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917A -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917A
KR20180003917A KR1020160083700A KR20160083700A KR20180003917A KR 20180003917 A KR20180003917 A KR 20180003917A KR 1020160083700 A KR1020160083700 A KR 1020160083700A KR 20160083700 A KR20160083700 A KR 20160083700A KR 20180003917 A KR20180003917 A KR 2018000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key
hole
locking devi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044B1 (ko
Inventor
유병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6008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2Locks mounted on the "frame" cooperating with means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사각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일측의 창문과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타측의 창문과 상기 일측의 창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누름부가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제1홀 및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제1삽입구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공에 안착되며 누름부에 체결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에 구성된 홀을 통하여 진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누름부와, 필요 시 보조 잠금 장치를 사용 중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는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이 몸체부에 구성된 제1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누룸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에 삽입되어 누름부의 진출입 작용을 방지하여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는 미사용 잠금 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 개방 폐쇄 시 작동하여 창문의 완전 폐쇄 모드, 환기 개방 모드 및 완전 개방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Aid Locking Apparatus of Safety Door}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또는 빌딩의 창문 보조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기 개방 기능을 하고 자동 방범 및 창문을 통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닫이 식 창문에 설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866호(2011. 10. 14.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는 고정판(9)은 실내측에 설치되는 제1창문(5)의 좁은 측면(마구리)의 하부에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기동판(11)은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에 의해 수직축(X)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끔 고정판(9)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동판(11)은 실외측에 설치되는 제2창문, 특히 그의 하부프레임(7a)에 면접될 수 있다. 또한 기동판(11)에는 제1축공(13)이 반달 형태로 타공된다. 제1축공에는 제1키홈(15)이 사각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제1키부재(17)는 엘(L)자 형태의 판재로서 일단(17a)에는 제2축공(19)이 타공되며 타단(17b)은 끝이 뾰족하게 테이퍼져 있다. 또한 제2축공(19)은 원형이며 제2키홈(21)이 사각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제2키부재(23)는 제1,2축공(13,19)이 동심상에 있도록 기동판(11)과 제1키부재(17)가 포개진 상태에서 제1축공(13)과 제2축공(19)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제2키부재(17)에는 키돌기(25)가 돌출 형성된다. 육면체인 키돌기(25)의 단면은 사각 형태로서, 제1,2축공(13,19)에 마련되는 제1,2키홈(15,21)에 끼워질 수 있다. 키돌기(25)는 도시된 것처럼 제1키부재(17)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단위키돌기(25a,25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키부재(17)는 제2키부재(2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제2키부재(23)는 제1키부재(17)에 대하여 축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있는 샤시 잠금장치(크리센트)의 경우 창문 개방과 창문 폐쇄가 가능하고 창문 폐쇄 후 자동으로 잠금 장치가 작동하는 것이나 설치가 어렵고 환기 개방 기능이 없으며 미사용 기능 등이 없어서 사용하기 불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는 창문 개방과 폐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환기 개방이나 미사용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여 개방 시 어린이 등이 추락할 수 있으며, 설치가 어렵고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사각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일측의 창문과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타측의 창문과 상기 일측의 창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누름부가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제1홀 및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제1삽입구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공에 안착되며 누름부에 체결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에 구성된 홀을 통하여 진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누름부와, 필요 시 보조 잠금 장치를 사용 중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는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이 몸체부에 구성된 제1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누룸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에 삽입되어 누름부의 진출입 작용을 방지하여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는 미사용 잠금 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 개방 폐쇄 시 작동하여 창문의 완전 폐쇄 모드, 환기 개방 모드 및 완전 개방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어린이의 갑작스런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건 낙하의 위험을 느끼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설치하여 불안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고 환기 개방의 기능 모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창문 폐쇄에서 환기 개방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환기 개방에서 창문 개방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창문 개방에서 창문 폐쇄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창문 폐쇄 시 상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창문 개방 및 환기 개방 시 상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미사용 시 상태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도 2 내지 도 7을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창문 폐쇄에서 환기 개방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100)는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사각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일측의 창문(110)과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타측의 창문(120)과 상기 일측의 창문의 유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누름부가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것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홀(132) 및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측면 제1삽입구(134)를 구비한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공에 안착되며 누름부에 체결되는 탄성부(140)와, 상기 탄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성된 홀(132)을 통하여 진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측면에 미사용 잠금키가 삽입되는 제2삽입구(152)를 구비한 누름부(150)와, 필요 시 보조 잠금 장치를 사용 중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고 측면에 미사용 잠금 키의 바가 진출입하는 제2홀(162)를 구비한 보조 프레임(160)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이 몸체부에 구성된 제1삽입구(134)를 통하여 삽입되어 누룸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152)에 삽입되어 누름부의 진출 작용을 방지하여 보조 잠금 장치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는 미사용 잠금 키(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조 잠금 장치의 일측의 창문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강한 양면 접착 테이프가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어서 일측 창문의 유리 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도 2는 일측의 창문과 타측의 창문은 보조 잠금 장치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창문을 닫고 일측 창문에 구성된 걸게에 타측 창문에 구성된 힌지형태의 걸쇠를 회전시켜 걸게에 걸도록 하며 창문을 폐쇄하면 외부에서 창문을 열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창문 폐쇄 상태에서 걸쇠를 걸게에서 분리한 후에 타측 창문을 개방하면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의 누름부가 몸체부의 홀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 창문이 개방되므로 상기 타측 창문은 누름부에 걸려 일부만 개방되도록 개방이 제한되므로 환기 개방이 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미사용 잠금 키(170)는 칼날 형태의 끝단(172)과 상기 끝단에 체결되는 바(176)와 누름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152)에 칼날 형태의 끝단(172)을 탄성력으로 삽입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바에 삽입되는 키 스프링(17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환기 개방에서 창문 개방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100)를 통한 환기 개방에서 창문 개방은 일측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100)의 누름부를 누른 상태에서 타측 창문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완전한 창문 개방이 될 수 있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창문 개방에서 창문 폐쇄 작동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를 통한 창문 개방에서 창문 폐쇄는 상기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의 누름부(150)를 누르면 상기 타측 창문이 누름부를 패스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창문 개방 상태에서 창문을 폐쇄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창문 폐쇄 시 상태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창문 폐쇄 시의 안심 보조 잠금 장치는 몸체부(130)의 홀(132)을 통하여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누름부(150)가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누름부(150)는 몸체부(130)에 구성된 홀을 통하여 돌출되는 것이나 누름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 턱(154)이 몸체부(130) 일측에 걸려서 홀을 통한 돌출이 제한되는 구조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창문 개방 시 상태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창문을 개방하기 위하여는 타측 창문이 상기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100)를 패스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야 하므로 상기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돌출된 누름부(150)를 누르면 탄성 스프링(140)이 압축되어 돌출된 누름부(150)가 홀(132)에서 내부로 진입하므로 타측 창문이 좌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타측 창문을 좌측 끝까지 밀면 전체 창문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미사용 시 상태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몸체부(130)에 구성된 누름부(150)를 강하에 압착하면 스프링(140)이 최대로 압축되고 상기와 같이 누름부(150)가 몸체부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일측에 구성된 보조 프레임(160)에 설치되고 몸체부(130)에 구성된 제1삽입구(132)를 통과한 미사용 잠금 키(170)를 키 스프링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당겼다가 누름부 일측에 구성된 제2삽입구(152)에 삽입되도록 놓으면 미사용 잠금 키(170)의 일측 끝단(172)이 누름부(150)의 제2삽입구(152)로 삽입되므로 누름부(150)가 눌러진 상태에서 몸체부(130) 외부로 진출입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타측 창문이 안심 창문 보조 잠금 장치의 방해 없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110 : 일측 창문, 120 : 타측 창문,
130 : 몸체부, 140 : 스프링,
150 : 누름부, 160 : 보조 프레임,
170 : 미사용 잠금 키

Claims (7)

  1. 창문이 일부분만 개방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내부가 중공으로 누름부가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것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홀(132)을 구비한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공에 안착되며 누름부에 체결되는 탄성부(140);
    및 상기 탄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성된 홀(132)을 통하여 진출입할 수 있는 누름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고 측면에 미사용 잠금 키의 바가 진출입하는 제2홀(162)를 구비한 보조 프레임(160);
    및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이 몸체부에 구성된 제1삽입구(134)를 통하여 삽입되어 누룸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152)에 삽입되어 누름부의 진출 작용을 방지하여 보조 잠금 장치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는 미사용 잠금 키(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에 접착력이 강한 양면 접착 테이프로 창문의 유리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잠금 키(170)는,
    칼날 형태의 끝단(172)과;
    상기 끝단에 체결되는 바(176);
    및 상기 바에 삽입되는 키 스프링(1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5. 창문이 일부분만 개방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사각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일측의 창문(110)과;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타측의 창문(120)과;
    상기 일측의 창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누름부가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것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홀(132)을 구비한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공에 안착되며 누름부에 체결되는 탄성부(140);
    및 상기 탄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성된 홀(132)을 통하여 진출입할 수 있는 누름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는,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고 측면에 미사용 잠금 키의 바가 진출입하는 제2홀(162)를 구비한 보조 프레임(160);
    및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이 몸체부에 구성된 제1삽입구(134)를 통하여 삽입되어 누룸부에 구성된 제2삽입구(152)에 삽입되어 누름부의 진출 작용을 방지하여 보조 잠금 장치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는 미사용 잠금 키(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잠금 키(170)는,
    칼날 형태의 끝단(172)과;
    상기 끝단에 체결되는 바(176);
    및 상기 바에 삽입되는 키 스프링(1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개방 모드를 구비한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KR1020160083700A 2016-07-01 2016-07-01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KR10182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00A KR101826044B1 (ko) 2016-07-01 2016-07-01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00A KR101826044B1 (ko) 2016-07-01 2016-07-01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17A true KR20180003917A (ko) 2018-01-10
KR101826044B1 KR101826044B1 (ko) 2018-02-06

Family

ID=6099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700A KR101826044B1 (ko) 2016-07-01 2016-07-01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0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5297B (zh) * 2007-11-14 2012-11-07 林振豊 铝门窗防盗及横拉开启限制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044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9646A (ja) レールで案内される走行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US4054008A (en) Automatic door opening arrangement
US20170204642A1 (en) Door security device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KR101826044B1 (ko) 안심 창문 보조 잠금장치
KR20060108016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JP2016075134A (ja) 屋内側施錠装置
JPH0949359A (ja) 開放状態引戸用ロック装置
KR101456214B1 (ko)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0777030A1 (en) Sliding door and handling jamb therefor
KR101874914B1 (ko) 자기 잠금장치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잠금시스템
US4872326A (en) Three stage combination replacement lock
KR20160146416A (ko) 창문의 잠금장치
JP4611949B2 (ja) 開閉仕切具施錠機構
GB2308404A (en) Sliding door or window lock
JP2019119569A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5268577B2 (ja) 窓換気用のステー
GB2512582A (en) Door blocking arrangement
US2050362A (en) Door ventilator
JP2017048589A (ja) 扉装置
KR200388127Y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KR940006900Y1 (ko) 건물용 점검구의 도어 개폐장치
US20120043769A1 (en) Door secur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