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776A - 액체용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776A
KR20180007776A KR1020160089086A KR20160089086A KR20180007776A KR 20180007776 A KR20180007776 A KR 20180007776A KR 1020160089086 A KR1020160089086 A KR 1020160089086A KR 20160089086 A KR20160089086 A KR 20160089086A KR 20180007776 A KR20180007776 A KR 2018000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ejection hole
container body
hole
clos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749B1 (ko
Inventor
임현우
Original Assignee
임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우 filed Critical 임현우
Priority to KR102016008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병꼭지, 분무기 및 음료수병과 같은 액체용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의 누액이 발생하지 않으며 노즐 주변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젖병꼭지, 분무기 및 음료수병에 관한 것이다. 그 중 젖병꼭지의 구성은 내용물인 액체의 분출구멍이 일직선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분출구멍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로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력이 제거될 때 탄성에 의해 복원하면서 분출구멍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용 토출용기{Bottle For Liquid}
본 발명은 젖병꼭지, 분무기 및 음료수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의 누액이 발생하지 않으며 노즐 주변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젖병꼭지, 분무기 및 음료수병과 같은 액체용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품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병에 담아놓고 조금씩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다. 병에서 액체용품을 취출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노즐을 사용하는 방법은 그중 매우 흔하게 사용하는 방법이다. 노즐은 평상시에는 출구가 닫혀있으나 어떠한 힘이 작용하면 개방하여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노즐은 젖병이나 분무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노즐은 병에 담긴 액상 물질을 취출하여 사용하는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 액상 물질을 취급하는 노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약간의 누액이 생긴다는 것이다. 젖병의 경우 누액이 생기면 아기나 보호자의 옷에 우유가 묻게 된다. 그리고 기타 액상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그의 누액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노즐 주변에 액상 물질이 조금씩 굳어 응집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120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255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젖병, 분무기, 음료수병 또는 각종 펌핑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액체의 누액이 발생하지 않아 노즐 주변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용기본체 및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된 토출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기구는;
내용물인 액체의 분출구멍이 일직선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분출구멍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로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력이 제거될 때 탄성에 의해 복원하면서 분출구멍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용기본체에 충전된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를 상기 병체의 주입구에 고정시키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분출시키는 관로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거동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손잡이;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는 탄성개폐노즐; 상기 탄성개폐노즐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압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노즐은;
액체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탄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체 두께에 걸쳐 일직선 형태로 절개된 분출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할 때는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가 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용기본체 내의 액상 물질이 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탄성개폐노즐은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두께는 1 ~ 10mm 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관로는 외력에 의해 단면적이 변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탄성개폐노즐이 고정 설치되는 연질튜브;
상기 작동손잡이를 작동시킬 때 상기 작동손잡이가 상기 연질튜브를 수직방향으로 압착시키도록 상기 작동손잡이과 상기 연질튜브 사이에 개입되는 가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수를 담기 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은 상기 주입구로부터 이빨로 물 수 있는 정도로 돌출되는 탄성개폐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노즐은;
탄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체 두께에 걸쳐 일직선 형태로 절개된 분출구멍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출구멍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F)이 작용할 때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가 되도록 벌어짐으로써 음료수가 유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출구멍의 양쪽 끝에는 일측은 용기본체의 외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본체의 내측에 연결되는 흡입공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흡입공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한 쪽이 직경이 작은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될 때 탄성적으로 원상복귀하면서 토출구멍을 차단할 수 있는 젖병꼭지 및 분무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출구로부터 누액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젖병이나 분무기의 사용시 주변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이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젖병꼭지 또는 분무기와 같은 액체용 토출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젖병꼭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젖병꼭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젖병꼭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젖병꼭지의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무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무기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병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수병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출기구 내지 탄성개폐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절개사시도이며, 도 12는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정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젖병꼭지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출용기는 젖병, 분무기, 음료수병 등 액체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용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우선 젖병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젖병꼭지(1)는 내용물인 액체의 분출구멍이 일직선 형태로 되어 있다. 분출구멍(9)은 젖병꼭지의 최전방 벽체에 마련된다. 젖병꼭지(1)는 젖병과의 결합을 위한 링형상의 결합부(2)와, 영아의 구강으로 인입되는 것으로서 결합부(2)와 일체로 성형된 꼭지부(3)와, 신체와 같은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꼭지부(3)와 결합부(2)를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컵형태의 몸통부(5)로 구성된다.
영아는 꼭지부(3)를 입에 물고서 압축력과 흡입력을 가하여 병체 내부의 우유를 먹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꼭지부(3)의 전방 측벽(7)에 분출구멍(9)이 마련되며, 이 분출구멍(9)은 칼날로써 절개함으로써 마련된다. 분출구멍(9)의 폭은 2 ~5mm가 될 수 있다. 기타 구성은 일반적인 젖병꼭지와 유사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도 2(a)에서와 같이 분출구멍이 닫혀있게 되며, 사용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부(3)에 상하방향으로 압축력(F)이 작용하여 분출구멍(9)이 "ㅇ"의 형태로 개방되게 된다. 압축력(F)을 제거하면 소재의 탄력에 의해 도 2(a)의 상태로 원상복귀하여 분출구멍(9)이 다시 폐쇄된다. 따라서 이렇게 닫힌 분출구멍을 통해 우유가 흘러나오는 문제가 없게 된다. 입으로 무는 작용을 할 때에만 분출구멍(9)이 개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젖병꼭지의 꼭지부의 측벽은 탄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부위보다 약간 더 두껍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측벽(7)의 두께는 몸통부보다 10 ~20% 더 두껍게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력(F)을 가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꼭지부(3)의 형태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장방형 또는 타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영아가 입으로 무는 방향을 분출구멍(9)을 개방하기 쉬운 방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것처럼 분출구멍(9)이 세로로 형성될 경우, 꼭지부(3)는 가로로 길게 되어 있다. 영아가 입으로 꼭지부(3)를 물어 압축력을 가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분출구멍이 개방되게 된다. 꼭지부의 가로(a)와 세로(b)의 비율(a/b)은 0.7 ~ 0.9일 수 있다.
젖병꼭지(1)는 이소프렌고무,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입으로 가압하는 방향성을 가지므로 젖병꼭지의 꼭지부(3)는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납작한 타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분무기를 설명한다.
분무기(11)는 병체(13)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병체에 충전된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5)와; 상기 펌프(15)를 병체(13)의 주입구에 고정시키며, 펌프(15)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분출시키는 관로(17)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스(19)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9)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탄성적으로 거동하면서 펌프(15)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손잡이(23)와; 관로(17) 상에 설치되는 탄성개폐노즐(25)과; 탄성개폐노즐(25)에 압축력(F)을 가하기 위한 압축수단;을 포함한다. 관로(17), 탄성개폐노즐(25) 및 압축수단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분무기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관로(17), 탄성개폐노즐(25) 및 압축수단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관로(17)는 외력에 의해 단면적이 변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탄성개폐노즐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연질튜브(27)를 포함한다. 관로(17) 전체가 연질튜브일 수도 있고 탄성개폐노즐(25)이 설치되는 말단 부위만 연질튜브(27)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탄성개폐노즐(25)은 액체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병체(13)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것이다. 탄성개폐노즐(25)은 탄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체 두께에 걸쳐 일직선 형태로 절개된 분출구멍(9)을 가진다. 따라서 분출구멍(9)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F)이 작용할 때는 분출구멍(9)이 "ㅇ"의 형태가 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분출구멍(9)이 벌어진 상태에서 병체(13) 내의 액상 물질이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탄성개폐노즐(25)은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두께(T)는 1 ~ 10mm 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수단은 전술한 연질튜브(27)와, 작동손잡이(23)를 작동시킬 때 상기 작동손잡이(23)가 연질튜브(27)를 수직방향으로 압착시키도록 작동손잡이(23)와 연질튜브(27) 사이에 개입되는 가압구(2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구(29)는 작동손잡이(23)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힌지운동할 때 함께 작동하여 연질튜브(27)를 상하방향으로 압축시키는 것으로서, 작동손잡이(23)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고, 작동손잡이(23)와 연질튜브(27) 사이에 개입되는 것일 수 있다. 가압구(29)는 링크를 구성하도록 몇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바에 의하면 가압구(29)는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 형태의 브래킷으로서 일단은 작동손잡이(23)와 힌지(33)로 연결되고 타단은 연질튜브(27)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손잡이(23)를 화살표(K) 방향으로 당기면, 탄성개폐노즐(25)에 압축력(F)을 가하여 분출구멍을 개방시키고 작동손잡이(23)를 놓으면 도 5 및 도 7(a)의 상태로 복귀하여 분출구멍(9)을 폐쇄시켜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완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음료수병(35)에 적용된 것이다. 병체(37)의 주입구에 탄성개폐노즐(25)이 결합된다. 탄성개폐노즐(25)의 구성과 작용은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탄성개폐노즐(25)은 위의 실시예를 통해 충분히 설명한 것처럼 상하방향으로 압축력(F)이 작용할 때 개방되고, 압축력(F)이 제거될 때 탄성적으로 폐쇄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에는 스포츠음료를 공급하는 음료수병(35)에 적합하다. 탄성개폐노즐(25)은 이빨로 물기 적당한 정도만이 병체(37)의 주입구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고정방식은 다양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개폐노즐의 후단부(41)가 주입구(39)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방식은 융착이 될 수도 있고 압입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안출될 수 있다. 주입구로부터 돌출된 부위(43)에 이빨에 의해 압축력(F)이 가해질 경구 분출구멍(9)은 도 7(b)의 상태와 같이 개방될 것이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의 것에 비하여 좀 더 편하게 스포츠음료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물론 탄성개폐노즐 외부에는 외부캡이 씌워져 결합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액체를 분출시키기 위한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가령 여러 산업분야의 도장작업시 페인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위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꼭지부(3) 형태의 분출기구와 탄성개폐노즐(25)이 함께 도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출구멍(9)의 양쪽 끝에 흡입공(45)이 마련되는 것을 제시한다. 흡입공(45)은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넓고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즉 상광하협의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용기 내측에 위치한 구멍의 직경(d)은 예를 들어 1/100 ~ 5/100mm가 될 수 있다. 흡입공의 상부의 직경은 1 ~2mm 가 될 수 있다. 하부 직경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서 액체가 흡입공(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액체를 취출할 때(도 13(b)의 상태)에는 용기본체 내부에 약간의 부압이 걸리게 된다. 액체가 배출되는 만큼 용기 내부에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도 11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은 화살표(F) 방향으로의 힘이 꼭지부(3)나 탄성개폐노즐(25)에 작용하여 분출구멍(9)이 열린 상태를 도시하며 이 상태에서 내용물은 화살표(K) 방향으로 유출되게 된다(도 13(b) 참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 화살표(K) 방향으로 분출되다가 입을 떼거나 함으로써 분출구멍(9)이 닫히게 되면(도 13(a) 참조), 용기본체 내부에 걸린 부압(負壓)은 분출구멍(9) 주변에 묻어있는 약간의 내용물을 화살표(L) 방향으로 빨아드리게 한다.
빨아드린 미량의 내용물은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흡입공(45) 내부에 잔존하게 될 수도 있다. 이 흡입공(45)은 분출구멍의 주변을 잔존물이 없이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젖병꼭지 3 : 꼭지부
5 : 몸통부 9 : 분출구멍
11 : 분무기 13 : 병체
15 : 펌프 17 : 관로
23 : 작동손잡이 25 : 탄성개폐노즐
27 : 연질튜브 29 : 가압구
33 : 힌지 35 : 음료수병
39 : 주입구 45 : 흡입공

Claims (5)

  1. 용기본체 및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된 토출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기구는;
    내용물인 액체의 분출구멍이 일직선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분출구멍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로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력이 제거될 때 탄성에 의해 복원하면서 분출구멍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
  2.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병체에 충전된 내용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를 상기 병체의 주입구에 고정시키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분출시키는 관로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거동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손잡이;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는 탄성개폐노즐; 상기 탄성개폐노즐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압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노즐은;
    액체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병체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탄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체 두께에 걸쳐 일직선 형태로 절개된 분출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할 때는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가 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병체 내의 액상 물질이 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
  3. 음료수를 담기 위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은 상기 주입구로부터 이빨로 물 수 있는 정도로 돌출되는 탄성개폐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노즐은;
    탄성이 양호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체 두께에 걸쳐 일직선 형태로 절개된 분출구멍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출구멍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압축력(F)이 작용할 때 상기 분출구멍이 "ㅇ"의 형태가 되도록 벌어짐으로써 음료수가 유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
    상기 분출구멍의 양쪽 끝에는 일측은 용기본체의 외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본체의 내측에 연결되는 흡입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한 쪽이 직경이 작은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토출용기.
KR1020160089086A 2016-07-14 2016-07-14 액체용 토출용기 KR10186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6A KR101860749B1 (ko) 2016-07-14 2016-07-14 액체용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6A KR101860749B1 (ko) 2016-07-14 2016-07-14 액체용 토출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580A Division KR20180008356A (ko) 2017-11-28 2017-11-28 액체용 토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76A true KR20180007776A (ko) 2018-01-24
KR101860749B1 KR101860749B1 (ko) 2018-05-24

Family

ID=610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086A KR101860749B1 (ko) 2016-07-14 2016-07-14 액체용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1765A1 (de) 1989-12-18 1991-06-20 Schrem Werkzeugfab Albert Hydraulisches spannelement
JP5618237B2 (ja) * 2010-07-30 2014-11-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749B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7006B2 (en) Pressurizable fluid container apparatus
US4645097A (en) Sidewall dispenser
US9486818B2 (en) Dispenser with directional flow controlling fla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20110106024A1 (en) Container with a squeezed nozzle and lever
US20140061253A1 (en) Liquid dispenser containers
MX2012005465A (es) Botella con tubo de inmersion integral.
US10850894B2 (en) Dispensing system, spout and squeezable container
US20080264974A1 (en) Liquid dispenser
US20090137972A1 (en) Container with Liquid Squeeze Nozzle
CN102137721A (zh) 液体喷雾器
WO2009047827A3 (en) A dispenser of fluid products
JP2004132356A (ja) 改良された吐出バルブを有するポンプ式ディスペンサ
US11014106B2 (en) Dispenser device for liquids
KR101860749B1 (ko) 액체용 토출용기
KR20180008356A (ko) 액체용 토출용기
JP2014080239A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KR200209523Y1 (ko)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JP2010241454A (ja) 液体吐出容器
US10632483B1 (en) Universal pressurized spray adapter
US20150014350A1 (en) Pressurizable Fluid Container Apparatus
WO2021083674A1 (en) Multi-use connector
WO2011104512A1 (en) Dispenser for a liquid
US20200253458A1 (en) Stemware cleaning device
CN111094147B (zh) 自密封无气计量分配器
EP3251967A1 (en) Dispensing system, spout and squeezab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