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247A - 이동형 사격 부스 - Google Patents

이동형 사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247A
KR20180007247A KR1020160088241A KR20160088241A KR20180007247A KR 20180007247 A KR20180007247 A KR 20180007247A KR 1020160088241 A KR1020160088241 A KR 1020160088241A KR 20160088241 A KR20160088241 A KR 20160088241A KR 20180007247 A KR20180007247 A KR 2018000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upper frame
booth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출
Original Assignee
박병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출 filed Critical 박병출
Priority to KR102016008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247A/ko
Publication of KR2018000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41J11/02Safety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08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for inhibiting firing in a specified direction, e.g. at a friendly person or at a protected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이동 가능한 사격 부스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사격 부스는, 사격장의 지면 상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사수가 사격자세를 취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하여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사수가 사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0); 그리고 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잡을 수 있는 다수의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전방부분을 사격을 위하여 열린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0)은 모터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다.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윈도우(50)가 성형되어 있고, 사격 부스의 내부 전방에는 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총기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사격 부스{A movable shooting booth}
본 발명은 사격 훈련장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사격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격을 실시하는 사수의 측면을 공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사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사격장은 군사 훈련 또는 스포츠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격장에서, 사수는 인접하는 옆으로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사로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방에 있는 표적을 향하여 실탄을 발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격장에서는 이와 같이 실탄을 발사하기 때문에, 안전 사고도 문제 시 될 뿐만 아니라 고의적인 사고도 문제 시 되고 있다.
현재의 사격장에 마련된 시스템으로써는, 옆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사수들을 관리인력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옆으로 나란하게 서 있는 사수들은 실제로 모든 사수의 총에 대한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15324 B1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386051 B1에서 제안된 기술에서도, 옆에 위치하고 있는 각 사수들에 대한 기본적인 안전 대책은 충분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 특허 등록 제10-1592142호로 등록된 밀폐 부스형 사로를 구비한 사격훈련 통제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여기서 제안된 시스템은 사로 전체에 대하여 일렬로 부스를 설치하고 이를 통제실에 의하여 통제하도록 함으로써, 사격 훈련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제안한 것은 전체적인 사격 통제 시스템이기 때문에, 모든 시스템을 구성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 및 경제력이 필요한 단점이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사격장에서 일렬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로 사격을 실시하는 사수를 인접한 측면 방향에 대하여 완전히 격리시키거나, 인접한 측면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차단시킴으로서, 사격장에서 총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사격용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사수가 인접한 측방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차단될 수 있음과 같이 이동형으로 만들어서 필요한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사격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수가 사격할 수 있도록 병렬로(옆에서 인접하도록 다수가 배열됨) 다수의 사격용 부스를 선택적으로 원하는 갯수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욱이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켜 사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격 훈련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발생 및 예상하지 못한 총기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사격 부스는, 사격장의 지면 상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사수가 사격자세를 취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하여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사수가 사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 그리고 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잡을 수 있는 다수의 손잡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전방부분을 사격을 위하여 열린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격 부스는,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개폐하기 위한 자동개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개폐장치에 대한 실시례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을 개폐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례에 의하면,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윈도우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사격 부스의 내부 전방에는 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총기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수가 사격을 실시하는 동안 사수를 인접한 양측의 옆 사로에 대하여 완전히 격리(차단)함으로써 실탄의 발사에 의한 인접한 사람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측면에 대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 발명의 사격용 부스는, 실질적으로 이동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두 명 또는 네 명이 손쉽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격장 전체에 대한 큰 구조물의 설치를 전제로 하지 않고 간단한 부스만을 선택적으로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안전 사고의 방지하는 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격용 부스는, 실질적으로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격용 부스는 선택적으로 원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 그리고 사격장의 환경 조건에 따라서 원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의 사격용 부스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사격용 부스를 후방에서 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2실시례의 사격용 부스를 후방에서 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례를 도시하고 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격 부스는, 지면에 놓아지면서 상부에는 사수가 위치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브프레임(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 사이에는, 사수가 들어가서 사격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R)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저면(12)과, 상기 저면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하부측벽(14,1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0)은, 천정(22)과, 상기 천정(22)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상부측벽(24,26)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0)의 하부측벽(14,16)과 상부프레임(20)의 상부측벽(24,26)은, 실질적으로 사격 부스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측벽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 사이에서 사수가 사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사격 부스는,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 사이에서 사수가 들어가서 사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 충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실시례로써,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의 적어도 하나에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사격 부스의 전면은 열린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격부스의 전면을 열린 상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사수가 전면을 통하여 사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사격 부스의 후면은, 열린 상태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닫히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격부스의 내부 전방측에는 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총기거치대(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례에서, 하부프레임(10)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레그(15,17)가 설치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32)은, 상부프레임(20) 및 하부프레임(10)의 어느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 있어서는, 상부프레임(20)이 하부프레임(10)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상부프레임(20)의 닫힌 상태를, 그리고 도 3은 상부프레임(20)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상부프레임(20) 및 하부프렝미(10) 사이의 전방면(F)은 사격을 위하여 열린 상태로 성형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부프레임(20)의 개폐 구조와 관련하여, 먼저 상부프레임(20)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구성과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수동으로 상부프레임(20)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32)은 하부프레임(10)의 전방 양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2)에 상부프레임(20)의 전방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20)을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상부프레임(20)을 개폐하는 것은 예를 들며 힌지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이고, 상술한 회전축(32)은 힌지축이라고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동식 개폐 이외에 모터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20)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32)을 상부프레임(20)의 일측(예를 들면 도면 상의 우측)에 고정하고, 이러한 회전축(32)을 모터어셈블리(30)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어셈블리(3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어셈블리(3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예를 들면 기어 등과 같은 동력전달요소를 통하여 회전축(32)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모터어셈블리(30)에서 발생하는 정회역 방향의 회전력은 회전축(32)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프레임(20)을 열게 되고(도 3 참조), 그 반대 방향의 역회전 방향의 회전력은 상부프레임(20)을 닫게(도 2 참조) 될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터 및 감속기가 내장된 모터어셈블리가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고, 이러한 모터어셈블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32)이 끼워질 수 있는 중공형의 장착공이 마련되어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부프레임(20)의 개폐에 더욱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례의 사격부스에 의하면,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에는 각각 측벽(14,16,24,26)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측벽에 의하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측벽은, 실질적으로 부스 내부에 사격을 위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벽을 성형하지 않으면서도 사격 부스 내부에 사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상부프레임(20)을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측벽(14,16,24,26)은 상부프레임(20) 또는 하부프레임(10)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은, 그 사이에서 사격을 위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이러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그 형상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격부스는 이동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두명 이상의 인원이 들어서 옮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사격 부스에 다수의 손잡이(3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는, 사람이 잡고 사격 부스를 들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형상 등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38)는 예를 들면 하부프레임 또는 상부프레임의 양측면에 다수 개로 성형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프레임(20)이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상부프레임(20)을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로커(48)가 상부프레임(20) 및 하부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격부스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윈도우(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윈도우(50)는, 예를 들면 사격 준비가 완료된 사수에게 탄창을 지급하는 탄창구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상부프레임(20)의 측면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윈도우(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부프레임(20)의 천정(22)에 성형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사격 부스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는 비상용 버튼(4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용 버튼(42)은, 사격부스의 내부에서 사격을 실시하는 사수가 외부에 대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상용 버튼(42)은 총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같이 사격 중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버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용 버튼(42)이 작동 되면, 외부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비상용 램프(44)가 사격 부스의 외측,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비상용버튼(42)은 사격 부스의 내부에서 사수의 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 부분에 설치되고, 비상용 램프(44)는 외부에서 인식하기 쉽고 안전한 위치라고 생각되는 부분, 예를 들면 후방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격부스의 내부에는 스피커(4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46)는, 예를 들면 사격 통제실(도시 생략)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사격 부스의 내부에서 더욱 잘 듣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격 훈련 또는 연습의 진행을 위한 통제자의 음성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46)를 통하여 사격 부스의 내부에서도 충분히 출력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하여 사격 중인 사수들을 보다 쉽게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예를 들면 통제실에서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격 부스의 내부에는, 사수가 위치하고 있는 내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도시 생략)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내부 상황에 대한 영상데이터는 예를 들면 사격 통제실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및 기록장치에 의하여 얻어지는 영상 및 음성 정보는 사격 진행 시 사수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려주거나 사고 발생 시 사수의 상태 등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제공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부프레임(20)이 닫히게 되면, 그 내부 폭은 사격을 실시하는 총기의 길이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사고 발생 방지에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사격장에서의 고의적인 사고는 주로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격부스의 내부에서는 총구 측면을 향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사격부스(하부 및 상부프레임)의 폭을 총기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격부스의 내면에는 사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재를 부착하여, 사격 시 발생하는 총성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10) 또는 상부프레임(20)의 일부를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격부스의 일부를 투시 가능한 재질로 성형하게 되면, 내부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격 통제자가 사수의 현재 상태 및 이상상황 등을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한 실시례에 있어서는, 하나의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10 ..... 하부프레임
14, 16 ..... 하부측벽
20 ..... 상부프레임
22 ..... 천정
24, 26 ..... 상부측벽
30 ..... 모터어셈블리
32 ..... 지지축
42 ..... 비상용 버튼
46 ..... 스피커

Claims (5)

  1. 사격장의 지면 상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사수가 사격자세를 취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하여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사수가 사격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을 위하여 잡을 수 있는 다수의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전방부분을 사격을 위하여 열린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개폐하기 위한 자동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격 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개폐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을 개폐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사격 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윈도우가 성형되는 사격 부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사격 부스의 내부 전방에는 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총기거치대가 구비되는 사격 부스.
KR1020160088241A 2016-07-12 2016-07-12 이동형 사격 부스 KR2018000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241A KR20180007247A (ko) 2016-07-12 2016-07-12 이동형 사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241A KR20180007247A (ko) 2016-07-12 2016-07-12 이동형 사격 부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97A Division KR20180048545A (ko) 2018-05-02 2018-05-02 이동형 사격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247A true KR20180007247A (ko) 2018-01-22

Family

ID=6109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241A KR20180007247A (ko) 2016-07-12 2016-07-12 이동형 사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2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671A (en) * 1994-08-26 1996-08-13 High Gear Inc.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KR101592142B1 (ko) * 2015-05-22 2016-02-04 박병출 밀폐 부스형 사로를 구비한 사격 훈련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4671A (en) * 1994-08-26 1996-08-13 High Gear Inc.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KR101592142B1 (ko) * 2015-05-22 2016-02-04 박병출 밀폐 부스형 사로를 구비한 사격 훈련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257B2 (en) Radio controlled combat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685544B2 (en) Remotely-controlled magnetic surveillance and attack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8186109B2 (en) Re-configurable armored tactical personnel and collective training facility
DE60212144T2 (de) Aufstellbare Überwachungsvorrichtung mit selbst aufrichtendem Gehäuse und ein zugehöriges Verfahren
US10088280B2 (en) Control module for autonomous target system
KR101170076B1 (ko) 환기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한 실내사격장의 구조
US20070117503A1 (en) Airflow ceiling ventilation system for an armored tactical personnel and collective training facility
CN109780940B (zh) 一种基于拟态射击训练靶场的射击训练方法
KR101286613B1 (ko) 실내 사격장 사대 장치
KR101592142B1 (ko) 밀폐 부스형 사로를 구비한 사격 훈련통제 시스템
US20210348888A1 (en) Active Shooter Shield System
KR100829179B1 (ko) 다목적 초기 진압용 무인 경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8545A (ko) 이동형 사격 부스
KR20180007247A (ko) 이동형 사격 부스
KR102187298B1 (ko)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KR20150103572A (ko) 군사용 산병호(散兵壕)
US20190234701A1 (en) Remotely controlled turret system for military and law enforcement training
CN215443326U (zh) 一种模块化战术射击训练房
CN109827476B (zh) 一种射击训练靶场
US3466969A (en) Guided missile aiming and tracking device in form of self-contained unit
US20240017394A1 (en) Active shooter response robot
US20220341713A1 (en) Active shooter monitoring and incapacitation system
KR102007461B1 (ko)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RU226981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хвата самолета или террористического акта на нем и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самолета
KR102642196B1 (ko)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9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02

Effective date: 2019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