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540A -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540A
KR20180005540A KR1020160085759A KR20160085759A KR20180005540A KR 20180005540 A KR20180005540 A KR 20180005540A KR 1020160085759 A KR1020160085759 A KR 1020160085759A KR 20160085759 A KR20160085759 A KR 20160085759A KR 20180005540 A KR20180005540 A KR 20180005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ealth
band
human body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454B1 (ko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to KR102016008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84Recording apparatus or 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관리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아의 주위 환경 상황 또는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고 더불어 적절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는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어 유아의 머리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 형성 밴드(11);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그룹(12); 유아 주위의 환경을 탐지하는 환경 탐지 그룹(16) 및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3)은 상기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아의 상태를 분석하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An Apparatus for Managing a Infant Health and Safety Having Relationship to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관리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아의 주위 환경 상황 또는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고 더불어 적절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에 따른 문제는 의사의 소통이 어렵고, 유아의 건강이 주위 환경에 의하여 쉽게 영향을 받는 것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유아의 인체 상태가 다양한 방법으로 탐지되어 판단되어야 하고, 유아의 인체의 활동 상태가 탐지되어 유아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조치가 취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성장기의 유아의 경우 예를 들어 수면 상태에서 압박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유아의 머리 모양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머리의 모양이 보호될 필요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미세 전류와 같은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유아 건강 관리 또는 안정적인 수면 상태의 유도를 위하여 미세 전류, 저주파 자극 또는 이와 유사한 유아의 신체 활동에 영향을 주는 전기 자극과 같은 것이 인가될 수 있다. 미세 전류는 1 내지 1,000 ㎂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말하고, 유아의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40 내지 150 ㎂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전류가 가해질 수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은 유아의 관리는 장기간에 걸친 자료에 기초하여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유아 관리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40773호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포름알데히드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군, 센서군으로부터 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센서 플랫폼 및 1 센서 플랫폼으로 전송된 탐지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위험 상황이라고 판별하는 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수면 상태의 탐지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20827호가 있고, 상기 선행기술은 수면 중인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에 동작 잡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에 상기 동작 잡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수면 중 깨어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상태 감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유아의 상태 또는 수면 상태의 탐지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유아의 인체 상태에 대한 탐지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유아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40773호((주)유로스마트, 2016년04월15일 공개) 다수 측정 센서들과의 통신 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20827호(삼성전자주식회사, 2007년12월26일 공개) 수면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성장 과정에서 유아의 머리 모양을 적절하게 형성하면서 인체 상태를 탐지하여 유아의 건강 관리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어 유아의 머리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 형성 밴드;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그룹; 유아 주위의 환경을 탐지하는 환경 탐지 그룹 및 인체 탐지 그룹 또는 환경 탐지 그룹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아의 상태를 분석하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양 형성 밴드에 설치되어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접촉 센서 또는 머리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수면 과정에서 착용되는 수면 밴드 또는 작동 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면 밴드 또는 작동 밴드는 수면 뇌파(EEG), 맥파(PPG) 또는 움직임 정보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양 형성 밴드는 보호 서브 밴드, 보호 서브 밴드에 결합되면서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서브 밴드 및 고정 서브 밴드에 결합되면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수 서브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아의 인체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 그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성장 과정에 있는 유아의 머리 모양이 예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아의 인체 상태를 상시적으로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건강 상태가 항상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다양한 상태에서 유아의 수면 상태를 탐지하여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안정적인 수면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관련 데이터의 누적 및 분석에 따라 장기적인 유아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가해질 수 있는 자극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정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 모듈 및 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성장 또는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탐지 모듈은 유아의 신체 또는 주위에 배치되는 탐지 유닛 및 탐지 유닛에서 전송된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분석 모듈은 탐지 모듈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신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면 상태의 유아에게 전극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자극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탐지 모듈 또는 분석 모듈의 일부는 유아의 인체 또는 예를 들어 유모차 또는 유아 보호 기구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독립된 디바이스에 설치되거나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탐지 모듈 또는 분석 모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건강 관리 장치의 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탐지 결과 또는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온도, 습도, 시간, 위치 또는 움직임 정보와 같은 인체 탐지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는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어 유아의 머리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 형성 밴드(11);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그룹(12); 유아 주위의 환경을 탐지하는 환경 탐지 그룹(16); 및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3)은 상기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아의 상태를 분석하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모양 형성 밴드(11)는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면 중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어 유아의 머리 모양이 정해진 형상으로 발달되도록 한다. 모양 형성 밴드(11)는 유아의 머리 모양에 기초하여 형성되어야 할 모양에 따라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양 형성 밴드(11)는 다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호 서브 밴드(112), 보호 서브 밴드(112)에 결합되면서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서브 밴드(111) 및 고정 서브 밴드(111)에 결합되면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수 서브 밴드(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수 서브 밴드(113)에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인체 탐지 그룹(12)이 배치될 수 있고, 보호 서브 밴드(112)에 유아가 위치하는 환경의 탐지를 위한 환경 탐지 그룹(16)이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미세 전류와 같은 전기 자극을 공급하는 다수 개의 전극 유닛(151, 152, 153)을 포함하는 자극 그룹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양 형성 밴드(11)의 내부에 전도 층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체 탐지 그룹(12), 환경 탐지 그룹(16) 또는 자극 그룹(15)은 전도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서브 밴드(112)는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과 같은 것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서브 밴드(111)는 유아의 머리 형상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유아의 머리 모양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서브 밴드(111)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되기 어려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수 서브 밴드(113)는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질 실리콘 발포 소재, 연질 우레탄 폼 또는 고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흡수 서브 밴드(113)는 유아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이와 동시에 고정 서브 밴드(111)의 형상에 맞도록 복원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면 과정, 일상생활 과정 또는 외출 과정에서 유아의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인체 탐지 그룹(12)이 모양 형성 밴드(11),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다른 유아 관련 용품에 배치될 수 있다. 인체 탐지 그룹(12)은 유아의 체온, 맥박, 수면 상태의 뇌파 또는 유아의 자세와 같은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모양 형성 밴드(11)의 접촉 센서를 통한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 유아의 인체 상태 또는 유아 주위의 환경에 대한 탐지 정보가 제어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모양 형성 밴드(11),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 발생기와 같은 자극 발생 유닛을 포함하여 유아의 인체에 배치된 자극 그룹(15)에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유아의 안전 및 관리를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20)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모양 형성 밴드(11)에 배치되거나,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의 일부는 모양 형성 밴드(11) 또는 다른 일부는 휴대용 전자기기(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모양 형성 밴드(11)에서 전송되는 접촉 정보를 처리하고, 자극 그룹(15)에서 발생되는 자극을 제어하고, 인체 탐지 그룹(12) 및 환경 탐지 그룹(16)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된 정보를 휴대용 전자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20)에 배치되어 제어 모듈(13)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인체 탐지 그룹(12), 환경 탐지 그룹(16) 또는 모양 형성 밴드(11)에 배치된 탐지 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자극 그룹(1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유아 머리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20)로부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에 대한 정보 또는 유아의 성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모양 형성 밴드(11), 모양 형성 밴드(11), 인체 탐지 그룹(12), 환경 탐지 그룹(16) 또는 자극 그룹(15)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면서 유아의 성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경 탐지 그룹에 속하는 환경 탐지 유닛(161) 및 인체 탐지 그룹에 속하는 인체 탐지 유닛(12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아의 건강 상태가 건강 체크 유닛(17)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건강 체크 유닛(17)은 예를 들어 체온, 주위 소음, 환경 온도, 습도 또는 맥박과 같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아의 상태를 탐지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환경 탐지 유닛(161)에 의하여 유아가 위치하는 주변의 온도, 습도, 소음, 조도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같은 것이 탐지되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분석될 수 있다. 환경 탐지 유닛(161)은 유아에게 부착된 센서, 유아 주변에 배치된 탐지 모듈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체 탐지 유닛(121)은 유아의 인체 온도, 수면 중의 유아의 수면 뇌파(sleep electroencephalogram: EEG), 유아의 맥파(Photo Plethysmogram: PPG), 수면 중인 유아의 인체의 움직임 또는 수면 중인 유아의 호흡 수준과 같은 것을 탐지 및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탐지 유닛(161) 및 인체 탐지 유닛(121)에서 수집 및 분석된 정보는 건강 체크 유닛(17)으로 전송될 수 있다. 건강 체크 유닛(17)은 전송된 정보로부터 유아의 건강 상태가 확인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강 상태가 예를 들어 1 내지 10 등급과 같은 수준별 등급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상태, 자극 인가 가능 상태, 진단 상태 또는 조치 요구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모양 형성 밴드(11)에 모양 형성 밴드(11)의 형상의 변화 또는 유아의 머리의 특정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탐지하기 위한 접촉 센서(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122)는 인체 탐지 그룹을 일부를 형성한다. 접촉 센서(122)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는 건강 체크 유닛(17)으로 전송될 수 있다. 건강 체크 유닛(17)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제어 모듈에 포함될 수 있고, 통신 연결 유닛(CC)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2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20)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상태 분석 유닛(21), 모양 설정 유닛(23) 및 전극 유닛(1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에 의하여 건강 체크 유닛(17)에 의하여 전송된 정보가 분석될 수 있고, 분석 데이터베이스(221)에 시간에 따른 분석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정보 데이터베이스(222)가 배치되어 건강 체크 유닛(17)에서 전송된 정보가 유아의 건강 또는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저장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은 정보 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여 유아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은 모양 설정 유닛(23)으로 접촉 센서(122)로부터 탐지된 정보 또는 인체 탐지 유닛(12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양 설정 유닛(23)은 현재 유아에게 착용되어 있는 모양 형성 밴드(11)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모양 형성 밴드(11)의 모양의 변경 여부, 착용 시간 또는 모양 형성 밴드(11)가 예정된 착용 형태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 결과를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20)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은 또한 전극 유닛(151)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극 유닛(151)은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세 전류와 같은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분석 유닛(21)의 제어에 따라 자극 그룹(15)에 전기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체 탐지 유닛(121)은 유아의 인체 부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수면 뇌파 센서, 맥파 탐지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인체 움직임의 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센서는 적절한 구조를 가진 관리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의 (가)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는 머리 착용 밴드(30a)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머리 착용 밴드(30a)은 모양 형성 밴드(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양 형성 밴드(11)는 조임 수준이 조절 가능한 머리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모양 형성 밴드(11)에 작동 모듈(31), 환경 탐지 유닛(161), 인체 탐지 유닛(121, 123), 작동 표시 유닛(331) 및 위치 고정 패드(32)가 배치될 수 있다. 모양 형성 밴드(11)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다층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모양 형성 밴드(11)에 위치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패드(32)가 부착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패드(32)는 유아의 머리의 측면과 유사한 곡면 형상을 가지면서 모양 형성 밴드(11)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고정 패드(32)는 모양 형성 밴드(1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유아의 머리의 측면 부분 또는 전면 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위치 고정 패드(32)는 큰 탄성을 가진 연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마찰력이 큰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로 위치 고정 패드(32)에 접촉 센서(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122)는 모양 형성 밴드(11)의 접촉 압력 또는 위치 고정 패드(32)의 접촉 압력을 탐지하여 작동 모듈(31)로 전송할 수 있다. 작동 모듈(31)에 포함된 제어 유닛은 전송된 접촉 압력으로부터 모양 형성 밴드(11)의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모양 형성 밴드(11)는 닫힌 형상이 되거나 양쪽 끝에 조임 수단(FS1, FS2)가 배치되어 조임 수준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체 탐지 유닛(121, 123)은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유아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위치 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표시 유닛(331)은 예를 들어 엘이디 소자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머리 착용 밴드(30a)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세 전류와 같은 전기 자극은 인가하기 위한 전극 유닛(151, 152)은 모양 형성 밴드(1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위치 고정 패드(32) 또는 모양 형성 밴드(11)의 내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의 (나)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는 어린이의 눈 주위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수면 착용 밴드(30b)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수면 밴드(SB)를 포함할 수 있다. 수면 밴드(SB)는 수면 과정에서 유아의 머리 또는 눈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수면 밴드(SB)는 머리 또는 눈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조임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신축 조임 부분(3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면 밴드(SB)의 중앙에 위에서 설명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작동 모듈(31)이 배치될 수 있고, 수면 밴드(SB)에 또한 예를 들어 온도, 조도 또는 자세의 탐지를 위한 인체 탐지 유닛(121, 123), 접촉 센서(122), 환경 탐지 유닛(161) 또는 작동 표시 유닛(331)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전극 유닛(151, 152)가 배치될 수 있다. 수면 밴드(SB)에 또한 수면 상태에 유아의 수면 뇌파를 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전류 또는 전압 탐지를 위한 니들(needle) 전극 구조의 수면 뇌파 탐지 센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수면 밴드(SB)에 현재 유아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는 안전 표시 유닛(332)이 배치될 수 있다. 안전 표시 유닛(332)은 위에서 설명된 건강 체크 유닛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유아의 건강 상태를 스크린 또는 엘이디 소자와 같은 표시 수단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작동 모듈(31)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20)는 작동 모듈에서 전송된 정보를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태 탐지 유닛(223) 및 분석 데이터베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태 탐지 유닛(223)은 작동 모듈(3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유아의 건강 상태를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20)에 작동 버튼(B1, B2)이 설정되어 작동 모듈(31)을 통하여 머리 착용 밴드(30a) 또는 수면 착용 밴드(30b)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의 (가)는 관리 장치가 부착 패드(30c)의 구조가, 그리고 도 3b의 (나)는 착용 밴드(30d)의 구조가 되는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b의 (가)를 참조하면, 부착 패드(30c)는 유아의 다양한 인체에 부착 또는 접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베이스 패드(P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패드(PB)에 온도, 습도 또는 조도와 같은 주변 환경의 탐지가 가능한 센서 또는 접촉 부위의 온도, 습도 또는 그와 유사한 인체 상태의 탐지가 가능한 센서를 가진 탐지 유닛(121, 161)이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면 상태에서 유아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베이스 패드(PB)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수면 뇌파 또는 맥파의 탐지를 위한 센서가 베이스 패드(PB)에 배치될 수 있고, 탐지 유닛(121, 161)으로부터 탐지된 정보의 처리를 위한 작동 모듈(31)이 베이스 패드(P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CP)이 배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다른 제어 모듈과 근거리 통신이 될 수 있다. 베이스 패드(PB)의 아래쪽에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전극 유닛(151, 152)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패드(PB)에 전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패드(PB)의 위쪽에 덮개가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패드(PB)는 유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부착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패드(PB)는 유아의 발바닥, 발등, 손목, 등 또는 목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부착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b의 (나)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는 착용 밴드(30d)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밴드(30d)는 예를 들어 유아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될 수 있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작동 밴드(WB)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밴드(WB)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체결 훅(UH, LH) 및 조임 조절 탭(UF, LF)이 배치될 수 있다. 작동 밴드(WB)의 중앙 부분에 작동을 위한 부품 또는 소자 또는 통신 칩이 수용된 작동 모듈(31)이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태 표시 스크린(315)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계 구조에 따라 상태 표시 스크린(315)에 표시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316)이 배치될 수 있다. 작동 밴드(WB)의 아래쪽에 맥파의 탐지를 위한 맥파 탐지 센서(127)가 배치될 수 있고, 맥파 탐지 센서(127)는 예를 들어 발광 유닛 및 수광 센서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맥파 탐지 센서(127)는 마그넷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센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밴드(WB)의 안쪽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극 유닛(151, 152)이 배치될 수 있고, 온도, 습도 또는 유아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작동 밴드(W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직접 연결이 되거나 중간 제어 모듈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수면 착용 밴드(30b)가 유아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착용 밴드(30d) 또는 부착 패드(30c)가 손목 또는 발바닥과 같은 곳에 착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작동 모듈(40)이 예를 들어 유아의 침대 또는 유모차와 같은 유아 관련 물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작동 모듈(40)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20)와 부착 패드(30c), 착용 밴드(30d) 또는 수면 착용 밴드(30b)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수면 착용 밴드(30b), 부착 패드(30c) 또는 착용 밴드(30d)에 설치된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으로부터 탐지된 정보가 휴대용 전자기기(20)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20)가 환경 탐지 센서 또는 인체 탐지 센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설치된 온도 센서 또는 다른 센서에 의하여 온도 또는 소음과 같은 환경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에 의하여 위치 정보가 탐지될 수 있고, 날씨 정보가 또한 수집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중간 작동 모듈(40)에 작동 유닛(41) 또는 탐지 유닛(42)이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유닛(41)은 부착 패드(30c), 착용 밴드(30d) 또는 수면 착용 밴드(30b)의 작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탐지 유닛(42)은 수면 상태의 유아의 인체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한 이동 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작동 모듈(40)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수면 상태의 유아의 인체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수면 상태인 유아의 환경에 대한 정보 획득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탐지 유닛(42)은 주변 온도, 소음 또는 조도를 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작동 모듈(40)은 휴대용 전자기기(2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20)는 중간 작동 모듈(4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그로부터 전송되는 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작동 모듈(40)은 전송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여 유아의 안전 상태 또는 건강 상태를 결정하고, 수신된 탐지정보를 휴대용 전자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유아의 위험 상태를 탐지하여 외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작동 모듈(40)로부터 전송된 탐지 정보를 분석한 결과 유아가 위험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가 수면 과정에서 높은 열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유아가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위험 상황에 있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호출 번호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20)는 중간 연결 모듈(40)과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아에게 가해질 수 있는 자극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전기 자극은 미세 전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전기 자극은 저주파, 초음파, 진동, 압력 또는 열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아의 일상 상태 또는 수면에 유용한 자극이 될 수 있다. 전기 자극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주기에서 다수 개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펄스가 자극 전극에 의하여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은 하나의 주기에서 크기가 동일하면서 지속 시간이 점차로 커지는 다수 개의 자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기와 주기 사이에 중지 시간이 설정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도 5의 (나)를 참조하면, 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해지는 자극의 크기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초기(t1)에 전체적으로 약한 자극이 가해지고, 유아의 인체 상태에 대한 초기 정보(In 1)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상태 정보가 탐지되면서 수면 상태의 변화를 알리는 중기 정보(In 2)가 탐지되면 수면 초기(t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된 크기를 가지는 수면 중기(t2 내지 t3)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수면 유지기(t4 내지 t5)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대역은 도 4의 (가)에 도시된 형태의 자극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인가 주기 사이에 휴지 시간(t1 내지 t2 또는 t3 내지 t4)이 설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자극 그룹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 또는 서로 다른 주기로 작동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극 인가는 유아의 수면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인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안정 및 건강 관리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에 포함되는 상황 설정 유닛(61)이 배치될 수 있고, 상황 설정 유닛(61)에 의하여 관리 장치의 작동 상황이 설정될 수 있다. 상황 설정 유닛(61)은 예를 들어 유아의 주변 환경 및 유아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황 설정 유닛(61)은 예를 들어 수면 중, 실내 활동 중 또는 야외 활동 중과 같은 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상황 설정 유닛(61)에 의하여 유아의 현재 상황 또는 관리 장치의 작동 상황이 설정되거나 자동으로 탐지되면 상태 분석 유닛(21)에 의하여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현재 신체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와 같은 인체 탐지 유닛(121) 또는 환경 온도 또는 환경 소음을 탐지하는 환경 탐지 유닛(161)에 의해 탐지된 정보가 상태 판단 유닛(6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태 판단 유닛(62)은 전송된 정보를 상황 설정 유닛(61) 및 건강 체크 유닛(17)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인체 탐지 유닛(121) 또는 환경 탐지 유닛(161)에서 탐지된 정보는 안정 수준 유닛(63)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뇌파 탐지 센서(124), 맥박 탐지 센서(127) 또는 온도 센서와 같은 인체 탐지 센서(121)로부터 탐지된 정보가 안정 수준 유닛(6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안정 수준 유닛(63)은 상황 설정 유닛(61) 및 인체 탐지 센서(121, 124, 127)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유아의 상태에서 안정 수준을 결정할 수 있고, 안정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 등급이 상태 분석 유닛(2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은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활동 상태를 분석하여 환경 형성 유닛(67)으로 전송할 수 있고, 환경 형성 유닛(67)은 자극 그룹(15)을 작동시켜 미세 전류와 같은 전기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음향 발생 유닛(66)을 작동시켜 음악 또는 다른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양 형성 밴드에 배치된 접촉 센서(122)에서 탐지된 정보가 모양 설정 유닛(23)을 경유하여 상태 분석 유닛(2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태 분석 유닛(21)은 분석 결과를 상황 설정 유닛(61)을 경유하여 건강 체크 유닛(17)으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체크 유닛(17)은 건강 상황을 확인하여 분석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데이터베이스(221)는 장시간에 걸쳐 유아의 안전, 건강 상태 또는 성장 상태를 기록하여 저장하여 건강 데이터베이스(64)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데이터베이스(64)는 유아의 성장 및 건강을 관리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유아의 인체 상태를 상시적으로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건강 상태가 항상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탐지하여 적절한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의 안정적인 수면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는 관련 데이터의 누적 및 분석에 따라 장기적인 유아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모양 형성 밴드 12: 인체 탐지 그룹
13: 제어 모듈 15: 자극 그룹
16: 환경 탐지 그룹 17: 건강 체크 유닛
20: 휴대용 전자기기 21: 상태 분석 유닛
23: 모양 설정 유닛 30a: 머리 착용 밴드
30b: 수면 착용 밴드 30c: 부착 패드
30d: 착용 밴드 31: 작동 모듈
32: 위치 고정 패드 40: 중간 작동 모듈
41: 작동 유닛 42: 탐지 유닛
61: 상황 설정 유닛 62: 상태 판단 유닛
63: 안정 수준 유닛 64: 건강 데이터베이스
66: 음향 발생 유닛 67: 환경 형성 유닛
111: 고정 서브 밴드 112: 보호 서브 밴드
113: 흡수 서브 밴드 121, 123: 인체 탐지 유닛
122: 접촉 센서 124: 뇌파 탐지 센서
127: 맥파 탐지 센서 151, 152, 153: 전극 유닛
161: 환경 탐지 유닛 221: 분석 데이터베이스
222: 정보 데이터베이스 223: 상태 탐지 유닛
311: 신축 조임 부분 315: 상태 표시 스크린
316: 설정 버튼 331: 작동 표시 유닛
332: 안전 표시 유닛 B1, B2: 작동 버튼
CC: 통신 연결 유닛 CP: 통신 유닛
FS1, FS2: 조임 수단 In 1: 초기 정보
In 2: 중기 정보 PB: 베이스 패드
SB: 수면 밴드 t1: 수면 초기
t2 내지 t3: 수면 중기 t4 내지 t5: 수면 유지기
t1 내지 t2, t3 내지 t4: 휴지 시간 UF, LF: 조임 조절 탭
UH, LH: 체결 훅 WB: 작동 밴드

Claims (6)

  1. 유아의 머리에 착용되어 유아의 머리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 형성 밴드(11);
    유아의 인체 상태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그룹(12);
    유아 주위의 환경을 탐지하는 환경 탐지 그룹(16); 및
    인체 탐지 그룹(12) 또는 환경 탐지 그룹(1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3)은 상기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아의 상태를 분석하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양 형성 밴드(11)에 설치되어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접촉 센서(122) 또는 머리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아의 수면 과정에서 착용되는 수면 밴드(SB) 또는 작동 밴드(WB)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면 밴드(SB) 또는 작동 밴드(WB)는 수면 뇌파(EEG), 맥파(PPG) 또는 움직임 정보를 탐지하는 인체 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의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모양 형성 밴드(11)는 보호 서브 밴드(112), 보호 서브 밴드(112)에 결합되면서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서브 밴드(111) 및 고정 서브 밴드(111)에 결합되면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수 서브 밴드(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유아의 건강 상태 또는 유아의 수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아의 인체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 그룹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0160085759A 2016-07-06 2016-07-06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185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59A KR101859454B1 (ko) 2016-07-06 2016-07-06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59A KR101859454B1 (ko) 2016-07-06 2016-07-06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40A true KR20180005540A (ko) 2018-01-16
KR101859454B1 KR101859454B1 (ko) 2018-05-21

Family

ID=6106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59A KR101859454B1 (ko) 2016-07-06 2016-07-06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8653A1 (en) * 2022-02-07 2023-08-10 Cochlear Limited Balance system development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36Y1 (ko) * 2004-07-02 2004-10-07 주식회사 다이안 헤어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8653A1 (en) * 2022-02-07 2023-08-10 Cochlear Limited Balance system development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54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3682B2 (en) Sleep-posture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5980008B (zh) 用于智能可穿戴设备的身体位置优化和生物信号反馈
US105592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eural network to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ing activity monitoring devices with biometric sensors
JP6595479B2 (ja) 心臓特性または呼吸特性に基づき睡眠除波活動をエンハン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983577B1 (en) System for enhancing sleep slow wave activity based on cardiac activity
US9113793B2 (en) Pulse wave sensor
KR20150142310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10232139B1 (en) Smart pillow cover and alarm to improve sleeping and waking
JP6170313B2 (ja) 脈波センサ
KR20180072666A (ko) 휴식을 돕는 장치
US104204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and interpreting heart rate data from 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JP6750311B2 (ja) ウェアラブル機器におけるシステム電源装置
KR10185945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구조의 유아 안전 및 건강 관리 장치
CN110111531A (zh) 用于向人员报警的系统
KR101905695B1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JP2009142468A (ja) 自律神経調整システム
US10464569B2 (en) Vibration sensor
KR20200094344A (ko) 렘 수면 단계 기반 회복도 인덱스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81397B1 (ko) 통합형 호흡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746374B1 (ko) 수면 상태 개선을 위한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을 가진 수면 안대
JP2019055068A (ja) 電子機器、サーバ、データ構造、体調管理方法及び体調管理プログラム
US9682001B1 (en) Wearable bone conduction device
WO2018022075A1 (en) Smart autism shirt
JP2015161542A (ja) 報知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80371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동 방식의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수면 장애 개선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