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71A -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 Google Patents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71A
KR20180003871A KR1020160083584A KR20160083584A KR20180003871A KR 20180003871 A KR20180003871 A KR 20180003871A KR 1020160083584 A KR1020160083584 A KR 1020160083584A KR 20160083584 A KR20160083584 A KR 20160083584A KR 20180003871 A KR20180003871 A KR 2018000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ulcanization
vulcanization accelerator
weight
parts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
Original Assignee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고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871A/ko
Publication of KR2018000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60J10/88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mounted on, or integral with, the glass-run se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398Phosphorus bound to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런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니트로사민을 형성하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EPDM 고무 조성물은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가황 효율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 및 압축영구줄음율이 우수하다. 또한, 인과 아연의 함량이 높은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Rubber Composition Having Nitrosamines-free Vulcanization Accelerator And Glassrun Weather-strip For Vehicl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런 제품에 관한 것이다.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은 자동차 도어에 위치하며 글라스 주변을 감싸고 있는 자동차 씰링 제품으로써, 글라스 승하강시 정확한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 기능 및 이탈 방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글라스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비, 먼지, 바람 및 외부 이물질을 차체 내부로 유입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품이다.
이와 같이 웨더스트립은 차량의 실내외 경계면에서 차단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장시간 사용에도 항상 자동차내부의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자동차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개선활동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의 새차 구매 고객들은 새로운 걱정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는 특히 화학물질에 대한 심한 알러지를 가지고 있거나,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새차를 탈 때마다 느끼는 메스꺼움과 두통 등에 고통을 받고 있다.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 또한 자동차 실내외 경계면을 위치하는 제품으로써, 이러한 실내 공기질에 대한 문제에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자동차용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은 고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 부품으로써, 합성고무의 한 종류인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터폴리머(EPDM)고무와 고무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황(硫黃 : Sulphur) 사용하고 있다. 고무재료에 유황을 넣고 열을 가하게 되면 물리적 성질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높은 온도에 의해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터폴리머(EPDM) 고무 사슬과 사슬을 연결하는 가교 성분으로 유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황 반응에 의해서 높은 인장강도 및 탄성이 강한 고무로 바뀌게 된다. 오늘날 공업적 제품은 유황을 이용하여 가황반응에 의한 생산된 제품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무 사슬과 유황과의 가황반응은 매우 느린 화학반응으로 일반 제조공정에서는 생산성 및 고무 물성 향상을 위하여 가황 반응을 촉진시켜주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고 있다.
20세기 초 아닐린 및 티오카바닐라이드 등의 유기화합물이 가황에 대한 촉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이후 고무 가공에 있어서 작업 능률 및 고무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가황촉진제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황촉진제의 종류는 무수히 많다.
EPDM 고무 컴파운드에 사용되는 고무 가황촉진제를 분류해보면 티우람계 (Thiurams), 디티오카바메이트계(Dithiocarbamates), 티아졸계(Thiazoles), 구아니딘계(Guanidines), 알데히드-아민계(Aledhyde-Amines), 설펜아마이드계(Sulfenamides), 티오우레아계(Thioureas) 등이 있다.
이러한 가황촉진제는 고무 조성물내에서 각각 베이스 원료고무 중량 대비 0.5% ~ 2.0% 전후로 사용함이 일반적이지만, 소량의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도 가황 효율은 월등하게 발휘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황촉진제가 그렇듯이 분해 과정에서 1차, 2차, 3차 아민이 발생되며, 이 중에 2차 아민은 다시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니트로사민을 형성시킨다.
글래스 런 제품의 경우, 제품 특성상 자동차 내장 부품군에 소속되기 때문에 글래스 런 제품에서 발생되는 니트로사민이라는 물질로 안심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에, 일본 등록특허 제5420386호에는 니트로사민이 발생하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는 EPDM고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최대 30 중량부의 발포제를 사용하는 발포체에 대한 발명으로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고무 소재의 경우에는 화재 등의 방지를 위한 난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0579501호에는 비할로겐성 난연성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난연성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한 물성의 저하는 필연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니트로사님을 발생시키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는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에 적합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100 ~ 14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 4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50 ~ 60 중량부, 가황활성제 7 ~ 14 중량부, 가황활성조제 1 ~ 3 중량부, 고무흐름 개선제 3 ~ 6 중량부, 기포 방지제 4 ~ 8 중량부, 가황제 1 ~ 2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4 ~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촉진제는 ZBEC, ZBOP 및 CLD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황촉진제는 MBT, ZAT, SDT 및 ZDT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클레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스 오일로는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황활성제는 스테아린산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PDM 고무 조성물은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가황 효율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 및 압축영구줄음율이 우수하다. 또한, 인과 아연의 함량이 높은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100 ~ 14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 4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50 ~ 60 중량부, 가황활성제 7 ~ 14 중량부, 가황활성조제 1 ~ 3 중량부, 고무흐름 개선제 3 ~ 6 중량부, 기포 방지제 4 ~ 8 중량부, 가황제 1 ~ 2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4 ~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촉진제는 ZBEC, ZBOP 및 CLD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EPDM 고무 조성물은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는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가황 효율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 및 압축영구줄음율이 우수하다. 또한, 인과 아연의 함량이 높은 가황촉진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EPDM 고무는 무늬점도(Mooney Viscosity)가 70 내지 95 (ASTM D 1646에 의한 ML1+4,125℃에서 측정한 결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EPDM 고무로는 에틸렌 함유량이 65% 내지 70%이며, 에틸리덴 노보넨(5-ethylidene-2-norbonene : 이하 ENB)의 함유량 5% 내지 6%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PDM 고무의 무늬점도는 고무의 점성의 정도를 의미하여 일반적으로 분자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기 무늬점도가 95를 초과하면 고무의 물성은 향상되나, 가공성이 떨어지거나, 폴리머 소련이 부족하여 다른 원재료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대로 무늬점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물성 저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EPDM 고무의 에틸렌 함량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의 함량이 65% 미만인 경우에는 충진성 저하에 따른 원가 상승의 요인이 발생되며, 상기 에틸렌 함량이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EPDM 고무의 결정성이 높아짐에 따른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상기 EPDM 고무의 에틸렌 함량에 있어서, 상기 ENB의 함량이 5%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영구줄음율이 열세하게 되며, 상기 ENB의 함량이 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를 보관하는 상온에서도 스코치 현상에 의한 품질 불량 현상 및 내열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황촉진제(Vulcanization Accelerator)는 원료고무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황공정에 투입되어 가황속도 촉진 및 고무물성 증진에 기여하는 필수화학 첨가약품이며, 종래의 가황촉진제는 아민 유도체로써, 분해 과정에서 아민 화합물을 발생시킨다. 특히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 아민은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N-니트로사민을 형성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종래의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에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고무 가황촉진제 모두 6종이다. 이들 가황촉진제는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 dithiocarbamate : ZDBC), 아연 디에틸 디티오카바메이트(Zinc-diethyl dithiocarbamate : ZDEC),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 TMTD), 텔루리움 디에틸 디티오카바메이트(Tellurium diethyl dithiocarbamate : TDEC), 2-메르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 MBT),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 설펜아미드(N-cyclohexyl-2-benzothiazylesulfenamide : CBS)이다. 상시 가황촉진제 중에서 2차 아민을 형성시키는 것은 모두 4종으로,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바메이트 (Zinc dibutyl dithiocarbamate : ZDBC), 아연 디에틸 디티오카바메이트 (Zinc-diethyl dithiocarbamate : ZDEC),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 TMTD), 텔루리움 디에틸 디티오카바메이트(Tellurium diethyl dithiocarbamate : TDEC)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EPDM 고무 조성물은 상기 니트로사민을 형성하는 가황촉진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니트로사민을 발생하지 않는 가황촉진제인 ZBEC(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ZBOP(Zinc Dialkyldithiophosphate) 및 CLD(caprolactamdisulfie)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Figure pat00002
( Zinc Dialkyl dithio phosphate)
Figure pat00003
(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Figure pat00004
(Caprolactmadisulfide )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황촉진제인 ZBEC(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ZBOP(Zinc Dialkyldithiophosphate) 및 CLD(caprolactamdisulfie)는 인(P)성분과 아연(zinc) 성분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인과 아연은 대표적인 난연제 성분들이다. 기존에 난연제로 사용되던 할로겐계 화합물은 발암물질에 해당되어 사용이 기피되고 있으며, 이를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대치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난연제가 인(P)계 난연제이며, 아연(zinc)계도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고무의 난연성의 향상을 위해서 별도의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은 고무의 물성을 저하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P)성분과 아연(zinc) 성분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가황촉진제인 ZBEC(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ZBOP(Zinc Dialkyldithiophosphate) 및 CLD(caprolactamdisulfie)을 사용하여 고무의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니트로사민을 형성하지 않는 가황촉진제인 ZBEC, ZBOP 및 CLD는 상대적으로 가황 효율이 다소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황활성조제 및 가황촉진제의 신규 조합을 적용하여 가황 효율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황촉진제는 MBT, ZAT, SDT 및 ZDT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클레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본블랙은 FEF(Fast Extruding Furnace), HAF(High Abrasion Furnace), SRF (Semi Reinforcing Furna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압출 특성이 가장 우수한 FEF(Fast Extruding Furnace) 또는 이를 포함한 2종 내지 3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스 오일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파라핀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로는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및 아로마틱계 오일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표면 변색 및 오염이 중요한 품질 항목인 글래스 런 제품의 경우에는 EPDM 고무와의 상용성이 높은 단일 결합 구조의 파라핀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황활성제로는 스테아린산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황활성제(Vulcanisation activators)는 디엔계 고무의 가교 반응에 강력한 활성 효과를 주는 성분으로, 가황밀도나 리버젼 내성이 증가되며, 대부분의 경우 가황 후 제품의 동적특성은 분명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가황활성조제는 가황활성제의 보조역활을 하는 요소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흐름 개선제로는 고무윤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포방지제로는 산화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황제로는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EPDM 고무 제조과정은 크게 CMB(Carbon Master Batch)와 FMB(Final Master Batch)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CMB고무의 제조 과정은 첫 번째 베이스 폴리머의를 분쇄하는 소련 과정을 거친 후 보강제(일반적으로 카본블랙을 사용함), 연화제(프로세스 오일), 필라(탄산칼슘), 가공조제 등을 투입하면서 분쇄된 베이스 폴리머와 원재료가 혼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된 CMB고무는 열을 가하여도 가황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재료로써, 제품 성형이 불가하며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CMB고무를 일정시간 이상 숙성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공정에서 베이스 폴리머가 받았던 높은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안정화를 취하게 하기 위함이다.
FMB공정은 CMB고무를 정량의 가황제(유황 : Sulfur), 가황촉진제, 기포방지제를 혼합하는 공정으로써, 이러한 원재료가 혼합되어야 완성된 고무 재료가 되는 것이다. 이 때, 투입되는 가황촉진제의 종류 중에서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도 포함된다. FMB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고무 혼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단력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하면서 믹싱해야 하는 점으로써, 발열이 높게 형성될 경우, 고무의 점성력이 떨어져 성형과정에서 불량 발생이 높아지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니트로사민 미형성 가황촉진제를 사용한 EPDM 고무 조성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나타낸 EPDM 고무(KEP 281F) 100g을 준비하고, 카본 블랙(N550) 120g, 탄산 칼슘 30g, 파라핀 오일 54g, 스테아린산 2g, 산화아연 8g, 폴리에틸렌글리콜 2g, 고무흐름 개선제(WB-16) 4g 및 기포방지제(산화칼슘) 6g을 혼합하여 CMB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CMB고무에, 유황 1.5g, 가황촉진제 ZBEC 1.5g, 가황촉진제 MBT 0.65g, 가황촉진제 ZAT 0.3g, 가황촉진제 ZBOP 0.5g, 가황촉진제 CLD 0.5g, 가황촉진제 SDT 0.3g 및 가황촉진제 ZDT 0.7을 혼합하여 FMB공정에 의한 웨더스립용 EPDM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니트로사민 미형성 가황촉진제를 사용한 EPDM 고무 조성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나타낸 성분들을 혼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웨더스립용 EPDM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니트로사민 형성 가황촉진제를 사용한 EPDM 고무 조성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나타낸 성분들을 혼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웨더스립용 EPDM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제(중량부)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1
CMB
(카본 마스터 배치)
EPDM 고무
(KEP 281F)
100 100 100
N550
(카본 블랙)
120 120 120
CaCO3
(탄산 칼슘)
30 30 30
Process Oil
(파라핀 오일)
54 54 54
Stearic Acid
(가황활성제 : 지방산)
2 2 2
ZnO
(가황활성제 : 산화아연)
8 8 8
폴리에틸렌 글리콜
(가황활성조제 : PEG)
2 2 2
WB-16
(고무흐름 개선제)
4 4 4
CaO
(기포방지제: 산화칼슘)
6 6 6
FMB
(파이날 마스터 배치)
S (가황제 : 유황) 1.5 1.5 1.5
가황촉진제 ZDEC 1.5
가황촉진제 MBT 0.7
가황촉진제 ZDBC 0.5
가황촉진제 MBTS 0.3
가황촉진제 DTDM 0.6
가황촉진제 ZBEC 1.5 1.5
가황촉진제 MBT 0.65 0.3
가황촉진제 ZAT 0.3 0.5
가황촉진제 ZBOP 0.5 0.5
가황촉진제 CLD 0.5 0.7
가황촉진제 SDT 0.3 0.3
가황촉진제 ZDT 0.7 0.3
합 계 331.1 331.95 331.6
상세내역 * ZDEC : Zinc Di-Ethyl Dithiocarbamate
* MBT : 2-Mercaptobenzothiazole
* ZDBC : Zinc Di-Butyl Dithiocarbamate
* MBTS : Dibenzothiazyl disulfide
* DTDM : 4,4'-Dithiodimorpholine
* ZBEC : 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 ZAT : Zinc Amine Dithiophosphate
* ZBOP : Zinc Dialkyldithiophosphate
* CLD : caprolactamdisulfie
* SDT : Phosphoryl polysulfide
* ZDT : Zinc Dialkyldithiophosphate
시험예
경도 : KS M 651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인장강도 : KS M 651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신장율 : KS M 651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압축영구줄음율 : KS M 651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내오존성 : KS M 651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연소성 : MS300-08 (현대자동차 표준 규격)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N-니트로사민 방출량 : EN 12868 규격에 의한 평가 실시 (분석 기관 : SGS)
물성 평가 항목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평가 조건
상태
물성
경도, (SHORE A) 73 74 73 -
인장강도, (kg/cm2) 122.1 123.2 124.5
신율 (%) 256.3 263.6 282.2
노화
물성
경도 변화량 +1 0 +1 70℃ X 70시간
인장강도 변화율 % 6.4 0.8 +3.5
신율 변화율 % -4.8 0.4 -3.1
압축영구줄음율 % 11.8 10.2 10.3 70℃ X 22시간
내오존성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50pphm×40℃
×20%(신장)×72hrs
연소성 (mm/min) 18 11 12 -
N-니트로사민 방출량 0.190mg/kg 미검출 미검출 SGS 분석
상기 표의 시험결과를 확인해보면, 상태 물성 및 노화 물성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니트로사민 방출량은 비교예는 0.190mg/kg이지만, 실시예의 경우에는 니트로사민인 전혀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 비교예에 비하여 연소성이 60% 이상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100 ~ 140 중량부, 무기 충전제 30 ~ 4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50 ~ 60 중량부, 가황활성제 7 ~ 14 중량부, 가황활성조제 1 ~ 3 중량부, 고무흐름 개선제 3 ~ 6 중량부, 기포 방지제 4 ~ 8 중량부, 가황제 1 ~ 2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4 ~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촉진제는 ZBEC(Zinc Di-benzyl Dithiocarbamate), ZBOP(Zinc Dialkyldithiophosphate) 및 CLD(caprolactamdisulfie)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촉진제는 MBT(2-Mercaptobenzothiazole), ZAT(Zinc Amine Dithiophosphate), SDT(Phosphoryl polysulfide) 및 ZDT(Zinc Dialkyldithiophosphate)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클레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활성제는 스테아린산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DM 고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EPDM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자동차용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KR1020160083584A 2016-07-01 2016-07-01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KR20180003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584A KR20180003871A (ko) 2016-07-01 2016-07-01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584A KR20180003871A (ko) 2016-07-01 2016-07-01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71A true KR20180003871A (ko) 2018-01-10

Family

ID=6099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584A KR20180003871A (ko) 2016-07-01 2016-07-01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6251A (zh) * 2019-07-10 2019-11-0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低气味橡胶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6251A (zh) * 2019-07-10 2019-11-0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低气味橡胶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0884B1 (en) Chlorine-containing polymer vulcanizing composition
KR102071347B1 (ko)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 가스켓
KR20220095276A (ko) 진동 감쇠 고무 조성물
JP2012233146A (ja) 新規老化防止剤およびそれを配合するゴム組成物
EP0314271A1 (en) Tire having tread composition comprising an improved processing aid
JPH0517641A (ja) タイヤの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
KR20180003871A (ko) 니트로사민 프리 가황촉진제를 이용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친환경 글라스 런 웨더스트립 제품
KR101509772B1 (ko) 아연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및 글래스런 조성물
US9556324B2 (en) Anti-scorch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KR100637655B1 (ko) 난연성 epdm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1121655A (ja) ホース用ゴム組成物およびホース
KR102635703B1 (ko)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 팽창 가스켓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102464119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드론용 방진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댐퍼부시 성형체
KR100760591B1 (ko) 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 조성물
US3329650A (en) Chemical composition and process
KR100437441B1 (ko) 무독성 불연 고무 조성물
JP5412010B1 (ja) ゴム組成物、その加硫物及び成形品
KR100593023B1 (ko) 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KR100778547B1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58956B1 (ko) 공기 보유성이 우수한 승용차용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KR20100073868A (ko) 벨트 고무 조성물
KR101829144B1 (ko) 타이어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KR20240047073A (ko) Uhmwpp를 이용한 글라스 런 코너 성형부 표면 엠보싱 효과가 있는 epdm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글라스 런 제품
KR20230057536A (ko) 가황제-프리 웨더스트립용 epdm 고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