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67U -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67U
KR20180003667U KR2020170003175U KR20170003175U KR20180003667U KR 20180003667 U KR20180003667 U KR 20180003667U KR 2020170003175 U KR2020170003175 U KR 2020170003175U KR 20170003175 U KR20170003175 U KR 20170003175U KR 20180003667 U KR20180003667 U KR 20180003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connection pipe
observation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수
Original Assignee
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수 filed Critical 서영수
Priority to KR2020170003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667U/ko
Publication of KR20180003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이나 가스관, 송유관 등과 같은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지중 매설관을 둘러싸는 수지밴드와, 상기 수지밴드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침하관측봉과, 상기 침하관측봉을 둘러싸면서 상단 개구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상단 외경부에 설치되어 시공시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부터 상기 보호관을 보호하는 금속재질의 슬리브관과, 상기 보호관 및 슬리브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Apparatus for observing subsidence of underground pipes}
본 고안은 수도관이나 가스관, 송유관 등과 같은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지중 매설관을 둘러싸는 수지밴드와, 상기 수지밴드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침하관측봉과, 상기 침하관측봉을 둘러싸면서 상단 개구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상단 외경부에 설치되어 시공시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부터 상기 보호관을 보호하는 금속재질의 슬리브관과, 상기 보호관 및 슬리브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송유관 등은 주로 도로 지하에 매설되며, 이러한 지하 매설관은 지층운동이나 주변의 굴착공사 등 외부환경에 의해서 수시로 침하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지하 매설관 주변에서 지층운동이 발생하거나 대형 굴착공사를 진행할 경우에는 그 매설관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침하여부를 탐지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침하 관측장치들을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344721호(2004년 03월 02일)에는, 지하 콘크리트 보호구간에 매설된 관의 침하를 탐지하는 침하관측봉 장치가 소개되어 있고, 또한 공개특허 제10-2016-0011113호(2016년 01월 29일)에는, 도시가스관과 같이 지중에 매립 설치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를 관측할 수 있는 침하 관측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공개특허 제10-2016-0011113호에 소개된 침하 관측장치(100)를 나타낸 것으로, 지중 매설관(200)을 상하로 둘러싸는 한쌍의 반원형 수지밴드(110)와, 상기 수지밴드(110) 중 상부 수지밴드(110a)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침하관측봉(120)과, 상기 침하관측봉(120)을 둘러싸는 보호관(130)과, 상기 보호관(13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캡(140)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예컨대 도로면 지하의 매설관(200) 주변에서 터널공사나 대형 굴착공사가 진행될 경우, 상기 매설관(200)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시공홀을 굴착하고 상기 매설관(200)에다 침하 관측장치(100)를 설치한 다음, 보호캡(140)의 뚜껑(141)만 지면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시공홀을 다시 매워서 원상 회복시켜 준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상기 뚜껑(141)을 열고 침하관측봉(120)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매설관(200)의 침하여부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침하관측봉(120) 상단에 통상적인 측량봉을 세운 상태에서 계측기를 이용하여 상기 매설관(200)의 침하 여부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매설관(200)에 대한 침하 관측이 완료되면, 상기 수지밴드(110)에서 침하관측봉(120)을 분리 제거하고, 이어서 보호관(130)과 보호캡(140)을 제거한 다음, 상기 수지밴드(110)만 지중에 남긴 상태로 상기 보호관(130)이 차지하고 있던 구멍을 다시 메워서 원상태로 복구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4721호(2004년 03월 02일) 공개특허 제10-2016-0011113호(2016년 01월 29일)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종래의 침하 관측장치(100)는 주로 도로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시공과정에서 상기 보호관(130) 주변에 도로 포장용 아스콘을 덮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아스콘의 열기로 인해서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130)이 녹아내리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있어서, 침하관측봉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이 시공과정에서 도포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 인해서 녹아내리거나 변형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침하관측봉의 설치 및 길이조절이 용이하며 시공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침하 관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하 관측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기술로 소개한 첨부 도 1의 침하 관측장치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명칭과 독립적인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은, 지중 매설관(P)을 상하로 둘러싸는 수지밴드와, 상기 수지밴드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침하관측봉과, 상기 침하관측봉을 둘러싸면서 상단 개구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상단 외경부에는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부터 상기 보호관을 보호하는 금속재질의 슬리브관이 상기 보호관과 동심원 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감캡은 상기 보호관과 상기 슬리브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보호관과 상기 슬리브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하관측봉은 상기 수지밴드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는 하부연결관과, 상기 하부연결관 위에 삽입, 고정되는 하단관측봉과, 상기 하단관측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연결관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상단관측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는, 상기 슬리브관이 상기 플라스틱 보호관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시에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에 의해서 상기 보호관이 녹아 내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하관측봉은 하부연결관과 하단관측봉 및 상부연결관을 미리 조립한 상태로 준비해 두고, 시공현장에서는 상단관측봉만 현장상황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상부연결관 위에 삽입, 고정해 주면 되기 때문에 상기 침하관측봉의 길이를 시공현장에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중 매설관 침하 관측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설관 침하 관측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설관 침하 관측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는, 첨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밴드(10)와, 침하관측봉(20), 보호관(30), 마감캡(40), 그리고 슬리브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지밴드(10)는 지중 매설관(P)을 상하로 둘러싸는 것으로 상단에는 암나사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지밴드(10)는 한쌍의 반원형 수지밴드(10a,10b)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원형 수지밴드(10a,10b)는 결합돌부(12) 및 결합나사(13)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지중 매설관(P)의 외경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침하관측봉(20)은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형상으로서, 상기 수지밴드(10)중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형 수지밴드(10a)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침하관측봉(20)은 그 하단부가 상기 반원형 수지밴드(10a)의 암나사부(11)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하관측봉(20)은 상기 수지밴드(10)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는 하부연결관(21)과, 상기 하부연결관(21) 위에 삽입, 고정되는 하단관측봉(22), 상기 하단관측봉(2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연결관(23),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관(23)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상단관측봉(24)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결관(21)과 상기 상부연결관(23)의 내경부에는 각각 상기 하단관측봉(22)과 상기 상단관측봉(24)의 진입을 제한하는 내경환턱(21a,23a)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단관측봉(22)과 상단관측봉(24)은 각각 고정핀(25), 예컨대 타카핀에 의해서 상기 하부연결관(21)과 상부연결관(2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결관(21)의 하단에는 상기 수지밴드(10) 상면의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2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침하관측봉(20)을 이격상태로 둘러싸는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 개구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보호관(30)의 상단에는 마감캡(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관(30)의 상단 외경부에는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부터 상기 보호관(30)을 보호하는 금속 재질의 슬리브관(50)이 상기 보호관(30)과 동심원 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40)은 상기 보호관(30)과 상기 슬리브관(50)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판(41)과, 상기 덮개판(41)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보호관(30)과 상기 슬리브관(50)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관(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침하 관측장치의 설치방법은, 먼저 지중 매설관(P)의 외경부에 한쌍의 반원형 수지밴드(10a,10b)를 설치하고, 상부반원형 수지밴드(10a)의 암나사부(11)에다 침하관측봉(20)의 수나사부(21c)를 나사결합한다. 상기 침하관측봉(20)은 하부연결관(21)과 하단관측봉(22), 그리고 상부연결관(23)과 상단관측봉(24)을 순서대로 결합하고 여기에 고정핀(25)을 박아 고정한다.
이때, 하부연결관(21)과 하단관측봉(22) 및 상부연결관(23)은 미리 조립된 상태로 준비해 두고, 시공현장에서는 상단관측봉(24)만 현장상황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상부연결관(23) 위에 삽입한 다음, 고정핀(25)을 박아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침하관측봉(20)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침하관측봉(20) 위에 보호관(30)을 끼워넣고, 상기 보호관(30)의 상단부만 노출되도록 굴착토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30)의 상단 외경부에 슬리브관(50)을 배치하고, 그 위에 마감캡(40)을 덮은 다음, 상기 굴착토 위에 아스콘을 도포하여 마무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마감캡(40) 위로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중 매설관(P)의 침하여부를 관측할 때는 상기 마감캡(40)을 열고, 상기 침하관측봉(20)의 높이변화를 관측한다.
지중 매설관(P)의 침하여부를 더 이상 관측할 필요가 없어지면, 상기 마감캡(40)을 열고, 상기 침하관측봉(20)의 상단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수지밴드(10)로부터 침하관측봉(20)을 모두 분리, 제거하고, 보호관(30)과 슬리브관(50)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30)을 빼낸 구멍에는 다시 굴착토를 채우고, 그 위에 아스콘을 덮어서 마무리한다.
10,10a,10b; 수지밴드 11; 암나사부
12; 결합돌부 13; 결합나사
20; 침하관측봉 21,21a,21b; 하부연결관
22; 하단관측봉 23,23a; 상부연결관
24; 상단관측봉 25; 고정핀
30; 보호관 40; 마감캡
41; 덮개판 42; 삽입관
50; 슬리브관

Claims (3)

  1. 지중 매설관(P)을 상하로 둘러싸는 수지밴드(10)와, 상기 수지밴드(10)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침하관측봉(20)과, 상기 침하관측봉(20)을 둘러싸면서 상단 개구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관(30)과, 상기 보호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30)의 상단 외경부에는 포장용 아스콘의 열기로부터 상기 보호관(30)을 보호하는 금속재질의 슬리브관(50)이 상기 보호관(30)과 동심원 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감캡(40)은 상기 보호관(30)과 상기 슬리브관(50)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덮개판(41)과, 상기 덮개판(41)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보호관(30)과 상기 슬리브관(50)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관(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관측봉(20)은 상기 수지밴드(10)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는 하부연결관(21)과, 상기 하부연결관(21) 위에 삽입, 고정되는 하단관측봉(22)과, 상기 하단관측봉(2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연결관(23)과, 상기 상부연결관(23)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상단관측봉(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관(21)과 상기 상부연결관(23)의 내경부에는 각각 상기 하단관측봉(22)과 상기 상단관측봉(24)의 진입을 제한하는 내경환턱(21a,23a)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단관측봉(22)과 상단관측봉(24)은 각각 고정핀(25)에 의해서 상기 하부연결관(21)과 상부연결관(23)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결관(21)의 하단에는 상기 수지밴드(10)의 상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21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KR2020170003175U 2017-06-20 2017-06-20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KR201800036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75U KR20180003667U (ko) 2017-06-20 2017-06-20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75U KR20180003667U (ko) 2017-06-20 2017-06-20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67U true KR20180003667U (ko) 2018-12-28

Family

ID=649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75U KR20180003667U (ko) 2017-06-20 2017-06-20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66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21Y1 (ko) 2003-12-24 2004-03-19 한국가스기술공업 주식회사 지하 콘크리트 보호구간에 매설된 관의 침하를 탐지하는침하관측봉 장치
KR20160011113A (ko)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이제이텍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21Y1 (ko) 2003-12-24 2004-03-19 한국가스기술공업 주식회사 지하 콘크리트 보호구간에 매설된 관의 침하를 탐지하는침하관측봉 장치
KR20160011113A (ko)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이제이텍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CN102494678B (zh) 监控量测中路面沉降点布置装置及埋设方法
CN106556376B (zh) 一种监测地下空间及地下管线变形的装置及其测量方法
CN105822830A (zh) 一种高压燃气管纵跨基坑原位悬吊保护的施工方法
JP4652185B2 (ja) 地下埋設管の沈下量測定具
CA25733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excavation towards a buried target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03668U (ko)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US10519634B2 (en) Curb box and method
KR20180003667U (ko) 지중 매설관의 침하 관측장치
KR20090093355A (ko) 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도통 측정 방법
KR101235746B1 (ko) 이중관 지표 침하계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방법
CN109029338B (zh) 一种埋入式混凝土应变测量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60039829A (ko) 가로등기초 구조물
JP4704060B2 (ja) 境界表示方法および境界表示具
KR200409697Y1 (ko) 관로용 관리 표시구
US20110273178A1 (en) Device for marking out buried objects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KR200414007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매설위치 표시기
KR200411780Y1 (ko) 가스배관 보링 검지공 보호구
KR100707719B1 (ko) 관로용 관리 표시구
JPH10126940A (ja) ケーブル類の布設位置表示装置
KR19990020446U (ko) 지하매설물 깊이 표시장치
CN108867718B (zh) 地铁站深基坑深层水平位移监测施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