하는 기어트레인(32), 기어트레인(32)의 회전력으로 유도체(35)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슬라이더(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본체(20)의 투입구(21) 및 배출구(22) 중 적어도 하나에 솔레노이드(38)로 요동하는 탄성판(2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사료의 유동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42), 본체(20)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44), 엔코더(42)와 카메라(44)의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KR1020160090103A 2016-07-15 2016-07-15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KR20180008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03A KR20180008163A (ko) 2016-07-15 2016-07-15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03A KR20180008163A (ko) 2016-07-15 2016-07-15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63A true KR20180008163A (ko) 2018-01-24

Family

ID=6102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03A KR20180008163A (ko) 2016-07-15 2016-07-15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1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922A1 (zh) * 2019-03-18 2020-09-24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饲喂装置、系统、饲喂控制方法和控制器
WO2020252823A1 (zh) * 2019-06-19 2020-12-24 深圳市西西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互动投食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922A1 (zh) * 2019-03-18 2020-09-24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饲喂装置、系统、饲喂控制方法和控制器
WO2020252823A1 (zh) * 2019-06-19 2020-12-24 深圳市西西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互动投食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1406C (en) Networked automatic animal feeding system
KR101247818B1 (ko) 축산용 자동 습식급여기
KR101086869B1 (ko) 자동 분유혼합장치
US20170238503A1 (en) Automatic Animal Feeding Assembly
KR101697956B1 (ko) 애완동물 급식기
US92327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wet pet food
WO20190236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D SUPPLYING A DOMESTIC ANIMAL
US201501437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US20130333622A1 (en) Pet Food Dispenser
JP2007530041A (ja) 動物給餌装置及び方法
CA296967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US20160000036A1 (en) Networked Automatic Animal Feeding System
US20090095223A1 (en) Water and pet food dispenser
US9277730B2 (en) Plunger gate animal feeder attachment
KR20180008163A (ko)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KR101577971B1 (ko) 무인 사료 공급장치
JP2002262696A (ja) 飼料計量装置並びに計量した分量の飼料及び/または飲料を動物に供給する方法
EP1931196A1 (en) An assembly of a milking robot with a milking robot feeding place, such as a milking robot feed trough, and a device for gripping and displacing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roughage and/or concentrate for animals
JP2022180599A (ja) 自動フードディスペンサー
KR20160005456A (ko) 동물의 활동량에 따른 자동 사료조절 방법 및 시스템
CN107410065A (zh) 一种宠物自动喂食器
US20120145085A1 (en) Automated feeding apparatus
BR112021010860A2 (pt) Dispositivo para dosagem de detergente, recipiente para recebimento e dosagem de detergente em pó e/ou detergente líquido, e sistema correspondente
US8631765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ic consumable for an animal
US20150351364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Feeding C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