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723A -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723A
KR20180005723A KR1020180000811A KR20180000811A KR20180005723A KR 20180005723 A KR20180005723 A KR 20180005723A KR 1020180000811 A KR1020180000811 A KR 1020180000811A KR 20180000811 A KR20180000811 A KR 20180000811A KR 20180005723 A KR20180005723 A KR 2018000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resent
expression
obesity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047B1 (ko
Inventor
정용지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주)케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젠 filed Critical (주)케어젠
Priority to KR102018000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0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지방분해 인자인 pHSL 및 AMPK-α1, CGI-58의 발현을 증가시켜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함으로써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을 나타내는 아디포넥틴, AMPK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글루코오스 수송로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수용체 신호전달 단백질인 IRS-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당뇨병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비만 및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Peptides having Anti-obesity and Anti-Diabetes Effect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성장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음식물에서 얻는 지방분의 섭취량에 증가하였으며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비만은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마른 체형을 좋아하는 미용적인 모습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들이 취급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 장관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 주는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대표적인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의 약물은 부작용으로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DeFronzo, 1988),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질환이다. 최근 비만률, 특히 복부 비만의 증가로 인하여 당뇨의 발생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당뇨 환자의 수는 2000년 전세계적으로 1억 7천만 명으로 평가 되었고, 2030년에 3억 7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최근 분석에 의하면 2008년에 이미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5천만 명에 이르렀다고 보고되어(Danaei et al.. 2011),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2형 당뇨 환자의 약 80% 이상이 비만인 것에 비해 비만 환자의 단지 10% 미만이 당뇨로 보고되어(Harris et al.. 1987) 있다. 이런 당뇨와 비만의 연관성은 아디포카인들(adipokine)과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의 불규칙적인 분비로 인하여 지방산이 베타세포나 신장, 간, 심장 등 인슐린 민감성 조직 내에 쌓여 지방 독성(lipotoxicity)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신체에서 여러 병적 증상이 수반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망막병증,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혈관 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혈당 관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혈당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생활습관 고정(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 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이 요법이나 운동 요법은 엄격한 관리 및 실시가 곤란하며, 그 효과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당뇨 환자들은 생활 습관의 교정과 더불어 인슐린,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그리고 혈당 강하제 등의 약물에 혈당조절에 의존하고 있다.
재조합 방법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인슐린은 1형 당뇨환자 및 혈당조절이 되지 않는 이형 환자에 필수적인 약물로 혈당 조절에 있어서 유리하지만, 주사침에 대한 거부감, 투여 방법의 어려움, 저혈당위험, 그리고 체중증가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인슐린 분비 촉진제의 일종인 메글리티나이드계는 약효가 매우 빠른 제제로 식전에 복용하며, 노보넘(레파글리나이드), 파스틱(나테글리나이드), 글루패스트(미티글리나이드) 등이 있다.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는 단독으로 복용 시 저혈당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며,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계열 약물인 메트포르민(metformin)과 치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 계열의 아반이다(로지글리타존), 액토스(피오글리타존) 등이 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약물로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작용을 이용하여 개발된 GLP-1 아고니스트(agonist)가 있으며, 엑센나타이드(exenatide)와 빅토자(liraglutide)가 여기에 해당된다. 또한 GLP-1을 신속하게 불활성화시키는 효소인 DPP-4(Dipeptidyl peptidase-4)의 작용을 억제하는 DPP-4 억제제(Inhibitor)도 최근 개발된 신약이며,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 sitagliptin)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간독성, 위장장애, 심혈관계 질환 및 발암성 등의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연간 치료 비용 또한 높아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장애가 되고 있다. 실제로 전 당뇨병 (pre-diabetes) 및 당뇨병 관련 비용은 2007년을 기준으로 미국에서만 약 200조원에 육박하며(Dall et al., 2010), 비만 관련 비용 또한 2008년 기준으로 미국에서만 150조원에 육박한다(Finkelstein et al., 2009). 따라서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어서 당뇨병 및 비만성 당뇨병의 치료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적은 약제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우선, 비만 치료를 위한 보다 개선된 방법을 찾기 위해여 최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기전에 관심을 갖게 되고, 이쪽 계열의 화합물이 보다 높은 안전성(낮은 독성)을 가져야 한다는 전제하에 인간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을 때 지방으로 축적되는 시그널과 지방축적에 영향을 끼치는 단백질들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런 지방 축적의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시그널 연구 및 관여 단백질의 연구를 통해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연구 및 펩타이드를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들은 당뇨병 및 비만으로 유도되는 당뇨병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고지방식이로 인해 유발되는 지방 축적, 간이나, 근육 등의 지방 축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인슐린의 시그널 억제, 이로 인해 유발되는 인슐린의 내성이 당뇨병의 원인이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다수의 우수한 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다수의 우수한 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지방분해 인자인 pHSL 및 AMPK-α1, CGI-58의 발현을 증가시켜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함으로써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만”은 체내에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지방 분해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지방 분해 효과는 지방분해 효소인 pHSL(phospho-hormone-sensitive lipase) 및 지방분해 인자인 CGI-58(Comparative Gene Identification-58)의 발현 증가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HSL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저장되어 있던 중성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 시 지방세포에 저장되어 있는 중성지방이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되어 방출된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지방세포에 저장되어 있던 중성지방을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시켜 세포 밖으로 방출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지방세포 밖으로 중성지방 분해산물인 글리세롤의 분비가 증가하였다. 지방조직에서 중성지방을 유리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해주는 효소인 HSL의 유전자 발현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지방조직에서의 HSL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한 지방 분해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1서열 또는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을 나타내는 아디포넥틴, AMPK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글루코오스 수송로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수용체 신호전달 단백질인 IRS-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당뇨”는 포도당-비관용(intolerance)을 초래하는 인슐린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부족으로 특징되는 만성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당뇨는 바람직하게는 제2형이다. 제2형 당뇨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서, 식사 후 불충분한 인슐린 분비에 의해 초래되거나 또는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초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저항성 조건에서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경우, 혈중 아디포넥틴이 감소되며 인슐린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약제의 투여 등에 의해서 인슐린저항성이 개선되면 아디포넥틴이 증가한다(당뇨병 제31권 제6호 2007, 새롭게 진단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중 Adiponectin의 특성). 즉, 인슐린저항성 조건에서 아디포넥틴을 증가시키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저항성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당뇨병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저항성 조건에서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GULT4는 인슐린 수송로로서 인슐린에 의한 자극이 오면 세포 내 GULT4는 원형질막(plasma membrane)으로 이동하여 포도당 수송을 촉진한다. 따라서, GLUT4는 혈중 글루코오스의 세포 내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즉, 글루코오스 수송에 관여하는 GLUT4의 활성 및 발현이 증가할수록 항당뇨 효과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저항성 조건에서 IRS-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IRS-1, 2(insulin receptor substrate 1, 2)는 인슐린 기질 단백질로서 여기에 p85가 결합하면 PI3K(phosphatidylinositol 3 kinase)가 Akt 등 매개체에 의해 전달되고 당 수송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저항성 조건에서 AMPK-α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AMPK는 세포 내의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센서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대사성 스트레스나 운동에 의해 세포 내의 에너지가 감소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ATP를 소비하는 과정(예를 들어, 지방산 합성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ATP를 생산하는 과정(예를 들어, 지방산 산화와 해당과정)을 촉진한다(Hardie DG: AMP-activated/SNF1 protein kinases: conserved guardians of cellular energy. Nat Rev Mol Cell Biol 8:774-785, 2007). AMPK의 활성화에 대한 효과는 에너지 대사 조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표적장기(간, 근육, 지방, 췌장)에 관여되어 있다(Zhang BB, Zhou G, Li C: AMPK: an emerging drug target for 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Cell Metab 9:407-416, 2009). 간에서 AMPK가 활성화가 되면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하고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한다. 골격근에서 AMPK가 활성화되면 지방산의 산화와 당 흡수를 촉진하며 지방세포에서는 지방분해와 지방생성을 억제한다. 또한 AMPK의 활성화 및 발현 증가는 간 내 당 생성 억제를 통해 혈당저하를 유도한다(Foretz M, et al., Diabetes 54:1331-1339, 2005, Lochhead PA, et al., Diabetes 49:896-903, 200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solid-phase synthesis techniques; Merrifield, J. Amer. Chem. Soc. 85:2149-54(1963);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2nd. ed., Pierce Chem. Co.: Rockford, 111(1984)) 또는 액상 합성 기술(US 등록특허 제5,516,891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 부위를 선정하고 그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N-말단 또는 C-말단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생체내 투여시의 반감기를 증가시킨 높은 반감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C-말단은 히드록시기(-OH), 아미노기(-NH2), 아자이드(-NHNH2) 등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아미노산의 변형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정성”은 인 비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상술한 보호기는 생체 내의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지질을 분해하는 기능이 탁월하여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복합체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펩타이드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근육 주입,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복강 주입, 국소 투여,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당 0.0001-1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당뇨병 동물 모델에서 증가된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인슐린저항성 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지방분해 인자인 pHSL 및 AMPK-α1, CGI-58의 발현을 증가시켜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함으로써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을 나타내는 아디포넥틴, AMPK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글루코오스 수송로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수용체 신호전달 단백질인 IRS-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당뇨병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ⅲ)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비만 및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축적된 지방을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a), (b)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c), (d)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2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글라이세롤의 분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CGI-58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4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를 마우스의 지방 조직에 처리한 후 지방세포의 수와 면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지질 합성 시 중요한 단백질인 phospho-HSL 단백질의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6은 마우스에 고지방식이 및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제공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7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 세포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다음, 아디포넥틴 및 GLUT5의 발현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도 8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 세포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다음, IRS-1 및 AMPK-α1의 발현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b)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합성예 1: 펩타이드 합성
클로로 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 biochem Cat No. 01-64-0021) 700 mg을 반응용기에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C) 10 ㎖를 가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 아마이드(DMF) 10 ㎖를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기에 10 ㎖의 디클로로메탄용액을 넣고 Fmoc-Ser(tBu)-OH (Bachem, Swiss) 200 mmole 및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DIEA) 4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이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하고 메탄올과 DIEA(2:1)를 DCM(dechloromethane)에 녹여 10분간 반응시키고 과량의 DCM/DMF(1:1)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 아마이드(DMF)를 10 ㎖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탈보호 용액(20%의 피페리딘(Piperidine)/DMF) 10㎖를 반응 용기에 넣고 1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제거하였다. 동량의 탈보호 용액을 넣고 다시 10분간 반응을 유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각각 3분씩 DMF로 2회, MC로 1회, DMF로 1회 세척하여 Ser(tBu)-CTL Resin을 제조하였다. 새로운 반응기에 10 ㎖의 DMF 용액을 넣고 Fmoc-Lys(Boc)-OH (Bachem, Swiss) 200 mmole, HoBt 200 mmole 및 Bop 2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였다. 반응기에 400 mmole DIEA를 분획으로 2번에 걸쳐 넣은 후 모든 고체가 녹을 때까지 최소한 5분간 교반하였다. 녹인 아미노산 혼합용액을 탈보호된 레진이 있는 반응용기에 넣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DMF 용액으로 3회 5분씩 교반한 후 제거하였다. 반응 레진을 소량 취하여 카이저 테스트(Nihydrin Test)를 이용하여 반응 정도를 점검하였다. 탈보호 용액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2번 탈보호 반응시켜 Lys(Boc)-Ser(tBu)-CTL Resin을 제조하였다. DMF와 MC로 충분히 세척하고 다시 한 번 카이저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상기와 동일하게 아래의 아미노산 부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거하여 Fmoc-Arg(Pbf)-OH, Fmoc-Glu(OtBu)-OH, Fmoc-Lys(Boc)-OH 순으로 연쇄반응을 시켰다. Fmoc-보호기를 탈보호 용액으로 10분씩 2번 반응시킨 후 잘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무수초산과 DIEA, HoBt를 넣어 한시간동안 아세틸화를 수행한 뒤 제조된 펩티딜 레진을 DMF, MC 및 메탄올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질소 공기를 천천히 흘려 건조한 후, P2O5 하에서 진공으로 감압하여 완전히 건조한뒤 탈루 용액[트리플로로화 초산(Trifluroacetic acid) 95%, 증류수 2.5%, 티오아니졸(Thioanisole) 2.5%] 30 ㎖을 넣은 후 상온에서 가끔 흔들어주며 2 시간 반응을 유지하였다. 필터링을 하여 레진을 거르고, 레진을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감압을 이용하여 전체 볼륨이 절반 정도 남도록 증류하고 50 ㎖의 차가운 에테르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을 모으고, 2번 더 차가운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제거하고 질소 하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정제 전 Lys-Glu-Arg-Lys-Ser 펩타이드 1을 0.77 g 합성하였다(수율: 89.2 %). 분자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시 분자량 646.7 (이론값 : 646.7)를 얻을 수 있었다. 다른 서열 2 펩타이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번호 아미노산 서열 분석값(질량분석기)
분석치 이론치
서열 1 (펩타이드-1) Lys-Glu-Arg-Lys-Ser 646.7 646.7
서열 2 (펩타이드-2) His-Glu-Thr-Phe-Glu 661.6 661.7
실시예 1: 오일 레드 O 염색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3T3-L1 세포를 2x104 세포/웰로 24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여 배양한 후, 10 μg/ml 인슐린, 0.1 μM 덱사메타손 및 0.5 μM IBMX가 포함된 분화배지로 교환하고 농도별로 펩타이드를 처리하였다. 그 후 매 2일마다 10 μg/ml 인슐린이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였으며, 분화 유도 9일째 오일-레드 O 염색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세포들을 PBS로 세척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10분간 처리하여 고정해주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60% 이소프로파놀로 5-10분간 배양하였다. 고정된 세포들은 고정된 세포들은 오일 레드 용액[1% Oil Red in isopropanol was diluted in dH2O in ratio of 6:4 (vol/vol)]로 30분간 염색 시켜준 후 다시 PBS로 세척하였다. 염색된 세포들은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100% 이소프로파놀을 1 ml 씩 넣어서 4℃에서 섞어준 후 다음날 510 nm에서 정량하였다.
실험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제2서열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 지방 축적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d).
실시예 2: 글리세롤 어세이(지방분해 유도)
지방세포는 여분의 에너지를 지방방울(lipid droplet) 안에 중성지방의 형태로 저장하다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면 지방 트리글리세리드 리파아제(adipose triglyceride lipase)와 HSL, 모노글리세리드 리파아제(monoglyceride lipase)와 같은 효소들에 의해서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어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세포 신호전달 또는 지방 합성에 이용한다. 유리 글리세롤 방출의 측정은 지방세포에 축적된 중성지방의 분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지방분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채취하여 100 mm 디쉬(DMEM)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각 동일한 중량으로 잘라 24웰 플레이트에 옮겨 펩타이드를 처리하고 48-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처리 시간별 배지를 각 100 μl 씩 수거하여 글리세롤 어세이를 진행하였다.
글리세롤 양을 측정한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조직 내에 글리세롤 분비가 증가되었다(도 2a).
또한, 서열목록 제2서열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인 NC와 비교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글리세롤 분비가 증가되었고, 고농도 처리 시 글리세롤 분비가 22% 증가되었다(도 2b).
실시예 3: CGI-58 RT-PCR
Qiagen RNeasy kit를 사용해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로부터 단일가닥 DNA를 합성하기 위해서 3 mg RNA, 랜덤 헥사머 2 mg과 DEPC를 처리한 물을 가하고 65℃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5 x first strand buffer, 0.1 M DTT, 10 mM dNTP, 역전사효소를 넣어 총 20 ml가 되게 하고 4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95℃에서 5분간 가열한 후 증류수 20 ml을 가하여 최종 40 ml의 cDNA를 만들었다. PCR은 3 ml cDNA, CGI 58 유전자에 특이적인 10 pmole의 프라이머, 10 x Tag 버퍼, 10 mM dNTP 그리고 i-Tag DNA 합성효소를 혼합하여 시행하였다. PCR 조건은 94℃에서 30초, 55-56℃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반응시켰다. 사이클 수 유전자들은 PCR 결과가 지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PCR 산물의 5 ml을 얻어 1%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하고 에티듐 브로마이드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CGI 58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
프라이머 서열(5’-3’)
CGI 58 정방향 TGTGCAGGACTCTTACTTGGCAGT
CGI 58 역방향 GTTTCTTTGGGCAGACCGGTTTCT
세포 내 CGI 58 발현 정도를 RT-PCR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제2서열의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지방분해 인자인 CGI-58의 발현이 증가하였다(도 3a-b).
실시예 4: 조직학적 분석(지방분해 유도)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채취하여 100 mm 디쉬(DMEM)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동일한 중량으로 잘라 24웰 플레이트에 옮겨 펩타이드를 처리하고 48-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조직의 절편을 이용하여 H&E 염색을 진행하였다. 현미경 촬영을 통해 얻은 사진 파일을 Image J를 통해 구획을 잡고, 각 구획당 사이즈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포 전체 개수의 면적을 알 수 있으며, 전체 개수로 나눈 평균 면적도 알 수 있다. 염색의 정도에 따라 결과 값이 다르게 표현 될 수 있지만, 초반에 threshold 값을 조정하여 보정을 할 수 있으며, 원본파일과 대조를 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의 세포는 제거 후 결과를 도출한다.
지방 크기 변화를 확인한 결과, 지방 세포의 수는 서열목록 제1서열 펩타이드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지방 면적은 감소하였다(도 4a-b).
단위면적당 지방세포의 수 증가는 지방세포 크기 즉 지방세포내의 지방 축적이 감소되었다 볼 수 있다.
실시예 5: 면역조직화학염색(지방분해 유도)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시켜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기전을 살펴보고자 HSL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HSL 효소는 지방조직에서 지방을 분해할 때 중성지방을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하는 지방분해효소로 알려져 있다.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채취하여 100 mm 디쉬(DMEM)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동일한 중량으로 잘라 24웰 플레이트에 옮겨 펩타이드를 처리하고 48-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조직의 절편에 항-pHSL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진행하고, 형광 현미경을 촬영하였다.
형광 염색 결과, 지방분해 인자인 pHSL(hormone sensitive lipase)의 발현이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제2서열의 펩타이드에 의해 증가되었다(도 5a-b).
실시예 6: 항당뇨 효능 평가(in vivo)
실험동물은 6주령의 C57BL/6J mice를 중앙실험동물(Central Lab. Animal Inc., Seoul, Korea)로부터 구입한 후 1주일간 정상 식이로 적응기간을 가진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지방식이 사료는 Research diets inc.(#product D12492)를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을 총 4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3마리씩 12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군(표 3)은 정상 식이를 공급한 정상 식이군(non groups), 고지방식이 실험군(NC groups), 고지방식이와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경구투여), 고지방식이와 자누비아정(경구투여)이다.
실험동물군
비만 마우스 (male)
실험군 투여량 개체수
Non(정상식이군) - 3
NC(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서열목록 제1서열 펩타이드(2 mg/ml) (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자누비아 정(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총 개체수 12
또한, 실험동물은 총 5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3마리씩 12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군(표 4)은 정상 식이를 공급한 정상 식이군(non groups), 고지방식이 실험군(NC groups), 고지방식이와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경구투여), 고지방식이와 서열목록 제2서열의 펩타이드(복강투여), 고지방식이와 자누비아정(경구투여)이다.
실험동물군
비만 마우스 (male)
실험군 투여량 개체수
Non(정상식이군) - 3
NC(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서열목록 제2서열 펩타이드(2 mg/ml) (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서열목록 제2서열 펩타이드(2 mg/ml) (60% 지방식이군) 복강 (300 μl) 3
자누비아 정(60% 지방식이군) 경구 (300 μl) 3
총 개체수 12
펩타이드를 30분 전처리한 후 글루코오스(60 mg/300 μl 증류수)를 경구투여한 다음, 시간에 따른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NC군과 대비하여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제2서열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글루코오스에 의한 혈당 증가가 감소되었다(도 6a-b).
실시예 7: 항당뇨 효능 평가(아디포넥틴 & GLUT4 RT-PCR)
인슐린 저항성 조건을 만들기 위해 TNF-α 처리하여 조건을 구성한 뒤, 펩타이드를 16시간 처리 후 수거하여 각 인자들의 변화를 RT-PCR로 확인하였다. RT-PCR 수행 조건은 실시예 3과 같다.
아디포넥틴, GLUT4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
프라이머 서열(5’-3’)
아디포넥틴 정방향 GCCAATCTTCATCCAGTTGC
아디포넥틴 역방향 CATCGTGAAGAAGGCATAGG
GLUT4 정방향 AAGATGGCCACGGAGAGAG
GLUT4 역방향 GTGGGTTGTGGCAGTGAGTC
실험 결과, TNF-α 처리시 감소되었던 아디포넥틴은 서열목록 제1서열 및 제2서열의 펩타이드 처리 시 다시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TNF-α에 의해 감소되었던 글루코오스 수송로인 GLUT4는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다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a-b).
실시예 8: 항당뇨 효능 평가(IRS-1 & AMPK-α1 RT-PCR)
인슐린 저항성 조건을 만들기 위해 TNF-α 처리하여 조건을 구성한 뒤, 펩타이드를 16시간 처리 후 수거하여 각 인자들의 변화를 RT-PCR로 확인하였다. RT-PCR 수행 조건은 실시예 3과 같다.
IRS-1, AMPK-α1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
프라이머 서열(5’-3’)
IRS-1 정방향 GCCAATCTTCATCCAGTTGC
IRS-1 역방향 CATCGTGAAGAAGGCATAGG
AMPK-α1 정방향 TGACCGGACATAAAGTGGCTGTGA
AMPK-α1 역방향 TGATGATGTGAGGGTGCCTGAACA
실험 결과, TNF-α 처리시 감소되었던 AMPK-α1 및 인슐린 수용체 시그널링 단백질인 IRS-1은 서열목록 제1서열 펩타이드 처리 시 다시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TNF-α에 의해 감소되었던 AMPK-α1은 서열목록 제2서열 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다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a-b).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CAREGEN CO., LTD. <120> Peptides having Anti-obesity and Anti-Diabetes Effects and Use Thereof <130> PN160092D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 <212> PRT <213> Peptide 1 <400> 1 Lys Glu Arg Lys Ser 1 5 <210> 2 <211> 5 <212> PRT <213> Peptide 2 <400> 2 His Glu Thr Phe Glu 1 5 <210> 3 <211> 24 <212> DNA <213> CGI 58 Forward Primer <400> 3 tgtgcaggac tcttacttgg cagt 24 <210> 4 <211> 24 <212> DNA <213> CGI 58 Reverse Primer <400> 4 gtttctttgg gcagaccggt ttct 24 <210> 5 <211> 20 <212> DNA <213> Adiponectin Forward Primer <400> 5 gccaatcttc atccagttg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diponectin Reverse Primer <400> 6 catcgtgaag aaggcatagg 20 <210> 7 <211> 19 <212> DNA <213> GLUT4 Forward Primer <400> 7 aagatggcca cggagagag 19 <210> 8 <211> 20 <212> DNA <213> GLUT4 Reverse Primer <400> 8 gtgggttgtg gcagtgagt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IRS-1 Forward Primer <400> 9 gccaatcttc atccagtt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IRS-1 Reverse Primer <400> 10 catcgtgaag aaggcatagg 20 <210> 11 <211> 24 <212> DNA <213> AMPK-alpha 1 Forward Primer <400> 11 tgaccggaca taaagtggct gtga 24 <210> 12 <211> 24 <212> DNA <213> AMPK-alpha 1 Reverse Primer <400> 12 tgatgatgtg agggtgcctg aaca 24

Claims (10)

  1.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비만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지방 세포 내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지방 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pHSL(phospho-hormone-sensitive lipase), 또는 CGI-58(Comparative Gene Identification-58)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6. 서열목록 제2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아디포넥틴(adiponectin), GLUT4(Glucose transporter type 4), IRS-1(Insulin receptor substrate 1) 또는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α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80000811A 2018-01-03 2018-01-03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2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11A KR101920047B1 (ko) 2018-01-03 2018-01-03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11A KR101920047B1 (ko) 2018-01-03 2018-01-03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97A Division KR101887576B1 (ko) 2016-04-15 2016-04-15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23A true KR20180005723A (ko) 2018-01-16
KR101920047B1 KR101920047B1 (ko) 2018-11-19

Family

ID=6106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11A KR101920047B1 (ko) 2018-01-03 2018-01-03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88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Socs6의 폴리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95B1 (ko) 2008-08-07 2011-09-08 주식회사농심 에이엠피케이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KR101669140B1 (ko) 2015-04-28 2016-10-26 (주)케어젠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88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Socs6의 폴리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047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8085B2 (ja) 抗肥満及び抗糖尿作用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US20100331528A1 (en) Isolated Antibodies Against Biologically Active Leptin-Related Peptides
JP6560462B6 (ja) 抗肥満及び抗糖尿病効能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US20050049193A1 (en) Leptin-related peptides
RU2721426C1 (ru) Пептид с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против ожирения и противодиабетическ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1920047B1 (ko)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RU2416618C2 (ru) Соединения, представляющие собой пептидные аналоги стимуляторов секреции гормона роста, и содержащие их препараты
JP4760378B2 (ja) GPR103−like受容体蛋白質に対するリガンドの新規用途
JP2001226284A (ja) 神経突起誘発剤
CN115960258A (zh) 一类GLP-1/glucagon/Y2受体三重激动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