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210A -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210A
KR20180005210A KR1020177035236A KR20177035236A KR20180005210A KR 20180005210 A KR20180005210 A KR 20180005210A KR 1020177035236 A KR1020177035236 A KR 1020177035236A KR 20177035236 A KR20177035236 A KR 20177035236A KR 20180005210 A KR20180005210 A KR 2018000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ode
link
transmission delay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016B1 (ko
Inventor
림 카라키
토르스텐 두다
한지 장
토르비욘 비그렌
헬카-리나 메에태넨
스테판 바게르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8000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4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between network providers, e.g. op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노드, 무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술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본 개시는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액세스 노드, 무선 통신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기술된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 이동 전화, 스마트폰, 데이터 모뎀, 모바일 컴퓨터, 또는 다른 종류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즉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이동 통신 시스템(E-UTRAN)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문제점 및 해결책들은 다른 액세스 기술 및 표준을 구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장치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LTE는 실시예들이 적절한 예시 기술로서 사용되며, 설명에서 LTE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를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책에 특히 유용하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 LTE 이동성에 대해 기술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RRC)(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기술 규격(TS) 36.331, 예컨대 V10.8.5(2013-01))는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에서의 구성, 재구성 및 일반적인 연결 처리를 위한 메인 신호 프로토콜이다. RRC는 연결 설정, 이동성, 측정, 무선 링크 실패 및 연결 회복과 같은 많은 기능들을 제어한다. 이들 기능은 본 개시와 관련이 있으므로,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LTE의 무선 통신 장치는 RRC_CONNECTED 및 RRC_IDLE의 두 가지 RRC 상태에 있을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이동성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측정에 기초한 네트워크-제어인데, 즉 그러한 네트워크는 UE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측정에 기초하여 언제 핸드 오버(hand over)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즉 LTE 무선 기지국(각각 E-UTRAN의 진화된 노드 기지국(eNodeB 또는 eNB)이라고 함)은 무선 통신 장치가 이후 네트워크에 리포트를 전송하는 것에 기초하여 다양한 측정 이벤트, 임계치 등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장치가 현재 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를 더 강한 셀로 핸드 오버할 현명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중 연결성은 3GPP Rel-12 내의 소규모 셀 강화 기능의 표준화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이중 연결성은 무선 통신 장치가 적어도 2개의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를 동시에 수신 및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그러한 2개의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eNodeB(MeNB) 및 이차 eNodeB(SeNB)로 나타낸다. MeNB는 마스터 셀 그룹(MCG)을 제공하고, SeNB는 이차 셀 그룹(SCG)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프로토콜은 MeNB 내에서 종료된다고 가정한다. 그러한 무선 통신 장치가 MCG를 통해 RRC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동안, MCG 및 SCG 모두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중 연결성의 분할 베어러 아키텍처(bearer architecture) 옵션에서, 다운 링크 데이터는 MeNB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에서 분할된다. 그러한 MeNB는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MeNB 무선 링크 제어(RLC)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직접 라우팅하거나, 또는 백홀 채널(backhaul channel)로도 알려진 노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SeNB로 라우팅하고 SeNB RLC를 무선 통신 장치로 라우팅할 수 있다. 노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MeNB에서 SeNB로의 데이터 흐름은 일반적으로 SeNB 버퍼 채움 상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흐름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흐름 제어 피드백은 3GPP TS 36.425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무선 통신 장치가 2개의 개별 링크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 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데이터의 전송을 균형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1실시예에 의해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1액세스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제3실시예에 의해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무선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제2액세스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5실시예에 의해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2액세스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제7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1액세스 노드가 제공되며,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8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9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제2액세스 노드가 제공되며,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0실시 예에 따르면,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액세스 노드 및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선택적으로 제9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에서의 제어 플랜 및 사용자 플랜 종료의 예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각각 LTE-WLAN 집성 및 이중 연결성에 대한 아키텍처의 예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예시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시그널링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1전송 지연 정보와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의 추가의 제2전송 지연 정보를 결합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또한 제1액세스 노드에 원하는 데이터의 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제1액세스 노드와 관련된 실시예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 실시예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제2액세스 노드와 관련된 실시예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제1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제2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 즉 제1액세스 노드, 제2액세스 노드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장치로 나타낸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프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예컨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제1액세스 노드로부터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그리고/또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제1액세스 노드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예컨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그리고/또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제2액세스 노드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이중 연결성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및 제2액세스 노드에 동시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또 하나 이상의 그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무선 신호들은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신호, 및/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이중 연결성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 무선 링크들을 통해 적어도 2개의 다른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하고 그리고/또 적어도 2개의 다른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 신호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는 각각 링크들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지국(RBS)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와 제2액세스 노드간 시그널링 연결 링크는 LTE X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세스 노드가 WLN(무선 LAN 논리 노드)인 경우, 상기 제2액세스 노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Xw로 나타내고, 편의성을 위해 백홀 채널이라고도 부른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를 향한 제어 플랜 연결을 종료함으로써, 그 무선 통신 장치의 제어 노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액세스 노드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서, 그러한 시스템 정보 및 그것의 공간 이용 가능성은 파선의 원형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 외에, 추가된 사용자 플랜 지원을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액세스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플랜 데이터가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추가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피크 레이트(peak rate)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결국,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채용된 전송 주파수는 제2기지국에 의해 채용된 전송 주파수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제1 및 제2액세스 노드의 역할이 바뀔 수 있는데, 즉 제2액세스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를 향한 제어 플랜 연결을 종료함으로써 그 무선 통신 장치의 제어 노드가 된다. 유사하게,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1액세스 노드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지라도, 또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시스템 정보를 분배하거나 분배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릴레이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제1액세스 노드는 기지국, 예컨대 진화된 노드 B(eNB)로 구현될 수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일 수 있고, 업링크 데이터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일 수 있다.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를 이용하여 달성되고,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제2액세스 노드는 기지국, 예컨대 진화된 노드 B(또는 제1액세스 노드가 MeNB인 경우, 제2액세스 노드가 SeNB인)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한 제1액세스 노드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중 연결성 아키텍처가 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2액세스 노드는 무선 근거리 액세스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라고도 부르는 802.11 기술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M)eNB 대신 노드 종료 802.11 기술 또는 WLAN가 될 수 있고, 그 노드는 이하에서 WLAN 논리 노드(WLN)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손실 없이, 그러한 제2액세스 노드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nodeB(NB), eNodeB(eNB), 이차 eNodeB(SeNB) 또는 WLN으로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 모두가 동일한 기술에 따라 동작하도록 실시되는 경우에 공통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한 셀룰러 네트워크는, 제1액세스 노드가 LTE와 같은 제1기술에 따라 동작하도록 실시되고, 제2액세스 노드가 802.11과 같은 제2기술에 따라 동작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에서의 제어 플랜 및 사용자 플랜 종료를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이중 연결성을 따르는 예시의 프로토콜 종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배치시 LTE Rel-12에서 이중 연결성을 실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안되었다.
이중 연결성은 무선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규정되는 특징이며, 그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 포인트로 동시에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가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 포인트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게 하도록 백홀 링크를 통해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포인트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중 연결성은 3GPP 릴리스 12(Rel-12) 내의 소규모 셀 강화 기능의 표준화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이중 연결성은 집성된 네트워크 포인트들이 동일한 주파수 또는 각기 독립된 주파수에서 동작할 경우에 대해 규정된다. 무선 통신 장치가 집성하는 각각의 네트워크 포인트는 독립형 셀을 규정할 수 있거나 독립형 셀을 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용어 "독립형 셀"은 특히 각각의 네트워크 포인트, 즉 각각의 셀이 무선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독립된 셀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독립형 셀을 규정하지 않는 네트워크 포인트는 무선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하나의 동일한 셀로 간주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그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집성하는 상이한 네트워크 포인트들 사이에 소정 형태의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집성된 네트워크 포인트들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물리 계층에서의 통신이 진정으로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중 연결성의 주체는 제2액세스 노드가 WLN인 경우에 전달될 수 있어, 무선 통신 장치가 WLAN 및 LTE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집성할 수 있게 한다.
특징으로서 이중 연결성은 캐리어 집성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와 많은 유사점이 있다. 주요 차별화 요소는 네트워크 포인트들 간의 동기화 요구 사항에 대한 완화된 백홀 및 덜 엄격한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이중 연결성이 디자인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연결된 네트워크 포인트들 간에 타이트 한 동기화 및 낮은 지연 백홀이 가정되는 캐리어 집성 및 CoMP와는 대조적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다운 링크 전송이 상이한 노드들로부터 오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CoPM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의 단일 노드로부터 수신될 다운링크 전송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랜에서, 분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무선 링크 제어(RLC) 접근이 취해지며, 여기서 복수의 연결로 트래픽의 분할을 제공하는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을 통한 사용자 플랜 집성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상기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가 그들 각각의 베어러의 사용자 플랜을 종료한다. 제어 플랜에서, RRC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은, 제1액세스 노드를 통한 RRC 메시지의 라우팅 가능성에 따라, 제1액세스 노드에서, 또는 심지어 링크 모두에서 동시에 중앙 집중화된다. 완전한 용이성을 위해, "NAS"는 비액세스 프로토콜 계층을 나타내고, "RLC"는 무선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계층을 나타내고, "MAC"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계층을 나타내며, "PHYS"는 물리 계층을 나타낼 수 있다.
이중 연결성 및 RRC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예시의 프로토콜 종료에서, RRC는 제1액세스 노드에서 종료되며, PDCP는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 모두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도 3은 Rel-12 이중 연결성 분할 베어러 아키텍처와 유사한 LTE-WLAN 집성에 대한 아키텍처 옵션을 나타내며, 여기서 노드 종료 WLAN, WLAN 논리 노드(WLN)가 이차 eNB, 즉 제2액세스 노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는 제2액세스 노드가 eNB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액세스 노드, 즉 WLN은 사양 IEEE 802.11 a/h, b/g, n, ac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무선 주파수 및/또는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LTE-WLAN 집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WLAN 종료(WT)가 SeNB일 수 있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중 연결성의 경우에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LTE 이중 연결성(릴리스 12/13)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RRC 연결을 유지하는 eNB는 마스터 eNB(MeNB)라 부르며, 예컨대 전송 데이터의 집성 또는 오프로딩(offloading)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eNB는 이차 eNB(SeNB)라 부른다. LTE-WLAN 집성에서, 대응하는 용어는 eNB 및 WT 또는 WLAN 논리 노드(WLN)이다. 이러한 실시예가 이중 연결성 및 LTE-WLAN 집성 모두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들 용어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된다.
LTE 및 WLAN 집성은 무선 통신 장치가 eNB 및 WLAN 모두에 대한 링크를 사용하여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다. 다운 링크 데이터에서의 LTE-WLAN 집성의 분할 베어러 아키텍처 옵션은 eNB일 수 있는 제1액세스 노드의 PDCP 계층에서 분할된다. 제1액세스 노드는 eNB RLC를 통해 PDCP PDU를 동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로 직접 라우팅하거나, 또는 백홀 채널 X2, Xw를 통해 제2액세스 노드로,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SeNB 또는 WLN, MAC로 라우팅할 수 있다. 개별 베어러 아키텍처에서, 베어러의 하위 계층은 LTE 또는 WLAN으로 전환되어 그 베어러의 모든 PDCP 패킷이 LTE 또는 WLAN을 통해 라우팅된다. eNB 관점에서 보면, 개별 베어러 아키텍처는 정적 라우팅 결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적응 계층은 WLAN에 의해 전송될 PDCP 패킷을 적응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 계층은 제1액세스 노드 또는 제2액세스 노드의 일부이거나, 또는 각 노드에서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의 제1동작 모드에서, 제1액세스 노드의 제1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 및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전송된 모든 데이터가 없을 수 있거나, 또는 어떠한 데이터도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전송될 수 없고, 모든 데이터가 제1액세스 노드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동작 모드에서, 모든 패킷이 WLAN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라우팅되는 경우, 사용자 플랜 베어러의 PDCP 아래의 eNB RLC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WLAN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모든 패킷이 LTE를 통해 UE로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가 2개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지만 데이터는 이들 링크 중 하나를 통해서만 수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제2동작 모드에서, WLAN을 종료하는 노드는 제2액세스 노드일 수 있는 이차 eNB의 역할을 가정한다. 이후 WLAN에 의해 전송될 PDCP 패킷을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적응 계층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동작 모드에서, MeNB는 PDCP PDU를 MeNB RLC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직접 라우팅하거나, 또는 백홀 채널 Xw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SeNB 또는 WiFi MAC로 동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eNB의 형태의 제1액세스 노드는 상기 제1 또는 제2링크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유닛들 또는 패킷들을 분배할 수 있다. 제1링크는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의 무선 링크일 수 있는 반면, 제2링크는 제1액세스 노드와 제2액세스 노드간의 제1서브-링크 및 제2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의 제2서브-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고 제2서브-링크는 바람직하게는 무선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동작 모드가 채용될지의 결정은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신된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와 제2액세스 노드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기 위해, 예컨대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아래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Xw, X2가 제공될 수 있다:
- 분할 베어러 옵션으로 구성된 특정 E-RAB에 대해,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부터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로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시퀀스 번호 정보;
- 분할 베어러 옵션으로 구성된 특정 E-RAB와 관련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의 PDCP PDU의 성공적인 시퀀스 전송 정보;
-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되지 않는 PDCP P여의 정보;
- 분할 베어러 옵션으로 구성된 특정 E-RAB와 관련된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데이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에서 현재 원하는 버퍼 크기의 정보;
- 분할 베어러 옵션으로 구성된 모든 E-RAB와 관련된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데이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에서 현재 최소의 원하는 버퍼 크기의 정보.
따라서, 제1액세스 노드는 각각의 전송된 X2-U 패킷에 연속적인 X2-U 시퀀스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상태 과정의 목적은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로부터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피드백을 제공하여, 상기 제1액세스 노드가 각각의 E-RAB에 대해 상기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제2액세스 노드는 또한 동일한 GTP-U PDU 내의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과 함께 언급된 E-RAB에 대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액세스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트리거하기로 결정할 때,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리포트할 수 있다:
a) 상기 MeNB로부터 수신된 PDCP PDU들 중에서 상기 UE에 성공적으로 전송된 가장 높은 PDCP PDU 시퀀스 번호;
b) 언급된 E-RAB에 대한 원하는 바이트의 버퍼 크기;
c) UE에 대한 최소의 원하는 바이트의 버퍼 크기;
d) SeNB에 의해 "손실"되고 아직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 내의 MeNB에 리포트되지 않은 것으로 선언된 X2-U 패킷.
제1액세스 노드는,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을 수신할 때:
-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요구된 데이터의 양이 선언될 때 상기 b) 및 c)에서 원하는 버퍼 크기를 고려하여
-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 구축된 다른 모든 E-RAB의 가장 최근에 리포트된 PDCP 시퀀스 번호(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a)에서 리포트된 PDCP 시퀀스 번호로부터
- 과거에 표시된 버퍼 크기와 무관한, 순간적으로 원하는 버퍼 크기로
- 성공적으로 전송된 PDCP PDU의 피드백에 따라 버퍼링된 PDCP PDU를 제거하고
- 성공적으로 전송된 것 외에 리포트된 PDCP PDU에 대해 취해야 할 조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프레임 포맷은 수신되는 수신의 제1액세스 노드가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게 하기 위해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규정된다.
대안으로,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언급된 정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2액세스 노드가 아닌 (단지) 실시예에 따라 그러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그러한 무선 통신 장치와 제1액세스 노드간의 제1무선 링크를 통해 이러한 정보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지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TE 릴리스에 따라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제1액세스 노드, 즉 MeNB, eNB 등은 각각의 새롭게 들어오는 데이터에 대해 또는 각각의 전송 지연 정보의 각 수신에서, 또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패킷(또는 대기 행렬 내의 다수의 각각의 패킷)의 지연을 추정하여 제1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러한 전송 지연 정보는, 예를 들어 백홀 레이턴시 및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SeNB 또는 WLN 큐잉(queuing) 시간과 같은 제1링크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지연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킷 및 데이터 유닛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는 무선 통신 장치로 새로운 패킷을 전송할 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링크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제1액세스 노드는 다음의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할 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i) 제1액세스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링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에 대한 레이턴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는 또한 백홀 레이턴시, 즉 제2링크의 서브-링크를 통한 레이턴시 및/또는 예컨대 제2액세스 노드에서 버퍼의 큐잉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1링크를 통한 전송에 대한 이러한 레이턴시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한 백홀 지연 및/또는 큐잉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링크가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ii) 제1액세스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링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에 대한 레이턴시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링크를 통한 전송에 대한 레이턴시가 백홀 레이턴시 및/또는 큐잉 시간보다 작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제1링크가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제1액세스 노드를 통해서만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그리고/또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서 공유 버퍼에 유지한다.
따라서, 이중 연결성 또는 LTE-WLAN 집성의 경우, 전송 제어, 즉 제1 및 제2액세스 노드간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유닛의 분배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 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 피드백에 기초하여, 또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액세스 노드 모두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eNB와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 간의 버퍼링을 제어 및/또는 균형 맞추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각각 제1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에서 각각의 버퍼, 예컨대 eNB 및 WLN 버퍼를 구성함으로써, 하위 엔드 투 엔드(end to end) 다운로드 지연 측면에서 최종 사용자 성능이 향상된다. 이것은 무선 통신 장치 지원 전송 제어에 의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유닛을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으로 전송할지, 또는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자체 MeNB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그것들을 직접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때 그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PDCP 피드백, 예컨대 하나 이상의 PDCP PDU 시퀀스 번호가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데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제어는 또한 상기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액세스 노드 측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에서 효율적인 전송 제어 및 버퍼링으로 인한 낮은 다운로드 시간에 의한 향상된 최종 사용자 경험이 달성될 수 있다.
PDCP 데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2개의 경로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LTE-WLAN 집성의 예에서, PDCP PDU는 제1액세스 노드를 통해, 예컨대 RLC를 사용하여 제1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되거나,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제2무선 노드, 예컨대 WLN으로 전송되어 거기로부터 제2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제어는 즉 제1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에서 전송 버퍼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요구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제1액세스 노드에 제공된 전송 제어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전송 제어기는 무선 통신 장치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PDCP 계층과 대응 인터페이스(예컨대, X2 또는 Xw) 사이에 배치될 수있다. 이러한 전송 제어 동작은 PDCP 아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전송 제어기는 전송할 링크를 선택할 때 PDCP PDU 시퀀스 번호 및/또는 확인 응답과 같은 PDCP 관련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의 단일 링크만이 존재하는 곳에서(단일 연결성), RLC 전송기 엔티티는 PDCP 전송기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PDU의 시퀀스 번호를 로컬 확인 응답으로 제공하지만,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제1 및 제2링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예컨대 LTE-WLAN 집성 또는 이중 연결성에서, 일부 PDCP 패킷은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AN을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RLC 엔티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전송은 정보,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에 부분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의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PDCP 수신 알고리즘에 따르면, 상기 PDCP 전송기는 플라이트(flight) 중에 시퀀스 번호(SN) 스페이스(space)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 않아야 한다. 즉, SN 스페이스의 절반이 플라이트 중인 경우, 전송기는 무선 통신 장치로의 성공적인 전송의 확인 응답을 기다릴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시퀀스 번호는 다른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기 전 그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 이하의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PDCP PDU들에 관한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전송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 즉 무선 통신 장치 기반 전송 제어에서의, 예컨대 LTE-WLAN 집성의 경우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는 가장 성공적으로 수신된 PDCP 패킷의 SN을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리포트해야 하며, 이러한 SN은 증분 방식으로 리포트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는 현재 SN과 마지막으로 리포트된 SN의 차이를 리포트한다. 이에 따라, 전송 지연 정보에 사용된 비트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PDCP 제어 PDU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모든 SN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PDCP 상태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가장 높은 SN만이 제공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가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한 PDCP 패킷의 SN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다음 PDCP 패킷의 SN(제1액세스 노드에서 새롭게 수신한 데이터 유닛에 할당된)과 비교하여, 얼마나 많은 PDCP PDU가 플라이트 중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다음에, PDCP 전송은 패킷의 절반 이상이 플라이트 중일 때 정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SN 스페이스의 절반 이하가 플라이트 중이면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제 LTE-WLAN 집성의 경우를 참조하면, WLN은 RLC 계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PDCP PDU 확인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다시 전송할 수 없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WLN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WLN은 무선 통신 장치에서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PDCP PDU의 SN에 관한 정보를 소유하지 않을 수 있다.
PDCP 전송기에 대한 정보 외에도, 무선 통신 장치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흐름 제어기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지연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리포트된 가장 높은 수신된 PDCP SN 외에,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양 링크의 PDCP PDU의 지연을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리포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는 어떤 링크가 더 빠른지 알고 있다. 양 링크, 즉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지연 값들은 각각의 패킷의 절대값이거나 임의의 시간 동안 평균화된 값들일 수 있다.
전송 지연 정보의 또 다른 옵션은 무선 통신 장치가 2개의 링크 사이의 지연 차이, 즉 제1액세스 노드의 지연 - 제2액세스 노드의 지연을 전송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값은 N 비트로 양자화되거나, 또는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 및 무선 통신 장치 모두에서 알려진 미리 규정된 테이블로 맵핑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는 이러한 지연 정보를 수신한 후, 다음 PDCP 패킷(즉,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서의 공유 버퍼 내의 하나 이상의 다음 데이터 유닛)에 사용할 링크를 결정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PDCP의 SN 필드 및 지연 필드 외에,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PDCP 제어 PDU는 다음과 같은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 경우에 따른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 또는 (S)eNB의 처리량,
- 데이터 유닛이 사용자 데이터 PDU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제어 PDU(사용자 데이터를 수반하지 않는)인 것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 예컨대 비트;
- 이것이 흐름 제어 피드백 및 PDCP를 위한 PDU인 것을 나타내는 PDU 타입, 예컨대 3비트,
- 예컨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누락된 PDU의 카운트,
- 누락된 PDU들의 리스트(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SN 이하의), 예컨대 재정렬 타이머가 만료되어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SN이 증가된 PDU들,
필요한 경우, 상기 전송 지연 정보는 PDCP 데이터 PDU에 대한 확장일 수 있으며, 여기서:
- 통상의 PDCP 데이터 PDU의 모든 필드
- 수신된 비트는 전송 지연 정보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PDCP 제어 PDU 전송 지연 정보는 예컨대 제1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 전송될 수 있다. 주기성은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는 또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 지연 정보를 요구하는 패킷들에만 타임 스탬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리스트된 전송 지연 정보 옵션들은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와 제1 및 제2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지연에 대한 전송 지연 정보는 각각 독립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전송 지연 정보는 제1 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의 각각의 무선 통신 장치 링크에 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1전송 지연 정보 외에, 제2전송 지연 정보는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전송 지연 정보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무선 통신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방법을 결정 및/또는 선택할 때, 제1 및 제2전송 지연 정보를 고려한 조합된 방식의 전송 제어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유닛 전송의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뿐만 아니라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PDCP SN을 포함하거나 나타내는 PDCP 피드백을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전송하지만, 전송 지연 정보는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에서 (M)eNB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1전송 지연 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포함된 정보와 상보적일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기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포함하는 시그널링도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도 4에 MeNB로 나타낸 제1액세스 노드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이전-구성 방식, 예컨대 제2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갖는다. 그 후, 제1액세스 노드는 백홀 채널을 통해 제2액세스 노드, 이 경우 WLN 또는 WT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러한 제2액세스 노드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서 UE로 나타낸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백홀 채널 및 무선 링크는 제2링크의 일부이다. 또한 제1액세스 노드는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제1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무선 링크는 예로서 상기 제1링크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전송 지연, 처리량, 가장 높은 수신된 PDCP SN, 누락된 PDCP 패킷 등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정보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1무선 링크를 통해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흐름 제어 피드백, 즉 도 4에 FC 피드백으로 나타낸). 또한, 본 개시의 기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제어를 위한 추가 정보는 도 4의 WT로부터의 피드백으로 나타낸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PDCP 패킷을 갖는 제1액세스는, 일반적으로 상기 새로운 PDCP 패킷 또는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위해 제1 또는 제2링크를 사용할지 여부를 정하거나 또는 결정한다. 결정된 이러한 분배 방식에 따라, 데이터 유닛 또는 데이터 유닛들은 상기 제1 또는 제2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제1 또는 제2링크를 통해 제1액세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무선 통신 장치는 피드백, 예컨대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유닛들 중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유닛을 다시 전송할 것이다. 제2액세스 노드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전송 제어를 위해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 또는 그 일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 예컨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제1액세스 노드 또는 제2액세스 노드의 요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WLAN 집성의 경우에, 제2액세스 노드는 RLC 계층 등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전송된 PDCP PDU SN에 대해 알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전송된 PDCP PDU SN은 일반적으로 윈도우 기반 전송 제어 방식에서 하위 윈도우 에지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 옵션의 대안의 윈도우 기반 전송 제어가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도 5에 따르면,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은,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 그 전송 버퍼의 가장 높은 윈도우 에지, 즉 그 버퍼의 마지막 SN, 즉 백홀 채널을 통해 제1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마지막 SN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은, 추가 데이터의 양(예컨대, 바이트가 얼마나 많은지)을 나타내고,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은 그 버퍼에 더 많은 것(가장 높은 윈도우 에지에 대한 바이트의 오프셋)을 갖기를 원한다. 이들 2개의 값들에 따라,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는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H'는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NL의 버퍼에서 가장 높은 윈도우 에지, 즉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로부터의 Xw(백홀 채널)를 통해 수신된 가장 높은 SN을 나타내고:
D'은 H'에 대한 오프셋으로 나타낸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한 바이트의 추가 데이터의 원하는 양을 나타낸다. 제2액세스 노드 예컨대 WLN은, 예컨대 처리량 추정, 현재 로드 및/또는 QoS에 기초하여 D1을 결정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액세스 노드는 제2액세스 노드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송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예컨대 제1전송 지연 정보를 통해 하위 윈도우 에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윈도우 에지는 예컨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가장 높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PDCP SN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즉 전송되었으나 아직 수신되지 않은 플라이트 중의 PDCP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제1액세스 노드에서 PDCP 전송기에 의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누락된 SN의 리스트를 제1액세스 노드 예컨대 (M)eNB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액세스 노드는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그리고/또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플라이트 중 (총)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전송을 제어하는 제1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액세스 노드는, 예컨대 원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의 제2전송 지연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상기 방법은,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무선 통신 장치로 성공적으로 전송한 데이터 유닛들 중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더 수행된다. 상기 제1전송 지연 정보, 제2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는 하나의 메시지 또는 2개 이상의 메시지에서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언급한 제어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1전송 지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되고, 제2전송 지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는 아래를 포함하는 정보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 상기 제1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 바람직하게 레이턴시,
- 제1링크를 통한 전송에 대한 제1전송 지연과 제2링크를 통한 전송에 대한 제2전송 지연간 시간차를 나타내는 시간차 정보,
- 제1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1처리량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2처리량을 나타내는 처리량 정보,
-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유닛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번호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 제2액세스 노드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데이터 유닛들 중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유닛, 및
- 제2액세스 노드에 저장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방법은 또한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이 제1링크를 통한 전송 시간과, 선택적으로 제1액세스 노드에서 데이터 유닛의 처리 시간 및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처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이 제1액세스 노드에서 데이터 유닛의 처리 시간과, 제2액세스 노드에서 처리 시간 및 제2링크를 통한 전송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 제2액세스 노드 및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엔티티에서의 처리 시간은, 예컨대 각각의 엔티티에서 실행된 프로토콜 스택에서 프로토콜 계층들을 통해 데이터 유닛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1전송 지연 정보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에 포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PDCP PDU가 아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PDCP 제어 PDU인 것을 더 포함한다:
- PDCP 제어 PDU만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 전송 지연 정보가 PDCP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전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상기 방법은 PDCP PDU가 선택적으로 아래의 정보를 포함하는 PDCP 페이로드 PDU인 것을 더 포함한다:
- 전송 지연 정보가 PDCP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전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상기 방법은,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결정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작으면 제1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제1액세스 노드에 대한 허용 가능한 전송 윈도우를 규정하는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 및/또는 전송 단계는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이면 수행된다. 이러한 결정 단계는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상기 값 이하인지의 결정이 긍정인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 단계 및/또는 제어 단계는 각각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각각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상기 방법은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상기 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결정 단계 및/또는 제어 단계는 다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수행된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될 다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상기 방법은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상기 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단 한번,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단 한번, 그리고 제어하는 단계를 단 한번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단계에서, 다수의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어 단계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기술된다. 그러한 방법은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한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제1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들을 개략적으로 기술한다.
그러한 기술된 구조에서, 제1액세스 노드는 제1(무선)링크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전송기(T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를 포함하고, 수신기(R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LTE 시나리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의 Uu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제1액세스 노드는 제2링크를 통한 상기 기술한 제2액세스 노드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인터페이스는 무선 및/또는 유선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상기 기술한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ROM와 같은 ROM, DRAM 또는 SRAM과 같은 RAM, 하드 디스크 또는 고체 상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술한 제1액세스 노드의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적절히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는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예컨대 그러한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 단계는 결정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결정 모듈은,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그러한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제1액세스 노드에 대한 허용 가능한 전송 윈도우를 규정하는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제어 단계 및/또는 전송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일 경우 수행된다. 대안으로, 상술한 결정들을 실행하기 위한 2개의 다른 결정 모듈이 메모리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작으면 상기 제1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제1노드는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 예컨대 다른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 프로세서들을 사실상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나타내지 않은 다른 타입의 프로그램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는 액세스 노드의 통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모듈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도 1-8과 관련하여 기술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들이 나타나 있다. 그러한 나타낸 구조에서, 제1액세스 노드는 제2링크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로 또는 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전송기(T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를 포함하고, 수신기(R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LTE 또는 WLAN 시나리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의 또는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Uu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그리고/또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무선 주파수 및/또는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데이터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제2액세스 노드는 제2링크를 통한 상기 기술한 제1액세스 노드와 같은 다른 액세스 노드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인터페이스는 무선 및/또는 유선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상기 기술한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1액세스 노드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ROM와 같은 ROM, DRAM 또는 SRAM과 같은 RAM, 하드 디스크 또는 고체 상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술한 제1액세스 노드의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적절히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해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제2액세스 노드는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 예컨대 다른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 프로세서들을 사실상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액세스 노드의 메모리는 나타내지 않은 다른 타입의 프로그램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는 LTE 및/또는 WLAN과 같은 액세스 노드의 통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모듈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도 1-8과 관련하여 기술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기술한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의 구조들이 나타나 있다. 그러한 나타낸 구조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무선 링크를 통한 제1액세스 노드로 또는 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그리고 또 다른 무선 링크롤 통한 제2액세스 노드로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액세스 노드에 따른 통신을 위해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제1액세스 노드 및 제2액세스 노드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결합될 수 있다. 전송기(T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제1 및/또는 제2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를 포함하고, 수신기(RX)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그러한 무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LTE 또는 WLAN 시나리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의 또는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Uu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그리고/또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무선 주파수 및/또는 IEEE 802.11 a/h, b/g, n, ac에 따른 데이터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및 제2무선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ROM와 같은 ROM, DRAM 또는 SRAM과 같은 RAM, 하드 디스크 또는 고체 상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술한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적절히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모리는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해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기술한 바와 같은 구조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 예컨대 다른 인터페이스 또는 추가 프로세서들을 사실상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메모리는 나타내지 않은 다른 타입의 프로그램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는 LTE 및/또는 WLAN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의 통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모듈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액세스 노드로 제1전송 지연 정보를 전송하도록 채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채용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변형 및 다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 제시된 교시의 이점들을 갖는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떠오르게 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 및 다른 실시예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제한적인 목적이 아닌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3GPP ;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UE ; 사용자 장비,
LTE ; 롱 텀 에볼루션,
eNodeB ; 진화된 노드 기지국,
RBS ; 무선 기지국,
PDSCH ;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USCH ;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PDCP PDU ;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패킷 데이터 유닛.

Claims (30)

  1.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유닛들 중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더 수행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위해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전송 지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또
    제2전송 지연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제2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는:
    -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레이턴시와 같은 전송 지연,
    - 제1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제1전송 지연과 제2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제2전송 지연간 시간차를 나타내는 시간차 정보,
    - 제1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1처리량 및/또는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2처리량을 나타내는 처리량 정보,
    -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유닛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번호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 제2액세스 노드를 성공적으로 전송한 데이터 유닛들 중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유닛,
    - 제2액세스 노드에 저장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은 제1링크를 통한 전송 시간과, 선택적으로 제1액세스 노드에서 데이터 유닛의 처리 시간 및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처리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은 제1액세스 노드에서 데이터 유닛의 처리 시간과, 제2액세스 노드에서 처리 시간 및 제2링크를 통한 전송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전송 지연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에 포함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DCP PDU는 아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PDCP 제어 PDU인, 방법.
    - PDCP 제어 PDU가 제어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 전송 지연 정보가 PDCP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전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DCP PDU는 아래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PDCP 페이로드 PDU인, 방법.
    - 전송 지연 정보가 PDCP 데이터 유닛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전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수신된 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어 단계는 상기 결정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이 제2링크에 대한 전송 지연보다 작으면 상기 제1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2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제1액세스 노드에 대한 허용 가능한 전송 윈도우를 규정하는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가장 높은 시퀀스 번호가 시퀀스 번호 스페이스의 절반을 나타내는 값 이하이면, 제어 단계 및/또는 전송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
  14. 청구항 11 및/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 단계 및/또는 제어 단계는 각 데이터 유닛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15. 청구항 11, 13 및/또는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 단계 및/또는 제어 단계는 다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1액세스 노드가 제공되며, 상기 제1액세스 노드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및/또는 제2전송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액세스 노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제1액세스 노드는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전송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액세스 노드.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제1액세스 노드는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액세스 노드.
  21.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전송 제어 정보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청구항 21 또는 22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청구항 16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1링크를 통한 그리고 제2액세스 노드를 통해 상기 제1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 장치간 제2링크를 통한 데이터 유닛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제2액세스 노드가 제공되며, 상기 제2액세스 노드는:
    - 상기 제1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1전송 지연 정보 및/또는 상기 제2링크의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제2전송 지연 정보를 상기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액세스 노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제2액세스 노드는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전송 지연 정보를 제1액세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액세스 노드.
  26. 청구항 24 또는 25에 있어서,
    제2액세스 노드는 청구항 17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액세스 노드.
  27. 제1액세스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1액세스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8.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청구항 16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무선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9. 제2액세스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청구항 17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2액세스 노드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0.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액세스 노드와,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선택적으로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2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77035236A 2015-05-13 2016-05-12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98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0745P 2015-05-13 2015-05-13
US62/160,745 2015-05-13
PCT/EP2016/060705 WO2016180925A1 (en) 2015-05-13 2016-05-12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210A true KR20180005210A (ko) 2018-01-15
KR101998016B1 KR101998016B1 (ko) 2019-07-08

Family

ID=5596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236A KR101998016B1 (ko) 2015-05-13 2016-05-12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050894B2 (ko)
EP (1) EP3295749B1 (ko)
KR (1) KR101998016B1 (ko)
MY (1) MY191655A (ko)
WO (1) WO20161809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265A (ko)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220031271A (ko)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고장패널을 검출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4266B (zh) * 2014-06-23 2024-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双连接中分割承载的数据分配方法和装置
KR101998016B1 (ko) * 2015-05-13 2019-07-0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07615808B (zh) * 2015-07-15 2021-01-08 富士通株式会社 Lte和wlan聚合的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CN107852635B (zh) * 2015-08-07 2021-09-10 苹果公司 用于多rat聚合的基于多用户的分离
US10116578B2 (en) * 2015-10-2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optimizing wireless wide area network-wireless local area network aggregation
US20180324644A1 (en) * 2015-11-06 2018-11-08 Nokia Technologies Oy Flow Control Feedback from User Equipment Receiving a Split Bearer
US10201031B2 (en) * 2015-11-11 2019-02-05 Apple Inc. Radio resource aggregation with suspend/resume support
US10841203B2 (en) * 2015-12-11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on of multiple routes for a single IP connection
EP3420695B1 (en) * 2016-02-23 2020-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user equipment and associated ues
EP3403434B1 (en) * 2016-02-28 2020-05-27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lte-wlan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MX2019007520A (es) 2016-12-29 2019-09-02 Ericsson Telefon Ab L M Nodo de red y metodo para configurar pdcp para un dispositivo inalambrico.
US10448386B2 (en) * 2017-01-06 2019-10-15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ndant data transmission
EP3620011A4 (en) 2017-05-02 2021-01-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D COMMUNICATION RELIABILITY
EP4307588A3 (en) * 2017-06-20 2024-02-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low-control triggering and feedback
US10735989B2 (en) * 2017-08-16 2020-08-04 Atc Technologies, Llc Multi-path TCP over dual networks
JP7088205B2 (ja) * 2017-10-25 2022-06-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11133690B (zh) * 2017-12-08 2022-09-09 英特尔公司 减少全双工通信协议中的站间干扰的方法、系统和装置
US10432295B2 (en) 2018-01-11 2019-10-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adio link control layer based relaying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s
US11006312B2 (en) 2018-04-06 2021-05-11 Apple Inc. PDCP packet-based DDDS frame transmission
WO2020085960A1 (en) * 2018-10-23 2020-04-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flow control in a split path communication system
US11057791B2 (en) 2018-10-30 2021-07-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tion and reconfiguration of aggregated backhaul bearers in a multi-hop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958511B2 (en) 2018-11-01 2021-03-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 architecture to support bearer aggreg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706053B2 (en) * 2018-11-30 2023-07-18 Ipcom Gmbh & Co. Kg Differential latency measurement
US11089512B2 (en) * 2019-06-14 2021-08-10 T-Mobile Usa, Inc. Dual connectivity flow control
EP3886383A1 (en) * 2020-03-23 2021-09-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outing data in a dual or multi-connectivity configuration
WO2021226916A1 (en) * 2020-05-14 2021-11-18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sequence number based network resynchronization
GB2598089B (en) * 2020-08-05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ow contr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7392A1 (en) * 2002-03-06 2007-06-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lay-based overflow rout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110264A1 (en) * 2008-09-26 2011-05-12 Froelich Stephen F Determining link costs
US20150003242A1 (en) * 2012-03-15 2015-0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sending end device and receiving end device
US20150043435A1 (en) * 2013-08-09 2015-02-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tocol layer enhancements in data offload over small cel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8260B1 (en) * 2010-10-13 2016-0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rmining asymmetri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2509435B (en) * 2011-10-04 2020-08-05 Pismo Labs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time variance of packets received from bonded communication links
KR20130093774A (ko) * 2011-12-2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패킷 전송 방법
US9955388B2 (en) * 2013-01-2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 in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EP2830352A1 (en) 2013-07-24 2015-01-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discard mechanism in small cell deployment
US9480067B2 (en) * 2013-08-08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llocating user equipment processing capability among multiple access nodes
CN107113750A (zh) * 2014-12-26 201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1998016B1 (ko) * 2015-05-13 2019-07-0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7392A1 (en) * 2002-03-06 2007-06-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lay-based overflow routing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110264A1 (en) * 2008-09-26 2011-05-12 Froelich Stephen F Determining link costs
US20150003242A1 (en) * 2012-03-15 2015-0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sending end device and receiving end device
US20150043435A1 (en) * 2013-08-09 2015-02-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tocol layer enhancements in data offload over small cel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265A (ko)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220031271A (ko) 2020-09-04 2022-03-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고장패널을 검출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1655A (en) 2022-07-05
KR101998016B1 (ko) 2019-07-08
US10050894B2 (en) 2018-08-14
EP3295749A1 (en) 2018-03-21
WO2016180925A1 (en) 2016-11-17
US10594615B2 (en) 2020-03-17
US20160337254A1 (en) 2016-11-17
EP3295749B1 (en) 2019-01-23
US20190007328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16B1 (ko)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1388642B2 (en) Enhanced make-before-break handover
US115588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ocol layer enhancements in data offload over small cells
US1143222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ng a first base station or a second base station to transmit a packet data unit (PDU) to a user equipment (UE)
EP3295700B1 (en) Uplink data splitting
KR102567917B1 (ko) 롱 텀 에볼루션 통신 시스템을 위한 다중-기술 집적 아키텍처
JP6348517B2 (ja)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
WO2017211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switching
EP27647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oint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WO2020167186A1 (en) A central unit (cu), a distributed unit (du) and methods therein for forwarding of data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
WO2015027719A1 (zh) 一种协作多流传输数据的方法及基站
WO2015141425A1 (ja) ユーザ装置及び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
CN109429267B (zh) 数据传输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1525087B1 (ko) 다수의 셀들로부터 조정된 송신들을 위해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782866C2 (ru) Архитектура с агрегированием технологий для систем связи стандарта долгосрочного развития
WO2023096540A1 (en) U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9068459A (ja) 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