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064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064A
KR20180008064A KR1020160089861A KR20160089861A KR20180008064A KR 20180008064 A KR20180008064 A KR 20180008064A KR 1020160089861 A KR1020160089861 A KR 1020160089861A KR 20160089861 A KR20160089861 A KR 20160089861A KR 20180008064 A KR20180008064 A KR 2018000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generating
disposed
generating device
ca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063B1 (ko
Inventor
이건왕
김석천
김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8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발명으로써, 상기 실내기는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가 포함되는 케이싱;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배치된 결합프레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하여 흡입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 상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양 측 방향으로 이온을 확산시키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결합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 형 공기 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흡입그릴 또는 필터어셈블리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출시되고 있다. 이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가 실내공간의 내벽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흡입그릴 또는 필터어셈블리가 보여지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깔끔한 외관이 외부에서 보이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은 아래와 같이 개시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출원번호] 10-2001-0064453호 (출원인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개일자 : 2003.04.26.)
그런데 상측에 상기 흡입그릴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경우, 흡입그릴 또는 필터어셈블리로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필터링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부의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그릴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집진되지 않고, 하측으로 분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다.
특히,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먼지가 효과적으로 집진되기 위해, 상기 필터어셈블리 상측에 이온발생장치를 배치시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어셈블리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필터어셈블리 상측에 이온발생장치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간섭에 의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가 포함되는 케이싱;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배치된 결합프레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하여 흡입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 상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양 측 방향으로 이온을 확산시키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원활한 탈부착을 위하여 상기 결합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이온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양 측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시키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이온발생부가 내부에 배치되고, 양 측에 이온발산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결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하로 회전가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후면부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 및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의 전단을 연장하는 제2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 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홈;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이 간섭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측면 전측 상부에 배치된 제1 제한돌기;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 전측 하부에 배치된 제2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돌기 및 상기 제2 제한돌기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면;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연장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상면이 상기 제2 제한돌기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측으로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제1 제한돌기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회전거리는 상기 제1 제한돌기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제한돌기의 하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홈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 하부에 배치된 제1 회전홈;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 상부에 배치된 제2 회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실내기에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호환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제1 회전홈 또는 상기 제2 회전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먼지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제1 결합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온발생장치를 필터어셈블리 상측에 배치시킴으로써, 필터어셈블리가 흡입하는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시키고,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킴으로써, 필터어셈블리에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시킬 수 있다.
둘째, 이온발생장치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필터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온발생장치를 들어올림으로써 손쉽게 필터어셈블리의 탈부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온발생장치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필터홈이 필터어셈블리에 형성됨에 따라, 이온발생장치와 필터어셈블리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내기의 구성 중 결합프레임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실내기의 구성 중 이온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실내기의 구성 중 이온발생장치의 분해도.
도 7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이온발생부의 하면도.
도 8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1 케이스의 하면도.
도 9는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의 후방사시도.
도 10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 및 발광부의 전방사시도.
도 11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의 측면도.
도 12는 제2 케이스의 하면에 이온발생부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3 케이스의 하부사시도.
도 14는 제3 케이스의 구성 중 회전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
도 15는 이온발생장치의 회전을 보여주기 위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16은 이온발생장치의 회전을 보여주기 위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측면도.
도 17은 이온발생장치가 결합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이온발생장치가 결합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전면도이며, 도 3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실내기의 구성 중 결합프레임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기(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는 실내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01) 및 상기 전면부(10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101)로부터 벽면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0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측면부(103)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면부(1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후면부(105)는 상기 양 측면부(103)의 사이에 배치되며, 실내공간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01), 양 측면부(103) 및 후면부(105)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실내기(10)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팬(미도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어셈블리(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하는 다 수의 필터흡입구(122a)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흡입구(122a)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20)는 필터부재(122) 및 필터케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2)는 다 수의 필터흡입구(122a)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122)는 다 수의 필터흡입구(122a)가 형성되기 위한 다 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흡입구(122a)에는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링되기 위해 그물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22)에는 후술할 이온발생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와 간섭되지 않기 위해, 후단의 일부에 필터홈(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122)를 효과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필터홈(122b)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24)는 상기 필터부재(12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2)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세히, 상기 필터케이스(124)는 상기 필터부재(122)에 형성된 다 수의 필터흡입구(122a)에 대응되는 다 수의 필터케이스개구(12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124)에는 상기 필터부재(122)의 필터홈(12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필터케이스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케이스(124)의 테두리부에는 다 수의 결합리브가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2)의 테두리부가 상기 다 수의 결합리브에 끼움결합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로, 상기 필터부재(122)와 상기 필터케이스(124)는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내기(10)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42)를 가지는 토출패널(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142)에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1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또는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베인(145)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베인(145)은, 상기 토출베인(145)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이 구동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4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로 공기를 흡입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되며,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142)가 실내기(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120)가 실내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부(140)가 상기 실내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부(101)에는, 추가적인 필터어셈블리(120) 또는 토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는, 상부 흡입 및 하부 토출, 하부 흡입 및 상부 토출, 전면 흡입 및 하부 토출, 상부 흡입 및 전면 토출등의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부(103)에는, 실내공간의 공기 중 포함된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60)가 상기 측면부(103)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를 통한 흡입 및 토출기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센서장치(160)로 소량의 공기만을 흡입하여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0)는 상기 측면부(103)를 연결하고, 상기 전면부(101)가 결합되는 프레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부(170)는 상기 측면부(103)의 전면 하부를 연장하는 제1 프레임(171)과 상기 측면부(103)의 상면 후단을 연장하는 제2 프레임부(173) 및 상기 제1 프레임(171)과 상기 제2 프레임부(17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103)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71)과 상기 제3 프레임(175)에 의해, 상기 측면부(103)의 전면에 상기 전면부(101)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101)의 후면에는 다 수의 끼움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프레임부(171)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75)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다 수의 돌출리브(171a,17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 수의 돌출리브(171a,175a)가 상기 다 수의 끼움리브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면부(101)가 상기 측면부(103)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173) 및 상기 제3 프레임(175)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20)가 지지되는 다 수의 보강프레임(177)과 후술할 이온발생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프레임(17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77)은 상기 제2 프레임(173) 및 상기 제3 프레임(175) 사이를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120)가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77)은 다 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다 수의 빈 공간이 다 수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어셈블리(120)를 지지하는 뼈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179)은 상기 제2 프레임(173)과 상기 보강프레임(177)을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179)은 ㄷ 자 형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73)과 상기 보강프레임(17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결합프레임(17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결합프레임(179)은 상기 제2 프레임(173)과 상기 보강프레임(177)을 연장하는 2개의 제1 결합프레임(179a)과, 상기 2개의 제1 결합프레임(179a)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2 결합프레임(179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 각각에는 후술할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부(27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179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제1 결합프레임(179a)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결합프레임(179a)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기(179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프레임(179b)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홈(179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홈(179d)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에 연결된 케이블이 실내기로 연장되는 경우, 연장되는 케이블이 끼워짐으로써, 케이블이 용이하게 정리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실내기(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이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프레임(170)에 결합되어, 양 측으로 이온을 확산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양 측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시키고, 이에 따라 이온화된 분자에 의해 먼지들이 대전되고, 대전된 먼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에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실내기의 구성 중 이온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분해도이다. 도 7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이온발생부의 하면도이고, 도 8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1 케이스의 하면도이며, 도 9는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0은 이온발생장치(200)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 및 발광부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11은 이온발생장치의 구성 중 제2 케이스 하면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제2 케이스의 하면에 이온발생부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3 케이스의 하부사시도이며, 도 14는 제3 케이스의 구성 중 회전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케이스(210,230,250)와 상기 케이스(210,230,250) 내부에 설치되는 이온발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부(250)는 측방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케이스(210,230,250)는 상기 이온발생부(250)가 결합되고, 상기 이온발생부(250)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수단이다.
상기 이온발생부(250)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전극(253)에서 방전함으로써,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부(250)에서 발생한 이온은 상기 케이스(210,230,250)를 통해 측방으로 확산되면서 공기 중 이물질을 대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전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부(25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251)와, 상기 회로(251)를 감싸는 회로케이스(252)와,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251)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한 방전을 통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253)과, 상기 전극(253)과 상기 회로(2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255)과, 상기 회로케이스(25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255)을 지지하는 전선커버(256) 및 상기 전선커버(256)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극(253)을 커버하는 전극커버(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251)는 상기 전극(253)이 방전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하는 수단이다. 상기 회로(251)는 고전압의 교류전류, 양극 또는 음극 직류전류, 펄스 직류전류등을 발생하여 전극(253)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는 음극 직류전류를 발생하는 정전압 회로이다. 회로는 -7kVp ± 8%의 출력전압과 100Hz ± 10%의 출력 주파수와, 15 ~ 25% Duty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는 회로기판과 각종 전자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케이스(252)는 상기 회로(251)를 보호하고, 상기 회로(251)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회로를 감싸는 수단이다. 일 예로, 상기 회로케이스(252)는 플라스틱 소재의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케이스(252)는 회로(251)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가 실리콘(257)으로 몰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로케이스(252)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회로(251)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안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257)은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회로(251)가 안치된 상태에서 회로를 감싸도록 몰딩될 수 있다.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면 상부와 후면 상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리브(252a,252b)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단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리브(252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후단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리브(252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리브(252a) 및 상기 제2 결합리브(252b)의 결합 구성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측면에는 제1 체결부(2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258)는 제1 체결공(258a)이 형성되어, 스크류 또는 나사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258)에 의해 후술할 제2 케이스(230) 및 제3 케이스(270)가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전선(255)은 회로케이스(25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253)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선(255)은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회로케이스(25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극(253)이 연결됨으로써, 전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선(255)은, 상기 회로(251)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상기 전극(253)에 전달하는 도선과, 상기 도선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피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255)은 상기 회로(251)와 상기 전극(2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전선(255)은 상기 전극(253)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255)은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양 측에 각각 2개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255)은 상기 전선커버(256)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극(253)은 방전을 통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회로(251)에서 발생한 고전압이 상기 전선(255)을 통하여 상기 전극(253)에 인가되면 상기 전극(253)은 방전하면서 공기 중의 분자가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253)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한다.
전극(253)은 카본 파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극(253)은 극세의 카본 파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이온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극(253)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극세의 카본 파이버가 수백개가 상기 전선(255)에 묶인 브러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253)은 직경 7 ㎛의 카본 파이버가 1000개 정도 모인 브러시 형태이다.
카본 파이버의 묶음인 브러시 형태의 전극(253)은 수백개의 카본 파이버 중 한개만 방전될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 카본 파이버에 의해 방전효과가 커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극(253)은 바늘 형태로 형성되거나 패턴을 가지는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253)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253)은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전극(253)은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253)은 상기 전선(255)에 의하여 회로케이스(252)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253)에 의해 발생한 이온은 공기중의 이물질을 대전할 수 있다. 상세히, 음이온은 이물질에 전자를 제공하여 이물질을 음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고, 양이온은 이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이물질을 양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기 회로케이스(25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로케이스(252)와 동일한 소재인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회로케이스(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선커버(256)의 일측은 상기 회로케이스(25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극커버(25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기 전선(25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막대 형태의 전선(255)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기 전선(255) 둘레의 일부만 감싸도록 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대략 반원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방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255)의 일부는 상측이 상기 전선커버(256)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선커버(256)는 상기 개구된 측면 일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5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돌기(256a)는 전선(255)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56a)는 상기 전선(255)의 일부가 상기 전선커버(256) 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255)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커버(254)는 상기 전선커버(256)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커버(254)는 복수의 전극(25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4개가 구비된다. 복수의 전극커버(254)는 적절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극커버(254)는 상기 전선커버(256)에 의하여 상기 회로케이스(252)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상기 전극커버(254)의 종단은 상기 전극(253)의 종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종단은 상기 전선(255) 또는 상기 전선커버(256)의 길이방향에 대한 끝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전극커버(254)의 종단과 상기 전극(253)의 종단 사이의 간격은 대략 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253)의 종단은 상기 전극커버(254)의 종단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전극(253)의 종단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210,230,250)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210), 상기 제1 케이스(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230) 및 상기 제2 케이스(23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3 케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30) 및 상기 제3 케이스(270) 사이에 상기 이온발생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실내기 전체의 구성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케이스(27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케이스(210,230,250)를 기준으로 제1 케이스(210)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케이스(270)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 전체의 구성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기의 상기 후면부 방향을 후방, 상기 전면부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케이스(210)는 상면이 상방으로 일정곡률을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본체(211)와, 상기 제1 케이스본체(211)의 하면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된 다 수의 결합리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결합리브(212)는 상기 제1 케이스본체(211)의 전면 연장방향 및 후면 연장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결합리브(212)는 상기 제2 케이스(230)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2 케이스(230)는 상기 이온발생부(250) 및 후술할 발광부(280)가 배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케이스본체는 상기 제1 케이스본체(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면부(231)와, 상기 제1 곡면부(231)의 양 측단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두 개의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부(231)와 상기 연장부(232)에 의해 형성된 설치공간에 상기 이온발생부(250)와 상기 발광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부(231)는 상면에 다 수의 결합홈(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곡면부(231) 상면 전단 및 후단에는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다 수의 결합리브(212)가 결합되기 위한 다 수의 결합홈(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본체(211)가 상기 제1 곡면부(231)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곡면부(231)의 상면에 형성된 다 수의 결합홈(231a)은 상기 제1 케이스본체(211)에 형성된 다 수의 결합리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210)의 다 수의 결합리브(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31) 하면에는 다 수의 결합홈(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곡면부(231) 하면 전단 및 후단에는 상기 제3 케이스(270)가 결합되기 위한 다 수의 결합홈(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부(231)의 하면에 형성된 다 수의 결합홈(231b)의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상기 제2 케이스본체 하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간, 즉, 상기 제1 곡면부(231) 및 상기 연장부(232)에 의해 형성된 설치공간의 전측에는 발광부수용공간(3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수용공간(310)은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하부 전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발광부(280)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전면에는 발광구(231c)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구(231c)의 위치에 상기 발광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수용공간(310)에는 상기 발광부(280)가 결합되는 발광부결합리브(2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결합리브(233)는 ㄷ 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발광부결합리브(233)에 의해 상기 발광부(280)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발광구(231c) 방향으로만 발산할 수 있고, 빛이 다른 방향으로 발산되는 것은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결합리브(233)는 제1 리브(233a) 및 상기 제1 리브(233a)의 양 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잘된 제2 리브(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233a)의 전면에 상기 발광부(28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리브(233a) 및 상기 제2 리브(233b)에 의해 상기 발광부(280)로부터 발생된 빛은 전방의 상기 발광구(231c) 방향으로만 발산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80)는 전압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회로(281)와, 상기 발광회로(281)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회로(281)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회로(281)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구동되는 경우, 전압을 인가받아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구동되고 있음을 외부의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회로(281)는 상기 제2 리브(233b)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233c)에 양 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곡면부(2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28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회로(281)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확산부(282)를 통해 고르게 발광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확산부(282)는 상기 발광구(231c)를 차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광구(231c) 방향으로 발산된 빛이 상기 확산부(282)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282)는 상기 발광구(231c)를 차폐하는 플레이트(274g) 형상의 확산판(252a)과, 상기 확산판(252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케이스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25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케이스본체의 하면 중 상기 발광부수용공간(310)에는 상기 확산부(282)의 결합판(252b)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확산부(282) 결합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282) 결합홈에 상기 확산부(282)의 결합판(252b)의 양 측단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확산판(252a)이 상기 제2 케이스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본체 형성된 설치공간에서 상기 발광부수용공간(310)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이온발생부(250)가 수용되는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에는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측방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장치(234,2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장치(234,235)는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의 전측에 배치된 제1 가이드장치(234)와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의 후측에 배치된 제2 가이드장치(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는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의 전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면이 접촉하는 제1 가이드리브(234a)와, 상기 제1 가이드리브(234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리브(234b) 및 상기 제1 가이드리브(234a)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돌출리브(234b)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리브(23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돌출리브(234b)와 상기 제2 돌출리브(234c)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면 양 측단간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케이스(252)를 상기 제1 돌출리브(234b)와 상기 제2 돌출리브(234c) 사이에 기울여 배치한 상태에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 돌출리브(234b) 및 상기 제2 돌출리브(234c) 사이에 상기 회로케이스(2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리브(234a)와 상기 제2 돌출리브(234c)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는 회로구성에 필요한 케이블, 예를 들어 상기 회로(251)로부터 실내기 내부의 메인회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장치(235)는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의 후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장치(235)는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와 상기 제2 가이드장치(235) 사이의 이격공간의 길이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 가이드장치(235)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면이 접촉하는 제2 가이드리브(235a)와, 상기 제2 가이드리브(235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제3 돌출리브(235b) 및 상기 제2 가이드리브(235a)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3 돌출리브(235b)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4 돌출리브(23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돌출리브(235b)와 상기 제4 돌출리브(235c)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상면 양 측단간의 거리(L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케이스(252)를 상기 제3 돌출리브(235b)와 상기 제4 돌출리브(235c) 사이에 기울여 배치한 상태에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3 돌출리브(235b) 및 상기 제4 돌출리브(235c) 사이에 상기 회로케이스(2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리브(235a)와 상기 제4 돌출리브(235c)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는 회로구성에 필요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상기 제1 곡면부(231) 전측 및 후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개구가(236a,236b)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곡면부(231)의 전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개구(236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곡면부(231)의 후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개구(236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개구(236a)와 상기 제2 결합개구(236b)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부(250)가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회로케이스(252)가 상기 제1 가이드장치(234) 및 상기 제2 가이드장치(235)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회로케이스(252)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리브(252a)가 상기 제1 결합개구(236a)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리브(252b)가 상기 제2 결합개구(236b)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로케이스(252)가 상기 제2 케이스본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개구(236a)의 하측에는 상기 발광부(280) 수용리브의 상기 제1 리브(233a)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 지지리브(237a)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개구(236b)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면의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 지지리브(237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개구(236a)와 상기 제1 지지리브(237a)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단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개구(236b)와 상기 제2 지지리브(237b)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후단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결합개구(236a) 및 상기 제2 결합개구(236b)에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제1 결합리브(252a) 및 제2 결합리브(252b)가 끼움결합되면, 상기 회로케이스(252)의 전단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리브(237a)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리브(237b)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상기 제2 케이스본체의 상기 제1 곡면부(231)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31)의 일측, 상세히 상기 이온발생부 수용공간(320)과 상기 발광부수용공간(310)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스크류나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23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238)에는 제2 체결공(238a)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회로케이스(252), 상기 제3 케이스(270) 및 상기 제2 케이스(23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곡면부(231)의 하면에는 다 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곡면부(231) 하면 전단 및 후단에는 후술할 상기 제3 케이스(270)의 다 수의 결합리브가 결합되기 위한 다 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270)와 상기 제2 케이스(23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제1 곡면부(231)의 양 측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232)에는 하나 이상의 이온발산구(2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온발산구(239)는, 상기 회로케이스(252)가 상기 제1 곡면부(23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극커버(254)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온발산구(239)는 원 형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온발산구(239)의 직경은 상기 전극커버(25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커버(254)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의 이온발산구(239)가 상기 연장부(232)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극커버(254)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이온발산구(239)의 개수도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산구(239)를 통해, 상기 전극커버(254)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전극(253)이 방전을 통해 공기를 이온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270)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제3 케이스(270)본체와, 상기 제3 케이스(270)본체의 양 단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프레임(179)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270)본체에 의해, 상기 이온발산구(239)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20)는 설정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간격은 20mm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온발산구(239)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20)가 20mm이상 이격됨에 따라, 상기 이온발산구(239)로부터 발산되는 이온이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의 양 측단까지 효과적으로 확산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제3 케이스(270)본체는 상기 제3 케이스(27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일정곡률을 이루는 제2 곡면부(271)와, 상기 제2 곡면부(271)의 후측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곡면부(271)를 상기 필터어셈블리(120)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부(271)는 상기 제1 곡면부(231)와 반대되는 방향인 하방으로 일정곡률을 이루는 곡면형상을 가지고, 후단에 제1 케이블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280)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수의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71)에는 상기 제1 곡면부(231)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다 수의 결합홈(231b)이 결합되기 위한 다 수의 결합리브(271a)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곡면부(271)의 상면 전단 및 후단에는 다 수의 결합리브(271a)가 배치되어, 상기 제2 케이스(230)의 상기 제1 곡면부(231)의 하면에 형성된 다 수의 결합홈(231b)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71)의 상면에는 제3 체결부(27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276)에는 제3 체결공(27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케이스(230), 상기 이온발생부(250) 및 상기 제3 케이스(27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케이스(230)에 형성된 제2 체결부(238)의 제2 체결공(238a), 상기 이온발생부(250)에 형성된 제1 체결부(258)의 제1 체결공(258a) 및 상기 제3 케이스(270)에 형성된 제3 체결공(276a)이 순서대로 연통할 수 있다. 연통된 체결공에 스크류 등의 나사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케이스(230), 이온발생부(250) 및 상기 제3 케이스(27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부(272)는 상기 제2 곡면부(271)의 하면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격부(272)는 상기 제2 곡면부(271)에 형성된 상기 제1 케이블개구와 연통하는 제2 케이블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개구와 상기 제2 케이블개구는 연통하는 바, 연통되는 개구를 케이블개구(273)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72)는 상기 제1 케이블개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272b)와, 상기 차폐부(272b)의 하면 후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통부(27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274)는 상기 연통부(272a)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부(274)는 상기 결합프레임(179)에 형성된 상기 회전 돌기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회전부(274)는, 상기 제3 케이스(270)의 측면, 상세히, 상기 연통부(272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레이트(274g), 상기 플레이트(274g)의 돌출된 측면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돌기(179c)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홈(274a,274b) 및 상기 회전홈(274a,274b)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플레이트(274g)의 측면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274c,27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74g)는 상기 연통부(272a)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돌출되고 상기 연통부(272a)의 측면과 평행한 면을 가진 돌출면일 수 있다.
상기 회전홈(274a,274b)은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에 형성된 상기 회전돌기(179c)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회전홈(274a,274b)은 상기 플레이트(274g)의 측면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홈(274a,274b)은, 제1 회전홈(274a) 및 제2 회전홈(27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홈(274a)은 상기 플레이트(274g) 측면의 하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홈(274b)은 상기 플레이트(274g) 측면의 상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홈(274a)과 상기 제2 회전홈(274b)으로 각각 형성된 이유는,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결합되는 실내기 종류에 따라 규격을 맞추기 위함으로, 상기 회전홈(274a,274b)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이거나, 3개 이상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 회전홈(274a) 및 상기 제2 회전홈(274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서로 다른 실내기에 각각 호환되어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홈(274a)의 상부둘레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274g)의 일부는 측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274g)는 상기 제2 회전홈(274a)의 상측에 배치되어 측방으로 더 돌출된 보강돌기(274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274f)는 상기 플레이트(274g)의 텐션을 보강함으로써, 상기 회전홈(274a,274b)에 상기 회전돌기(179c)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케이스(270)의 측면과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 사이에 들뜸현상이 방지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홈(274a)의 하부둘레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274g)의 일부는 측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274g)는 상기 제2 회전홈(274a)의 하측 둘레의 일부가 측방으로 함몰된 함몰부(274f)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홈(274a)의 둘레 중 일부는 다른 둘레에 비해 낮은 높이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홈(274g)에 상기 회전돌기(179c)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한돌기(274c,274d)는 상기 플레이트(274g) 측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한돌기(274c,274d)는 상기 플레이트(274g) 측면의 상부 전측에서 돌출된 제1 제한돌기(274d)와 상기 플레이트(274g) 측면의 하부 전측에서 돌출된 제2 제한돌기(27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와 상기 제2 제한돌기(274c)는 설정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와 상기 제2 제한돌기(274c) 사이의 상기 설정간격에 따라 상기 회전부(274)의 회전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한돌기(274d)는 상기 플레이트(174g)의 측면 전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돌출된 면의 상면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돌출된 면의 하면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한돌기(274c) 또한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3 케이스(270)의 양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ㄱ 형상의 차폐리브(27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폐리브(275)는 일단이 상기 이격부(272)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단이 상기 회전부(274)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다가 상기 이격부(272)의 측면 후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차폐리브(275)의 돌출된 면에 의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와 상기 결합프레임(179)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차폐됨으로써,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와 상기 결합프레임(179)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기 결합프레임에 회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이온발생장치의 회전을 보여주기 위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이온발생장치의 회전을 보여주기 위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측면도이며, 도 17은 이온발생장치가 결합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이온발생장치가 결합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18을 참조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결합프레임(179)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왕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각도는 일정각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기 회전부(274)에 형성된 제2 회전홈(274b)에 상기 결합프레임(179)의 상기 회전돌기(179c)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 제1 회전홈(274a)에 상기 회전돌기(179c)가 끼워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기 제2 회전홈(274a)에 상기 결합프레임(179)의 상기 회전돌기(179c)가 결합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회전돌기(179c)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실내기 구동 중에 배치된 상태를 살펴본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의 회전돌기(179c)에 상기 제2 회전홈(274b)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이 상기 플레이트(274g)에 배치된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의 하면이 상기 제1 회전돌기(274d)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태레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의 상측 공기를 이온화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에 공기 중 이물질이 대전되어 집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20)의 교체를 위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결합프레임(179)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상기 제2 회전홈(174b)에 상기 결합프레임(179)의 회전돌기(179c)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이 접촉하면서 지나가게 되고, 더불어 상기 제2 제한돌기(274c)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이 접촉하면서 지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의 상면은 상기 제2 제한돌기(274c)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결합프레임(179a)이 상기 회전부(274)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과정에서 상기 이온발생장치(200)는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의 상면과 상기 제2 제한돌기(274c)의 하면까지의 거리만큼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거리는 상기 제1 제한돌기(274d)의 상면과 상기 제2 제한돌기(274c)의 하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거리가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의 회전각도 역시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온발생장치(200)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200)가 상기 이온발생장치(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어셈블리(200)를 상기 케이싱(1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상기 케이싱(100)에 상기 필터어셈블리(200)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전면부, 측면부 및 벽면에 결합되는 후면부가 포함되는 케이싱;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배치된 결합프레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 상측 중앙에 배치되고, 고전압을 인가하여 공기를 방전함으로써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결합프레임 일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이온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양 측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시키는 이온발생부; 및
    상기 이온발생부가 내부에 배치되고, 양 측에 이온발산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결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후면부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 및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의 전단을 연장하는 제2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결합프레임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 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홈;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이 간섭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 전측 상부에 배치된 제1 제한돌기;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 전측 하부에 배치된 제2 제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돌기 및 상기 제2 제한돌기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면; 및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연장되는 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상면이 상기 제2 제한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제1 제한돌기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의 회전거리는 상기 제1 제한돌기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제한돌기의 하면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홈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 하부에 배치된 제1 회전홈;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후측 상부에 배치된 제2 회전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제1 회전홈 또는 상기 제2 회전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제1 결합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60089861A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1A KR102522063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61A KR102522063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64A true KR20180008064A (ko) 2018-01-24
KR102522063B1 KR102522063B1 (ko) 2023-04-18

Family

ID=6102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861A KR102522063B1 (ko) 2016-07-15 2016-07-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7843A1 (en) * 2018-12-14 2020-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 fiber charging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11503804A (zh) * 2020-04-24 2020-08-07 海宁市富连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更换过滤片的通风装置
EP3760935A1 (en) * 2019-07-05 2021-01-0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11541343B2 (en) 2018-12-14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KR20230080917A (ko) 2021-11-30 2023-06-07 박진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69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전식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냉장고
JP2015044535A (ja) * 2013-08-29 2015-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機およびイオン発生機の車両搭載ユニット
KR20150088518A (ko) * 2014-01-24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69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전식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냉장고
JP2015044535A (ja) * 2013-08-29 2015-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機およびイオン発生機の車両搭載ユニット
KR20150088518A (ko) * 2014-01-24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7843A1 (en) * 2018-12-14 2020-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 fiber charging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1413626B2 (en) 2018-12-14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 fiber charging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1541343B2 (en) 2018-12-14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EP3760935A1 (en) * 2019-07-05 2021-01-0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11408620B2 (en) 2019-07-05 2022-08-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11503804A (zh) * 2020-04-24 2020-08-07 海宁市富连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更换过滤片的通风装置
KR20230080917A (ko) 2021-11-30 2023-06-07 박진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063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80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0806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36632B1 (ko) 공기조화기
CN105264298B (zh) 离子发生器以及具有离子发生器的空调
JP537169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180065711A (ko) 공기조화기
KR102360616B1 (ko) 공기조화기
KR102018661B1 (ko) 이온발생장치
KR2021009160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220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A2969988C (en) Ceiling mounted airway device with illumination
TWI796857B (zh) 空氣淨化器
KR20180066546A (ko) 공기조화기
KR102392628B1 (ko) 공기 조화기
KR102175297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0164877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음이온 배출 장치
JP2004020025A (ja) 空気調和機
KR20170020102A (ko) 이온발생장치
CN215308743U (zh) 杀菌面板灯
EP3760935B1 (en) Air conditioner
CN217737471U (zh) 等离子消杀高棚灯
CN218379821U (zh) 离子发生器、过滤组件和空调
KR102374472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CN216620189U (zh) 屏幕净化器和屏幕净化装置
KR200310126Y1 (ko) 접지 공기 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