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484A -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484A
KR20180005484A KR1020160085641A KR20160085641A KR20180005484A KR 20180005484 A KR20180005484 A KR 20180005484A KR 1020160085641 A KR1020160085641 A KR 1020160085641A KR 20160085641 A KR20160085641 A KR 20160085641A KR 20180005484 A KR20180005484 A KR 2018000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data
vehicle
information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811B1 (ko
Inventor
최희동
정보영
윤호
박준홍
고선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V2X 서버를 통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V2X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V2X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에 설정된 데이터 레벨 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신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동작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V2X COMMUNICATION SYSTEM FOR GENERATING REAL-TIME MA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도로 상황을 지도 관련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차량 내에서도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고 사고 위험성을 줄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서 스마트카(Smart Ca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국가에서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igent Tansport System, ITS)을 구축하기 위해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과 차량 간(Vehicle-to-Vehicle, V2V), 차량과 인프라 간(Vehicle-to-Infra, V2I), 차량과 이동 단말 간(Vehicle-to-Nomadic Devices, V2N) 통신을 통해 교통 사고율을 줄이고 교통 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세대 자동차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된 V2X 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V2X 서버,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V2X 기지국, 차량에 설치되는 V2X 기기,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V2X 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V2X 통신 환경에서 차량이 V2X 서버로 지도 관련 서비스(가령,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요청하면, V2X 서버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지도 데이터를 해당 차량으로 전송하게 된다. 차량은 V2X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가령,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V2X 통신 환경에서 지도 관련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V2X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가 실제 도로 환경과 일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실제 도로 환경이 지도 데이터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V2X 서버를 관리하는 것은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달성되기 어려운 문제이다. 또한, 실제 도로 환경에서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V2X 서버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것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달성되기 어려운 문제이다.
가령,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 부근에서 도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V2X 서버가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지 못한 경우, V2X 서버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 데이터(즉, 공사 구간이 반영되지 않은 지도 데이터)를 차량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차량은 공사 구간이 반영되지 않은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 제공하는 지도 관련 서비스에 실제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실제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생성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인접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V2X 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2X 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제 도로 상황을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싱부; V2X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V2X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실제 도로 상황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신규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신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V2X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V2X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에 설정된 데이터 레벨 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신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동작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V2X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V2X 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존의 도로 상황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주변의 V2X 기지국 또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에 포함되는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V2X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V2X 기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5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도 데이터와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X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V2X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시그널링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레벨 필드 및 데이터 품질 필드를 포함하는 WAVE Short Message Frame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11a 및 도 11b는 주변 V2X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2는 주변 V2X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에 포함되는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0FR,10FL,10RL,..),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수단(121a),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2a) 및 차량(10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2b),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14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41b), 휴대용 V2X 기기(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V2X 기기(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치부와, 휴대용 V2X 기기(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100)과 휴대용 V2X 기기(200) 사이, 차량(1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사이, 차량(100)과 외부 서버(410) 사이 또는 차량(100)과 타차량(42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1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광통신 모듈(115) 및 V2X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V2X 기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1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V2X 통신 모듈은 차량과 차량간 통신(V2V),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차량과 이동 단말 간 통신(V2N)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서, 차량(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수단(121), 카메라(122), 마이크로 폰(123) 및 사용자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121)은,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121)은 조향 입력 수단(121a), 쉬프트 입력 수단(미도시), 가속 입력 수단(미도시), 브레이크 입력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1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에 관한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1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1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에 관한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 자율 주행 차량인 경우, 목적지까지 스스로 주행하기 때문에, 운전 조작 수단(121)을 통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1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은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22a)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2a)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성되어, 차량 전방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모듈은, 시차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통해, 스테레오 이미지 상에서 검출되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2b)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2b)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18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2) 또는 마이크로폰(123)는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3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4)는 조향 입력 수단(121a)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차량(1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3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13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22) 및 마이크로 폰(1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는 제2 카메라(122b)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는 마이크로 폰(123)을 통해, 음성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131)는 탑승자의 지문 인식 정보, 홍채 인식 정보 또는 망막 인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문 인식 스캐너, 홍채 인식 스캐너 또는 망막 인식 스캐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 및 햅틱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1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41b)는 센터페시아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제어부(18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사용자 입력부(1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1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햅틱 출력부(1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151),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램프 구동부(154), 공조 구동부(155), 윈도우 구동부(156), 에어백 구동부(157), 썬루프 구동부(158)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153)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1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155)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156)는, 차량(1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157)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158)는, 차량(1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159)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8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V2X 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매칭하여, 상기 휴대용 V2X 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또는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70)는 연결된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V2X 기기(200)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인터페이스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70)는 전원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제공한다.
제어부(180)는, 차량(100) 내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V2X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V2X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b 및 4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V2X 기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휴대용 V2X 기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감지부(240), 출력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메모리(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V2X 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V2X 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용 V2X 기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V2X 기기(200)와 차량(100) 사이, 휴대용 V2X 기기(200)와 다른 휴대용 V2X 기기(200) 사이, 또는 휴대용 V2X 기기(2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용 V2X 기기(2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위치정보 모듈(215), V2X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2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2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휴대용 V2X 기기 내 정보, 휴대용 V2X 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40)는 근접센서(2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2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2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2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V2X 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햅팁 모듈(253), 광 출력부(2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용 V2X 기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2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용 V2X 기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휴대용 V2X 기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70)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휴대용 V2X 기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용 V2X 기기(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휴대용 V2X 기기(2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70)에 저장되고, 휴대용 V2X 기기(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80)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V2X 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V2X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4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용 V2X 기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용 V2X 기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V2X 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V2X 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2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용 V2X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휴대용 V2X 기기(2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2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210)의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V2X 기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V2X 기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용 V2X 기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V2X 기기(200)와 차량(100) 사이, 휴대용 V2X 기기(200)와 다른 휴대용 V2X 기기(200) 사이, 또는 휴대용 V2X 기기(200)와 다른 휴대용 V2X 기기(2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휴대용 V2X 기기(2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V2X 기기(2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휴대용 V2X 기기(200) 주변에, 상기 휴대용 V2X 기기(2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V2X 기기(2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휴대용 V2X 기기(2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V2X 기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V2X 기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2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2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215)은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용 V2X 기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V2X 통신 모듈은 차량과의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표준화 단체에서 정의하는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여 차량과 차량간 통신(V2V),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차량과 이동 단말 간 통신(V2N)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휴대용 V2X 기기(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2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V2X 기기(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2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221)를 통하여, 휴대용 V2X 기기(2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2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휴대용 V2X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휴대용 V2X 기기(2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240)는 휴대용 V2X 기기 내 정보, 휴대용 V2X 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2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용 V2X 기기(2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휴대용 V2X 기기(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2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2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2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용 V2X 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2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2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2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2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터치 스크린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휴대용 V2X 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2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2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2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현재 휴대용 V2X 기기(2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2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2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2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2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3)은 휴대용 V2X 기기(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휴대용 V2X 기기(2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V2X 기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가 출력하는 신호는 휴대용 V2X 기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휴대용 V2X 기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휴대용 V2X 기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V2X 기기(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V2X 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휴대용 V2X 기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260)는 휴대용 V2X 기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용 V2X 기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용 V2X 기기(2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용 V2X 기기(2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7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V2X 기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2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휴대용 V2X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상기 휴대용 V2X 기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V2X 기기(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90)는 연결 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 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290)는 상기 연결 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2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및 휴대용 V2X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X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V2X 통신 시스템(600)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V2X 서버(610),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V2X 기지국(620), 차량(100)에 설치되는 V2X 기기(630),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V2X 기기(6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V2X 서버(610)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V2X 기지국(62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V2X 기지국(620)으로부터 실시간 교통 상황, 돌발 상황, 도로 상태, 교통로 제어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V2X 서버(610)의 일 예로는 교통정보센터의 운용 서버, 교통 안전 서버, 서비스 제공자 서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V2X 서버(610)는 지도 관련 서비스를 차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service provider server)일 수 있다.
V2X 기지국(620)은 카메라, 적외선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과 같은 센싱부를 통해 입력된 센싱 데이터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100)과 송/수신되는 통신(즉, V2I 통신)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상황, 도로 상태, 교통로 제어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교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V2X 기지국(620)은 V2X 서버(610)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맵, 교통 신호 체계, 교통 정보, 알림 정보 및 각종 서비스 정보 등을 자신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100) 및 보행자의 V2X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100)에 설치된 V2X 기기(630)는 주변의 V2X 기지국(620), 다른 차량에 설치된 V2X 기기,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휴대용 V2X 기기(640) 등과의 V2X 통신을 통해 다양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차량에 설치된 V2X 기기를 '차량'으로 약칭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휴대용 V2X 기기(640)는 주변의 V2X 기지국(620), 차량에 설치된 V2X 기기(630) 등과의 V2X 통신을 통해 다양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가령, 차량과 V2X 기지국 간에는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 정보, 교통 안전, 교통 신호 등과 관련된 메시지들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차량과 차량 간에는 전방 교통정보, 차량 접근 알림, 추돌 경고 등과 관련된 메시지들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차량과 휴대용 V2X 기기 간에는 엔터테인먼트 정보, 서비스 정보, 보행자의 위치/속도 정보, 차량의 위치/속도 정보, 차량 제어 정보 등과 관련된 메시지들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V2X 통신 시스템(600)에서 차량과 차량 간(V2V), 차량과 기지국 간(V2I), 또는 차량과 이동 단말 간(V2N)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V2X 통신 기술로는, IEEE 802.11p에서 규정하는 WAVE 통신, 3GPP에서 규정하는 3G/4G/5G 통신, 블루투스 SIG에서 규정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v 4.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7은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V2X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의 명령 등에 따라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자율 주행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차량(100)은,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지도 서비스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라 칭함)를 V2X 기지국(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0). V2X 기지국(400)은 인접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V2X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이때,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지도 서비스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운전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V2X 서버(500)는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730). 본 지도 서비스에 해당 차량(100)이 미리 가입된 경우, V2X 서버(500)는 해당 차량(100)을 정당 사용자로 인정하여 지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완료 시, V2X 서버(500)는 지도 서비스에 대한 등록 완료를 지시하는 메시지(이하, '서비스 등록 완료 메시지'라 칭함)를 V2X 기지국(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40). V2X 기지국(400)은 V2X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등록 완료 메시지를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50). 이때, 서비스 등록 완료 메시지에는 차량(100)의 현재 위치 및 그 주변에 관한 지도 데이터 또는 일정 지역에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지도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등록 완료 메시지가 아닌 별개의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데이터는, V2X 서버(500)에 의해, 해당 서비스 등록 시에만 전송되거나 혹은 미리 결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량(100)은 V2X 기지국(400)으로부터 전송받은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은 지도 업데이트 및 처리 과정 등을 통해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S760).
이후, V2X 서버(500)는 업데이트 데이터(update data) 발생 시, 해당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V2X 기지국(400)을 통해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70, S780). 차량(100)은 V2X 기지국(400)으로부터 전송받은 업데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은 지도 업데이트 및 처리 과정 등을 통해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S790).
이처럼, V2X 통신 시스템에서 지도 관련 서비스는 차량(100)과 V2X 서버(즉, 서비스 제공자 서버, 300) 간의 통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V2X 통신 시스템에서 지도 관련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V2X 서버(500)에서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가 실제 도로 상황과 일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실제 도로 상황이 실시간 반영되도록 V2X 서버를 관리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제 도로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접 차량 또는 V2X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V2X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주변으로 전송하는 제1 V2X 기기의 동작 방법(즉, 송신자 측의 동작방법)과, 주변으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관련 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제2 V2X 기기의 동작 방법(즉, 수신자 측의 동작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여기서, 제1 V2X 기기는 실제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주변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로서, 차량, V2X 기지국,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휴대용 V2X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V2X 기기는 '차량'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V2X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주변 센싱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S810). 여기서, 주변 센싱 모드란, 차량(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실제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주변으로 전송하는 동작 모드이다.
제어부(180)는, 주변 센싱 모드 활성화 시, V2X 서버(50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820).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도 데이터는 제1 V2X 기기(1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주변 센싱 모드 활성화 시, 차량(100)에 설치된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활성화하여 실제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830). 이때, 제어부(180)는 실제 도로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혹은 특정 이벤트 발생 시(가령, 교차로 정차 시, 서행 시 등) 실제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제 도로 상황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니터링 과정은 사용자의 설정 및/또는 제조사의 설계 등에 따라 지도 데이터 수신 전에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차량(100)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뿐만 아니라, V2X 기지국(400)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 또는 타 차량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해당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V2X 기기(100)에서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는, 자신이 직접 측정한 센싱 데이터, 인접 V2X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인접 V2X 기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V2X 기기(100)의 사용자는 소정의 설정 메뉴 등을 통해 상기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V2X 기기(100)의 사용자는 소정의 설정 메뉴 등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100)의 센싱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센싱 정보로는, 차선 표시 정보(규제선, 도로 경계선, 정지선, 차로 중심선), 도로 시설 정보(중앙 분리대, 터널, 교량, 지하도로), 표지 시설 정보(교통안전표지, 노면표지, 신호기), 특정 이벤트 정보(공사 현장, 교통 사고, 자연재해로 인한 도로 손상)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센싱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위에서 열거되지 않은 새로운 센싱 정보를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즉, V2X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와 메모리(160)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S840). 여기서, 비교 대상이 되는 지도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는, 제1 V2X 기기(1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와 상기 제1 V2X 기기(100)의 주변 도로 상황에 관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의 도로 상황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50). 여기서, 새로운 이벤트는 실제 도로상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상황으로서, 도로 공사, 교통 사고, 자연 재해로 인한 도로 손상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850 단계의 확인 결과, 새로운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별도의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없이 830 단계로 이동하여 실제 도로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850 단계의 확인 결과, 새로운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주변 V2X 기기(즉, 차량)로 전송할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860).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는 새로운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 위치(즉, 좌표값)에 관한 정보,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는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V2X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870). 이에 따라, 주변 V2X 기기(즉, 차량)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환경이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의 종류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해 지도 데이터의 종류(또는 특성)를 지시하는 데이터 레벨을 메시지에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 종류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송신자 전송 주기 데이터 예시
일반 지도 데이터 Level 1 V2X 서버 규칙적 차선,
도로 상황
긴급 지도 데이터 Level 2 V2X 서버 비 규칙적
(이벤트 발생 시)
화재, 재난
실시간 지도 데이터 Level 3 V2X 기지국,
V2X 기기
비 규칙적
(이벤트 발생 시)
사고 발생,
공사 구간
가령, 위 표 1과 같이, V2X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지도 데이터는 그 특성에 따라 일반 지도 데이터, 긴급 지도 데이터, 실시간 지도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지도 데이터는 V2X 서버(500)에 의해 규칙적으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이다. 이러한 일반 지도 데이터의 일 예로는 차선 또는 도로 상황 등에 관한 데이터들이 존재할 수 있다. V2X 서버(500)는 이러한 일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 레벨 1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지도 데이터는 V2X 서버(500)에 의해 비 규칙적으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이다. 이러한 긴급 지도 데이터의 일 예로는 화재로 인한 도로 상황 또는 자연 재해로 인한 도로 상황 등에 관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V2X 서버(500)는 이러한 긴급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 레벨 2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지도 데이터는 V2X 기지국(400) 또는 V2X 기기에 의해 비 규칙적으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이다. 이러한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일 예로는 사고 발생, 공사 구간 등에 관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V2X 기지국(400) 또는 V2X 기기는 이러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 레벨 3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지도 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3가지의 종류로 구분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를 크게 2가지의 종류 즉, 일반 지도 데이터와 실시간 지도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반대로, 지도 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4 가지 이상의 종류로 상세하게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소스(data source)를 분석하여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Data Quality)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품질을 메시지에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품질은 데이터 소스(즉, 센서)의 신뢰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값들은 정수로 표현될 수 있다.
Data Source Data Quality 비고
카메라+레이더+라이더 5 모든 센서가 감지한 경우
카메라+레이더
또는 카메라+라이더
3 두 개의 센서가 감지한 경우
카메라 2 카메라만이 감지한 경우
레이더 또는 라이더 1 레이더 또는 라이더만이 감지한 경우
가령, 위 표 2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레이더 및 라이더를 통해 새로운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주변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품질이 '5'로 설정될 수 있고, 카메라와 레이더 또는 카메라와 라이더를 통해 새로운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주변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품질이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만을 통해 새로운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주변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품질이 '2'로 설정될 수 있고, 레이더 또는 라이더만을 통해 새로운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주변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품질이 '1'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소스에 따른 데이터 품질의 개수를 총 4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지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 레벨 값과 데이터 소스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 품질 값은, 해당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레임의 헤더(header) 부분 또는 페이로드(payload) 부분에 기록되어 전송될 수 있다.
가령,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 11p에서 규정한 WAVE 통신을 통해 V2X 메시지들이 송/수신되는 경우, 해당 V2X 메시지들은 WAVE Short Message Frame(900)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WAVE Short Message Frame(900)은 크게 WSMP Header 필드(910)와 WSM 데이터 필드(920)로 구성되고, 다시 상기 WSMP Header 필드(910)는 version 필드(911), PSID 필드(912), Extension 필드(913), WAVE Element ID 필드(914), Length 필드(915)로 구성될 수 있다.
version 필드(911)는 WAVE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내고, PSID 필드(912)는 Provider Service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WAVE Element ID 필드(914)는 WSMP 헤더의 식별자를 나타내고, Length 필드(915)는 WSM 데이터 필드(920)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Extension 필드(913)는 V2X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을 나타내는 Channel Number 필드(913_1), 해당 통신의 데이터 전송률을 나타내는 Data Rate 필드(913_2), 해당 통신에 사용되는 전송 파워를 나타내는 Transmit Power Used 필드(913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SM 데이터 필드(920)는 WAVE Short Message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데이터 필드(921),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 레벨 필드(922),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지시하는 데이터 품질 필드(9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레벨 필드(922)는 지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레벨 값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품질 필드(923)는 지도 데이터 중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값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레벨 필드(913_4) 및 데이터 품질 필드(913_5)는 WAVE Short Message Frame(900)의 데이터 필드(920)가 아닌 헤더 필드(910)의 Extension 필드(913)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 레벨 필드(913_4)는 지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레벨 값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품질 필드(913_5)는 지도 데이터 중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품질 값을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주변 센싱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820 단계 내지 870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88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여기서, 제2 V2X 기기는 인접 기지국 또는 차량 등으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V2X 기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지도 관련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S1005). 이때, 상기 지도 관련 서비스로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자율 주행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어부(180)는 지도 관련 서비스 개시 시, V2X 서버(즉, 서비스 제공자 서버, 3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 과정을 마친 후, 해당 서버(30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V2X 서버(500)뿐만 아니라 주변의 V2X 기지국 또는 차량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란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15). 가령, V2X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도 관련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인 경우, 사용 권한 확인 단계가 본 발명에 추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지도 관련 서비스가 무료 서비스인 경우, 사용 권한 확인 단계가 본 발명에서 생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1015 단계의 확인 결과, 지도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 메시지 또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S1020). 한편, 상기 1015 단계의 확인 결과, 지도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 메시지의 헤더 또는 페이로드 영역을 파싱(parsing)하여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레벨 값을 식별할 수 있다(S1025).
제어부(180)는 식별된 데이터 레벨 값을 기반으로 해당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30). 여기서, 실시간 지도 데이터란 V2X 기지국(400) 또는 V2X 기기에 의해 비 규칙적으로 전송되는 지도 데이터로서, 기존의 도로 상황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다.
상기 1030 단계의 확인 결과,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가 아닌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지도 데이터를 일반 지도 데이터로 인식하여, 일반적인 지도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메모리(16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S1035).
한편, 상기 1030 단계의 확인 결과,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8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와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S1045).
제어부(18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간 지도 데이터가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50). 상기 1050 단계의 확인 결과, 실시간 지도 데이터가 중복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S1020).
한편, 상기 1050 단계의 확인 결과, 실시간 지도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8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S1050). 또한, 제어부(18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신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설정 및/또는 제조사의 설계 등에 따라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처리 방식 및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한 번만 사용한 후 바로 폐기하거나,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혹은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한 후 바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재전송을 금지하거나 혹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재전송을 허용할 수 있다. 만약,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재전송을 허용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재전송을 허용하기 위한 데이터 품질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가령,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실시간 지도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들의 데이터 품질 값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총 데이터 품질 값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 품질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를 주변 차량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지도 관련 서비스가 종료할 때까지 상술한 1010 단계 내지 1050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1055).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2X 기기는, 기존의 도로 상황에 존재하지 않던 신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주변의 기지국 또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실제 도로 상황이 실시간으로 반영된 지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주변 V2X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 반영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V2X 기기(1120)는 차량에 설치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기존의 도로 환경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이벤트(가령, 도로 공사)가 발생한 경우, 제2 V2X 기기(1120)는 새로운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의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V2X 기기(1120)는, 메시지 전송 시, 지도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 레벨 값을 해당 메시지에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V2X 기기(1120)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종류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 값을 해당 메시지에 추가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V2X 기기(1110)는 제2 V2X 기기(112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제1 V2X 기기(111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즉,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새로운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지도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V2X 기기(1110)는 실제 도로 상황이 실시간으로 반영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주변 V2X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V2X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V2X 기기(1220, 1230)는 차량에 설치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기존의 도로 환경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이벤트(가령, 도로 공사)가 발생한 경우, 제2 V2X 기기(1220)는 제1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V2X 기기(1230)는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V2X 기기(1220)는, 메시지 전송 시, 제1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 값을 '3'으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제3 V2X 기기(1230)는, 메시지 전송 시,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 값을 '5'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제1 V2X 기기(1210)는 제2 V2X 기기(1220) 및 제3 V2X 기기(1230)로부터 제1 및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V2X 기기(1210)는 제1 및/또는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 실시간으로 반영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1 V2X 기기(1210)는 제1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 값과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품질 값을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총 데이터 품질 값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 품질 임계값(가령, 5)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합산된 총 데이터 품질 값(가령, 8)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 품질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V2X 기기(1210)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변으로 재전송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는 제1 실시간 지도 데이터 또는 제2 실시간 지도 데이터이거나, 혹은 제1 V2X 기기(1210)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실시간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200 : 휴대용 V2X 기기
210 : 무선 통신부 220 : 입력부
240 : 센싱부 250 : 출력부
260 : 인터페이스부 270 : 메모리
280 : 제어부 290 : 전원 공급부

Claims (10)

  1. 실제 도로 상황을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싱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V2X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실제 도로 상황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신규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신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변 차량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V2X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 레벨 값을 상기 메시지의 일 부분에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V2X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소스(data source)에 대응하는 데이터 품질 값을 상기 메시지의 일 부분에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V2X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규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 상기 신규 이벤트의 발생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이벤트의 발생 또는 검출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V2X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V2X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와 인접 V2X 기지국 또는 인접 V2X 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신규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V2X 기기.
  6. 지도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에 설정된 데이터 레벨 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지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신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동작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V2X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가 일반 지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일반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V2X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V2X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가 중복 데이터인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V2X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에 설정된 데이터 품질(data quality)의 합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 지도 데이터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V2X 기기.
KR1020160085641A 2016-07-06 2016-07-06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87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1A KR101878811B1 (ko) 2016-07-06 2016-07-06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1A KR101878811B1 (ko) 2016-07-06 2016-07-06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4A true KR20180005484A (ko) 2018-01-16
KR101878811B1 KR101878811B1 (ko) 2018-07-16

Family

ID=6106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41A KR101878811B1 (ko) 2016-07-06 2016-07-06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1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55B1 (ko) * 2018-02-28 2019-01-24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V2x 통신 성능 평가 시스템
KR20190095595A (ko) * 2018-01-23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8497B1 (ko) * 2019-04-08 2020-09-22 도로교통공단 자율주행 평가시스템
WO2020235765A1 (ko) * 2019-05-21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WO2021002504A1 (ko) * 2019-07-03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333662A (zh) * 2020-10-27 2021-02-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v2x通信系统及通信方法
US10999389B2 (en) 2018-05-24 2021-05-04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dynamic map data, and storage medium
KR102275432B1 (ko) * 2020-10-13 2021-07-08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실시간 도로 정보 기반의 콘텐츠 수집 및 가공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및 광고 방법
KR20210157611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자율주행용 실시간 지도를 구성하는 자율주행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284A (ko) * 2006-04-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안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93345A (ko) * 2009-02-16 201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위험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KR101475038B1 (ko) * 2013-12-23 2014-12-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도로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0801A (ko) * 2013-12-17 2015-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284A (ko) * 2006-04-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안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93345A (ko) * 2009-02-16 201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위험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KR20150070801A (ko) * 2013-12-17 2015-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전달방법
KR101475038B1 (ko) * 2013-12-23 2014-12-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도로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595A (ko) * 2018-01-23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1855B1 (ko) * 2018-02-28 2019-01-24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V2x 통신 성능 평가 시스템
US10999389B2 (en) 2018-05-24 2021-05-04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dynamic map data, and storage medium
KR102158497B1 (ko) * 2019-04-08 2020-09-22 도로교통공단 자율주행 평가시스템
WO2020235765A1 (ko) * 2019-05-21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WO2021002504A1 (ko) * 2019-07-03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57611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자율주행용 실시간 지도를 구성하는 자율주행 보조장치
KR102275432B1 (ko) * 2020-10-13 2021-07-08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실시간 도로 정보 기반의 콘텐츠 수집 및 가공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및 광고 방법
CN112333662A (zh) * 2020-10-27 2021-02-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v2x通信系统及通信方法
CN112333662B (zh) * 2020-10-27 2022-11-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v2x通信系统及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811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11B1 (ko)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0149132B2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11835B1 (ko)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CN110099836B (zh) 车辆及控制其中的显示器的方法
US10431086B2 (e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7768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30315B1 (ko)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EP3267659B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system with a display
US10235879B2 (en) Notification system of a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716145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70022752A (ko) 차량 내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28400B1 (ko) 휴대용 v2x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1741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90100897A (ko)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79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1501B1 (ko)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11448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7032B1 (ko) 이동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호 시스템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EP4191204A1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KR1018924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70009558A (ko) 차량간 블랙박스 영상을 공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
KR102121990B1 (ko) 차량과 통신 가능한 사이니지 및 사이니지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