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566A -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566A
KR20180007566A KR1020160088764A KR20160088764A KR20180007566A KR 20180007566 A KR20180007566 A KR 20180007566A KR 1020160088764 A KR1020160088764 A KR 1020160088764A KR 20160088764 A KR20160088764 A KR 20160088764A KR 20180007566 A KR20180007566 A KR 2018000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ouver
laser light
scree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제
이지연
김봉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566A/ko
Priority to PCT/KR2017/007349 priority patent/WO20180128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0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Louver)부, 루버부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루버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부로 집광하는 집광부, 및 루버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REAR PROJECTION TYPE SCREEN FOR SHELF DISPLAY MODULE AND SHELF DISPLAY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광원에 의한 스펙클(Speckle) 현상을 저감하면서도 밝기, 명실명암비 등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 프로젝터(Projector)는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 회의실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극장의 영사기, 가정의 홈시어터(home theater) 등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스캐닝 프로젝터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광을 스캐닝하여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대화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프로젝터에서는 레이저 광이 가지는 특성인 간섭성에 의해 스크린 상에서 레이저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 화면상에서 작은 알갱이들이 반짝거리는 듯한 스펙클(Speckle)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스펙클(Speckle) 패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레이저 광이 가지는 특성인 간섭성에 의해 스크린 상에서 레이저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 화면상에서 작은 알갱이들이 반짝거리는 듯한 스펙클(Speckle)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간섭성(coherence)이 높은 레이저 광(빔)이 표면 조도가 높은, 즉 거친 표면 구조를 갖는 물체에서 산란이 일어나게 될 때 파면(wavefront)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보강 간섭과 소멸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크린 상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지점에서는 밝은 알갱이가, 소멸 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에서는 어두운 알갱이가 보이는 스펙클 패턴(speckle pattern)이 형성된다.
한편, 스펙클 패턴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펙클 컨트라스트(Speckle contrast)의 정의는 도 1과 같다. 스펙클 컨트라스트(Speckle contrast)는 광도의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누어 나타내며 그 값이 작을수록 광이 균질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에서 예시된 식의 분자인 표준편차가 작아지면 스펙클 컨트라스트 값도 작아지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스펙클(Speckle)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는 스크린(100)에 입사 및 출사되는 광의 파면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청영역 101에서 시청자가 감지하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시청영역 102에서 시청자가 감지하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100)은 시청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표면에 표고차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스크린(100)의 표면에 불규칙한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스크린(100) 내부의 소정 층 또는 필름이 표고차를 가지고 스크린(100)의 외부 표면은 평평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레이저 광은 스크린(100)의 아래쪽 방향에서 입사된다. 스크린(100)을 통과한 광은 스크린(100) 내부의 디퓨저(diffuser) 필름 등의 광학층에 의하여 산란되어 불규칙하게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시청영역 101에서 출사되는 광 A, B, 시청영역 102에서 출사되는 광 C, D는 하기와 같은 파동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A=U0 1/ 2exp(iA)
B=U0 1/ 2exp(iB)
C=U0 1/ 2exp(iC)
D=U0 1/ 2exp(iD)
도 3을 참조하면, 광 A, B는 모두 U0 크기를 가진다. 하지만 두 광은 눈으로 식별 불가능할 정도의 거리를 갖고 출사되므로 눈이 인식하는 시청영역 101의 광은 광 A, B가 중첩된 광이다. 즉, 시청자는 시청영역 102에서 출사되는 광 A 또는 광 B를 실제 밝기보다 더 밝게 인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C, D도 모두 U0 크기를 가진다. 하지만 두 광은 눈으로 식별 불가능할 정도의 거리를 갖고 출사되므로 눈이 인식하는 시청 영역 102의 광은 광 C, D가 중첩된 광이다. 즉, 시청자는 시청영역 102에서 출사되는 광 C 또는 광 D를 시청영역 101의 밝기보다 어둡게 인식한다.
즉, 시청영역 101과 시청영역 102에서 실제로 출사되는 광들은 같은 밝기를 가지지만 시청자는 각 영역의 밝기가 다르다고 느끼게 된다
이렇게 레이저 광이 거친 표면 구조를 가지는 스크린에서 산란이 일어나게 될 때 파면(wavefront)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보강 간섭과 소멸 간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스크린 상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지점에서는 밝은 알갱이가, 소멸 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에서는 어두운 알갱이가 보이는 스펙클 패턴(speckle pattern)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펙클 패턴은,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노이즈 성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펙클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위상성분 다양화(Phase Diversity)를 이용한 레이저(Laser) 광원 출사면 뒤에 디퓨저(Diffuser)를 배치하고 회전하는 장치, 파장성분 다양화(Wavelength Diversity)를 이용한 여러 파장 방출정점을 포함하는 레이저 광원로 스펙클을 저감시키는 장치들이 있다.
또는, 공간적 균분법(Spatial Averaging)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공간적으로 진동시키는 장치, 또는,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면을 진동시키는 장치가 있다.
또는, 편광성분 다양화(Polarization Diversity)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의 편광을 변화시키는 장치, 시간적 균분법(Temporal Averaging)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스펙클 패턴을 눈이 구분하지 못하는 속도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들이 있다.
또는,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를 이용하여, 두꺼운 디퓨저를 한장 이상 사용하는 스크린 장치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장치들 하나로는 스펙클 노이즈가 시청자가 인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저감하기는 어려우며 하나 이상의 장치들의 병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의 장치를 소형화 및 집적화 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소형 레이저 프로젝터와 같은 제품에는 적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스펙클(Speckle) 현상을 저감함으로써, 이미지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밝기와 시야각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관계(Trade-off)가 존재하고,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프로젝터와 사용되는 경우에 상술한 스펙클(Speckle) 저감이 어려웠다.
도 5는 종래 스크린의 외란광 반사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101)의 후면으로 투사되는 프로젝터(10)에 의한 광 이외에, 외부의 외란 광원(105)에 의한 외란광(Ambient light)이 시청자 쪽으로 많이 반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외란광이 시청자 쪽으로 많이 반사될수록 명실명암비가 낮아진다.
한편, 스크린(101)의 외관이 흰색인 경우가 일반적이나, 외란광 반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정 착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투과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펙클(Speckle)을 저감하면서도, 트레이드-오프 관계(Trade-off)에 있는 광학 품질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스크린 구조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펙클(Speckle)을 저감할 수 있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펙클(Speckle) 현상을 저감하면서도 밝기, 명실명암비 등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Louver)부, 루버부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루버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부로 집광하는 집광부, 및 루버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는 다른 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스캐닝(Scanning)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부, 루버부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루버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부로 집광하는 집광부, 및, 루버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펙클(Speckle)을 저감하고 고품질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펙클을 줄이면서도 밝기, 명실명암비 등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스펙클(Speckle) 패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스펙클(Speckle)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스크린의 외란광 반사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외란광 차단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광투과 효율 증가와 스펙클 저감 원리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스펙클 저감 관련 실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스캐닝 프로젝터의 개념도를 예시한다.
도 19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구동 신호 파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600)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611a)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611b)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Louver)부(610), 상기 루버부(610)로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상기 루버부(610)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투과부(611a)로 집광하는 집광부(620), 및, 상기 루버부(61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 6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전면'은 시청자에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프로젝터에 가까운 면으로 프로젝터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600)은, 광학 부재를 접착하는 광학 접착 필름(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600)의 광학 부재(610, 620, 630)는 공지된 다른 접착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루버부(610)는 광이 흡수되는 부분, 흡수부(611b)와 광이 투과되는 부분, 투과부(611a)가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외란광을 차단하여 명실 명암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외란광 차단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실선은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도시한 것이고, 점선은 차단된 광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루버부(610)는 교대로 배열되는 투과부(611a)와 흡수부(6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611a)는 광이 원활히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Resin)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부(611b)는 상기 투과부(611a)보다 어두운 광흡수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카본(carbon) 계열의 검은색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611b)는 카본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철, 크롬, 은, 탄산칼슘, 산화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부(611b)는 상기 투과부(611a)보다 굴절율은, 상기 투과부(611a)에서 상기 흡수부(611b)로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부(611b)는 상기 투과부(611a)에서 입사되는 광을 전면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611b)는 전반사 이상의 각도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611b)는 외부의 외란 광원(105)에 의한 외란광(Ambient light)을 흡수하고, 외란광이 시청자 쪽으로 반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기존 방식 대비 외란광 반사 차단 효과가 증가하여 명실명암비가 개선된다.
한편, 상기 루버부(61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630)는, 입사광을 확산시켜 최종적인 시야각을 생성할 수 있다.
디퓨저(630)는, 광을 산란(Scattering)시켜 시야각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 방향으로 디퓨저(630)를 부착하여,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디퓨저(630)의 두께가 두껍고 헤이즈(Haze)가 높을수록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가 증가한다.
또한, 위상/각도성분 다양화(Phase/Angular Diversity)가 증가할수록 스펙클 노이즈 저감 효과가 커진다.
그러므로, 디퓨저(630)를 이용하여, 스펙클(Speckle) 저감이 가능하고, 특히 두께가 두꺼운 플레이트(Plate) 타입을 이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스펙클(Speckle) 저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620)는, 스펙클(Speckle) 저감 및 투과 광효율 증가를 목적으로 상기 루버부(610)의 후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620)는, 광이 최종 디퓨저(630)로 입사되는 각도가 커지게 할 수 있고,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 효과로 스펙클(Speckle)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부(620)는, 상기 루버부(610)의 상기 투과부(611a)로 입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켜, 광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광부(620)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Lenticular Lens Sheet)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집광부(620)는 프리즘 어레이 시트(Prism Array Sheet)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Micro Lens Array Sheet)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광투과 효율 증가와 스펙클 저감 원리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렌티큘라 렌즈 시트(620)가 없는 경우를 예시하고, 도 9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620)가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면에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루버부(610)의 투과부(611a)를 통과하여 디퓨저(630)로 전달된다. 하지만, 후면에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루버부(610)의 흡수부(611b)에서 흡수되고, 이는 투과 광효율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흡수부(611b)에서 차단되는 광을 복수의 단위 렌즈(621)를 포함하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620)를 이용해서 루버부(610)의 투과부(611a)로 집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퓨저(630)까지 더 많은 광의 전달이 가능하므로, 투과 광효율이 증가하여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렌티큘라 렌즈 시트(620)에서 발생하는 각도 θ는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를 유발하여 스펙클(Speckle)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크린(1000)에 입사되는 한 지점에 입사광의 각도가 클 수록 낮은 스펙클(Speckle)이 관측된다.
입사광의 각도가 클수록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가 커지고, 이에 따라 스펙클(Speckle)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스펙클 저감 관련 실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험에서는 초점거리가 다른 렌즈(1120, 1125)를 이용하여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를 조정하였다.
도 11의 (a)의 예는, 광원(1110)에서 출력된 광을 초점 거리가 긴 렌즈(1120)를 거쳐 멤스 스캐너(MEMS Scanner, 1140)로 입사시켜, 스크린(1102)의 화면에서 스펙클(Speckle)을 측정한 것이다.
도 11의 (b)의 예는, 광원(1110)에서 출력된 광을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1125)를 거쳐 멤스 스캐너(1140)로 입사시켜, 스크린(1102)의 화면에서 스펙클(Speckle)을 측정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와 같이 초점 거리를 조정하면서 측정한 스펙클(Speckle) 저감 실험 결과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초점거리가 길수록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이 증가해 낮은 스펙클(Speckle)이 측정된다.
따라서, 렌티큘라 렌즈 시트(620), 프리즘 어레이 시트(Prism Array Sheet)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Micro Lens Array Sheet)에서 발생하는 각도 θ는 각도성분 다양화(Angular Diversity)를 유발하여 스펙클(Speckle)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각 광학층들은 성능 최적화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부는 사각형 모향(a), 쐐기(사다리꼴) 모양(b), 둥근 모양(c), 삼각형 모양(d) 등 다양한 형태의 투과부, 흡수부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집광부와 루버부 구조는 서로 평행한 방향 또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도 설계 가능하다.
상기 집광부와 루버부는 패턴을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면 프레넬 렌즈를 제거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집광부가 렌티큘라 렌즈 시트인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한 실린더형 렌티큘라 단위 렌즈들을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루버부는 투과부와 흡수부를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수직 방향으로 투과부와 흡수부를 교대로 배열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1411a)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1411b)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부(1410), 상기 루버부(1410)로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상기 루버부(1510)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투과부(1411a)로 집광하는 집광부(1420), 및, 상기 루버부(141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부(1420)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 프리즘 어레이 시트,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4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1421)을 포함하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1420)를 예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1420)가 포함하는 단위 렌즈(1421)의 직경(D)은 상기 단위 렌즈(1421)의 높이(H)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1420)가 포함하는 단위 렌즈(1421)는 시야각 증가와 스펙클(Speckle) 저감을 위해서 상기 디퓨저(1430) 방향으로 큰 각도로 입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짧은 초점거리가 필요하고, 단위 렌즈(1421)는 직경(D)에 비해 높이(H)가 클수록 짧은 초점거리를 가진다.
하지만, 직경(D)에 비해 높이(H)가 큰 렌즈는 제작성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단위 렌즈(1421)들이 크면, 상황에 따라 시청자의 눈에 단위 렌즈(1421)가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렌즈(1421)의 높이(H)에 비하여 상기 직경(D)를 약 75% 이상 수준의 비율을 가지는 작은 크기의 단위 렌즈(1421)들을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렌즈(1421)의 직경(D)은 상기 투과부(1411a) 및 흡수부(1411b)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렌즈(1421)의 직경(D)은 상기 투과부(1411a) 및 흡수부(1411b)의 폭 대비 약 75%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1420)가 포함하는 단위 렌즈(1421)의 수는, 상기 루버부(1410)가 포함하는 상기 투과부(1411a)의 수보다 많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단위 렌즈(1421)의 수가 상기 투과부(1411a)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단위 렌즈(1421)의 직경(D)은 상기 투과부(1411a)의 입사면 폭(a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 14와 같이 투과부(1411a) 대비 작은 크기의 단위 렌즈(1421)들을 주기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상기 단위 렌즈의 수가 상기 투과부의 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단위 렌즈의 직경은 상기 투과부의 입사면 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루버부(1410)의 투과부(1411a)와 흡수부(1411b)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루버부(1410)의 투과부(1411a) 및/또는 흡수부(1411b)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단의 폭(a2, b2)이 하단의 폭(a1, b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투과부(1411a)는 상단(a2)과 상기 상단(a2)보다 폭이 큰 하단(a1) 중 상기 하단(a1)이 상기 디퓨저(1430)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1411b)는 상단(b1)과 상기 상단(b1)보다 폭이 큰 하단(b2) 중 상기 상단(b1)이 상기 디퓨저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수부는 상단과 상기 상단보다 폭이 큰 하단 중 상기 하단이 상기 디퓨저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루버부의 흡수부의 형상은 좌우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루버부의 흡수부와 투과부는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흡수부와 투과부의 좌우 경사면 면적이 상이하거나, 좌우 경사면 각각이 하단과 이루는 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루버부(1410)의 두께(Tl)가 디퓨저(1430)의 두께(Td)보다 큰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루버부(1410)의 형상을 더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퓨저(1430)는 상기 루버부(1410),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14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T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에서는 단위 렌즈(1421)들이 연속적으로 접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위 렌즈(1421)들은 소정 영역(1425)에서 삭제될 수 있고, 상기 소정 영역(1425)은 상기 투과부(1411a)와 인접하지 않는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렌티큘라 렌즈 시트는 동일/유사 성능의 둔각 프리즘 어레이 시트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와 같은 구조로 대체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구조 개념도로, 프리즘 어레이 시트로 렌티큘라 렌즈 시트를 대체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부는 사각형 모향(a), 쐐기(사다리꼴) 모양(b), 둥근 모양(c), 삼각형 모양(d) 등 다양한 형태의 투과부, 흡수부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집광부는 프리즘 어레이 시트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700)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1730),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1720)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1720)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17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1720)은 상기 프로젝터(1710)로부터 상기 프로젝터(1710)의 영상 투사 방향, 즉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케이스(1730)의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 측 일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1720)도 곡면으로 배치, 고정이 가능하다.
도 17은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1700)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선반 케이스(1730)의 상판 케이스(1731)까지 도시하였다.
선반 케이스(1730)의 상판 케이스(1731)는 물품이 놓여지고,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선반 케이스(1730)의 하판 케이스(1732)는 상판 케이스(1731)와 함께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프로젝터(1710)의 고정 및 상판 케이스(1731), 측면판(1733)을 지지할 수 있다.
하판 케이스(1732)의 윗면은, 수납 공간의 내부 바닥면이 되고, 내부 바닥면에 프로젝터(1710)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선반 케이스(1730)의 측면판(1733)은 하판 케이스(1732)와 일체형 혹은 분리형으로 구성 가능하며, 상판 케이스(1731)/하판 케이스(1732)와 함께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반 케이스(1730)의 내부 수납 공간에는 프로젝터(1710)가 배치된다.
스크린(1720)은 프로젝터(1710)의 전면, 즉, 영상 투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후면에서 투사하는 프로젝터(1710)에서 나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현재 마트, 백화점등 소매 시장(retail market)에서 가격 등 제품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방법으로 종이(paper price tag)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이 태그의 문제점은 가격 정보를 수시로 변경하고자 할 때, 수작업으로 인한 교체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며, 잦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이 태그 대체 방안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ESL (Electronic shelf label, 전자선반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중앙서버에서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하다.
하지만, e-ink로 구현되는 ESL은 검정(black)/회색(grey)/적색(red) 등 단색 표현만 가능하다는 단점과 정지화면만 디스플레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CD)은, 진열대의 긴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막대한 시설투자 필요하고 소비전력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트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 우려 및 교체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선반 가격 표시 방법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프로젝터로 상품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멤스 스캐너(micro-electro-mechenical syste(MEMS) scanner)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대화면이 구현이 가능하고, 가격 이외에도 진열되는 제품의 정보(e.g. 원산지), 이미지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710)는 멤스 스캐너 및 레이저 광원, 광학계 등 광학 부품을 구비하는 광학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멤스 스캐너는 수직 및 수평 구동하여, 시야 범위(Field Of View: FOV)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스캐닝 프로젝터의 개념도를 예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1710)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18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색 광원부(1810R), 녹색 광원부(1810G), 청색 광원부(1810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810R, 1810G, 1810B)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광원부(1810R, 1810G, 1810B)는, 광원 구동부(1885)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구동부(1885)의 전기 신호는 프로세서(187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원부(1810)에서 출력되는 광은 광학계를 거쳐 광 스캐너(1840)로 전달될 수 있다.
각 광원부(1810R, 1810G, 1810B)에서 출력되는 광들은, 집광부(1822) 내의 각 집광 렌즈(collimator lens)를 통해, 시준될 수 있다(collimate).
광합성부(1821)는, 각 광원부(1810R, 1810G, 1810B)에서 출력되는 광을 합성하여 일 방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합성부(1821)는, 소정 개수의 미러, 다이크로익 미러 등 광학 부품 (1821a, 1821b, 1821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합성부(1821a), 제2 광합성부(1821b), 및 제3 광합성부(1821c)는, 각각, 적색 광원부(1810R)에서 출력되는 적색광, 녹색 광원부(1810G)에서 출력되는 녹색광, 청색 광원부(1810B)에서 출력되는 청색광을, 스캐너(1840)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광반사부(1826)는, 광합성부(1821)를 통과한 적색광, 녹색광, 청색을 스캐너(18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광반사부(1826)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를 위해, Total Mirror(TM)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캐너(1840)는, 광원부(1810)으로부터의 가시광(RGB)을, 입력받아, 외부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캐닝 동작을, 외부 스캔 영역의 전체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스캐너(184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RGB)은, 스크린(1802)의 투사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사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1802)이 자유 곡면(free-form)을 가져도, 해당 스크린의 곡면에 대응하여, 투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870)는, 스캐닝 프로젝터(17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프로젝터(171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영상을, 투사 영상으로서, 외부 스캔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70)는, R, G, B 등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1810)를 제어하는 광원 구동부(188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구동부(1885)에, 표시할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R, G, B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70)는, 스캐너(18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외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원부(1810)는, 청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청색 광원부, 녹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녹색 광원부, 및 적색 단일광을 출력하는 적색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광원부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 구동부(1885)는, 프로세서(1870)로부터 수신되는 R, G, B 신호에 대응하여, 광원 구동부(1885) 내의 적색 광원부, 녹색 광원부, 청색 광원부에서, 각각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구동 신호 파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스캐너는 구동 신호 파형에 따라, 수평, 수직으로 스윕(sweep)하며, 초기 픽셀 위치에서 시작하여 최종 픽셀 위치까지 이미지 스캐닝을 수행하고, 스캐닝 과정을 반복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스캐너는, 수직으로는 램프(ramp) 구동, 예를 들어, 톱니 파형(sawtooth)으로 구동되고, 수평으로는 사인파로(Sinusoidal) 구동될 수 있다.
도 19의 (a)는 수직 주기 TV를 가지는 수직 톱니 파형(sawtooth)을 예시하고, 도 19의 (b)는 수평 주기 TH를 가지는 수평 사인 파형을 예시한다. 도 19의 (c)는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액티브 비디오(Active Video) 구간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랭킹(Blanking) 구간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스캐너는, 수직 주기 TV를 가지는 수직 톱니 파형(sawtooth)을 따라,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동안, 수직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스윕(sweep)할 수 있다.
스캐너는, 수직 스윕(Vertical Sweep) 기간 동안에, 수직 방향, 예를 들어, 상부에서 하부로 스윕하고, 플라이 백(Fly-Back) 기간 동안에, 다시 픽셀 최초 위치로 돌아온 후, 다시 새로운 이미지의 스캐닝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는, 수평 주기 TH를 가지는 사인 파형에 따라,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동안, 스윕 주파수(1/TH)로 수평 방향으로 사인파 형태로 스윕할 수 있다.
한편, 수직 스윕(Vertical Sweep) 기간은,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액티브 비디오(Active Video) 구간으로 광원이 온(on)되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플라이 백(Fly Back) 기간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랭킹(Blanking) 구간으로 광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프로젝터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2010), 상기 광원부(2010)에서 출력되는 광을 합성하는 광학계(2020), 상기 합성된 광을 출력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캐닝(Scanning)하는 스캐너(2040), 및, 상기 스캐너(2040)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9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970)는, 상기 광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적외선 광의 패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캐닝 프로젝터는, 광학 엔진(200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엔진(2000)은 광원부(2010), 광학계(2020), 스캐너(20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70)는, 스캐닝 프로젝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프로젝터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70)는, 영상 비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수직 동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캐닝 프로젝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970)는, 메모리(1920)에 저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인터페이스(1935)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영상을, 투사 영상으로서, 외부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970)는, R, G, B 등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2010)를 제어하는 광원 구동부(198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70)는, 광원 구동부(1985)에, 표시할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R, G, B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970)는, 스캐너(20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 스캐닝 및 제2 방향 스캐닝을 순차 및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외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캐닝 프로젝터는 스캐너(2040)를 구동하는 스캐너 구동부(194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970)는, 스캐너(2040)를 제어하는 스캐너 구동부(1945)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90)는 프로세서(19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935)는 스캐닝 프로젝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193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캐닝 프로젝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스캐닝 프로젝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2100)는, 각각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2210, 2220),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2210, 2220)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암(Arm, 2120)과 상기 암(212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메인(main) 프레임(2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2120)은 상기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2210, 2220)의 측면 구조물에 결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2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2110)의 측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2110)과 상기 암(212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열대(2100)는 진열대(2100)의 강성 보강 및 안정적인 배치를 위하여 진열대 하단의 지지부(2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2110)은 지지부(213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열대(2100)는, 메인 프레임(2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2210, 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2210, 2220)은, 각각,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스캐닝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스크린: 600
루버부: 610
집광부: 620
디퓨저: 630

Claims (10)

  1.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Louver)부;
    상기 루버부로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상기 루버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투과부로 집광하는 집광부; 및
    상기 루버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렌티큘라 렌즈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가 포함하는 단위 렌즈의 직경은 상기 단위 렌즈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 시트가 포함하는 단위 렌즈의 수는, 상기 루버부가 포함하는 상기 투과부의 수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렌즈의 수가 상기 투과부의 수가 같은 경우에, 상기 단위 렌즈의 직경은 상기 투과부의 입사면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렌즈의 수가 상기 투과부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단위 렌즈의 직경은 상기 투과부의 입사면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흡수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는 상단과 상기 상단보다 폭이 큰 하단 중 상기 하단이 상기 디퓨저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의 상기 투과부와 상기 흡수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수부는 상단과 상기 상단보다 폭이 큰 하단 중 상기 상단이 상기 디퓨저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프리즘 어레이 시트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10.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선반 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의 전면에 배치되는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 영상을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스캐닝(Scanning)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
    상기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흡수부가 교대로 배열되는 루버(Louver)부,
    상기 루버부로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상기 루버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투과부로 집광하는 집광부, 및,
    상기 루버부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160088764A 2016-07-13 2016-07-13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KR20180007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64A KR20180007566A (ko) 2016-07-13 2016-07-13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PCT/KR2017/007349 WO2018012822A1 (ko) 2016-07-13 2017-07-10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64A KR20180007566A (ko) 2016-07-13 2016-07-13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66A true KR20180007566A (ko) 2018-01-23

Family

ID=6095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64A KR20180007566A (ko) 2016-07-13 2016-07-13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07566A (ko)
WO (1) WO20180128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253A (ja) * 2001-01-04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KR100940762B1 (ko) * 2004-01-08 2010-02-11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배면 투사형 스크린용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면 투사형 스크린
JP4238757B2 (ja) * 2004-03-1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891219B2 (ja) * 2007-12-28 2012-03-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筐体
KR101303411B1 (ko) * 2011-10-10 2013-09-05 (주)엘지하우시스 배면 투사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822A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09B2 (en) Combined visible and non-visible projection system
US7511771B2 (en) Color imag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EP2785059B1 (en) Laser projector
US20050206853A1 (en) Split image optical display
CN101405651A (zh) 图像投射装置、图像投射屏和图像显示系统
US6597417B1 (en) Optical panel having black material between apexes of serrations on the inlet face
US20090153958A1 (en) Display screen for use in front projectors
US20110069242A1 (en) Projection desplay apparatus
CN108931881B (zh) 扫描投影仪
CN110750041A (zh) 基于空间光调制器的光场三维成像装置及系统
KR20180007566A (ko)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용 후면 투사 방식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WO2023276921A1 (ja) 空中浮遊映像表示装置
CN110114815A (zh) 投影型影像显示装置和用于该装置的影像显示方法
JP6028917B2 (ja) 表示装置
CN211928311U (zh) 显示光学系统及头戴设备
JP2014119687A (ja) 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596100B1 (ko) 스캐닝 프로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디스플레이 모듈
WO2022270384A1 (ja) 空中浮遊映像表示システム
CN210803998U (zh) 基于空间光调制器的光场三维成像装置
KR101315981B1 (ko) 프로젝터
US20230296868A1 (en) Reflective pupil relay optics for mems scanning system
WO2022138036A1 (ja) 空間浮遊映像表示装置および光源装置
US20140176815A1 (en) Video Projection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CN101109894A (zh) 台式大尺寸成像设备
KR101999425B1 (ko) 허상 투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