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109A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109A
KR20180008109A KR1020160089960A KR20160089960A KR20180008109A KR 20180008109 A KR20180008109 A KR 20180008109A KR 1020160089960 A KR1020160089960 A KR 1020160089960A KR 20160089960 A KR20160089960 A KR 20160089960A KR 20180008109 A KR20180008109 A KR 20180008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theory
user
learn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16008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109A/en
Publication of KR2018000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which comprises: a storage step of a service server linking a question or theory to associated content in order to store the same; a provision step of the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question or the theory to a user terminal; a display step of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on a display, which includes a conversion menu to call a question or theory and the associated content; a learning data storage step of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lear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to store the same; and an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stored learning data to generate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more conveniently and more rapidly check the associated content related to a question, thereby enhancing a learning effect. In addition, a user can be provided with a sorted question corresponding to a level of the user or a desired problem, thereby allowing customized learning for a user.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a learning level of himself/herself, or a subject-based or type-based level of himself/herself.

Description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000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US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학습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제공하는 학습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interface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rning interface for provid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최근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덜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 때문에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교육을 받은 사람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온라인 교육은 강의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므로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거의 불가능하며, 이 점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been educated online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greatly increased due to les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relatively lower cos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most of the way of watching the lecture video through the Internet is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ustomize the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offline educ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은 교수자와 사용자간의 1 대 1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제한된 교수인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수가 많아지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system and a method for supporting one-to-one distance learning between a teacher and a user,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mooth service if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due to limited teaching personnel There are disadvantages.

한편 특허문헌 2는 주제별로 개념익히기, 필수예제, 유제, 예제 순으로 학습과정을 제시하는 단계별 수학학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학습 과정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적합하거나 원하는 문제를 선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2 proposes an application for step-by-step mathematical learning in which the learning process is presented in the order of concept learning, essential examples, emulsion, and examples. However,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earning process is fixed, and it is impossible to customize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apt to his or her level or to select a desired problem.

또한 특허문헌 2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학습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평가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전체 사용자 중에서 사용자의 전반적인 수준이나 주제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provides a diagnostic evaluation function for evaluating the learning leve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user's overall level or the level of the topic among all the users.

또한 특허문헌 2 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각 주제별로 개념익히기 과정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문제풀이를 하는 중에 해당 문제와 관련된 개념이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제의 개념익히기 페이지를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해당 문제에 다수의 개념과 이론이 관련된 경우에는 이들을 일일이 검색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로 인해 집중도가 떨어져 학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provides a concept learning process for each subject, in order to confirm the concept or the theory related to the problem while the user is solving the problem, the user needs to search the concept learning page of the subject individually There is an inconvenience. Especially, when many concepts and theories are related to the problem, it takes too much time to retrieve them individually.

공개특허 제10-2013-0089962호(2013.08.13 공개)Open Patent No. 10-2013-0089962 (published on Aug. 13, 2013) 공개특허 제10-2013-0089860호(2013.08.13 공개)Open Patent No. 10-2013-0089860 (published on Aug. 13, 201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individually analyzing the learning level of users of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providing a problem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또한 본 발명은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원하는 문제를 선별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user of a learning application to more easily access a problem suited to his or her level and to be provided with a desired problem sel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 문제와 연관된 컨텐츠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more easily and quickly check contents associated with each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주제별, 유형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for a user to more accurately ascertain the level of his or her own level or the level of each topic or type among all users.

또한 본 발명은 학습을 게임,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등과 연계시켜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와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arning interface that can provide various fun and excitement to a user by linking learning to a game, a social network, a community, and the lik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비스서버가 문제 또는 이론을 연관콘텐츠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서비스서버가 문제 또는 이론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단계; 사용자단말이 문제 또는 이론과 상기 연관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전환메뉴를 포함하는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학습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저장단계;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comprising: storing a service server storing a problem or theory in association with an associated content; A providing step in which a service server provides a problem or theory to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on a display, the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including a conversion menu in which a user terminal can invoke a problem or theory and the associated content; A learning data storage step in which a service server receives learning data from a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learning data; And analyzing the stored learning data to generate analysis data.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단계에서는 문제 또는 이론마다 레벨을 부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공단계에서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 또는 이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학습데이터 저장단계의 이후에는 동적 레벨 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vel is assigned and stored for each problem or theory in the storing step, and a problem or theory corresponding to the set user level is provided in the providing step. At this time, after the learning data storing step, adjusting the user level by performing a dynamic level adjusting algorithm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단계에서는 문제 또는 이론마다 레벨을 부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공단계의 이전에는 사용자단말에서 일반학습모드와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단계에서는, 일반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레벨의 문제를 제공하고, 심화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문제를 함께 제공하며, 상기 심화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학습데이터 저장단계의 이후에 동적 레벨 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oring step, a level is assigned and stored for each problem or theory, and before the providing step, a user terminal selects a general learning mode and a deep learning mode When the general learning mode is selected, providing a problem of a level corresponding to a set user level, and when a deep learning mode is selected, providing a problem of a level higher than a level corresponding to a set user level And adjusting the user level by performing a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after the learning data storing step when the deep learning mode is selec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상기 표시단계는, 문제 또는 이론이 표시된 화면에서 상기 전환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연관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상기 전환메뉴를 선택하여 문제 또는 이론이 표시된 화면을 다시 표시하거나 다른 연관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step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selecting the change menu on a screen displaying a problem or theory and calling and displaying the related content; Selecting a transition menu to display a problem or a theory display screen again or calling another related content and displaying i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문제와 연계된 상기 연관콘텐츠는 힌트, 풀이 동영상, 관련 이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론과 연계된 상기 연관콘텐츠는 이론설명 동영상, 관련 문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contents associated with a problem include at least one of a hint, a moving picture, and a related theory,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문제DB에 저장된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제공수단과 이론DB에 저장된 이론을 제공하는 이론제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문제 또는 이론과 연계된 연관콘텐츠를 제공하는 연관콘텐츠 제공수단과,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사용자레벨조정수단과, 각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포함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제 또는 이론과 연계된 연관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전환메뉴를 포함하는 다차원 인터랙티브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학습데이터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roblem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problem stored in a problem DB and a theory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theory stored in a theoretical DB, A service server including user level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user level by performing a dynamic level adjusting algorithm, and analyzing means for analyzing learning data of each user; And a user terminal for displaying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information including a conversion menu that can call related content associated with a problem or the theory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on a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learning data to a service server,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문제DB 또는 상기 이론DB는 각 문제 또는 이론이 속하는 그룹(주제), 유형, 문제레벨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problem DB or the theoretical DB of the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formation on a group (topic), a type, and a problem level to which each problem or theory belong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다수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DB에 저장된 문제의 문제레벨을 조정하는 문제레벨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may include problem level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problem level of a problem stored in the problem DB using learning data of a plurality of us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문제풀이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임제공수단, SNS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NS제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am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problem-solving game interface, and SNS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n SNS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제와 관련된 연관콘텐츠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 또는 원하는 문제를 선별하여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별 맞춤형 학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quickly check the related content related to the problem, thereby enhancing the learning effect.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receive a problem or a problem that suits his / her own level, thereby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for each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주제별, 유형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 관련된 게임,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confirm the degree of the user's own level, or the level of each topic or type, among all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games related to learning, social networks, community,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give various fun and interest to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의 일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의 여러 가지 다른 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문제DB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문제카드와 이론카드의 다차원 연결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사용자레벨의 동적 조정 알고리즘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학습분석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일반학습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9는 심화학습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side of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Figure 3 illustrates several different aspects of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the problem DB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dimensional connection structure of a problem card and a theoretical card
Figure 6 illustrates a user level dynamic adjustment algorithm;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analysis tabl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general learning mod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dvanced learning mod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미리 밝혀 둔다.Note tha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connected to, coupled with, or communicates with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mmunicated with another element, Or indirectly connecting, combining, or communicating. Als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part including or including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r be equipped with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illustrativ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gist of the invention,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이하 편의상 '학습시스템'이라 한다)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us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rning system' for convenience).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0)과, 공지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service server 20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100 via a known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 RTI >

사용자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용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크스톱 컴퓨터 등의 설치형 단말일 수도 있고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형 컴퓨터 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preferably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However,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built-in terminal such as a deck s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handheld type computer.

사용자단말(100)은 디스플레이(110), 입력수단(120), 학습애플리케이션(130), 저장수단(140), 통신수단(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display 110, an input means 120, a learning application 130, a storage means 140, a communication means 15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110)는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의 다양한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입력수단(120)은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키패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메뉴, 정답 등을 선택하거나 기타 입력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The display 110 displays various execution screens of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The input means 120 includes a touch screen, a touch pad, a keyboard, a keypad, and the like. The user can select a menu, a correct answer, .

저장수단(140)은 사용자단말(100)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상기 학습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며, 통신수단(150)은 서비스서버(200)와의 유선 및/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한다.The storage means 14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execu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learning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the communication means 150 supports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200.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포함하는 학습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visually displays the learning interface including the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splay 110, and provides various menus that the user can select.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학습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저장수단(14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100)에서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20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application 130 may independently provide some or all of the learning interfaces in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40 and may receive and provide necessary data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는 기본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관콘텐츠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s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tent and various associated content associated therewith,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풀어야 하는 문제, 또는 사용자가 학습할 기본개념 또는 이론(이하 '이론'이라 한다)이 기본콘텐츠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는 문제단위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이하, '문제카드'라 한다) 또는 이론단위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이하 '이론카드'라 한다)로 분류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 contents or the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ory') to be solved by the user or learned by the user corresponds to basic contents. Accordingly, the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problem unit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blem card) or a theoretical unit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eoretical card).

문제와 연계된 연관콘텐츠는 힌트, 정답, 해당 문제의 풀이 동영상, 해당 문제와 관련된 통계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론과 관련된 연관콘텐츠는 이론설명 동영상, 관련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연관콘텐츠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문제와 관련된 이론도 문제의 연관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전반적인 학습분석데이터도 문제 또는 이론의 연관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Associated content associated with a problem can include hints, correct answers, a video of the problem,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issue, and so on. In addition, related content related to the theory can include theory explanatory videos, related problem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heory related to the problem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content of the question, and the overall learning analysis data of the user may be included in the related content of the problem or the theory.

도 2 와 도 3은 사용자단말(100)에 표시되는 문제카드의 다양한 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2는 기본콘텐츠인 문제가 표시된 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해당 문제와 연계된 다양한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각각의 면을 나타낸 것이다. FIGS. 2 and 3 illustrate various aspects of the problem car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FIG. 2 shows the problematic surface of the basic content, and FIG. 3 shows the various relat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roblem Respectively.

예를 들어, 도 3(a)는 문제 풀이 동영상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해당 문제의 힌트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사용자의 학습분석데이터를 나타낸 면이다.For example, FIG. 3 (a) shows a face corresponding to a problem-solving moving picture, FIG. 3 (b) shows a face corresponding to a hint of the question, .

문제카드에서 문제를 나타내는 면이나 연관콘텐츠를 나타내는 면에는 각각 연관콘텐츠 또는 문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메뉴(도 2의 10)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제가 표시된 면에서 전환메뉴(10)를 터치하여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면으로 전환할 수 있고,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면에서 전환메뉴(10)를 터치하여 문제가 표시된 면으로 전환하거나, 다른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On the question card, a face representing a problem or a face representing an associated content may be displayed with a conversion menu (10 in Fig. 2) which can be switched to an associated content or a problem,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user can switch the face of the related content displayed by touching the switch menu 10 on the face in which the problem is indicated, and switch the face of the problem to the face displayed by touching the switch menu 10 on the face where the related content is displayed, You can switch to the page where the associated content is displayed.

한편 연관콘텐츠를 나타내는 면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연관콘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선택메뉴(힌트1, 힌트2, 동영상, 이론, 학습분석데이터 등)가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 various selection menus (hint 1, hint 2, moving picture, theory, learning analysis data, etc.) corresponding to other related contents may be included in the face representing the related contents.

다만, 문제 또는 연관콘텐츠에 접근하는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선택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메뉴(10)를 누를 때마다 문제카드의 제1면에서 제n면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전환메뉴(10)의 위치나 제공방식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method of accessing the problem or related content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us various selection method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each time the switching menu 10 is pressed, it may be set to sequentially move from the first side to the nth side of the problem car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sition and the manner of providing the switching menu 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상에서는 학습애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제공되는 문제카드를 설명하였으나, 이론카드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론카드의 경우에는 특정 이론이 기본컨텐츠에 해당하고, 이 이론과 관련된 문제, 이론설명 동영상 등이 연관콘텐츠에 해당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blem card provided by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heoretical car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In the case of a theoretical card, a specific theory corresponds to basic contents, and problems relating to the theory, video description of the theory, and the like may be related contents.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각 문제카드 또는 이론카드에는 SNS관련 메뉴(추천, 공유, 메신저, 메일 등), 다른 사용자와 문제풀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메뉴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SNS관련메뉴 및/또는 게임메뉴를 문제카드 또는 이론카드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도 있고, 문제카드 또는 이론카드와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ach problem card or theoretical card may include an SNS-related menu (recommendation, sharing, messenger, mail, etc.) and a game menu capable of executing a problem-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may display the SNS-related menu and / or the game menu on the problem card or the theoretical card, or may display it in an area separate from the problem card or the theoretical card.

또한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수준을 설정하는 사용자레벨 선택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하고자 하는 문제의 그룹(주제), 레벨, 유형 등을 선택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하고자 하는 이론의 그룹(주제), 레벨 등을 선택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application 130 may also provide a user level selection means for the user to set his or her learning level. It can also provide a means of selecting the group (subject), level, type, etc. of the problem to be studied. It can also provide a means of selecting a group (theme), level, etc. of the theory to learn.

또한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사용자가 다양한 학습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모드는 일반학습모드, 심화학습모드, 시험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학습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주제) 또는 임의의 그룹(주제)에 속하는 문제 중에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만을 설정된 순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제공하는 모드이다. 심화학습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주제) 또는 임의의 그룹(주제)에 속하는 문제 중에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 또는 더 높은 레벨의 문제를 제공하고, 특히 후술하는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결과에 따라 사용자레벨의 조정이 가능한 학습모드이다.The learning application 130 may also provide a mode selection means for the user to select various learning modes. For example, the learning mode can be divided into a general learning mode, a deep learning mode, and a test mode. The general learning mode is a mode in which only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user level among the problems belonging to the group (topic) or any group (topic) selected by the user are provided in the set order or the arbitrary order. The deep learning mode provides a problem or a higher level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user level among the problems belonging to the group (topic) selected by the user or an arbitrary group (topic), and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This is a learning mode in which user level adjustment is possible.

따라서 사용자는 기본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일반학습모드를 선택하고, 자신의 사용자레벨을 높이고 싶거나 자신의 사용자레벨보다 높은 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시험모드는 다양한 레벨의 문제를 임의로 추출하여 모의시험용 문제를 제공하는 모드이다.Therefore, the user selects the general learning mode for basic learning, and selects the deep learning mode to solve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level higher than the user level of the user. The test mode is a mode for arbitrarily extracting problems at various levels and providing a problem for a simulation test.

서비스서버(2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원관리수단(210), 문제제공수단(220), 이론제공수단(230), 동영상제공수단(240), 사용자레벨조정수단(250), 문제레벨조정수단(260), 분석수단(270), 게임제공수단(290), SNS제공수단(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회원DB(310), 문제DB(320), 이론DB(330), 동영상DB(340)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서비스서버(200)는 각종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지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member management unit 210, a problem providing unit 220, a theory providing unit 230, a moving image providing unit 240, a user level adjusting unit 250, Level adjusting means 260, analyzing means 270, game providing means 290, SNS providing means 29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member DB 310, a problem DB 320, a theoretical DB 330, a moving image DB 340,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payment support means for paying various expenses.

회원관리수단(210)은 회원가입,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지원하며,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 등을 회원DB(310)에 저장한다. 회원DB(310)에 저장되는 회원정보는 인적 정보뿐만 아니라 회원의 학습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ber management means 210 supports a procedure for membership registration, authentication, and the like, and stores the member information or the lik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member DB 310.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DB 310 may include not only human information but also learning related data of the member.

학습관련 데이터는 구매한 문제 수, 풀이한 문제 수, 학습시간, 문제별 풀이시간, 정답률, 사용자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학습시간, 풀이시간, 정답률 등은 문제의 그룹별(주제별), 유형별, 및/또는 레벨별로 산출될 수도 있다. The learning-related data may include the number of purchased problems, the number of problems solved, the learning time, the solving time per problem,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he user level. Of these, the learning time, the pool time,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may be calculated for each group (subject matter), type, and / or level of the problem.

문제제공수단(220)은 문제DB(320)에 저장된 문제를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며, 사용자단말(100)은 수신한 문제를 문제카드 형식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문제제공수단(220)은 사용자단말(100)이 접속할 때마다 설정된 개수의 문제를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기준에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문제제공수단(220)은 문제DB(320)와 연동하여 사용자단말(100)로 문제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problem providing means 220 provides the problem stored in the problem DB 320 to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t criteria and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received problem in the form of a problem card.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providing means 220 may provide a set number of problems each time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s, may provide a user selected problem, or may provide according to other criteria. In addition, the problem providing means 220 may provide the problem search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100 in cooperation with the problem DB 320.

이론제공수단(230)은 이론DB(330)에 저장된 이론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며, 이론DB(330)와 연동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이론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theory providing means 230 may provide the theory stored in the theoretical DB 330 to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riteria and may provide the theoretical search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100 in cooperation with the theoretical DB 330 have.

한편 문제DB(320)에서는 각 문제를 그룹(주제), 유형, 레벨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과목을 대분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그룹(주제)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속하는 문제를 다시 다양한 문제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문제유형에 속하는 문제를 다시 다양한 레벨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과목을 예를 들면, 방정식, 함수, 미적분, 기하학, 확률통계 등이 그룹(주제)에 해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blem DB 320,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and store each problem by group (topic), type, and level.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one learning subjec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subjects) corresponding to a large classification, the problems belonging to each group are classified again into various types of problems, It is desirable to classify and store the problem belonging to various levels again. For example, an equation, a function, a calculus, a geometry, a probability statistic, etc. may correspond to a group (subject).

문제DB(320)에는 각 문제의 힌트와 관련된 콘텐츠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The problem DB 320 may also store contents related to the hint of each question.

이론DB(330)의 경우에도 문제DB(320)와 유사하게 각 이론을 그룹(주제), 유형, 레벨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theoretical DB 330,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and store the theories according to groups (subjects), types, and levels similarly to the problem DB 320.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문제(또는 이론)마다 그룹(주제), 유형, 레벨이 정해져 있으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그룹(주제), 유형, 또는 레벨의 문제(또는 이론), 도전해보고 싶은 레벨의 문제(또는 이론) 등을 선별하여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므로 학습능률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f a group (topic), a type, and a level are set for each problem (or theory)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100, the user can select a problem (or theory) (Or theory) of the level to be tried can be selectively provid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and the effect can be enhanced.

한편 문제DB(320)와 이론DB(330)를 구성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제DB(320)에 저장된 각 문제마다 관련되는 모든 이론을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constructing the problem DB 320 and the theoretical DB 330,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theories related to each problem stored in the problem DB 320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문제카드를 제공받을 때 연관된 이론카드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고, 문제카드의 다차원 인터랙티브를 통해 연관된 이론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제 풀이 중에 해당 문제와 관련된 모든 이론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이론을 검색하다가 집중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s allows the user to be provided with the associated theoretical card w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problem card, and to provide the associated theory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of the problem car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all the theories related to the problem while solving the problem,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while searching the theory, and thereby the learning effect can be greatly enhanced.

한편 각 문제의 레벨은 서비스제공자가 부여하는 것이긴 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에 부여된 레벨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level of each problem is given by the service provider,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level assigned to the problem by using learning data of a plurality of users as described later.

또한 문제DB(320) 또는 이론DB(330)에는 서비스제공자가 만든 문제 또는 이론과, 다른 전문가가 만든 문제 또는 이론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다른 전문가가 만든 문제 또는 이론은 사용자가 저작권료에 상응하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DB 320 or the theory DB 330 may store a problem or theory created by the service provider and a problem or theory created by another expert separately. At this time, problems or theories created by other experts may be provided only if the user pays a separate fee corresponding to the royalty.

또한 문제DB(320) 또는 이론DB(330)에는 각 문제 또는 이론의 출처(저작자, 출판사 등)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저작자나 출판사가 작성한 문제를 간편하게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DB 320 or the theoretical DB 330 can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rce (author, publisher, etc.) of each problem or the theory. By doing so, the user can easily retrieve the problem created by the author or publish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동영상제공수단(240)은 사용자단말(100)의 학습애플리케이션(130)에서 문제풀이 동영상 또는 이론설명 동영상을 요청한 경우 동영상DB(340)로부터 해당 동영상을 호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DB(340)에 저장된 각 동영상은 문제DB(320) 또는 이론DB(330)에 저장된 대응하는 문제 또는 이론과 맵핑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moving picture providing means 240 can call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moving picture from the moving picture database 340 when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of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questioned moving picture or the theory describing moving pictu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each moving image stored in the moving image DB 340 must be mapped to a corresponding problem or theory stored in the problem DB 320 or the theoretical DB 330.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서비스서버(200)는 동영상 이외에 문제 또는 이론과 관련된 학습자료(사진, 그림, 이미지 등)를 문제 또는 이론과 연계하여 DB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rvice server 200 may store learning materials (photographs, pictures, images, etc.) related to problems or theories in addition to moving pictures, in association with problems or theories, and provide them to users.

사용자레벨조정수단(250)은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레벨조정수단(250)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은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일 수 있다.The user level adjusting means 250 analyzes the user's learning data and adjusts the user level. The user level adjusting means 250 may be a dynamic level adjusting algorithm as illustrated in FIG.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한 사용자가 제공된 문제카드(C(g,l,t))의 정답을 맞추면 레벨변화 기준변수(p)를 설정된 변수만큼 증가시키고, 틀리면 레벨변화 기준변수(p)를 설정된 변수만큼 감소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레벨변화 기준변수(p)가 승격기준치에 도달하면 사용자레벨을 한 단계 높이고 강등기준치에 도달하면 사용자레벨을 한 단계 낮추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increases the level change reference variable p by the set variable by, for example, match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problem card C (g, l, t) provided by the user who selected the deep learning mode, When the level change reference variable p reaches the promotion reference value, the user level is raised by one level and the user level is lowered by one level when the reference variable p is reached by the set variable. .

이러한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은 반드시 심화학습모드에서만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학습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is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is not necessarily executed in the deep learning mode but may be set to be executed in the general learning mode.

문제레벨조정수단(260)은 서비스제공자가 설정한 각 문제의 레벨을 다수 학습자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최고 레벨로 설정된 문제인데 대다수의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정답을 맞춘다면 해당 문제에 설정된 레벨을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레벨의 조정방식은 각 문제별로 전체 사용자의 최초 정답율을 예를 들어 3%, 10%, 30%, 50%, 70% 등의 순으로 나누어서 문제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문제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각 문제별로 사용자의 풀이시간을 고려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The problem level adjusting means 260 is means for adjusting the level of each problem set by the service provider using learning data of a plurality of learners. For example, if you are at the top level and most users are correct in a short time, you need to adjust the level set for the problem. The problem level adjustment method may be a method of adjusting the problem level by dividing the initial correct answer rate of the entire user for each problem in the order of 3%, 10%, 30%, 50%, 70%, and so on. However, sinc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problem level is not limited to this, the user's solution may be considered for each problem, or may be adjusted by applying other criteria.

분석수단(270)은 각 회원의 학습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DB(31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각 회원의 학습시간, 문제별 풀이시간, 정답률 등을 산출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 영역(그룹, 주제)별 수준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학습분석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analyzing means 270 analyzes the learning-related data of each member and stores the analyzed data in the member DB 31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a learning analysis table that can calculate the learning time of each member, the time spent for each problem,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he like, and easily check the level for each learning area (group, topic) as shown in FIG.

한편 분석수단(270)은 회원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학습데이터 분석을 실시하고, 회원 자격을 상실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means 270 may analyze the learning data only for the users who maintain membership, and may not conduct such analysis for the users who have lost membership.

또한 분석수단(270)은 각 문제별 정답율, 각 문제별 또는 이론별 사용자 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문제DB(320) 및/또는 이론DB(33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 analyzing unit 270 may analyze the correct answer rate for each question, the user preference for each question or the theory, and store the analyzed result in the problem DB 320 and / or the theoretical DB 330.

게임제공수단(280)은 1인의 사용자로부터 게임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100)로 사용자가 선택하였거나 임의로 선택된 그룹(주제), 유형, 및/또는 레벨의 문제를 설정된 개수만큼 제공하고 점수, 풀이시간 등의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게임 요청이 있는 경우 모든 게임요청자의 단말로 문제를 제공하고 승패, 순위 등의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game providing means 280 provi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groups (subjects), types, and / or levels selected or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re is a game request from a single user, Time and other evaluation results. If there is a game request from a large number of users, it may provide a problem to all the game requester terminals and provide evaluation results such as win / loss, ranking and the like.

SNS제공수단(290)은 사용자간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메신저, 이메일 등을 지원하며, 각 문제 또는 이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또는 선호도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SNS providing means 290 may support an online community activity among users, a messenger, an e-mail, and the like, and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sharing a user's evaluation or preference with respect to each problem or theory.

한편, 이상에서는 서비스서버(200)가 문제DB(320)와 이론DB(33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론DB(330)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both the problem DB 320 and the theoretical DB 330, but in some cases, the theoretical DB 330 may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이용한 학습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nterface us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서버(200)의 문제DB(320)와 이론DB(330)에 문제와 이론을 각각 저장한다. 이때 각 문제마다 관련된 이론을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service provider stores problems and theories in the problem DB 320 and the theoretical DB 330 of the service server 200,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associate and store relevant theories for each problem.

이어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학습애프리케이션(130)으로부터 서비스요청이 있으면 소정의 회원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모드에 따라 문제 또는 이론을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 If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a problem or theory to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 learning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provide.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제공받은 문제 또는 이론을 문제카드 또는 이론카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제공된 문제를 풀거나 이론을 학습한다.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isplays the provided problem or theory on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problem card or a theoretical card, and the user solves the provided problem or learns the theory.

먼저 사용자가 일반학습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학습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method when the user selects the general lear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는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의 실행화면상에서 학습할 그룹(주제)을 선택하고, 자신의 사용자레벨을 설정한다. 사용자레벨은 회원가입 과정에서 설정할 수도 있고, 설정이 없는 경우 서비스서버(200)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ST11)The user selects a group (subject) to be learn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and sets his / her user level. The user level may be set in the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ss, or the service server 200 may arbitrarily set the user level in the absence of the setting. (ST11)

이어서 사용자가 학습모드 중에서 일반학습모드를 선택하면,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주제)의 문제 중에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며, 사용자단말(100)은 수신한 문제를 저장수단(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문제의 유형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200)가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general learning mode in the learning mode,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the user terminal 100 with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user level among the problems of the group (topic) selected by the user, May store the received problem in the storage means 140. [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the problem may be selected by the user or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service server 200.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 문제를 제공할 때 해당 문제와 연계된 연관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고, 이후에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연관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ST12, ST13)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some or all of the associat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roblem when providing the problem to the user terminal 100, . ≪ / RTI > (ST12, ST13)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제공받은 문제를 한꺼번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한 문제마다 문제카드 형식으로 표시하며, 사용자는 문제카드를 보면서 문제를 풀이한다. 만일 문제풀이 과정에서 힌트, 풀이동영상, 관련이론 등의 연관콘텐츠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문제카드에 표시된 전환메뉴(도 2의 10)를 선택하여 해당 문제와 연관된 연관콘텐츠를 저장수단(140)으로부터 호출하거나 서비스서버(200)로 요청하여 표시한다. (ST14, ST15)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oes not display the provided problems at once but displays them in a problem card format for each problem, and the user solves the problem while viewing the problem card. If it is desired to check related contents such as hints, videos, and related theorie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user selects the conversion menu (10 in FIG. 2) displayed on the problem card and stores the related contents related to the problem from the storage means 140 Or requests the service server 200 to display it. (ST14, ST15)

연관콘텐츠를 확인하였거나 연관콘텐츠를 요청하지 않은 사용자가 문제풀이를 마치고 해답을 입력하면,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정답여부를 표시하고 서비스서버(200)로 해당 문제에 대한 학습데이터(정답 여부, 풀이시간 등)를 전송하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정보를 회원DB(310) 등에 저장한다. (ST16, ST17)When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related content or does not request the related content finishes solving the problem and inputs a solution,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isplay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and transmits the learning data (correct answer, And the like, and the service server 200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ber DB 310 or the like. (ST16, ST17)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 문제에 대한 풀이가 완료되면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수신한 다수의 문제 중에서 다른 문제를 화면에 표시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When the solving of a problem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isplays another problem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d problems on the screen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다음으로 사용자가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학습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metho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ep lear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가 학습모드 중에서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하면,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주제)의 문제 중에서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는 물론이고 그 보다 높은 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 제공되는 문제의 유형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200)가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수신한 문제를 저장수단(140)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deep learning mode in the learning mode, the service server 200 arbitrarily selects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user level, as well as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set user level among the problems of the group (topic)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type of the problem to be provided may be selected by the user or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servic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100 may store the received question in the storage means 140. [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이 수신한 문제를 문제카드 형식으로 표시하면, 사용자는 문제카드를 보면서 문제를 풀이하고 정답을 입력한다. 이 과정에서도 힌트, 풀이동영상, 관련이론 등의 연관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T21, ST22)When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isplays the received question in question card format, the user can solve the problem while viewing the problem card and input the correct answer. Of course, you can also check related content such as hints, videos, and related theories. (ST21, ST22)

이어서 사용자가 해답을 입력하면, 학습애플리케이션(130)은 정답여부를 표시하고 서비스서버(200)로 해당 문제에 대한 학습데이터(정답 여부, 풀이시간)를 전송하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정보를 회원DB(310) 등에 저장한다. (ST23)Then, when the user inputs a solution, the learning application 130 displays whether or not the answer is correct, and transmits learning data (correct answer or solving time) about the problem to the service server 200, To the member DB 310 or the like. (ST23)

특히 서비스서버(200)는 심화학습모드에서 수행된 학습데이터를 수신하면 전술한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사용자레벨의 조정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절차는 매 문제를 풀이할 때마다 수행할 수도 있고 설정된 개수의 문제를 풀이할 때마다 수행할 수도 있다. (ST24, ST25)In particular, when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learning data performed in the advanced learning mode, the service server 200 executes the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level is adjusted. This judg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each time a problem is solved or whenever a set number of problems are solved. (ST24, ST25)

레벨조정 알고리즘을 실행한 결과 레벨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사용자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며, 레벨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의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를 계속 제공한다. (ST26, ST27)If there is a level change as a result of execution of the level adjustment algorithm, the existing user level is changed and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user level is provided. If there is no level change,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user level is continuously provided do. (ST26, ST27)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사용자단말 110: 디스플레이
120: 입력수단 130: 학습애플리케이션
140: 저장수단 150: 통신수단
200: 서비스서버 210: 회원관리수단
220: 문제제공수단 230: 이론제공수단
240: 동영상제공수단 250: 사용자레벨조정수단
260: 문제레벨조정수단 270: 분석수단
280: 게임제공수단 290: SNS제공수단
100: user terminal 110: display
120: input means 130: learning application
140: Storage means 150: Communication means
200: service server 210: member management means
220: Problem providing means 230: Theory providing means
240: Video providing means 250: User level adjusting means
260: problem level adjusting means 270: analyzing means
280: Game providing means 290: SNS providing means

Claims (10)

서비스서버가 문제 또는 이론을 연관콘텐츠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서비스서버가 문제 또는 이론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단계;
사용자단말이 문제 또는 이론과 상기 연관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전환메뉴를 포함하는 다차원 인터랙티브 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학습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저장단계;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storage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stores a problem or theory in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content;
A providing step in which a service server provides a problem or theory to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on a display, the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card including a conversion menu in which a user terminal can invoke a problem or theory and the associated content;
A learning data storage step in which a service server receives learning data from a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learning data;
Analysis step to generate analysis data by analyzing stored learning data
To provide a learning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에서는 문제 또는 이론마다 레벨을 부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공단계에서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문제 또는 이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oring step, a level is assigned and stored for each problem or theory,
Wherein the providing step provides a problem or theory corresponding to the set user lev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 저장단계의 이후에는 동적 레벨 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djusting the user level by performing a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after the learning data stor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에서는 문제 또는 이론마다 레벨을 부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공단계의 이전에는 사용자단말에서 일반학습모드와 심화학습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단계에서는, 일반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레벨의 문제를 제공하고, 심화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레벨에 대응하는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문제를 함께 제공하며,
상기 심화학습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학습데이터 저장단계의 이후에 동적 레벨 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oring step, a level is assigned and stored for each problem or theory,
Prior to the providing step, selecting a general learning mode and a deep learning mode at a user terminal,
The providing step may provide a problem of a level corresponding to a set user level when the general learning mode is selected and provide a problem of a level higher than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t user level when the deep learning mode is selected,
And adjusting the user level by performing a dynamic level adjustment algorithm after the learning data storing step when the deepening learning mode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문제 또는 이론이 표시된 화면에서 상기 전환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연관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연관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상기 전환메뉴를 선택하여 문제 또는 이론이 표시된 화면을 다시 표시하거나 다른 연관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step may include the steps of: selecting the change menu on a screen displaying a problem or theory and calling and displaying the related content; selecting the change menu on the screen on which the related content is displayed to display a screen displaying a problem or theory And displaying and / or invoking other related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문제와 연계된 상기 연관콘텐츠는 힌트, 풀이 동영상, 관련 이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론과 연계된 상기 연관콘텐츠는 이론설명 동영상, 관련 문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t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robl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hint, a video, and a related theory, and the relat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heory includes at least one of a theory description movie and a related problem
문제DB에 저장된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제공수단과 이론DB에 저장된 이론을 제공하는 이론제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문제 또는 이론과 연계된 연관콘텐츠를 제공하는 연관콘텐츠 제공수단과, 동적 레벨조정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레벨을 조정하는 사용자레벨조정수단과, 각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포함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제 또는 이론과 연계된 연관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전환메뉴를 포함하는 다차원 인터랙티브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학습데이터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An associated content providing means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blem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problem stored in a problem DB and a theory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theory stored in a theoretical DB and providing an associated content associated with a problem or a theory, User level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user level by performing an algorithm, and analyzing means for analyzing learning data of each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information including a conversion menu for invoking an association content associated with a problem or theory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on a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learning data to a user terminal
A learning interface provid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DB 또는 상기 이론DB는 각 문제 또는 이론이 속하는 그룹(주제), 유형, 문제레벨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blem DB or the theoretical DB stores information on a group (topic), a type, and a problem level to which each problem or theory belongs toge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다수 사용자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DB에 저장된 문제의 문제레벨을 조정하는 문제레벨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ice server includes problem level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problem level of a problem stored in the problem DB using learning data of a plurality of us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문제풀이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임제공수단, SNS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NS제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ice server comprises at least one of gam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problem-solving game interface, and SNS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n SNS interface.
KR1020160089960A 2016-07-15 2016-07-15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KR201800081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60A KR20180008109A (en) 2016-07-15 2016-07-15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60A KR20180008109A (en) 2016-07-15 2016-07-15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09A true KR20180008109A (en) 2018-01-24

Family

ID=6102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60A KR20180008109A (en) 2016-07-15 2016-07-15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10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87A (en) * 2020-03-20 2021-09-29 (주)뤼이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contents using ai tutor
US20220319348A1 (en) * 2016-12-05 2022-10-06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WO2022250172A1 (en) * 2021-05-24 2022-12-01 (주)뤼이드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 by using ai tu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9348A1 (en) * 2016-12-05 2022-10-06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US11823593B2 (en) * 2016-12-05 2023-11-21 Riiid Inc.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KR20210117687A (en) * 2020-03-20 2021-09-29 (주)뤼이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contents using ai tutor
KR20210119369A (en) 2020-03-20 2021-10-05 (주)뤼이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contents using ai tutor
KR20220133847A (en) 2020-03-20 2022-10-05 (주)뤼이드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udy contents using ai tutor
WO2022250172A1 (en) * 2021-05-24 2022-12-01 (주)뤼이드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 by using ai tu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hreini et al. Towards 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in e-learning environments
Tichavakunda An overdue theoretical discourse: Pierre Bourdieu’s theory of practice and critical race theory in education
US117272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user interaction for improving mental health
US9563720B2 (en) Matching users of a network based on profile data
Rodríguez et al. ICT for edu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ustainable adoption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in schools
US201500992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620284B1 (e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based education platform service
KR20180008109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terface using multi dimension interactive card
WO20190182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user interaction for improving happiness
Asmar et al. No one-size-fits-all! Eight profiles of digital inequalities for customized inclusion strategies
US201603584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learning path for an electronic learning system
Duguay et al. Stumbling blocks and alternative paths: Reconsidering the walkthrough method for analyzing apps
US20120308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social lab
US20140178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earning contents
CN115081965B (en) Big data analysis system of condition of learning and condition of learning server
Mu et al. Factors influencing English as a lingua franca communication: A case of an international university in China
US20230142891A1 (en) E-learning system and e-learning method
US114821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havioral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Kim et al. The Effect of Virtual Instructor and Metacognition on Workload in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ielding et al. User satisfaction and user experiences with Access Grid as a medium for social science research: A research note
KR201600479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quiz service
Rodriguez-Ascaso et al.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different accessibility needs and preferences in “Design for All” MOOCs
JP7440889B2 (en) Learning support systems and programs
Kaviani et al. Investigating a design space for multidevice environments
Berger In the intersections between media and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ing students' media literacy in secondary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