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963A -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963A
KR20180004963A KR1020160084739A KR20160084739A KR20180004963A KR 20180004963 A KR20180004963 A KR 20180004963A KR 1020160084739 A KR1020160084739 A KR 1020160084739A KR 20160084739 A KR20160084739 A KR 20160084739A KR 20180004963 A KR20180004963 A KR 2018000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ture
information
profit
monthly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박종관
김원욱
장일규
이홍기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은행
Priority to KR102016008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963A/ko
Publication of KR2018000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에서 신규 거래 예정인 계약을 평가할 때 고객의 보유 계좌의 과거의 이익과, 보유 계좌로 인한 미래 이익과, 신규 거래로 인한 미래 이익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Profitability Forecasting System For Financial Con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에서 신규 거래 예정인 계약을 평가할 때 보유 계좌의 과거의 이익과, 보유 계좌로 인한 미래 이익과, 신규 거래로 인한 미래 이익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행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고객과 신규 거래를 체결할 때,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품별 계약기간에 따른 원금과 이자 등을 계산한 후, 이를 근거로 고객에게 상품판매를 하고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은행 관리회계 기준에 따라 판매상품의 FTP(Funds Transfer Pricing, 내부이전가격) 등을 반영하여 사전에 수익성을 예측하기도 한다.
주 : FTP (Funds Transfer Pricing, 내부이전가격) - 은행 내에서 수익 및 비용이 발생하는 영업조직 간에 이전되는 자금에 대해 적용하는 내부금리체계에 대한 정의이며, 은행이 급변하는 금융환경 하에서 수익성 위주의 경영을 위하여 자금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인 시장금리를 기준금리로 삼고, 모든 자금은 본부에 이전 또는 수취해서 조달 운용하는 가정 하에 조달자금과 운용자금에 대하여 만기별 금리를 나타내는 수익률곡선을 적용하여 내부이전가격을 계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익성 산출 방법은 모든 원가들을 반영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금흐름 기반이 아니기 때문에 정교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고객과 신규 거래를 체결할 때 고객의 기존 여신계약 또는 수신계약을 사전에 확인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기존 계약의 평잔 등을 확인하는 데 그쳐,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우대 금리를 적용할 것인지 등에 관한 은행 내부 심사나 경영 의사결정의 근거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7862호 (2006. 6.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융기관에서 신규 거래 예정인 계약을 평가할 때 고객의 보유 계좌의 과거의 이익과, 보유 계좌로 인한 미래 이익과, 신규 거래로 인한 미래 이익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고객 ID, 계좌번호, 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 잔여 원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와, 계좌번호,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 고객 ID를 입력받도록 이루어진 고객 ID 입력부 ;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들을 추출하는 계약 정보 추출부 ;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계약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에 대한 과거 결산정보를 조회하는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 ; 적어도 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를 입력받도록 이루어진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 ;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상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고객이자 유출입액의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 및 월별 평잔 정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는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 ;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경우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잔여 원금이 금월에 유출입되는 것으로 가정하되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상기 신규 체결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금월을 포함하여 계약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고객이자 유출입액의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 및 월별 평잔 정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모든 미래의 월별 순이익을 합산한 금액인 예상수익, 미래의 전기간 평잔, 상기 미래의 전기간 평잔 대비 상기 예상수익의 비율인 평잔수익률, 및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의 합에서 FTP 유출입액을 제외한 제1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한 순현재가치를 포함하는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하는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 ; 상기 고객 ID 입력부에서 입력된 고객 ID와, 상기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여 추출된 모든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와, 해당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에서 조회한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과 상기 발생주의 기반 미래 월별 정보 생성부에서 계산한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에서 산출한 미래손익지표와, 상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생주의 기반 미래 월별 정보 생성부에서 계산한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에서 산출한 미래손익지표를 일괄하여 출력하는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금월 현금 유출입액 대비 상기 예상 수익의 비율인 예상수익률을 더 산출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을 합한 제2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합 값이 0이 되는 할인률인 내부수익률을 더 산출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금월 현금 유출입액에서 금월 원금 유출입액을 제외한 금액(초기 투자액)'보다 '금월부터 미래의 순이익의 합'이 크게 되는 기간을 의미하는 손익분기점을 더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신 상품의 경우, 순이익이 LOC(이연대출부대비용)을 초과하는 시점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금융기관에서 신규 거래 예정인 계약을 평가할 때 고객의 보유 계좌의 과거의 이익과, 보유 계좌로 인한 미래 이익과, 신규 거래로 인한 미래 이익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래손익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은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우대 금리를 적용할 것인지 등에 관한 은행 내부 심사나 경영 의사결정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금융상품의 원리금 예측 방법을 도시한 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 실시예인 수익성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
도 4,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가 보여주는 자료의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의 예시 화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 실시예인 수익성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4,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가 보여주는 자료의 예시 화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의 예시 화면이다.
본 실시예의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은 크게 단말기(100)와, 웹서버(200)와, 수익성 평가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단말기(100)는 은행 직원들의 단말기로서 퍼스널 컴퓨터는 물론이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100)들은 웹 서버(200, web server)에 연결되어 자료를 입력하거나 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열람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특히 자료를 입력받기 위한 모듈로서 고객 ID를 입력받도록 이루어진 고객 ID 입력부(210)와, 신규 거래 예정인 계약 정보인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수익성 평가와 관련된 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마련되어 있다.
고객 ID 입력부(210)는 단말기(100)에 고객 ID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고객 ID(예컨대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수익성 평가 서버(300)에 전달한다.
또한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는 단말기(100)에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수익성 평가 서버(300)에 전달한다.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란, 여신 상품의 경우 대출기간, 대출원금, 적용금리, 상환방식, 기준일자 등의 정보를 의미하며, 수신 상품의 경우 상품명, 계약기간, 대상금액, 적용금리, 과세코드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즉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란 미래에 발생할 신규 거래의 기본적인 계약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적용금리란 상품의 기본 이자율(상품 금리)에 우대금리를 적용한 금리이다. 즉 고객이 납부하여야 할 이자율 혹은 고객이 받는 이자율(세전 기준)을 의미한다.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는 고객 ID와, 해당 고객 ID가 보유한 모든 계좌번호와, 해당 계좌번호의 과거 순이익 정보와, 해당 계좌번호의 발생주의 기반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해당 계좌번호의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와,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발생주의 기반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를 일괄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은행 직원 등은 단말기(100)를 통하여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자료를 열람하거나 이를 프린터하여 신규 거래에 대한 수익성 평가를 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는 적어도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410),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30) 등이 마련된다.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410)에는 고객과 이미 계약이 체결된 거래들의 계약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며, 적어도 고객 ID, 계좌번호, 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 잔여 원금 등의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신 상품에 대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는, 고객 ID, 계좌번호, 상품명, 대출기간(계약기간), 대출원금(계약금액), 적용금리(상품금리+우대금리), 상환방식, 기준일자(계약체결일자)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수신 상품에 대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는, 고객 ID, 계좌번호, 상품명, 계약기간, 수신금액(계약금액), 적용금리(상품금리+우대금리), 과세코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410)는 여신 상품에 대한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수신 상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 저장되거나 혹은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어느 방식을 적용하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계좌번호와 과거 일정 기간에 대한 순이익에 대한 정보가 맵핑되어 있다.
통상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는 월별로 계좌번호에 대한 순이익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계좌번호에 대한 평잔,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등의 정보가 순이익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30)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는 은행에서 취금하는 여신상품 또는 수신상품의 기본적인 상품 정보(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 상품 금리 등)가 저장되어 있다.
수익성 평가 서버(300)에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 등이 마련되어 있다.
계약 정보 추출부(310)는, 고객 ID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고객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410)에서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들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는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 및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에서 이용된다.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는,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에 대하여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서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 특히 순이익을 조회한다. 실시예의 한 형태로서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는 과거 1년간의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을 조회할 수 있다.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와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를 설명하기에 앞서 회계상 발생주의 원칙과 현금주의 원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계상 발생주의 원칙은 현금의 유출입과는 무관하게 거래가 발생한 시점(수익과 비용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를 회계 장부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하며, 회계상 현금주의 원칙은 거래의 발생 시점이 아닌 현금의 유출입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회계 장부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현행 회계기준은 발생주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여신상품에 대한 이자를 고객이 3개월마다 납부한다고 하면 발생주의 원칙과 현금주의 원칙은 극명한 차이를 발생시킨다. 발생주의 원칙에서는 매월 이자 이익이 발생하며 이를 회계 장부에 기록하여 안정적인 회계 관리가 가능하지만, 현금주의 원칙에서는 이자가 납부되지 않는 2개월간은 이자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이자가 납부된 1개월은 3개월간의 이자 이익이 한꺼번에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주의 원칙은 안정적인 회계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현금주의 원칙은 실제 현금흐름에 정확하게 부합한다는 장점이 있다.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에서 입력한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미래의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한다.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란,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와, 월별 평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는 해당 계약에 대한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및 고객이자 유출입액을 의미한다.
즉 계약 정보의 잔여 원금(혹은 계약금액)과 적용금리, 상환방식 등을 참조하여 원금 및 고객이자의 유출입과 월별 평잔 정보가 산출된다.
이와 같은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는 후술하는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는 토대가 된다.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결산정보와 동일한 형태로 발생주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회계 관리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계약 정보(추출된 계좌번호의 계약 정보 또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및 기초 월별 정보(원리금 현금흐름 및 평잔)을 토대로 산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는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의 과거의 부대 월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부대 월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FTP 유출입액은 {평잔 x FTP (Funds Transfer Pricing)율(내부이자율이라고도 함)}로 규정되며,
수수료 손익액은 대출관련지급수수료, 중도상환수수료 등 상품 취급 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 또는 비용이 포함되며,
부가원가액은 교육세, 신보료, 예보료, 지준비용(지급준비기회비용)이 포함되며,
직접원가액은 영업점의 원가가 포함되며,
대손비용액은 신용원가 중에 예상손실(EL, Expected Loss)로 규정되며,
간접원가액은 관리 원가가 포함되며,
이자마진은 대고객 이자 즉 이자 유출입액으로부터 FTP 유출입액을 합산한 금액이며, 대고객 이자는 고객으로부터 직접 지급하거나 받는 이자는 물론이며 LOC(Defered Loan Origination Cost)/LOF(Defered Loan Origination Fee)에 대한 손익 처리도 포함한다.
이자마진에서 수수료 손익액은 합산하고 부가원가액을 제외하면 상품총이익이 되며,
상품총이익에서 직접원가액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되며,
영업이익에서 대손비용액을 제외하면 위험조정영업이익이 되며,
위험조정영업이익에서 간접원가액을 제외하면 순이익이 산출된다.
주 : LOC(Deferred Loan Origination Cost, 이연대출부대비용) - 대출채권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비용(설정수수료, 감정료 등)으로 대출기간에 대응해 이연하여 비용으로 인식
주 : LOF(Deferred Loan Origination Fee, 이연대출부대수익) - 대출채권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수익(PF관리수수료,대출취급수수료 등)으로 대출기간에 대응해 이연하여 수익으로 인식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에서 계산하는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특정 기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미래의 12개월간의 월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에서 입력한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금월을 포함한 미래의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며,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하게 된다.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란,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와, 월별 평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는 해당 계약에 대한 금월을 포함한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및 고객이자 유출입액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는 후술하는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는 토대가 된다.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결산정보와 동일한 자료 구조를 가지지만 현금주의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는, 계약 정보(추출된 계좌번호의 계약 정보 또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및 기초 월별 정보(원리금 현금흐름 및 평잔)을 토대로 산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는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의 과거의 부대 월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부대 월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에서 산출하는 월별 정보는,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1)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가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를 산출할 때,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잔여 원금은 금월에 유출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여신 계약의 경우 현재시점의 잔여 원금이 금월에 유출된 것으로 가정하며, 수신 계약의 경우 현재시점의 잔여 원금(통상 계좌잔고)이 금월에 유입된 것으로 가정하여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을 생성한다.
한편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계약금액은 당연히 금월에 유출입되는 것으로 처리된다.
(2) LOC(Deferred Loan Origination Cost) / LOF(Deferred Loan Origination Fee)는 금월에 유출입되는 것으로 처리된다.
(3)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에서 산출하는 월별 정보는 해당 계약의 계약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즉 만기가 도래할 때까지)의 월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현금주의 기반 월별 정보가 생성된 후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는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한다.
미래손익지표로서는, 예상수익, 미래의 전기간 평잔, 예상수익률, 평잔수익률, 손익분기점,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 등이다.
(1) 예상수익은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의 모든 월별 순이익을 합산한 금액이다. 즉 금월을 포함한 미래에 발생한 모든 순이익의 합이다.
(2) 미래의 전기간 평잔은 현재 시점부터 계약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평잔이다.
(3) 예상수익률은 금월 현금 유출입액 대비 예상수익의 비율이다. 금월 현금 유출입액은 금월에 유출입이 예상되는 현금 흐름으로서, 원금 유출입액에 LOC/LOF가 포함된 금액이다. 아울러 원금 유출입액은,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경우 계약금액이 해당하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경우 잔여 원금이 해당한다.
이에 의하여 고객에게 대출한 여신금액 또는 고객이 맡긴 수신원금(LOC/LOF 포함)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4) 평잔수익률은 '미래의 전기간 평잔' 대비 예상수익의 비율이다. 예컨대, 대출계좌 만기 및 예상수익률이 동일한 경우에도 평잔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여신 기간 동안 원금유입액이 많아서 재투자가 가능하게 되어 기회수익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5) 손익분기점의 재무적 의미는 초기 투자액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순이익의 합이 LOC보다 크게 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금융 상품의 특성상 원금을 포함할 경우, 손익분기점이 만기에 가까워서 지표분석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손익분기점을 LOC의 회수기간으로 정의한다. 즉, 금월부터 특정 미래까지의 순이익의 합이 초기 원금 제외 수수료 비용인 LOC를 초과하는 시점을 손익분기점이라 한다.
(6) 순현재가치는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의 합에서 FTP 유출입액을 제외한 제1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한 값이다. 즉 제1월별 순현금흐름(원금 유출입액 + 순이익 - FTP 유출입액)을 은행 할인률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로 할인한 후, 이 현재가치로 할인된 값을 모두 합산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로 계산된 값이다.
여기서 r은 기간별 은행채 금리를 활용한 은행 할인률이다.
순현재가치는 미래의 예상수익을 현재 시점에서의 예상수익금액으로 환산하여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다.
(7) 내부수익률은,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을 합한 제2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한 값이 0이 되는 할인률(내부수익률)을 의미한다. 즉 제2월별 순현금흐름(원금 유출입액 + 순이익)을 내부수익률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로 할인한 후, 이 현재가치로 할인된 값을 모두 합산하면 0이 된다. 이와 같은 내부수익률은 미래의 현재가치를 반영한 투자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즉 내부수익률은
Figure pat00002
을 만족시키는 값이다.
상기와 같이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가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한 후,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적어도 아래의 자료를 일괄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1) 고객 ID
(2) 고객 ID에 대응하여 추출된 모든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
(3) 각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
(4) 각 계좌번호별 미래의 월별 순이익
(5) 각 계좌번호별 미래손익지표
(6)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미래의 월별 순이익
(7)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미래손익지표
상기와 같은 본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한다.
단말기(100)가 웹 서버(200)에 접속하면, 웹 서버(200)의 고객 ID 입력부(210)는 단말기(100)에 고객 ID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은행 직원 등은 단말기(100)를 통하여 고객 ID를 입력한다.
고객 ID 입력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고객 ID(예컨대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수익성 평가 서버(300)에 전달하며, 수익성 평가 서버(300)의 계약 정보 추출부(310)를 통하여 고객 ID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고객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410)에서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들을 추출한다.
또한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에 대하여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서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 특히 순이익을 조회한다. 실시예의 한 형태로서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는 과거 1년간의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미래의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한다.
또한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는 계약 정보 추출부(310)에서 추출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금월을 포함한 미래의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며,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 후 웹서버(200)의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아래의 자료를 일괄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1) 고객 ID
(2) 고객 ID에 대응하여 추출된 모든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
(3) 각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
(4) 각 계좌번호별 미래의 월별 순이익
(5) 각 계좌번호별 미래손익지표
도 4는 위와 같은 과정에 따라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단말기(100)로 출력하는 예시 화면이다.
도 4의 화면을 설명한다.
(3)과 같이 고객 ID에 관한 정보(고객명, 고객관리번호),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계좌의 계좌정보(상품분류, 상품명, 계좌번호)가 제공된다.
(4)와 같이 해당 계좌의 과거 1년간의 순이익(과거 1년간 누적손익)(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에서 조회한 자료)이 제공된다.
(5)와 같이 해당 계좌의 미래 1년간의 예상 순이익(미래1년간 예상손익)(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에서 생성한 자료)이 제공된다.
(6)과 같이 해당 계좌의 미래손익지표(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에서 산출한 자료)가 제공된다.
(7)과 같이 계좌번호를 클릭하면 해당 계좌의 과거 1년간 손익과 미래 1년간 손익이 제공된다. 즉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320)에서 조회한 과거 1년간의 결산정보와,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에서 생성한 미래 1년간의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신규 시뮬레이션"을 클릭하면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가 활성화되어 단말기(100)로부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를 입력받도록 한다.
도 5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에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예시 화면이다.
도 5의 화면을 설명한다.
(1)과 같이 은행에서 취금하는 상품의 종류를 선택한다. 상품의 종류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조회할 수 있다.
(2)의 거치기간은, 대출시 원금 상환을 유예하는 기간으로 여신 상품에만 적용된다.
(3)의 신규일은 계약 체결 예정일을 의미하며, 금일과 그 이후를 지정할 수 있다.
(4)의 최초수수료는 상품 취급시 발생하는 예상수수료이다.
(5)의 상환/지급방법은 만기일시,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등을 선택할 수 있다.
(6)의 상환/지급주기는 원금, 이자 상환 및 지급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7)의 금리구분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8)의 금리개정주기는 변동금리 선택시 금리개정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9)의 EL 등급은 고객의 해당 EL 등급을 디폴트(default)로 제시하며, EL 등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는 고객의 신용등급이 저장되어 있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고객의 해당 EL 등급을 디폴트(default)로 제시한다.
(10)의 손익 추정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변수를 반영한 미래손익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11)의 손익 재추정은 우대금리를 적용하여 미래손익을 다시 재추정한다. 우대금리는 대출 이자에는 (-)로 반영되며, 수신 이자에는 (+) 반영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적용금리는 이자율(상품 이자)와 우대 금리를 합산한 것이다.
(12)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우대금리가 적용된 미래손익 추정값이 저장된다.
(13)의 시뮬레이션 초기화를 클릭하면 시뮬레이션 결과를 초기화하고 시뮬레이션을 재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에서 (10) 손익추정 버튼, (11) 손익 재추정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입력된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따라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330) 및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340)가 미래의 월별 정보 및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한다.
아울러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220)에서 (12)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아래의 자료를 일괄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1) 고객 ID
(2) 고객 ID에 대응하여 추출된 모든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
(3) 각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
(4) 각 계좌번호별 미래의 월별 순이익
(5) 각 계좌번호별 미래손익지표
(6)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미래의 월별 순이익
(7)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의 미래손익지표
도 6은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가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의 화면을 설명한다.
도 6의 화면은 도 4의 화면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한 화면이 추가된다.
(1)과 같이 계좌번호 항목에는 아직 계좌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으므로 신규simulation#의 형태로 임시 생성된다.
(2)와 같이 시뮬레이션에서 과거 1년간 누적 손익은 존재하지 않으며, 미래 1년간 손익 및 만기시까지의 미래손익지표가 제시된다.
(3)의 신규simulation 1을 클릭하면 도 5의 화면을 제시하게 된다.
(4)와 같이 보유 계좌와 신규 시뮬레이션한 계약을 반영하여 고객에 대한 전체적인 수익성 지표를 제시하게 된다.
도 6의 화면은 단말기(100)에서 인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 6의 화면 외에도 보다 상세한 형태로 미래손익지표가 제시될 수 있다.
도 7은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230)가 출력하는 다른 형태의 예시 화면이다.
상기와 같이 금융기관, 특히 은행에서 신규 거래를 평가할 때 보유 계좌의 과거의 이익과, 보유 계좌로 인한 미래 이익과, 신규 거래로 인한 미래 이익을 도 6 및 도 7과 같이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우대 금리를 적용할 것인지 등에 관한 은행 심사나 경영 의사결정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단말기
200 : 웹서버 210 : 고객 ID 입력부
220 :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 230 :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
300 : 수익성 평가 서버 310 : 계약 정보 추출부
320 :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
330 :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
340 :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
4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410 : 계약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결산정보 데이터베이스 430 :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적어도 고객 ID, 계좌번호, 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 잔여 원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와, 계좌번호,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
    고객 ID를 입력받도록 이루어진 고객 ID 입력부 ;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들을 추출하는 계약 정보 추출부 ;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상기 계약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에 대한 과거 결산정보를 조회하는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 ;
    적어도 계약기간, 계약금액, 적용금리, 상환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를 입력받도록 이루어진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 입력부 ;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상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고객이자 유출입액의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 및 월별 평잔 정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생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생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는 발생주의 기반 월별 정보 생성부 ;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경우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잔여 원금이 금월에 유출입되는 것으로 가정하되 상기 추출된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 또는 상기 신규 체결 예정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주의 방식을 기반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금월을 포함하여 계약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미래의 월별 원금 유출입액, 고객이자 유출입액의 월별 원리금 현금흐름 정보 및 월별 평잔 정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금주의 기반 기초 월별 정보 및 FTP 유출입액, 수수료 손익액, 부가원가액, 직접원가액, 대손비용액, 간접원가액 및 순이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모든 미래의 월별 순이익을 합산한 금액인 예상수익, 미래의 전기간 평잔, 상기 미래의 전기간 평잔 대비 상기 예상수익의 비율인 평잔수익률, 및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의 합에서 FTP 유출입액을 제외한 제1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한 순현재가치를 포함하는 미래손익지표를 산출하는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 ;
    상기 고객 ID 입력부에서 입력된 고객 ID와, 상기 입력된 고객 ID에 대응하여 추출된 모든 계좌번호별 계약 정보의 계좌번호와, 해당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거 결산정보 조회부에서 조회한 계좌번호별 과거 결산정보의 순이익과 상기 발생주의 기반 미래 월별 정보 생성부에서 계산한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에서 산출한 미래손익지표와, 상기 신규 거래 예정 계약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생주의 기반 미래 월별 정보 생성부에서 계산한 미래의 월별 순이익과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에서 산출한 미래손익지표를 일괄하여 출력하는 수익성 평가 자료 출력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금월 현금 유출입액 대비 상기 예상 수익의 비율인 예상수익률을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월별 원금 유출입액과 순이익을 합한 제2월별 순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합 값이 0이 되는 할인률인 내부수익률을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미래손익지표 산출부는, 미래손익지표로서 상기 현금주의 기반 부대 월별 정보를 기초로 '금월 현금 유출입액에서 금월 원금 유출입액을 제외한 금액(초기 투자액)'보다 '금월부터 미래의 순이익의 합'이 크게 되는 기간을 의미하는 손익분기점을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KR1020160084739A 2016-07-05 2016-07-05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KR20180004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9A KR20180004963A (ko) 2016-07-05 2016-07-05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9A KR20180004963A (ko) 2016-07-05 2016-07-05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10A Division KR20180050264A (ko) 2018-04-30 2018-04-30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63A true KR20180004963A (ko) 2018-01-15

Family

ID=6100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739A KR20180004963A (ko) 2016-07-05 2016-07-05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üschow et al. How do different payment methods deliver cost and credit efficiency in electronic commerce?
US8577698B2 (en) Retail price hedging
US20170053344A1 (en) Cash flow management
US11379868B1 (en) Dynamically financed customer engagement campaign
US20130173320A1 (e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erchant sales activity to provide indicative measurements of merchant and business performance
US8160921B2 (en) System for incentivizing financial account users
WO2008076342A1 (en) Estimating the spend capacity of consumer households
US201402973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ce calcul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29495B1 (ko) 미확정 장래 크레디트 채권의 매입에 의한 크레디트 카드 가맹점에의 무담보 펀딩 시스템
US20150235309A1 (en) Business services platform solution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KR20170009027A (ko) 임금 지급 방법 빛 임금 지급 시스템
Bernoully et al. Impact of implementation of IFRS 15 on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elecommunication company (case study of PT XYZ)
Brashares et al. Calculating the optimal small business exemption threshold for a US VAT
KR20140105364A (ko) 온라인 세무서비스 제공시스템
CN108022163A (zh) 获取费用金额税率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58439A1 (en) Method for Optimizing Usage Savings in Financial Accounts
US20090292601A1 (en) Profit-Sharing Incentive System For Account Vendors
KR20190109320A (ko) 개인별 맞춤형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702547B2 (en) Calculating and displaying interest avoided by use of a particular interest calculation method
US20140081780A1 (en) Temporal based transaction cost recovery
US9087330B2 (en) Geography based transaction cost recovery
JP4879111B2 (ja) リース料率算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37080A (ja) 一般消費者向け持ち株会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80050264A (ko) 금융기관 거래에 대한 미래손익 기반 수익성 평가 시스템
KR20130123304A (ko) 고객등급 산출 서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