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657A -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 Google Patents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657A
KR20180006657A KR1020160087287A KR20160087287A KR20180006657A KR 20180006657 A KR20180006657 A KR 20180006657A KR 1020160087287 A KR1020160087287 A KR 1020160087287A KR 20160087287 A KR20160087287 A KR 20160087287A KR 20180006657 A KR20180006657 A KR 2018000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pact
infusion pump
medici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598B1 (ko
Inventor
윤치성
최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Priority to KR102016008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주입 펌프와 의료진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이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에게 부여된 의약품 주입 펌프의 의약품 주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병원내 뿐만 아니라 병원 밖에서도 환자에게 의약품 주입이 가능하고, 환자의 의약품 주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유-헬스케어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 정보를 USB 메모리를 통해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 주입 정보를 수동 입력시 발생되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의약품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의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작동되는 상태에서의 사용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Electronic handheld cylindrical drug infusion pump which is capable of detec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impact}
본 발명은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기관에서 의약품을 자동으로 정량 주입할 수 있으며 의약품 주입 상태를 무선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충격에 의한 파손 여부의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진단, 검사 및 치료를 목적으로 주사기나 주입기 등을 이용해 의약품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의약품을 장시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주입해야 하는 경우, 자동 주사기 펌프를 사용한다. 상기 자동 주사기 펌프는 의약품을 정량, 정속 주입하는 의료기기이다. 상기 자동 주사기 펌프는, 주사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의약품 주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주사기의 플런저부를 원하는 속도로 가압하는 전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주사기 펌프는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입력하는 의약품 주입 정보에 따라 주입 속도 등이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주사기 펌프는, 간호사가 의약품 주입 정보를 자동 주사기 펌프에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간호사 등의 사용자의 착오나 실수로 인해 의약품 주입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940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오작동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방지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에 있어서, 의약품을 주입하는 주사기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부를 직선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와 상기 구동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사기로부터 주사되는 의약품 주입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를 무선 통신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의료진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저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충격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리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의 파손 가능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약품 주입 펌프와 의료진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이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에게 부여된 의약품 주입 펌프의 의약품 주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병원내 뿐만 아니라 병원 밖에서도 환자에게 의약품 주입이 가능하고, 환자의 의약품 주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유-헬스케어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 정보를 USB 메모리를 통해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 주입 정보를 수동 입력시 발생되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의약품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가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 여부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오작동하는 상태에서의 사용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약품 주입 펌프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의 충격 파손 여부의 진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의 충격 파손 여부의 진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약품 주입 펌프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10)는, 주사기(30), 하우징(20), 구동 유닛(50), 센서부(12), 데이터 통신부(14), USB포트(110), 충격 감지부(19) 및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기(30)는, 의약품이 수용되는 실린더부(31), 상기 실린더부(31)에 삽입되어 상기 의약품을 밀어내는 플런저부(32) 및 상기 실린더부(31)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의약품을 튜브나 환자의 신체에 주입하기 위한 바늘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기(30)는, 상기 하우징(20)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마취제, 항암제, 호르몬제 등의 약물은 물론, 일상 생활 중 사용될 수 있는 진통제, 호르몬제 등의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늘부(33)에는 의약품 주입을 위한 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주사기(30)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30)가 수용되는 주사기 수용부를 형성한다. 상기 주사기 수용부에는, 상기 주사기(30)의 실린더부(31)를 고정시키는 주사기 홀더(40)가 구비된다.
상기 주사기 홀더(40)는,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사기 홀더(40)는, 홀더부(41), 탄성부재(42) 및 로드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41)는, 내측면이 상기 실린더부(31)에 밀착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41)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일단은 상기 홀더부(4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홀더부(41)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사용자가 상기 홀더부(41)를 놓으면 탄성적으로 복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로드부(43)의 외측에 끼워진다. 상기 로드부(43)의 상단은 상기 홀더부(41)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주사기(30)의 결합시 사용자가 상기 주사기 홀더(40)를 손으로 잡아 당겼다가 상기 주사기(30)를 상기 주사기 수용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주사기 홀더(40)를 놓으면, 상기 주사기 홀더(40)가 상기 실린더부(31)에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부(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환자를 간호하는 보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50)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30)의 플런저부(32)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 유닛(50)은, 상기 플런저부(32)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플런저부(32)를 밀어내는 구동 패널과, 상기 구동 패널을 직선 이동시키는 모터와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BLDC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30)와 상기 구동 유닛(5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사기(30)로부터 주사되는 의약품 주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플런저부(32)나 상기 구동 패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나 상기 바늘부(33)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감지하는 기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 감지 센서는, 상기 바늘부(33)나 상기 바늘부(33)에 연결된 관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감지한다. 상기 기포 감지 센서는 공기의 전압과 액체의 전압이 서로 다른 것을 통해 기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는, 폐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색 감지 센서는, 상기 바늘부(33)에 연결된 관이 막혀서 의약품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폐색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폐색 감지 센서는 감지되는 전류의 차이를 이용하여 폐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4)는, 상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 상태를 무선 통신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의료진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14)는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외에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의료진 개인용 PC,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환자의 진료 기록이나 의약품 주입 기록 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USB 포트(110)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정보가 저장된 USB 메모리(120)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60)와, 상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 상태나 상기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60)는, 전원 인가 버튼, 정지 버튼, 기능을 안내하는 메뉴 버튼, 시작 버튼, 홀드 버튼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70)에는 상기 무선 통신의 신호 상태와 배터리 잔량도 함께 표시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 홀(1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보부(16)는 상기 제어부(11)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USB 메모리(12)에 저장된 아이디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미리 설정된 펌프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주사기(30)의 의약품 주입이 완료되거나 상기 주사기(30)의 작동 등이 멈추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지부(19)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정보(예, 충격량)을 측정한다. 상기 충격 감지부(19)는 피에조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입력부(60)와 상기 USB 메모리(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50)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부(14)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충격량에 따라 상기 의약품 주입 장치(1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한다. 이로부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의약품 주입 장치(10)의 정상 작동/비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방법은, 먼저, 의사가 환자에 대한 의약품 주입정보를 의료진 단말기(100)를 통해 처방한다.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에 의약품 주입정보가 처방되면,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에 상기 USB 메모리(120)를 직접 연결하거나,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병원의 중앙 서버(미도시)에 상기 USB 메모리(120)를 연결하거나,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나 상기 중앙 서버(미도시)와 통신하는 간호사의 단말기(미도시)에 상기 USB 메모리(12)를 연결하여, 처방된 의약품 주입정보를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것은, 상기 의사나 간호사가 할 수 있다. (S11) 상기 의약품 주입정보는 의약품 정보, 의약품 주입 용량, 주입 속도 및 주입 시간 등을 포함한다. 상기 USB 메모리(120)에는 환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설정된 아이디도 함께 저장된다. 상기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정보가 상기 USB 메모리(120)에 그대로 저장됨으로써, 간호사가 수동으로 의약품 주입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USB 메모리(120)에 상기 의약품 주입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간호사가 상기 USB 메모리(120)를 상기 환자에게 부여된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USB 포트(110)에 연결한다.(S12)
상기 USB 메모리(120)가 상기 USB 포트(110)에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된 아이디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설정된 아이디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13)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된 아이디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설정된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경보부(16)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로 아이디 불일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간에 USB 메모리(120)가 바뀌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된 아이디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설정된 아이디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구동 유닛(50)을 작동시켜 상기 주사기(30)를 작동시킨다. 상기 USB 메모리(120)에 저장된 의약품 주입 용량, 주입 속도 및 주입 시간에 따라 상기 주사기(30)가 작동될 수 있다.(S14)
상기 주사기(3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센서부(12)가 상기 주사기(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한다.(S15)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상기 주사기(30)의 작동상태에 따른 의약품 주입상태에 대한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6)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에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은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17)
또한,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는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보호자도 의약품 주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는, 병원내 뿐만 아니라 병원 밖에서도 환자를 관리하고 비상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 헬스케어(Ubiquitous Health care)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는, 의료진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주입 펌프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기 환자에 대한 의약품 주입 정보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를 통해 처방하면,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을 통해 처방된 의약품 주입 정보를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로 직접 전송한다.(S21)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는,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S22) 즉,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에 상기 의약품 주입 정보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구동 유닛(50)을 작동시켜 상기 주사기(30)를 작동시킨다.
상기 주사기(3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센서부(12)가 상기 주사기(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한다.(S23)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에서 감지한 상기 주사기(30)의 작동상태에 따른 의약품 주입상태에 대한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4)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에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은 상기 의료진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25)
또한, 상기 의약품 주입상태는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보호자도 의약품 주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충격 파손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충격 감지부(19)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한다.(S31) 만일,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표시부(70)에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가 비정상 작동 중임을 안내함과 동시에 AS를 요청해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S32, S33) 그리고,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34) 만일, 비정상 작동 중의 의약품 주입 펌프(10)가 사용될 경우, 환자에게 정확한 양의 약품이 투입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게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해소된다.
하지만,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표시부(70)에 상기 약품 주입 펌프(10)가 정상 작동 중임을 표시하여, 의료진이 안심하고 상기 약품 주입 펌프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S35)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충격 파손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충격 감지부(19)가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한다.(S41) 만일,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 값보다 클 경우, 자가 검진(진단)을 수행한다.(S42, S43) 상기 자가 검진은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부(32)를 최대 이동(약품의 최대 주입 상태)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센서부(12)에서 수신되는 값과 저장되어 있는 최대 이동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서부(12)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런저부(32)를 최소 이동한 상태에서 자가 검진을 수행할 수도 있고, 설정 위치에서의 자가 검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자가 검진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50)에 기 저장된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한 후, 수행된 결과(예를 들면, 상기 플런저부(32)의 이동 변위)와 저장되어 있는 값을 비교하여, 상기 구동 유닛(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2) 및 상기 구동 유닛(50)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정상 작동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자가 검진 결과로부터 비정상 작동임이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70)에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가 비정상 작동 중임을 안내함과 동시에 AS를 요청해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S44, S45) 그리고, 상기 의약품 주입 펌프(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46)
하지만,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 값 이하이거나(S42) 상기 자가 검진 결과로부터 정상 작동 중임이 판단되면(S44), 상기 표시부(70)에 상기 약품 주입 펌프(10)가 정상 작동 중임을 표시하여, 의료진이 안심하고 상기 약품 주입 펌프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S47)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의약품 주입 펌프 11: 제어부
12: 센서부 14: 데이터 통신부
16: 경보부 19: 충격 감지부
20: 하우징 30: 주사기
31: 실린더부 32: 플런저부
33: 바늘부 40: 주사기 홀더
50: 구동 유닛 100: 의료진 단말기
110: USB 포트 120: USB 메모리

Claims (9)

  1.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에 있어서,
    의약품을 주입하는 주사기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부를 직선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와 상기 구동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사기로부터 주사되는 의약품 주입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를 무선 통신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의료진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정보가 저장된 저장 장치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저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를 상기 의료진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충격정보로부터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리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의 파손 가능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정보는 충격량이며,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이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표시부에 AS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리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정보는 충격량이며,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이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구동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자가 진단하며,
    상기 자가 진단으로부터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령 의약품 주입펌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며, 상기 표시부에 AS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리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에는 펌프 아이디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아이디가 상기 펌프 아이디와 일치하면 상기 구동 유닛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아이디가 상기 펌프 아이디와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USB 메모리이고, 상기 포트는 USB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NFC를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의약품 주입상태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무선통신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 주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상기 의약품 주입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신축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부에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고정시키는 주사기 홀더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KR1020160087287A 2016-07-11 2016-07-11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KR10184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87A KR101842598B1 (ko) 2016-07-11 2016-07-11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87A KR101842598B1 (ko) 2016-07-11 2016-07-11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57A true KR20180006657A (ko) 2018-01-19
KR101842598B1 KR101842598B1 (ko) 2018-03-29

Family

ID=6102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87A KR101842598B1 (ko) 2016-07-11 2016-07-11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32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바른기술 병렬 인터페이스 보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6031B2 (en) * 2008-04-01 2017-05-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methods and systems
JP5457364B2 (ja) * 2008-10-06 2014-04-02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ポンプ
US8454557B1 (en) * 2012-07-19 2013-06-04 Asante Solutions, Inc. Infusion pump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32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바른기술 병렬 인터페이스 보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98B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653B2 (en) Injection device configured to mate with a mobile device
US11519768B2 (en) Flow sensor system with connection assembly
JP4615926B2 (ja) 無線自動認識デバイス(rfid)及び薬剤自動認識システム
US11415440B2 (en) Flow sensor system including spring contacts
KR20160133774A (ko)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방법
WO2007116862A1 (ja) 薬液注入装置
KR101842598B1 (ko) 충격 파손 진단이 가능한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CN110740770B (zh) 从注射器的操作收获能量
JP2019170452A (ja) 薬液注入システム、薬液注入装置、薬液注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