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653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653A
KR20180004653A KR1020170051792A KR20170051792A KR20180004653A KR 20180004653 A KR20180004653 A KR 20180004653A KR 1020170051792 A KR1020170051792 A KR 1020170051792A KR 20170051792 A KR20170051792 A KR 20170051792A KR 20180004653 A KR20180004653 A KR 2018000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module
air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917B1 (ko
Inventor
장상현
고미소
최은미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70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08923A1/ko
Priority to TW106122209A priority patent/TWI676421B/zh
Priority to JP2018568818A priority patent/JP7032334B2/ja
Publication of KR2018000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53A/ko
Priority to US16/240,486 priority patent/US2019013310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발광모듈이 설치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 효과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로 흡입하여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고,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하는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아오고 있고,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용되는 UV LED를 이용하여 흡입팬으로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는, 흡입팬에 모기 등 곤충의 사체가 부착되어 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고, 흡입팬의 속도 제어가 부적절하여 모기가 탈출을 시도하거나 포충기 내로 흡입되지 않았고, 포충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역학적으로 용이하게 제어되지 않아 흡입 효율이 낮거나 과다한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포충기는 모기 등 곤충의 사체 부패하여 포충기 주변에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제조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곤충의 유인 효율 및 흡입 효율이 우수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모기를 흡입하는 최적의 풍속을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기 유인 효율이 높은 동시에 인체에는 무해한 파장 및 세기의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모듈이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과를 발생시키는 광촉매필터가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기 유인 요소로 빛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등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유인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발산각도가 충분히 넓으면서도 광도달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된 제1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 상기 공기 집진부와 상기 곤충 통과부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 상기 곤충 통과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상기 공기 집진부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팬과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가 장착 가능한 광촉매필터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이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 상기 공기 집진부와 상기 곤충 통과부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 상기 곤충 통과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이 장착된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상기 공기 집진부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팬과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이 장착된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된 광촉매필터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친환경적인 곤충 살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곤충 통과 구멍의 크기를 제어하여 곤충을 선택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특히 모기보다 체적이 큰 곤충은 포충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흡입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흡입팬이 모터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흡입팬의 회전 속도, 직경을 제어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제1 발광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및 강도를 제어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동시에 곤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흡입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포충기의 몸체, 포집부, 및 지지대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곤충 흡입 효율이 높은 풍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곤충 통과 구멍, 공기 집진부 측면구, 공기 집진부 토출구, 및 포집부 측면구의 구멍 크기 또는 면적 비율을 제어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곤충 흡입 효율이 높은 풍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자외선으로 곤충을 유인할 뿐 아니라 열을 발생시키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킴으로써, 곤충 유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포충기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공기 집진부의 형태를 제어하여 포집된 곤충, 특히 모기의 탈출 빈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발산각도가 충분히 넓으면서도 광도달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된 제1 발광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곤충, 특히 모기의 광유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공기 집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발광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광원의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도 11(a)에 따른 광발산각을, 도 12(b)는 도 11(b)에 따른 광발산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발광모듈 기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발광모듈 및 제1 발광모듈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 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곤충, 예를 들어, 모기를 유인광에 의해 유인하고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종래의 포충기는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인 효율이 매우 낮거나, 과도한 전력을 사용해야 하거나, 또는 소음 발생이 지나치게 크다는 문제 및 곤충의 사체가 부패하는 등 종래의 포충기 주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포충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 없이 곤충, 예를 들어, 모기의 유인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흡입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소음 발생이 억제된 친환경적인 포충기를 개발하고, 포충기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관련된 연구 및 제조 과정을 반복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 상기 공기 집진부와 상기 곤충 통과부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 상기 곤충 통과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상기 공기 집진부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팬과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가 장착 가능한 광촉매필터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이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 통과부는 직경이 0.5 cm 내지 2 cm 범위 내인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 통과부의 입구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면이 이격된 이격 수직 거리 및 상기 몸체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의 높이 및 상기 포집부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 통과부 및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사이에서 상기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팬은 팬날개가 2 개 내지 7 개 이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팬은 구부러진 형태의 팬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팬날개의 최하단(最下段)과 최상단(最上段)의 높이 차가 5 ㎜ 내지 50 ㎜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는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세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는 공기 집진부 입구부, 공기 집진부 중간부, 및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포함하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 > 공기 집진부 입구부 > 공기 집진부 중간부 순서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는 상기 포집부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실린더 형상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의 수직 방향 길이가 0.2 cm 내지 2 cm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공기 집진부 살 및 상기 공기 집진부 살들 사이의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 살 각각은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은 이웃하는 공기 집진부 살의 아래촉에 배치된 부분에 가깝게 배치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집부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포집부 측면구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 통과 구멍 면적의 총 합과 상기 포집부 측면구 면적의 총 합의 비가 1 : 0.8 내지 1 : 3.0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사이의 공간으로 곤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 상에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는 판 형태이며,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하면에 장착이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는 하면에 상기 제1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가 부착 또는 코팅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에 장착이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는 상기 제1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에 장착된 상기 제1 발광모듈을 보호하는 투명한 제1 발광모듈 커버가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340 ㎚내지 390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입력 전압이 10 V 내지 15V, 입력 전류가 75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1000 mW 내지 1500 mW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제1 발광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은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은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상기 제1 발광기판 상에 배열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상기 제1 발광기판의 양 면에 상기 제1 광원이 실장되어 상기 제1 발광모듈의 양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기판의 한 면에 실장된 제1 광원은 다른 면에 실장된 상기 제1 광원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광기판 상에 배열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5 ㎜ 이내로 이격된 공간에서 측정한 온도가 30 ℃ 내지 60 ℃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은 점발광 빛을 조사하는 것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은 복수의 점발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발광 광원은 다른 상기 점발광 광원으로부터 2mm 내지 50mm가 이격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는 상기 몸체의 일부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모듈은 상기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 하단에 장착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200 ㎚ 내지 400 ㎚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모듈은 입력 전압이 5 V 내지 30 V, 입력 전류가 50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500 mW 내지 1000 mW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모듈은 제2 발광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는 상기 광촉매필터가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 사이에 실장되도록 상기 공기 집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광촉매필터를 지지하는 형태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필터는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및 산화주석(SnO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된 광촉매 매질을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필터는 상기 제2 발광모듈에 의해 조사된 빛을 촉매로 하여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필터는 상기 제2 발광모듈에 의해 조사된 빛을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상기 흡입팬, 및 상기 제2 발광모듈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발광모듈이 구동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흡입팬이 구동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흡입팬이 구동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발광모듈이 구동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는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가 45 ˚ 내지 80 ˚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 상기 공기 집진부와 상기 곤충 통과부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 상기 곤충 통과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이 장착된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상기 공기 집진부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팬과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이 장착된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된 광촉매필터;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로부터 탈착(脫着)이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필터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로부터 탈착(脫着)이 가능한, 포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 상기 공기 집진부와 상기 곤충 통과부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 상기 곤충 통과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상기 공기 집진부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팬과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된 광촉매필터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이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이며, 상기 곤충 통과부의 입구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면이 이격된 이격 수직 거리 및 상기 몸체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이고, 상기 포집부의 높이 및 상기 포집부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인, 포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발광모듈이 설치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제1 발광기판 및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상기 제1 광원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100° 내지 140˚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40° 내지 80˚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 출사부의 폭이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 출사부의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기판은 플렉서블 형태, 원 형태, 다면체 형태, 적어도 하나의 호(arc)를 갖는 형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다면체 형태 및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된 다면체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상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는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발광기판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는 제1 발광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도록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는 적어도 일부에 광발산각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각 변환부는 광확산부 또는 광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각 변환부는 광확산부 또는 광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120), 상기 몸체(110) 하부에 배치된 공기 집진부(130), 상기 공기 집진부(130)와 상기 곤충 통과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150), 상기 곤충 통과부(120)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161)이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상기 공기 집진부(130)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90), 상기 흡입팬(150)과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171)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180)가 장착 가능한 광촉매필터 설치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집진부(130)는 상기 흡입팬(150)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이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곤충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날벌레를 포함하며, 특히 모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발광모듈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UV 램프, HQI 램프, 메탈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할로겐 MR16 전구, 할로겐 핀 전구, 할로겐 직관전구, 형광램프, 백열램프, 섬유타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V 파장의 광이 조사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UV LED, UV 램프, 튜브타입 LED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광원은 그 종류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발광칩(일 예로, LED칩 또는 LED칩이 실장된 성장기판)을 지칭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발광칩, 인쇄회로기판, 파장변환층, 반사층, 리드 프레임, 렌즈 등을 더 포함하는 패키지 형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몸체(110)
상기 몸체(1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흡입팬(150)이 내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스위치(30), 곤충 통과부(120), 모터(140), 흡입팬(150), 및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가 상기 몸체(11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곤충 통과부(120)는 선택적으로 곤충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21)은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부재 및 방사상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일련의 원형 부재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포집 대상 곤충의 평균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곤충 통과 구멍(121)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곤충 통과부(120)가 일련의 원형 부재인 곤충 통과 구멍(121)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낮은 제조 단가로 상기 곤충 통과 구멍(121)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 상용되던 흡인팬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모기 보다 체적이 큰 나비, 잠자리, 파리 등의 곤충이 함께 포집되어 포집부(190) 교환 주기가 빠르거나, 해충이 아닌 유익한 곤충까지 포집되어 생태계에 악영항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체적이 큰 곤충이 흡입팬(150)에 달라붙게 되어 모터(140)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흡입팬(150)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포충기(1000)가 곤충을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곤충 통과 구멍(121)의 크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상기 곤충 통과부(120)를 제조하였다.
상기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21)은 직경이 0.5 cm 내지 2 cm, 바람직하게는 0.8 cm 내지 1.5 cm 이거나 또는 상기 곤충 통과 구멍(121) 한 개의 면적이 100 ㎜2 내지 225 ㎜2 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곤충, 특히 모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반면, 나비, 잠자리, 파리 등 몸체 크기가 큰 곤충은 상기 포충기(1000) 내부로 포집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140)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상기 흡입팬(15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팬(150)은 곤충이 상기 흡입팬(150)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흡입팬(150) 하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상용되던 흡입팬(150)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팬날개(151)에 곤충이 달라붙게 되어 흡입팬(150)의 회전 반경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모터(140)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팬날개(151)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팬(1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포충기에 인접한 곤충의 포집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곤충은 풍속 0.8 m/s 이상에서 비행을 멈추는 경향이 있으나 풍속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곤충이 기류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팬날개(151)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모기가 비행을 멈추어 상기 흡입팬(150)에서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포집되는 상기 포충기(1000)를 제조였다.
이를 위해, 상기 팬날개(151)가 2 개 내지 7 개, 바람직하게는 3 개 또는 4 개 이며,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바람직하게는 2000 rpm 내지 2800 rpm 일 수 있다. 상기 팬날개(151)의 개수가 2개 미만 또는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미만인 경우 모기의 포집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팬날개(151)의 개수가 7개 초과 또는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속도가 3100 rpm 초과인 경우 모기 사체가 상기 흡입팬(151)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날개(151)는 평평하지 않고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구부러진 형태의 팬날개(151)는 최하단(最下段)과 최상단(最上段)의 높이 차가 5 ㎜ 내지 50 ㎜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팬(150)은 지름이 50 ㎜ 내지 120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00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150)과 상기 몸체(110) 내벽의 최단거리를 1 ㎜ 내지 5 ㎜ 로 제어하여, 상기 흡입팬(150)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흡입 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가 이격된 수직 거리 및 상기 몸체(110)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이고, 상기 포집부(190)의 높이 및 상기 포집부(190)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에서 상기 흡입팬(150)에 의한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흡입팬(150)에 상기 곤충이 달라붙지 않으면서 상기 포충기(1000)에 인접한 곤충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상기 곤충 통과부(120) 및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사이에서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0 m/s, 바람직하게는 0.6 m/s 내지 2.8 m/s,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s 내지 2.5 m/s, 예를 들어 0.7 m/s 내지 2.3 m/s 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풍속 범위에서 곤충이 상기 흡입팬(150)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동시에 곤충이 비행을 멈추고 높은 효율로 상기 포집부(190)에 포집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팬(150)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풍속은 상기 포충기(1000)의 몸체(110) 상단과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의 중간 지점에서 풍속 측정 장비(TSI 9515, TSI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곤충 통과부(120)의 입구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의 하면이 이격된 이격 수직 거리 및 상기 몸체(110)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이고, 상기 포집부(190)의 높이 및 상기 포집부(190)로부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곤충이 상기 흡입팬(150)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포집부(190)에 포집되는 적정 회전속도인 1800 rpm 내지 3100 rpm이 되도록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곤충 통과부(120) 및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사이에서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0 m/s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통과부(120) 하부에 상기 모터(140)가 실장되고, 그 하부에 상기 흡입팬(150)이 상기 모터(140)에 장착되도록 형,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모터(140) 및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 dB 미만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은 보통소음 29.8 dBA 조건에서, 상기 포충기(1000)로부터 1.5 m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서 소음 측정 장비(CENTER 320, TESTO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집진부 (130, 230, 330)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집진부(130, 230, 3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유입된 곤충이 상기 포집부(190)로 토출되도록 공기 집진부살(131),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130b), 및 공기 집진 토출구(1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흡입팬(150)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콘(cone) 형상 또는 테이퍼(tape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분산시키지 않고 하부의 상기 포집부(190)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팬(150)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울기가 상이한 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의 단면의 기울기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파른 구간(131), 완만한 구간(132), 및 대략 수직인 구간(공기 집진부 토출구, 133)이 나타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a) >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a) > 공기 집진부 중간부(132a) 순서가 될 수 있다.
즉, 공기 집진부(130, 230, 330)의 수직 단면의 기울기(131a, 132a, 133a)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포집부(190)에 포집된 모기가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와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나타내고, 따라서 상기 흡입팬(150)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상기 포충기(10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는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131a)가 45 ˚ 내지 80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85 ˚ 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의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131a)가 45 ˚ 미만인 경우 상기 흡입팬(150)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상기 포충기(10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가 지나치게 많아지고, 80 ˚ 초과인 경우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와 상기 포집부(19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지나치게 좁아 모기가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와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포집부(190)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실린더 형상인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를 더 포함하는 경우, 모기가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에 달라 붙으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따라서 상기 흡입팬(150)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상기 포충기(10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0.2 cm 내지 2 cm, 바람직하게는 0.5 cm 내지 1.5 cm 일 수 있으며, 2 cm 초과인 경우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를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가 방해할 수 있고, 0.2 cm 미만인 경우 상기 흡입팬(150)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에 달라붙는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 모기의 탈출 억제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집진부(130)는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공기 집진부 살(130a) 및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들 사이의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공기 집진부 측면구(130b)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상기 포충기(1000) 외부로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집진부 측면구(130b)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메쉬 형상 또는 슬릿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메쉬 형상 또는 상기 슬릿 형상에 의해 형성된 구멍의 면적은 곤충, 특히 모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집진부 측면구(130b)가 슬릿 형상일 경우,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 각각은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은 이웃하는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아래촉에 배치된 부분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는 상기 공기 집진부 측면구(130b)를 사이로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과 다른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이 대향하는 형태가 연속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뿐 아니라, 상기 흡입팬(150)이 정지하였을 때 포집부(190)에 포집된 모기가 상기 포충기(1000) 밖으로 탈출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에 먼저 접하고 이후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공기 집진부 측면구(130b)를 통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흡입 기류를 유체역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 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인 범위 내에서도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흡입되는 곤충이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흡입팬(150)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포집부(190)로 포집되도록 상기 포충기(100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공기 집진부(130, 230, 330)의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하도록 제어하고, 공기 집진부 토출구(133)의 형태 및 상기 공기 집진부 살(130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가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곤충이 상기 포집부(190)에 포집된 후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를 통해 상기 포충기(1000)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포집부 (19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집부(190)는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포집부 측면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통과 구멍(121) 면적의 총 합과 상기 포집부 측면구(191) 면적의 총 합의 비가 1 : 0.8 내지 1 : 3.0,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1 : 2.0 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에서 곤충이 상기 포집부(190) 체적의 1/2까지 포집되어도 상기 포충기(10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포집부(190)는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상기 포충기(1000) 외부로 효과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포집부(190) 내에 포집된 모기가 건조 치사될 수 있다.
제1 발광모듈 설치부 (16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흡입팬(150)과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171)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110)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사이의 공간으로 곤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110) 상에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의 형태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곤충이 유입되는 공간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두 개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 수직으로 1 cm 내지 8 cm,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5 cm 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의 높이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거리가 1 cm 보다 짧은 경우 곤충이 유입되는 구멍이 지나치게 작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8 cm 보다 긴 경우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충분한 세기로 형성되지 않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인광, 특히 자외선으로 곤충이 유인되어 상기 포충기(1000)에 근접하면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에 의하여 곤충이 상기 몸체(110)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곤충 통과부(120) 및 상기 흡입팬(150)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 하부에 위치한 포집부(190)에 포집될 수 있다.
또한,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판 형태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와 상기 몸체(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흡입 기류가 유체역학적으로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흡입팬(150)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범위에서 구동되어도 흡입 기류가 0.5 m/s 내지 3 m/s 로 형성되어 모기가 흡입팬(150)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포집부(190)에 포집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하면에 장착이 가능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상단에 설치된 탈착(脫着)이 가능한 형태의 제1 발광모듈 설치부 갓(165)을 탈착시킨 후, 상기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을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에 장착된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에 장착될 수 있다. 곤충, 특히 모기는 비행 시 지면에서 약 1.5 m 높이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머물게 되는데, 상기 포충기(1000)를 지면에서 약 1.5 m 높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UV LED 모듈(161)의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곤충이 강한 자극을 받아 상기 포충기(1000)로 효과적으로 유인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포충기(1000)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갓(165) 상면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 갓 걸이를 추가로 설치하여 약 1.5 m 높이의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하면에 상기 제1 발광모듈(161)에 의해 조사된 UV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상기 UV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은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부착될 수 있고, 은 또는 알루미늄 막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하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조사된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굴곡 또는 요철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이 장착 가능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에 장착된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을 보호하는 투명한 제1 발광모듈 커버(164)가 장착되어, 외부 먼지 또는 곤충의 접근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164)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164)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상기 제1 발광모듈(16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거나 소정의 방향으로 수렴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164)는 일 예로서, 글라스, 쿼츠(quartz)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비율이 약 80 % 이상 높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는 주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되어 전자구름이 희박하여 UV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16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164)로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는 안정적인 물질인 불소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불소계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플렉시블한 물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면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불소계 폴리머를 제1 발광모듈 커버(164)로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동시에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자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폴리머의 취성을 극복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상기 곤충 통과부(120)로부터 1 cm 내지 8 cm 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동시에 판 형태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외부 바람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여, 조사된 빛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안정적으로 상기 곤충 통과부(120)로 흡입할 수 있다.
제1 발광모듈(161, 261, 361)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과 관련하여, 파리 및 벼멸구의 경우 약 340 nm 또는 약 575 nm의 파장의 빛을 선호하며, 나방과 모기의 경우 약 366 nm 파장의 빛을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타 일반적인 해충의 경우, 약 340 nm 내지 380 nm 파장의 빛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340 nm 내지 390 nm 일 수 있고, 곤충, 특히 모기는 강하게 유인되는 반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낮다는 점에서 약 365 nm 의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은 제1 발광기판(162)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6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이 과열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광원(163)은 지그재그(zigzag)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집적 회로 또는 배선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은 상기 제1 광원(163)이 실장될 영역에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은 금속, 반도체, 세라믹, 폴리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은 긴 평판 형상의 PCB 상에 상기 제1 광원(1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163)은 PC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 내지 10 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CB의 타면에는 상기 제1 광원(163)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핀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의 양 단에는 전원단자와 접속하여 PCB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은 입력 전압이 10 V 내지 15V, 입력 전류가 75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1000 mW 내지 1500 mW 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365 nm 파장의 빛으로 곤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체에는 무해한 파장 및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면서도 전력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은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의 한 면에 실장된 제1 광원(163)은 다른 면에 실장된 제1 광원(163)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광기판(162) 상에 배열되는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형태이거나 지그재그(zigzag)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빛 조사 범위를 크게 확장시키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1 광원(163)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163)은 점발광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1 광원(163)은 복수의 점발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발광 광원은 다른 상기 점발광 광원으로부터 2mm 내지 50mm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빛 에너지 및 열 에너지 형태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1 광원(163)에서 열이 발생하는 바, 상기 제1 광원(163)으로부터 5 ㎜ 이내로 이격된 공간에서 측정한 온도가 30 ℃ 내지 60 ℃ 일 수 있다. 곤충, 특히 모기는 체온과 유사한 약 38 ℃ 내지 40 ℃ 의 온도에 의해 강하게 유인되므로,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유인 효과에 더하여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포충기(1000)로 곤충을 강하게 유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입력 전압이 10 V 내지 15V, 입력 전류가 75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1000 mW 내지 1500 mW 가 되도록 제조된 상기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을 사용하고, 상기 제1 발광기판(162)의 한 면에 실장된 제1 광원(163)은 다른 면에 실장된 제1 광원(163)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광기판(162) 상에 배열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고 인체에 무해한 반면 곤충 유인 효율이 높은 빛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포충기(1000) 주변에 곤충의 유인 효과가 높은 온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광모듈(1162, 1262, 1362, 1462, 1562, 1662), 제1 발광모듈 설치부(1160) 및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광발산각도가 충분히 넓으면서도 광도달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된 제1 발광모듈(1162, 1262, 1362, 1462, 1562, 1662)을 포함함으로써 곤충, 특히 모기의 광유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6을 예로 들어 이하 설명한다.
도 11(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광원의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2(a)는 도 11(a)에 따른 광발산각을, 도 12(b)는 도 11(b)에 따른 광발산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제1 광원(1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 광원(263, 363)을 그 예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한 부호 163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부호 263 및 363으로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인 광발산각은, 상대강도(relative rad intensity)가 40% 이상인 영역, 일 예로 50% 이상인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광원(263)은 광발산각이 100° 내지 140˚ 일 수 있고, 도 11(b)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광원(363)은 광발산각이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263, 363)은 광도달거리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발산각이 넓은 제1 광원(263) 보다 광발산각이 좁은 제1 광원(363)의 광도달거리가 더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충기는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상이한 복수 개의 제1 광원(163, 263, 363)을 실장하여, 광도달영역이 넓으면서도 광도달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광원(263, 363)은 발광칩(263a, 363a), 광 출사부(263b, 363b), 플랜지(263c, 363c) 및 기판(263d, 363d)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출사부(263b, 363b)는 발광칩(263a, 363a)에서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부분으로, 수지로 몰딩(molding) 되어 발광칩(263a, 363a)의 상면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여 덮는 형태이거나 또는 발광칩(263a, 363a)과 광 출사부(263b, 363b)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인 입광부를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광 출사부(263b, 363b)는 발광칩(263a, 363a)의 상면에서 조사된 광만 방출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상면 및 측면 모두에서 조사된 광이 방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플랜지(263c, 363c)는 기판(263d, 363d) 상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인 광 출사부(263b, 363b)와 구분되는 형태로, 광 출사부(263b, 363b)의 외곽에서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 출사부(263b, 363b)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263, 363)은 플랜지(263c, 363c)가 형성되도록 하여 광 출사부(263b, 363b)의 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몰딩과 기판(263d, 363d)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발광칩(263a, 363a)으로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1 광원(263, 363)은 광 출사부의 폭(r, r')이 서로 다른 제1 광원(263, 36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출사부의 폭(r, r')이 서로 다른 2개의 제1 광원(263, 3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광 출사부의 폭(r, r')이 서로 다른 2개의 제1 광원(263, 363)이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한 상기 광 출사부(263b, 363b)의 폭은 도 11에서 y축 방향 보다는 상대적으로 x축 방향을 나타내며, 광 출사부(263b, 363b)의 최저점(最低点)들 사이의 길이 중 가장 긴 길이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출사부(263b, 363b)의 최저점은 플랜지(263c, 363c)와 광 출사부(263b, 363b)의 경계점 일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263, 363)은 동일한 발광칩(263a, 363a)을 사용한 경우라도 광 출사부의 폭(r, r')이 서로 다른 경우 광발산각이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출사부의 폭(r)이 상대적으로 긴 경우(도 11(a))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도 11(b))에 비해 광발산각이 넓어지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광발산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비해 광도달거리가 더 길게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포충기는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 광 출사부의 폭(r, r')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제1 광원(263, 363)을 실장함으로써 제1 광원(263, 363)들의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상이해지도록 하여,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의 광도달영역이 넓으면서도 광도달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1 광원(263, 363)은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서로 다른 제1 광원(263, 36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서로 다른 2개의 제1 광원(263, 3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서로 다른 2개의 제1 광원(263, 363)이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한 상기 광 출사부의 높이(h, h')는 도 11에서 x축 방향 보다는 상대적으로 y축 방향을 나타내며, 광 출사부(263b, 363b)의 최고점(最高點)과 발광칩(263a, 363a) 상면의 중심점 사이의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163, 263, 363)은 동일한 발광칩(263a, 363a)을 사용한 경우라도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상이한 경우 광발산각이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도 11(b))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도 11(a))에 비해 광발산각이 좁아지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광발산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비해 광도달거리가 더 길게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포충기는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에 광 출사부의 높이(h, h')가 상이한 복수 개의 제1 광원(263, 363)을 실장함으로써 제1 광원(263, 363)들의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상이해지도록 하여,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의 광도달영역이 넓으면서도 광도달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발광모듈 기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충기는 다양한 형태의 제1 발광기판(1162, 1262, 1362, 1462, 156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162)은 플렉서블 기판(262)에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기판(262)은 전부 또는 일부가 절곡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162)은 제1 발광모듈(1162)이 배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기판(262)을 적용함으로써,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1160)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 환경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262)의 형태를 상이하게 변경함으로써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262)은 원형 기판, 예를 들어, 가운데가 천공된 원 형태의 기판(362)에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262)은 모든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주변의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362)은 다면체 형태의 기판(462)에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 면에 상이한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가지는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362)은 다면체 형태의 기판(462)을 가짐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 환경에 따라 한 면에 실장되는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462)은 적어도 하나의 호(arc)를 갖는 형태의 기판(562)에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호(arc) 및 하나의 면을 갖는 “D” 형태 또는 반달 형태의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462)은 적어도 하나의 호(arc)를 갖는 형태의 기판(562)을 가짐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광 조사 영역이 넓은 것이 유리한 영역에는 상기 호(arc)에서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광 조사 영역이 집중되는 것이 유리한 영역에는 상기 면에서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562)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다면체 형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된 다면체 형태의 기판(1562)에 제1 광원(163, 263, 363)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광원(163, 263, 363)은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562)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다면체 형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된 다면체 형태의 기판(1562)을 적용함으로써,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1160)에 삽입되어 실장 될 때 모서리끼리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고 흡입팬(150)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여도 응력이 쉽게 분포되도록 하여 제1 발광모듈(156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제1 발광모듈 및 제1 발광모듈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는 제1 발광모듈(1662)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도록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커버(26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발광모듈 커버(164)을 들어 전술한 재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발광모듈 커버(264)는 적어도 일부에 광발산각 변환부(364)를 포함하고, 광발산각 변환부(364)는 광확산부 또는 광축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곤충, 특히 모기는 굴절된 광에 의한 유인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제1 발광모듈 커버(264)는 적어도 일부에 광발산각 변환부(364)를 통과한 광이 굴절 또는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발산각 변환부(364)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제1 광원(163, 263, 363)의 전방에 마련되고, 단일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제1 광원(163, 263, 363)이 동일한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가지더라도 도 11 및 도 12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광원(163, 263, 363)을 실장 한 것과 같은 효과, 즉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발산각 변환부(364)는 제1 발광모듈 커버(264)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원에 포함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63, 263, 363)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적용하는 경우 입광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광 출사부(263b, 363b)의 적어도 일부에 광발산각 변환부(364)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광 출사부(263b, 363b)에 추가로 광발산각 변환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광발산각 변환부(364)가 제1 발광모듈 커버(264)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거나, 제1 광원(163, 263, 363)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서, 도 11 및 도 12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광발산각 및 광도달거리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광원(163, 263, 363)을 실장 한 것과 같은 효과, 즉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발광모듈 설치부(1160)는 제1 발광모듈 삽입 홈(116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모듈 삽입 홈(1160a)의 형태는 전술한 제1 발광기판(162, 262, 362, 462, 562, 662)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 형태의 제1 발광모듈(1262)을 적용하는 경우 제1 발광모듈 삽입 홈(1160a)은 원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 설치부(1160)는 전술한 제1 발광모듈(161, 261, 361, 1162, 1262, 1362, 1462, 1562, 1662)이 삽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제1 발광모듈 삽입 홈(1160a)을 포함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1 발광모듈(161, 261, 361, 1162, 1262, 1362, 1462, 1562, 1662)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포충기는 몸체(110) 상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1160)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1160)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는 제1 발광모듈(161, 261, 361, 1162, 1262, 1362, 1462, 1562, 1662)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로막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161, 261, 361)이 판 형태의 기판(162)을 갖는 경우, 제1 발광기판(162)의 양 측면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가 배치되어 판 형태의 기판(162)에 설치된 제1 광원(163)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로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 (c), (e) 및 도 15를 들어 전술한 모든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의 제1 발광기판(362, 462, 662)을 갖는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가 제1 발광기판(362, 462, 662)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광원(163, 263, 363)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로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d)를 들어 전술한 “D” 형태 또는 반달 형태의 기판을 갖는 경우, 제1 발광기판(162)의 양 측면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가 배치되도록 하거나 제1 발광기판(562)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포충기는 모든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의 제1 발광모듈(1162, 1262, 1362, 1462, 1562)을 적용하는 동시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0, 11)가 제1 발광기판(362, 462, 562, 662)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1)는 길이조절부(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11a)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1)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절곡 가능한 부분으로, 연성 소재를 사용하거나 접철식 또는 신축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10)로부터 수직 방향의 길이뿐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운동이 가능하여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1160)의 설치 각도도 조절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포충기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1a)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치 환경에 따라 제1 발광모듈(161, 261, 361, 1162, 1262, 1362, 1462, 1562, 1662)의 설치 높이 또는 설치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곤충, 특히 모기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켜 포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광모듈 설치부 (170)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흡입팬(150)과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171)이 장착 가능한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포집부(190),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와 상기 흡입팬(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는 상기 몸체(110) 하단 또는 상기 공기 집진부(130)로부터 연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로부터 연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는 상기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몸체(110)의 일부로서 상기 몸체(110) 하단에 설치될 수 있거나, 상기 공기 집진부(130)의 일부 또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의 일부로서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모듈(161) 및 흡입팬(150)과 함께 스위치(30)에 의한 구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부로서 상기 몸체(110)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공정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는 상기 몸체(110) 하단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110) 하단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방해하지 않도록 격자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원형 부재 및 방사상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는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의 중앙을 중심으로 복수의 원형 부재 및 방사상 부재에 의해 중심각이 40 ˚ 내지 90 ˚ 인 부채꼴 형태일 수 있다.
제2 발광모듈(17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광촉매필터(180)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 하단에 장착된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71)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200 nm 내지 400 nm 일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이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200 nm 내지 300 nm 의 파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은 입력 전압이 5 V 내지 30 V, 입력 전류가 50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500 mW 내지 3000 mW 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7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파장 범위이거나 상기 광출력을 나타낼 때, 광촉매필터(180)의 반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은 제2 발광기판(172)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은 제2 발광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기판(172)은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몸체(110) 하단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팬(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를 방해하는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형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중앙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구된 중앙으로 전선이 연결되어 전원단자가 상기 제2 발광모듈(17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173)은 점발광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2 광원(173)은 복수의 점발광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발광 광원은 다른 상기 점발광 광원으로부터 2mm 내지 50mm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173)은 상기 제2 발광기판(172)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 설치부 (20, 21, 2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180)가 장착 가능한 광촉매필터 설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의 형태는 광촉매필터(180)가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몸체(110) 하단 또는 상기 공기 집진부(130)로부터 연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에 장착된 상기 제2 발광모듈(171) 또는 상기 제2 광원(173)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공기 집진부(130)로부터 연장된 지지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의 공기 집진부(130, 230, 3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 21, 22)는 상기 공기 집진부 중간부(132)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기 집진부 중간부(132) 및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의 경계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기 집진부 입구부(131)의 상단과 말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도 5 내지 도 7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범위 내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 (18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에 광촉매필터(1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180)는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촉매 매질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및 산화주석(SnO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된 광촉매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촉매필터(180)는 티타늄산화물(TiO2)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180)는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세라믹과 같이 공기 흐름이 유통될 수 있는 재질에 광촉매필터(180)가 코팅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180)는 상기 제2 발광모듈(171)로부터 방출되는 약 200 nm 내지 400 nm의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매질에 자외선이 흡수되면 표면에 전자(e-)와 정공(+)이 생성되어 광촉매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공기 중 오염물질과 산화 환원 반응을 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의 표면에 생성된 전자는 상기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하고, 정공은 광촉매 표면이나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산화기 (-OH)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은 강한 산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공기 중 유기오염물질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상기 포충기(1000)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제2 발광모듈(171)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상기 광촉매필터(180)에서 광촉매 반응이 진행되면서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반응에 의해 형성된 이산화탄소는 모기 유인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발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젖산,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요산, 암모니아 또는 단백질 분해물질 등과 같은 유인 물질을 추가적으로 광촉매필터(18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인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광촉매필터(180) 내의 상기 광촉매층에 유인 물질을 도포하거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광촉매층에 분사하는 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가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곤충의 유인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제2 발광모듈(171) 및 상기 광촉매필터(180)가 설치됨으로써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촉매 반응 중에 생성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곤충, 특히 모기 유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스위치(3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제1 발광모듈(161), 상기 흡입팬(15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위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0)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형태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 일 수 있고, 상기 스위치(30)의 설치 위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의 상단 또는 하단, 상기 몸체(110)의 상단,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흡입팬(15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리가 짧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0)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포충기(1000)가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마찰력이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110)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스위치(3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모듈(161), 상기 흡입팬(15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 또는 필요에 따라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상기 스위치(3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모듈(161), 상기 흡입팬(15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7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둘 이상과 나머지 하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이 구동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161) 및 상기 흡입팬(150)이 구동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30)의 동작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은 어느 경우나 구동되어 상기 포충기(1000)의 탈취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161) 및 상기 흡입팬(150)이 구동되어 상기 포충기(1000)의 탈취 기능이 수행되는 동시에 모기의 유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제1 발광모듈(161) 및 상기 흡입팬(150)이 구동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이 구동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30)의 동작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모듈(161) 및 상기 흡입팬(150)은 어느 경우나 구동되어 상기 포충기(1000)의 모기 유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발광모듈(171)이 구동되어 상기 포충기(1000)의 모기 유인 기능이 수행되는 동시에 탈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10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통과부(120), 상기 몸체(110) 하부에 배치된 공기 집진부(130, 230, 330),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와 상기 곤충 통과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팬(150), 상기 곤충 통과부(120)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발광모듈(161)이 장착된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 상기 공기 집진부(130, 230, 330)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190), 상기 흡입팬(150)과 상기 포집부(19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발광모듈(171)이 장착된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 및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170)의 하부에 배치된 광촉매필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61)은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160)로부터 탈착(脫着)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광촉매필터(180)는 상기 광촉매필터 설치부(20)로부터 탈착(脫着)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험예 1 - 공기 집진부의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 제어
공기 집진부의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에 따라 포집부에 포집된 모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통과하여 포충기 밖으로 탈출하는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모기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공기 집진부 토출구가 직경이 50mm 인 원형이고, 공기 집진부의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가 80 ˚, 70 ˚, 45 ˚, 30 ˚가 되도록 각 공기 집진부를 제조하였고,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기가 20개체씩 포집부에 포집된 포충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15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포충기로부터 유출된 모기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각도 (˚) 실험 횟수 모기 유출 개체수 평균 유출비율(%)
80 1회 0 0
2회 0
3회 0
70 1회 0 0
2회 0
3회 0
45 1회 4 15
2회 3
3회 2
30 1회 5 31.7
2회 8
3회 6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기는 공기 집진부의 수직 단면의 지면으로부터 기울기가 클수록 모기가 포충기로부터 유출되는 비율이 낮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실제로 모기가 공기 집진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달라붙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공기 집진부 토출구의 수직 방향 길이 제어
공기 집진부 토출구의 수직 방향 길이에 따라 포집부에 포집된 모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통과하여 포충기 밖으로 탈출하는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모기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공기 집진부 토출구가 직경이 50mm 인 원형이고, 수직 방향 길이가 0 mm, 2 mm, 5 mm, 10 mm 가 되도록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각각 제조하였고,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기가 20개체씩 포집부에 포집된 포충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15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포충기로부터 유출된 모기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길이 (mm) 실험 횟수 모기 유출 개체수 평균 유출비율(%)
0 1회 3 10.0
2회 2
3회 1
2 1회 1 5.0
2회 2
3회 0
5 1회 0 0.0
2회 0
3회 0
10 1회 0 0.0
2회 0
3회 0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기는 수직 형상인 공기 집진부 토출구의 길이가 길수록 모기가 포충기로부터 유출되는 비율이 낮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실제로 모기가 수직 형상인 공기 집진부 토출구의 내벽 또는 외벽에 달라붙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공기 집진부 살의 형태 제어
공기 집진부 살의 형태에 따라 포집부에 포집된 모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통과하여 포충기 밖으로 탈출하는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기 집진부 살이 길이와 폭을 갖는 하나의 막대 형상인 경우(사각형)와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인 경우(계단형)의 두 가지 형태의 공기 집진부를 제조하였고,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충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기가 20개체씩 포집부에 포집된 포충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15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포충기로부터 유출된 모기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공기 집진부 살의 형태 실험 횟수 모기 유출 개체수 평균 유출비율(%)
사각형 1회 0 5
2회 1
3회 2
계단형 1회 0 1.7
2회 1
3회 0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기는 공기 집진부 살이 길이와 폭을 갖는 하나의 막대 형상인 경우(사각형)에 비해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인 경우(계단형) 포충기로부터 유출되는 비율이 낮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10: 몸체
120: 곤충 통과부
121: 곤충 통과 구멍
130, 230, 330: 공기 집진부
130a: 공기 집진부 살
130b: 공기 집진부 측면구
131: 공기 집진부 입구부
132: 공기 집진부 중간부
133: 공기 집진부 토출구
140: 모터
150: 흡입팬
151: 팬날개
160, 1160: 제1 발광모듈 설치부
161, 261, 361, 1162, 1262, 1362, 1462, 1562, 1662: 제1 발광모듈
162, 262, 362, 462, 562, 662: 제1 발광기판
163, 263, 363: 제1 광원
164, 264: 제1 발광모듈 커버
364: 광발산각 변환부
165: 제1 발광모듈 설치부 갓
170: 제2 발광모듈 설치부
171: 제2 발광모듈
172: 제2 발광기판
173: 제2 광원
180: 광촉매필터
190: 포집부
191: 포집부 측면구
10, 11: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
11a: 길이조절부
20, 21, 22: 광촉매필터 설치부
30: 스위치
1160a: 제1 발광모듈 삽입 홈
263a, 363a: 발광칩
263b, 363b: 광 출사부
263c, 363c: 플랜지
263d, 363d: 기판
h, h': 광 출사부의 높이
r, r': 광 출사부의 폭

Claims (26)

  1.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발광모듈이 설치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
    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제1 발광기판 및 제1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은 상기 제1 광원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100° 내지 140˚ 인 것을 포함하는, 포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이 40° 내지 80˚ 인 것을 포함하는, 포충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 출사부의 폭이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은 광 출사부의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제1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기판은 플렉서블 형태, 원 형태, 다면체 형태, 적어도 하나의 호(arc)를 갖는 형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다면체 형태 및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된 다면체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포충기.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에 제1 발광모듈 설치부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는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발광기판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 지지대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 설치부는 제1 발광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도록 장착 가능한 제1 발광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포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 커버는 적어도 일부에 광발산각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각 변환부는 광확산부 또는 광축소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광발산각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산각 변환부는 광확산부 또는 광축소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공기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인, 포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집진부는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집진부는 공기 집진부 입구부, 공기 집진부 중간부, 및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포함하고,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 > 공기 집진부 입구부 > 공기 집진부 중간부 순서인, 포충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집진부 토출구는 상기 포집부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인, 포충기.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집진부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 집진부 살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집진부 살 사이에 마련된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를 포함하는, 포충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공기 집진부 살 각각은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은 이웃하는 공기 집진부 살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에 가깝게 배치된, 포충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흡입팬 하부에 설치된 제2 발광모듈 설치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광촉매필터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에 상기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제2 발광모듈이 장착되는, 포충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은 제2 광원이 실장되지 않은 면이 상기 흡입팬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포충기.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인 공기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집진부에서 연장되는 형태인 광촉매필터 설치부를 갖는, 포충기.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발광모듈 설치부에서 제2 발광모듈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형태인 제2 돌출부를 갖는, 포충기.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는 곤충 통과부; 및
    상기 흡입팬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곤충 통과부는 하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모터 상부에 배치된 제1 돌출부를 갖는, 포충기.
KR1020170051792A 2016-07-04 2017-04-21 포충기 KR10241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037 WO2018008923A1 (ko) 2016-07-04 2017-07-03 포충기
TW106122209A TWI676421B (zh) 2016-07-04 2017-07-03 捕蟲器
JP2018568818A JP7032334B2 (ja) 2016-07-04 2017-07-03 捕虫器
US16/240,486 US20190133106A1 (en) 2016-07-04 2019-01-04 Insect 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446 2016-07-04
KR20160084446 2016-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53A true KR20180004653A (ko) 2018-01-12
KR102415917B1 KR102415917B1 (ko) 2022-07-04

Family

ID=610008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40A KR102536680B1 (ko) 2016-07-04 2017-03-30 포충기
KR1020170051792A KR102415917B1 (ko) 2016-07-04 2017-04-21 포충기
KR1020170079858A KR102558267B1 (ko) 2016-07-04 2017-06-23 포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40A KR102536680B1 (ko) 2016-07-04 2017-03-30 포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58A KR102558267B1 (ko) 2016-07-04 2017-06-23 포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33106A1 (ko)
JP (1) JP7032334B2 (ko)
KR (3) KR102536680B1 (ko)
TW (1) TWI676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8933B2 (en) * 2016-12-30 2020-10-13 Gardner Manufacturing Co., Inc. Insect light trap with extruded curved side panels and curved glue board
KR102482762B1 (ko) * 2017-01-10 2022-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US11369104B2 (en) * 2017-05-01 2022-06-28 Pelsis Limited Pest trap
DE102017120212A1 (de) * 2017-09-01 2019-03-07 Biogents Ag Insektenfalle und Verfahren zum Anlocken und/oder Fangen von Fluginsekten
KR102099810B1 (ko) * 2018-02-08 2020-04-10 채예린 어류 포획용 어항
US20190297868A1 (en) * 2018-02-17 2019-10-03 Shane Patrick Warner Trap System For Insects
US11160265B2 (en) * 2018-04-04 2021-11-02 Philip Morris Usa Inc. Insect trap utilizing UV light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2997984B (zh) * 2018-06-28 2023-10-27 纪永国 通过气压变化以及物体震动可快速处理害虫的装置及方法
GB201816993D0 (en) * 2018-10-18 2018-12-05 Pelsis Ltd Trap
JP6785284B2 (ja) * 2018-12-07 2020-11-18 株式会社 光バイオ 捕虫器
JP7340260B2 (ja) * 2018-12-07 2023-09-07 株式会社 光バイオ 捕虫器
KR102203228B1 (ko) * 2019-01-18 2021-01-14 이광우 해충 방지용 led 조명 점등장치 및 점등 바
US11002417B2 (en) * 2019-04-26 2021-05-11 Pic Corporation Solar powered lighting element with simulated flame and electrical insect eliminator
KR102354715B1 (ko) * 2020-01-14 2022-01-24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해충 퇴치 장치
CN115917976A (zh) * 2020-07-15 2023-04-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模块以及通信装置
US20220022441A1 (en) * 2020-07-24 2022-01-27 Ap&G Co., Inc. Flying insect trap with enhanced illumination
US20220132824A1 (en) * 2020-10-30 2022-05-05 19 Thrasio Nineteen, Inc. Insect capture device
CN214102884U (zh) * 2020-12-02 2021-09-03 浙江硕而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灭蚊灯
CN112450180B (zh) * 2020-12-16 2022-05-10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昆虫研究用针对粉虱小型昆虫的诱虫装置
USD1015478S1 (en) * 2021-08-11 2024-02-20 Jianyong Lin Mosquito lamp
CN113826595B (zh) * 2021-10-19 2024-03-12 宁波绿圣农用工具有限公司 一种果园驱虫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59Y1 (ko) * 2006-06-19 2006-09-19 (주) 파루 해충포획장치
KR20080086082A (ko) *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150112755A (ko) * 2014-03-28 2015-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KR20150125220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5205B2 (en) * 1997-08-26 2005-11-15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ight 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US6655080B2 (en) * 2002-02-19 2003-12-02 Lentek International, Inc. Insect trapping apparatus with laminar air flow
US7784215B2 (en) * 2006-11-09 2010-08-31 Lee William Cohnstaedt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ed light traps
KR20080074402A (ko) * 2007-02-09 2008-08-13 유용득 커버가 부착된 조명기구
KR200460553Y1 (ko) * 2009-04-24 2012-07-20 대한민국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098866B1 (ko) * 2010-05-04 2011-12-26 주식회사 에코솔라텍 포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00912B1 (ko) * 2010-05-31 2012-11-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퇴치용 램프
KR101283662B1 (ko) * 2010-12-31 2013-07-08 (주)에이엔티이십일 해충 포집장치
KR20120097077A (ko) * 2011-02-24 2012-09-03 김성재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TWM418549U (en) * 2011-08-18 2011-12-21 Te-Chin Jan Improved structure of mosquito trap
KR200473843Y1 (ko) * 2012-12-03 2014-08-07 전자부품연구원 Led 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포집 장치
US9374990B2 (en) * 2013-08-12 2016-06-28 Innovation Consultant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mosquito control
JP2015204782A (ja) 2014-04-21 2015-11-19 世紀 内山 Led放射器
CN104488840A (zh) * 2014-12-13 2015-04-08 张柳明 一种诱杀蚊子的方法及其灭蚊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59Y1 (ko) * 2006-06-19 2006-09-19 (주) 파루 해충포획장치
KR20080086082A (ko) *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20150112755A (ko) * 2014-03-28 2015-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KR20150125220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5745A (ja) 2019-09-12
KR102558267B1 (ko) 2023-07-25
JP7032334B2 (ja) 2022-03-08
TWI676421B (zh) 2019-11-11
US20190133106A1 (en) 2019-05-09
KR102415917B1 (ko) 2022-07-04
TW201804901A (zh) 2018-02-16
KR20180004652A (ko) 2018-01-12
KR102536680B1 (ko) 2023-05-26
KR20180004659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917B1 (ko) 포충기
KR101691587B1 (ko) 포충기
CN107182976B (zh) 捕虫器
US11278018B2 (en) Insect trap
KR102447363B1 (ko) 점착형 포충기
US11154044B2 (en) Insect trap
CN108601338B (zh) 使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薄型捕虫器
EP3427581B1 (en) Insect trap
US20210400944A1 (en) Insect trap
KR20150112755A (ko)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CN107182968B (zh) 捕虫器
KR20170112972A (ko) 포충기
KR20190050882A (ko) 포충기
KR102574929B1 (ko) 포충기
KR20190037605A (ko)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